KR200367050Y1 -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 Google Patents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050Y1
KR200367050Y1 KR20-2004-0023675U KR20040023675U KR200367050Y1 KR 200367050 Y1 KR200367050 Y1 KR 200367050Y1 KR 20040023675 U KR20040023675 U KR 20040023675U KR 200367050 Y1 KR200367050 Y1 KR 200367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ir
seat
unit
w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6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해중
Original Assignee
제해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해중 filed Critical 제해중
Priority to KR20-2004-00236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0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05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4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 A47C7/441Supports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elastically-mounted back-rest or backrest-seat unit in the base frame with adjustable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석자가 등받이를 뒤로 젖힐 경우, 다단의 등받이가 만곡되면서 착석자의 척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며, 의자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의자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10)와, 이 다리(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착석자가 앉도록 된 시트(15)와, 이 시트(15)의 후방에 입설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0)로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는 종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등받이유닛(21)이 각각 후방으로 절첩가능하게 힌지축(22)을 매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 등받이유닛(21)의 연결부위에는 탄성수단(25)이 개재되며, 상기 각각의 등받이유닛(21)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회동시 이웃하는 등받이유닛(21)과 접촉되는 스토퍼(3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Chair with multiple back}
본 고안은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착석자가 등받이를 뒤로 젖힐 경우, 다단의 등받이가 만곡되면서 착석자의 척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며, 의자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의자가 뒤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새로운 구조의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착석자가 몸을 뒤로 젖힐 경우 등받이가 후방으로 젖혀지면서, 착석자가 뒤로 누울 수 있도록 설계된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의자는 사무자가 사무 중 피로를 느낄 경우, 등받이를 뒤로 젖혀 잠시 쉴 수 있어, 사용자에게 안락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인체의 등이 뒤로 젖혀질 때, 척추는 곡선을 그리면서 눕혀지도록 되어 있는 데 반해, 종래 의자는 일체로 된 등받이가 그대로 뒤로 젖혀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착석자가 누울 경우 등받이가 착석자의 척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즉, 착석자의 등 상부는 등받이에 지지되지만, 착석자의 허리 부분은 등받이에서 이격되면서 척추에 무리가 가해져, 장시간 뒤로 누워있을 경우 척추에 가해지는 피로가 쌓여 허리 통증이나 디스크 등의 질병이 유발될 수 있다.
한편, 종래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는 의자는 착석자가 등받이를 젖히기 위해체중을 등받이쪽으로 실을 경우, 다른 의자 구조물은 그대로인 반면 등받이만 후방으로 젖혀지게 되어, 의자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쏠리게 된다. 따라서, 착석자가 체중의 무게중심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을 경우, 의자가 뒤로 넘어가게 되어, 착석자의 후두부가 지면에 부딪쳐 뇌진탕 등의 사고가 일어날 위험성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착석자가 등받이를 뒤로 젖혀 누울 경우, 다단의 등받이가 착석자의 척추라인을 따라 만곡되면서 착석자의 요추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보호할 수 있으며, 등받이가 뒤로 젖혀질 경우 의자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의자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등받이유닛들의 연결관계를 보인 배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다리 15. 시트
20. 등받이 21. 등받이유닛
22. 힌지축 23. 관통공
25. 탄성수단 30. 스토퍼
35. 와이어 40. 걸림돌기
45. 가이드레일
본 고안에 따르면,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10)와, 이 다리(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착석자가 앉도록 된 시트(15)와, 이 시트(15)의 후방에 입설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0)로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는 종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등받이유닛(21)이 각각 후방으로 절첩가능하게 힌지축(22)을 매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 등받이유닛(21)의 연결부위에는 탄성수단(25)이 개재되며, 상기 각각의 등받이유닛(21)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회동시 이웃하는 등받이유닛(21)과 접촉되는 스토퍼(3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탄성수단(25)은 각 등받이유닛(21)을 연결하는 힌지축(22)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각의 등받이유닛(21)에는 종방향으로 관통공(23)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23) 내부에는 와이어(35)가 통과되며, 상기 와이어(35)의 일단은 최상층 등받이유닛(21)에 체결되고 와이어(35)의 타단은 시트(15)의 일측에 체결되며, 상기 시트(15)의 양측에는 시트(15)의 양측단에 구비된 걸림돌기(4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이드레일(45)이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유닛(21)이 후방으로 회동될 때 상기 와이어(35) 타단에 체결된 시트(15)가 가이드레일(45)을 따라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등받이유닛들의 연결관계를 보인 배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고안은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10)와, 이 다리(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착석자가 앉도록 된 시트(15)와, 시트(15)의 후방에 입설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0)로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등받이(20)는 종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등받이유닛(21)이 각각 상호 힌지축(22)을 매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때, 최하층의 등받이유닛(21)의 하부는 시트(15) 또는 시트(15) 하부에 설치되는 하판(50)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이 최하층 등받이유닛(21)을 기준으로 상층의 등받이유닛(21)들이 회동된다. 등받이유닛(21)은 각각 개별적으로 힌지축(2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착석자가 등받이(20)를 뒤로 젖혀 누울 경우, 각각의 등받이유닛(21)이 착석자의 만곡된 허리라인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등받이유닛(21)이 일체의 쿠션부재(55) 내에 설치되어, 착석자가 등에 이물감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착석자가 몸을 다시 원상태로 일으킬 경우, 등받이(20)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 등받이유닛(21)의 연결부위에는 탄성수단(25)이 개재된다. 이 탄성수단(25)은 등받이유닛(21)이 탄성복원될 수 있는 모든 탄성수단(25)이 적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등받이유닛(21)의 힌지축(22)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이다.
각 등받이유닛(21)의 후방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30)가 돌출 형성된다. 이 스토퍼(30)는 등받이(20)가 후방으로 회동될 때, 이웃하는 타 등받이유닛(21)의 스토퍼(30)와 접촉되는 것으로, 등받이유닛(21)의 회동시 임계점 역할을 한다. 즉, 스토퍼(30)의 형상 및 폭을 조절하여, 각 등받이유닛(21)의 회동각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60은 팔걸이(60)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측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각각의 등받이유닛(21)에는 종방향으로 관통공(23)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23)은 각 등받이유닛(21)들을 상호 연통시키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힌지축(22)을 기준으로 등받이유닛(21)의 전방에 형성된다. 관통공(23) 내부로는 와이어(35)가 통과된다. 이 와이어(35)의 일단은 최상층 등받이유닛(21)에 체결되며, 와이어(35)의 타단은 시트(15)의 하부 일측에 체결된다. 그리고, 시트(15)의 양측에는 이 시트(15)의 양측단에 구비된 걸림돌기(4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이드레일(45)이 설치된다. 이때, 하판(50)의 하측에는 와이어(35)의 방향전환을 안내하는 도르레(65)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3b에서와 같이 등받이(20)가 후방으로 젖혀지면, 이에 따라 와이어(35)가 후방으로 당겨지고, 시트(15)가 가이드레일(45)을 따라 전방으로 인출된다. 따라서, 등받이(20)가 후방으로 젖혀져도 전방으로 인출된 시트(15)에 의해 의자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는 등받이(20)가 종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등받이유닛(21)으로 구획되고, 각 등받이유닛(21)들이 상호 힌지결합되어 개별적으로 후방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착석자가 등받이(20)를 뒤로 젖혀 누울 경우, 착석자의 척추가 휘어지는 라인을 따라 등받이(20)가 착석자의 요추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착석자가 장시간 의자에서 누워있는 경우에도 허리에 무리가 가지 않으며, 통증이 유발되지 않는다. 또한, 등받이(20)가 후방으로 젖혀질 때 등받이유닛(21) 내부를 통과하는 와이어(35)가후방으로 당겨지면서, 시트(15)가 가이드레일(45)을 따라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등받이(20)가 뒤로 젖혀지는 경우에도 전방으로 인출되는 시트(15)에 의해 의자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쏠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등받이(20)를 뒤로 젖혀도 의자가 넘어가는 일이 발생되지 않아, 뇌진탕 등의 사고로부터 착석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등받이가 종방향으로 구획된 다단의 등받이유닛으로 이루어지며 각 등받이유닛이 개별적으로 후방으로 회동됨으로써, 착석자가 등받이를 뒤로 젖혀 누울 경우, 다단의 등받이가 착석자의 척추라인을 따라 만곡되면서 착석자의 요추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등받이가 뒤로 젖혀질 때 시트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의자의 무게중심이 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여 의자가 뒤로 넘어가지 않아, 뇌진탕 등의 사고로부터 착석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된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지면에 지지되는 다리(10)와, 이 다리(10)의 상측에 설치되어 착석자가 앉도록 된 시트(15)와, 이 시트(15)의 후방에 입설되어 착석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20)로 구성되는 의자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0)는 종방향으로 구획된 다수의 등받이유닛(21)이 각각 후방으로 절첩가능하게 힌지축(22)을 매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각 등받이유닛(21)의 연결부위에는 탄성수단(25)이 개재되며, 상기 각각의 등받이유닛(21)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회동시 이웃하는 등받이유닛(21)과 접촉되는 스토퍼(30)가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25)은 각 등받이유닛(21)을 연결하는 힌지축(22)에 결합되는 토션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등받이유닛(21)에는 종방향으로 관통공(23)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23) 내부에는 와이어(35)가 통과되며, 상기 와이어(35)의 일단은 최상층 등받이유닛(21)에 체결되고 와이어(35)의 타단은 시트(15)의 일측에 체결되며, 상기 시트(15)의 양측에는 시트(15)의 양측단에 구비된걸림돌기(40)가 슬라이드 이동되는 가이드레일(45)이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등받이유닛(21)이 후방으로 회동될 때 상기 와이어(35) 타단에 체결된 시트(15)가 가이드레일(45)을 따라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KR20-2004-0023675U 2004-08-19 2004-08-19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Expired - Fee Related KR200367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75U KR200367050Y1 (ko) 2004-08-19 2004-08-19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675U KR200367050Y1 (ko) 2004-08-19 2004-08-19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050Y1 true KR200367050Y1 (ko) 2004-11-09

Family

ID=49440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675U Expired - Fee Related KR200367050Y1 (ko) 2004-08-19 2004-08-19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05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90B1 (ko) 2007-08-20 2009-09-17 박진한 스파인백 등받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590B1 (ko) 2007-08-20 2009-09-17 박진한 스파인백 등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08642C (en) Backrest
US6193313B1 (en) Chair
US8544955B2 (en) Tiltable chair
EP2802241B1 (en) A comfortable orthopedic chair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JPS6395008A (ja) 可動シ−トと背もたれの付いた椅子
US4558902A (en) Travel seat
US2085836A (en) Arm rest for reclining coach seats
US20070063563A1 (en) Tiltable chair accommodating male and female user seating position preferences
US20060273639A1 (en) Child seat for mounting on a vehicle seat
KR200367050Y1 (ko) 다단 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JP2832705B2 (ja) 座り装置
US7445288B2 (en) Vehicle seat
JP4445244B2 (ja) 背凭れ傾動装置
JP3012765B2 (ja) 座席装置
AU2001236969A1 (en) Ergonomically designed chair
WO2008054225A1 (en) Chair
KR200245168Y1 (ko) 허리받침수단이 구비된 의자 등받이
US3205009A (en) Automotive seat cushions
KR200331369Y1 (ko) 배받이 의자
JP7300223B1 (ja) カスタムクッション式シートバック
JP4015236B2 (ja) 椅子
KR100725147B1 (ko) 허리 받침대를 구비한 등받이
JP4896631B2 (ja) 椅子
JP2024062475A (ja) シート
JPH11235942A (ja) 乗合い車両用腰掛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8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102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8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28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8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