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770Y1 -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770Y1
KR200366770Y1 KR20-2004-0023840U KR20040023840U KR200366770Y1 KR 200366770 Y1 KR200366770 Y1 KR 200366770Y1 KR 20040023840 U KR20040023840 U KR 20040023840U KR 200366770 Y1 KR200366770 Y1 KR 200366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ification unit
appeal
water
purifica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8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흥섭
여인철
Original Assignee
배흥섭
여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흥섭, 여인철 filed Critical 배흥섭
Priority to KR20-2004-00238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7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7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C02F3/327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characterised by animals and pl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8Multistage treatments, e.g. repetition of the same process step under different conditions

Abstract

본 고안은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하천과 호소가 만나는 수심이 낮은 부분에 수중보(110)를 형성하여 상류로부터 운반되는 토사와 쓰레기가 걸러지도록 하는 제1 정화부(100)와; 상기 수중보(110)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이격시켜 소정의 높이로 형성한 제1 사석방틀(210)과의 사이에서 상기 수중보(110)를 통과한 토사와 쓰레기가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조(220)를 이루도록 하는 제2 정화부(200)와; 상기 제1 사석방틀(210)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이격시켜 동일한 높이로 형성한 제2 사석방틀(310) 사이에 수생식물(320)을 식재하여 인공습지(330)를 이루도록 하는 제3 정화부(300)와; 호소 본류(500)에서 다양한 수생식물(420)을 식재한 식생섬(410)과 호소 본류(500)의 바닥 퇴적물을 인공습지(330)로 환원시키도록 하는 제4 정화부(400)로서 이루어져 이들을 순차적으로 흐르면서 수질이 정화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수질 개선에 의해 생태 복원을 촉진시켜 적절한 용도로의 물사용이 가능토록 하면서 철새와 각종 어류나 곤충 등이 살 수 있는 비오톱 형성과 자연 친화적인 환경 조성에 의한 휴식 및 관광 자원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System for cleaning water of lake}
본 고안은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소로 유입되는 하천을 인공적으로 자연물을 이용하여 다단 정화 방식에 의해서 보다 저렴하면서 빠른 시간내에 수질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동시에 생태계의 복원을 촉진시키도록 하는 자연 정화(natural treatment) 방식을 이용한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소(湖沼, lake)는 내륙의 와지(窪地)에 있는 정수괴(靜水塊)를 일컫는 것으로, 이는 다시 호수·늪·소택(沼澤)·습원(濕原)으로 분류된다.
이중 호수는 연안식물의 침입을 허용할 수 없을 만큼의 깊이를 갖는 것으로 최심부가 5m 이상 되는 것을 말하며, 늪은 얕으며 침수식물(沈水植物)이 무성하고 최심부의 깊이는 5m 이하인 곳을 지칭하고, 소택은 아주 얕으며 도처에 정수식물(挺水植物)이 무성하며 최심부는 1m 이하인 곳을 말하며, 습원은 수체(水體)라고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습지식물에 덮여 있는 곳을 말한다.
또한 이외에도 바다와 일부가 연결되어 있는 기수호(汽水湖:염분이 다소 포함되어 있는 석호 등)도 호소라고 하기도 한다.
호소는 관광지로서도 중요하나 용수조절 및 관개용수 등 천연의 저수지로도 이용되면서 수산방면에도 이용되는 폐쇄된 하나의 세계이다.
한편 산업의 발전과 도시화의 집중, 농경지배수 및 축산폐수 등의 비점오염원의 유입 및 하·폐수처리장으로부터 충분하게 제거되지 못한 오염물질 등으로 인하여 부영양화되면서 조류가 과잉번식하게 되고, 수중의 용존산소가 부족해져 자정작용에 악영향을 미치게 됨으로써 대부분의 호소는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여 농업용수로도 사용할 수가 없는 최악의 상태로까지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
따라서 호소를 복원하여 호소의 자정기능을 회복시켜 농업용수는 물론 다양한 용도로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종전에도 다양한 방식의 수질 개선 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호소 정화는 자연 호소가 갖는 정화능력을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이라하는 인위적 방법을 이용하여 보강, 보완함으로써 단위 유량당 물질 전환속도를 촉진시키는 것이며, 최종적으로는 본래의 상태로 회복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호소로 유입되는 하천을 일부에서 정화시키는 정도가 대부분이고, 일부에서는 자연 친화적인 방법으로 호소 정화를 시도하기도 하지만 이 또한 부분적으로만 이루어지고 있어 전체적으로 근본적인 수질 개선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아직 없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간척 사업이 이루어지면서 대규모의 담수호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이들 생활하수와 축사 및 농가에서의 오폐수 방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담수호의 수질을 악화시켜 대단히 심각한 환경 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기도 한다.
또한 이러한 오염 물질의 유입만을 단속 및 방지하는 것만으로는 수질의 악화를 조금이나마 지연시킬 수는 있으나 결국 장기적으로는 오염이 불가피하므로 보다 근본적인 수질 개선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호소로 유입되는 하천수를 여러 단계를 거치면서 이물질이 사전에 걸러지게 하는 동시에 자연 친화적인 정화 방법에 의해서 수질이 개선되도록 하면서 생태계가 복원되도록 하는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건설비와 유지비가 저렴하고, 생물농축이나 생태계 파괴와 같은 2차 오염의 우려가 적으며, 부산물로 증식되는 식물체는 동물 사료 등으로 이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농업용 비료, 메탄가스의 생성원료, 화학재료 등과 같은 여러 분야에서 재활용을 기대할 수가 있도록 하는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호소의 수질 정화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제1 정화부 110 : 수중보
200 : 제2 정화부 210 : 제1 사석방틀
300 : 제3 정화부 310 : 제2 사석방틀
320 : 수생식물 400 : 제4 정화부
410 : 식생섬 500 : 호소 본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하천과 호소가 만나는 수심이 낮은 부분에 사석을 소정의 높이로 쌓아 수중보를 형성하고, 상기 수중보에 의해 상류로부터 운반되는 토사와 쓰레기가 걸러지도록 하는 제1 정화부와; 상기 제1 정화부의 상기 수중보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이격시켜 소정의 높이로 사석을 적층시켜 제1 사석방틀을 형성하고, 상기 수중보를 통과한 하천수로부터 잔류하는 토사와 쓰레기가 침전되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사석방틀을 통과하는 하천수가 여과, 흡착, 미생물과의 산화접촉에 의해 수질이 정화되도록 하는 제2 정화부; 상기 제2 정화부의 상기 제1 사석방틀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이격시켜 동일한 높이로 사석을 적층시켜 제2 사석방틀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사석방틀과 상기 제2 사석방틀 사이에는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인공습지를 이루도록 하는 제3 정화부와; 상기 제2 사석방틀을 통과하여 호소 본류에 부력을 갖는 식생섬을 구비하고, 상기 식생섬에는 다양한 수생식물이 식재되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제2 사석방틀을 통과하여 제4 정화부로 유입되는 호소 본류의 바닥 퇴적층으로부터 퇴적물을 준설선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석방틀과 제2 사석방틀 사이의 인공습지로 조성된 제3 정화부로 환원시키는 제4 정화부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일단 크게 하천의 호소로 유입되는 유역에서부터 호소 본류에 이르는 거리를 제1 정화부와 제2 정화부와 제3 정화부와 제4 정화부로서 나누어 순차적으로 정화시키도록 하는데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연형 호소 수질 정화시스템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평면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천의 호소에 유입되는 곳을 제1 정화부(100)와 제2 정화부(200)와 제3 정화부(300)와 제4 정화부(400)로서 구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제1 정화부(100)는 하천의 호소에 유입되는 비교적 수심이 낮은 지역에서 소정의 높이로 수중보(110)를 형성하여 하천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토사와 쓰레기가 걸려지도록 하는 부위이다. 이때의 수중보(110)는 하천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이격시켜 양측에 임의의 간격으로 말뚝(111)을 다수 세우고, 이 말뚝(111)들의 안쪽으로는 매쉬형 철망(112)이 구비되도록 하며, 매쉬형 철망(112)의 내부에는 사석(113)이 채워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하천수에 포함되어 있는 토사나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들 중 수중보(110)의 사석(113)간 틈보다 큰 이물질들은 수중보(110)를 통과하지 못하게 되므로 걸러지면서 호소로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의 수중보(110)를 구성하는 말뚝(111)은 나무말뚝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매쉬형 철망(112)은 녹이 슬지 않는 부식에 강한 재질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2 정화부(200)는 제1 정화부(100)의 수중보(110)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이격시켜 소정의 높이로 제1 사석방틀(210)을 형성하고, 이러한 수중보(110)와 제1 사석방틀(210) 사이는 침전조(220)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수중보(110)를 통과한 하천수에 잔류하는 미세한 토사와 쓰레기가 침전되도록 하여 걸러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의 제1 사석방틀(210)은 제1 정화부(100)의 수중보(110)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폭으로 호소의 바닥에 견고하게 다수의 말뚝(211)들을 소정의 폭을 이격시켜 2열로 고정시키고, 이들 말뚝(211)들의 안쪽으로 매쉬형 철망(212)이 구비되도록 하면서 이 매쉬형 철망(212)의 내부로 사석(213)이 채워지도록 한 구성이다.
제1 사석방틀(210)은 하천의 크기와 유입 유량에 맞도록 형성되므로 수중보(110)에 비해서는 높이와 규모가 크게 형성되며, 따라서 수중보(110)를 통과한 하천수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이 걸러지면서 침전조(220)의 바닥으로 침전될 수 있도록 한 구성이다.
또한 제1 사석방틀(210)을 통해서는 재차 하천수의 여과, 이물질 흡착, 미생물과의 산화접촉에 의한 수질 정화를 기대할 수가 있다.
한편 수중보(110)와 제1 사석방틀(210)의 사이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옹벽(120)이 구비되도록 하여 수중보(110)를 통해 유동하는 수위에 낙차를 주도록 함으로써 하천수에 포함된 미세한 토사와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들이 침전조(220)에서 보다 원활하게 걸러질 수 있도록 한다.
제3 정화부(300)는 제2 정화부(200)의 제1 사석방틀(210)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이격시켜 동일한 높이로서 제2 사석방틀(310)을 형성하면서 제1 사석방틀(210)과 제2 사석방틀(310)의 사이에는 수생식물(320)을 식재하여 인공습지(330)를 이루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의 제2 사석방틀(310)은 제1 사석방틀(210)과 마찬가지로 호소 바닥에 견고하게 고정시킨 2열로 구비되는 다수의 말뚝(311)들 안쪽으로 매쉬형 철망(312)이 구비되도록 하고, 이들 매쉬형 철망(212)의 안쪽에는 사석(313)이 이탈방지되게 채워지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제3 정화부(300)에서 인공습지 조성을 위해 구비하게 되는 수생식물(320)로는 갈대나 부들, 줄, 고랭이 등이 좋으며, 이중에서도 갈대가 습지형성에 가장 적합하다.
한편 이러한 제3 정화부(300)에는 다양한 수생생물 즉 버들치나 송사리, 피라미와 같은 어류와 방개와 물장구, 소금쟁이와 같은 곤충류 및 청개구리, 참개구리, 무당개구리와 같은 양서류 등이 서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4 정화부(400)는 제3 정화부(300)의 제2 사석방틀(310)을 통과하여 수심이 깊은 호소 본류(500)에 부력을 갖는 식생섬(410)을 구비하고, 상기 식생섬(410)에는 다양한 수생식물(420)이 식재되도록 하는 구성이며, 이와 동시에 제2 사석방틀(310)을 통과하여 제4 정화부(400)의 호소 본류(500)로 유입되는 바닥의 퇴적층으로부터 퇴적물을 준설선(600)을 이용하여 제1 사석방틀(210)과 제2 사석방틀(310) 사이의 인공습지로 조성된 제3 정화부(300)로 환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다시 말해 제4 정화부(400)는 호소 본류(500)측으로 형성되는 수질 정화 구간으로서, 호소 본류(500)는 수심이 깊기 때문에 수생식물(420)의 생장을 위해서 인공적으로 부력을 갖도록 하여 물에 뜨는 식생섬(410)이 구비되도록 한다.
이러한 식생섬(410)에는 다양한 종류의 수생식물(420)이 서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때의 수생식물(420)로 대표적인 것이 갈대, 줄, 애기부들 등과 같은 것이 있다.
한편 식생섬(410)은 부력을 갖는 부유수단(미도시)과, 천연섬유소재로 이루어지는 식생의 형성기반을 이루는 식생기반재(미도시)와, 수생식물(420) 및 호소 본류(500)에서의 수위변동이나 유속, 유량의 변화에도 안정된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고정수단(미도시)으로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식생섬(410)과 함께 제4 정화부(400)에는 준설선(600)이 구비되도록 하여 제4 정화부(400)의 퇴적물을 제3 정화부(300)로 이동시켜 제3 정화부(300)에서 재차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4 정화부(400)에서의 퇴적물 형성이 최소화되도록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700은 하천 및 호소의 기저를 이루는 지면이고, 부호 800은 침전조(220)와 인공습지(330) 및 호소 본류(500)의 바닥에 쌓이는 자갈 및 모래층이며, 부호 900은 인공습지(330)와 호소 본류(500)의 자갈 및 모래층(800) 위로 오니(汚泥) 및 저니가 퇴적되어 형성되는 펄층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고안에 의한 수질 정화 방법에 대해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즉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하천과 호소가 만나는 부분에서 사석(113)을 소정의 높이로 쌓은 수중보(110)에 의해 상류로부터 운반되는 토사와 쓰레기가 우선 걸러지도록 하고(제1 정화단계), 수중보(110)로부터 소정의 거리에는 사석(213)이 적층된 제1 사석방틀(210)이 소정의 높이로 구비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수중보(110)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하천수에 잔류하는 토사와 쓰레기를 바닥으로 침전되게 하면서 제1 사석방틀(210)을 통과하는 하천수를 여과, 이물질 흡착, 미생물과의 산화접촉에 의해서 수질이 정화되도록 한다(제2 정화단계).
제1 사석방틀(210)을 통과한 하천수는 다시 제1 사석방틀(210)로부터 일정한 길이만큼 이격시켜 구비한 제2 사석방틀(310)과의 사이를 지나도록 하게 되는데 이 부위에는 수생식물(320)이 식재되면서 인공습지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인공습지를 지나면서 수생식물들의 생리작용에 의해서 하천수에 잔류하는 영양염류 및 오염물질을 흡수, 분해하게 된다(제3 정화단계).
또한 제2 사석방틀(310)을 통과한 제4 정화부(400)의 호소 본류(500)에서는 부력을 갖는 식생섬(410)에 다양한 수생식물(420)이 식재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수생식물(420)들에 의해 마지막으로 수질이 더욱 개선되도록 한다(제4 정화단계).
한편 제4 정화부(400)에는 호소 본류(500)의 바닥 퇴적층으로부터 퇴적물을 흡입하여 제1 사석방틀(210)과 제2 사석방틀(310) 사이의 인공습지로 환원시키도록 함으로써(준설단계) 식생기반재로 활용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순차적으로 호소로 유입되는 하천수를 정화하게 되면 하천수와 함께 상류에서부터 운반되는 토사나 쓰레기 등이 호소로 유입되지 않도록 거의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가 있다.
또한 제3 정화부(300)에서는 수생식물(320)들에 의해 인공습지를 형성하면서 이들 수생식물(320)의 생리작용에 의하여 수중에 존재하게 되는 영양염류 및 오염물질의 흡수, 분해가 이루어지게 한다.
수생식물(320)은 수변에서 생활하는 동물들의 먹이가 되기도 하며, 조류의 보금자리를 제공하기도 하고, 경관이나 수질 정화 등의 기능도 가지고 있으므로 수생식물(320)을 이용하여 생태계 보전이 이루어질 수가 있다.
즉 수생식물(320)은 식물체 조직을 통해서 오염물질을 직접적으로 제거할 뿐만 아니라 박테리아의 부착을 위한 표면을 제공하기도 하므로 미생물 활동을 위한 안정적인 환경을 제공하게 되며, 식물근계(植物根系)를 통한 산소의 전달은 미생물의 분해 활동을 촉진하여 질산화 및 탈질화의 작용을 유도하고, 유기물의 호기성 분해를 촉진시키게 된다.
또한 수생식물(320)은 햇빛의 침투를 제한함으로써 조류의 성장 조절 기능을 가지며, 영양물질을 식물체 내에 직접 흡수함으로써 영양염류에 대해 조류와의 경쟁을 통해 조류의 성장을 제어하게 된다.
본 고안에서 수생식물(320)로 이용되는 갈대와 부들은 뿌리줄기(rhizome)라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잎에서 생성된 산소가 뿌리로부터 방출되면 주위에 산소를 포함한 얇은 수막으로 형성되어 호기성 미생물 및 혐기성 미생물의 좋은 생육장소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이러한 수생식물(320)을 이용한 인공습지는 생태적 생산성이 가장 높은 생명부양체계이며, 생물학적 다양성이 높은 전이대(ecotone)이다.
한편 습초지(marsh)의 경우 BOD(생물학적산소요구량, Biological Oxygen Demand), 인, 암모니아, 질산을 경감 또는 제거하고, 야생조류와 벌, 나비, 곤충 등을 유인 비오톱(biotop)을 조성하는 기반이 된다.
또한 제4 정화부(400)에서의 식생섬(410)은 질소나 인, COD(Chemical Oxygen Demand) 저감, 부영양화 억제, 농지폐수와 같은 비점오염원을 제어하여 수질을 개선하며, 생물서식공간을 제공하면서 종다양성 확보 및 보존, 어류 등의 서식처 제공이라는 생태계 복원에 기여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호소의 자연 처리에 의해서 질소(N)의 제거율은 40~90% 정도를 차지하게 되며, 주로 질산화(nitrification), 탈질화(denitrification), 식물체에 의한 섭취, 휘발, 침전 등에 의해서 제거된다.
그리고 인(P)은 화학적 흡착, 식물에 의한 섭취로 무기인은 식물에 의해 섭취가 빨리 일어나며, 주로 인산염(orthophospate)의 형태로 나타나는 인은 토양 구조중의 점토광물과 특정유기토양 부분에 의해서 흡착되고, 인산염은 미생물에 의해환원되지 않지만 몇 종류의 미생물은 황산염, 질산염, 산소가 결핍된 환경조건에서 최종 전자 수용체로 인산염을 활용할 수 있다. 혐기성 조건하에서 인제거 미생물은 다중인(polyphosphate)와 인산염(orthophospate)의 분해에 의해 공급된 에너지를 잉요하여 흡수된 인을 방출할 뿐만 아니라 세로 내로 유기물을 흡수하여 호기성 조건에서 세포 내의 유기물을 산화분해 함으로써 에너지를 이용하여 세포 밖에 존재하는 인을 과잉 흡수함으로서 제거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질소, 인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특히 유지 관리비가 저렴할 뿐만 아니라 생태관광지로도 활용이 가능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가 있으며, 수변경관의 심미적 효과가 탁월하여 휴식이나 관광 및 교육적 가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하천의 호소로 유입되는 유역으로부터 수중보(110)와 침전조(220)와 제1 사석방틀(210)과 습지(330)와 제2 사석방틀(310) 및 호소 본류(500)로 다수의 단계를 거쳐 수질이 정화되게 함으로써 친환경적으로 수질 개선이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에 생태 복원을 촉진시켜 적절한 용도로의 물사용이 가능토록 하면서 철새와 각종 어류나 곤충 등이 살 수 있는 비오톱을 이루고, 특히 자연 친화적인 환경 조성에 의해 휴식 및 관광 자원화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4)

  1. 하천과 호소가 만나는 수심이 낮은 부분에 사석(113)을 소정의 높이로 쌓아 수중보(110)를 형성하고, 상기 수중보(110)에 의해 상류로부터 운반되는 토사와 쓰레기가 걸러지도록 하는 제1 정화부(100)와;
    상기 제1 정화부(100)의 상기 수중보(110)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이격시켜 소정의 높이로 제1 사석방틀(210)을 형성하고, 상기 수중보(110)와 제1 사석방틀(210)의 사이는 상기 수중보(110)를 통과한 하천수로부터 잔류하는 토사와 쓰레기가 침전되도록 하는 침전조(220)를 이루도록 하는 제2 정화부(200)와;
    상기 제2 정화부(200)의 상기 제1 사석방틀(210)로부터 소정의 길이를 이격시켜 동일한 높이로 제2 사석방틀(310)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사석방틀(210)과 상기 제2 사석방틀(310) 사이에는 수생식물(320)을 식재하여 인공습지(330)를 이루도록 하는 제3 정화부(300)와;
    상기 제2 사석방틀(310)을 통과하여 호소 본류(500)에 부력을 갖는 식생섬(410)을 구비하고, 상기 식생섬(410)에는 다양한 수생식물(420)이 식재되도록 하는 동시에 호소 본류(500)의 바닥 퇴적층으로부터 퇴적물을 준설선(600)을 이용하여 상기 제1 사석방틀(210)과 제2 사석방틀(310) 사이의 인공습지(330)로 조성된 제3 정화부(300)로 환원시키는 제4 정화부(400);
    로 이루어지는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보(110)는 하천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이격시켜 양측에 임의의 간격으로 말뚝(111)을 다수 세우고, 상기 말뚝(111)들의 안쪽으로는 매쉬형 철망(112)이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매쉬형 철망(112)의 내부에는 사석(113)을 채운 구성인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보(110)와 상기 제2 정화부(200)의 침전조(220)의 사이에는 수위가 단차지도록 하는 옹벽(120)이 형성되도록 하는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정화부(300)의 인공습지(330)에 구비되는 수생식물(320)로는 갈대를 이용하는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KR20-2004-0023840U 2004-08-20 2004-08-20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KR200366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840U KR200366770Y1 (ko) 2004-08-20 2004-08-20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840U KR200366770Y1 (ko) 2004-08-20 2004-08-20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794A Division KR100707365B1 (ko) 2004-08-20 2004-08-20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770Y1 true KR200366770Y1 (ko) 2004-11-06

Family

ID=4944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840U KR200366770Y1 (ko) 2004-08-20 2004-08-20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77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8323A (zh) * 2018-02-27 2018-06-19 浙江绿维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蓝藻倒灌的藻水分离系统
KR20180122271A (ko) * 2018-03-22 2018-11-12 지유 주식회사 하천 정화 시스템
CN109295927A (zh) * 2018-11-19 2019-02-01 广东中联兴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治理离子型稀土矿山原地浸矿浸出液的生态沟渠
CN110342734A (zh) * 2019-07-03 2019-10-18 中铁十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鹅卵石、砂石的水体污染物去除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78323A (zh) * 2018-02-27 2018-06-19 浙江绿维环境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蓝藻倒灌的藻水分离系统
KR20180122271A (ko) * 2018-03-22 2018-11-12 지유 주식회사 하천 정화 시스템
KR101954764B1 (ko) * 2018-03-22 2019-03-07 지유 주식회사 하천 정화 시스템
CN109295927A (zh) * 2018-11-19 2019-02-01 广东中联兴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治理离子型稀土矿山原地浸矿浸出液的生态沟渠
CN110342734A (zh) * 2019-07-03 2019-10-18 中铁十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一种基于鹅卵石、砂石的水体污染物去除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34676B2 (en) Lake restoration systems and processes
US10982400B2 (en) Structure for an aquatic space and method for conserving large bodies of water
US8382982B2 (en) Apparatus merging wetland plants with a floating substrate to treat pollution in any river, lake or body of water
US20140042064A1 (en) Ecological Biotope Water Purification System Utilizing a Multi-Cell and Multi-Lane Structure of a Constructed Wetland and Sedimentation Pond
KR101244388B1 (ko) 축산단지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
CN110550829B (zh) 一种小城镇生活污水塔式生态净化一体化装置
CN104926032A (zh) 一种沿海城市感潮河道多级复合强化净化方法
KR20160139594A (ko) 생태적 추이대 기능 및 수질환경 정화효율을 극대화한 순환형 생태환경복원 시스템
CN109775941A (zh) 基于石墨烯光催化氧化的污水氧化塘及污水生态处理系统
CN111977818A (zh) 一种城市河道黑臭水体综合治理方法
CN107585868B (zh) 水体深度净化系统
JP4299382B2 (ja) 水処理用人工湿地
CN112939220B (zh) 一种基于清流水网的面源污染控制系统
CN1102129C (zh) 一种河流沟渠污水生态强化自净方法
CN109607975B (zh) 一种修复超富营养水体和内源性污染的人工湿地构造
JP2003239240A (ja) 自然分解性植物材料利用の沿岸湿地育成方法及び沿岸湿地
KR100444972B1 (ko) 생태공원으로 활용가능한 점.비점 오염원 처리용 다단계셀인공습지 시스템 및 오염원 처리 방법
KR200366770Y1 (ko)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KR100707365B1 (ko) 호소 수질 정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정화방법
CN210140480U (zh) 一种采煤沉陷区水污染控制系统
KR200417720Y1 (ko) 습지를 이용한 완충 저류시설
KR100746245B1 (ko) 생태적수질정화미디어 및 이를 갖는 수제 배석형 시스템
US20080006567A1 (en) Advanced Purification System Utilizing Closed Water Area by Hollow Water Area (Utsuro)
KR101704529B1 (ko) 비점오염원 처리를 위한 인공습지시스템
CN102092889B (zh) 一种湖泊净化及水生态环境复原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9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