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218Y1 - A Kit For Building Model - Google Patents

A Kit For Building Mod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218Y1
KR200361218Y1 KR20-2004-0011457U KR20040011457U KR200361218Y1 KR 200361218 Y1 KR200361218 Y1 KR 200361218Y1 KR 20040011457 U KR20040011457 U KR 20040011457U KR 200361218 Y1 KR200361218 Y1 KR 2003612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ll
floor
build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14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선
Original Assignee
김동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선 filed Critical 김동선
Priority to KR20-2004-0011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21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2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218Y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모형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의 구성 및 형상에 대한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바닥유닛, 벽체유닛 및 연결유닛의 기본적인 유닛과 층간 바닥유닛, 층간 연결유닛, 문틀유닛 및 창문유닛 등을 구비하고 각 유닛에 형성된 홈 및 돌기를 상호 끼움결합하여 건축모형의 제작이 가능한 건축모형 키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유닛, 연결유닛 및 벽체유닛 등의 구성요소들을 원하는 형태로 결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건축모형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일반인 및 학생들이 건축물의 구조에 대해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유닛 및 층간 바닥유닛을 투명 재질의 물질로 구성함으로써 건축모형의 도면을 바닥유닛의 저면에 놓고 보면서 제작할 수 있고 층간 바닥유닛의 결합 후에도 하층의 평면을 검토할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하면, 각 유닛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일단 제작된 건축모형에서 각 유닛을 분리하여 새로운 설계에 의한 건축모형을 제작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odel kit, and in more detail, the basic unit of the floor unit, the wall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the floor unit, the floor unit, the door frame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odel kit having a window unit and the like, and fitting grooves and protrusions formed in each unit to produce a building model.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combining the components such as the floor unit, the connecting unit and the wall unit in a desired form, the user can easily produce the desired architectural model, so that the general public and students can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more clearly. .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unit and the interlayer floor unit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drawings of the architectural model can be produced while being placed on the bottom of the floor unit, and the plane of the lower floor can be examined even after the interlayer floor unit is join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ycle each unit, so that each unit can be separated from the produced model once to produce an architectural model according to a new design.

Description

건축모형 키트{A Kit For Building Model}A Model For Building Model

본 고안은 건축모형 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건축물의 구성 및 형상에 대한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바닥유닛, 벽체유닛 및 연결유닛의 기본적인 유닛과 층간 바닥유닛, 층간 연결유닛, 문틀유닛 및 창문유닛 등을 구비하고 각 유닛에 형성된 홈 및 돌기를 상호 끼움결합하여 건축모형의 제작이 가능한 건축모형 키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odel kit, and in more detail, the basic unit of the floor unit, the wall unit, and the connection unit, the floor unit, the floor unit, the door frame uni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ding model kit having a window unit and the like, and fitting grooves and protrusions formed in each unit to produce a building model.

건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설계도를 작성하고, 이 설계도면에 따라 작업이 진행된다. 그리고 도면으로 나타내기 어려운 여러가지 복잡한 공간구성을 입체적으로 만들어 건축할 건물을 미리 실제로 볼 수 있도록 만든 것이 건축모형이다. 이와 같은 건축모형은 설계자의 의도를 건축주나 일반인에게 보다 용이하게 알릴 수 있는 수단이 된다.In order to construct a building, a drawing is first drawn up, and work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awing. In addition, the architectural model is made so that the building to be constructed can be actually seen in advance by creating various complex space configurations that are difficult to be represented by drawings. Such an architectural model becomes a means to more easily inform the owner or the general public of the intention of the designer.

종래에는 이와 같은 모형을 만들기 위해 폼보드, 라이싱지 또는 아크릴을 이용하였다. 즉 상기와 같은 재료를 작업자가 직접 잘라서 일일이 재단하고, 이들을 접착제로 붙여서 건축모형을 만들었다.Conventionally, foam board, sizing paper or acrylic was used to make such a model. That is, the workers cut the materials as described above and cut them one by one, and then glued them together to make an architectural model.

하지만 이와 같은 작업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작업이며, 특히 내부 설계에 약간의 변화가 생기게 되면 그 부분을 완전히 제거하여 내고 새롭게 재료를 재단하여 만들거나 완전히 새로 제작하여야 했다. 그리고 종래에는 일단 하나의 건축모형을 만드는데 사용된 재료는 다시 재활용할 수 없어 그대로 버려야 했다.However, this was a very cumbersome and time-consuming task, especially if there was a slight change in the internal design, the parts had to be completely removed and the new material cut or made entirely new. In the past, the materials used to make an architectural model could not be recycled and had to be discarded.

그리고 내부 평면을 제작하고 슬라브나 지붕을 그 위에 덮게 되면 내부의 평면을 알 수 없게 되어 건축모형 제작 후 공간 활용이라든지 동선 계획 등의 내부 설계에 대한 검토사항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if the interior plane is made and the slab or roof is covered on top of it, the interior plane is not known. Therefore, it was difficult to confirm the review of the interior design such as space utilization and copper line planning after the construction model was produced.

또한 종래의 건축모형은 상기와 같이 일일이 작업자가 재료를 재단하여 제작하여야 하므로 일반 건축관련 모형제작 종사자나 건축과 관련된 학문을 전공하는 학생들만이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이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architectural model, as described above, must be manufactured by the worker to cut the materials one by one, so that only general model-related workers or students majoring in architecture can access the area.

따라서 일반인이 건축모형을 제작한다는 것은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따라서 일반인이 직접 건축모형을 제작하면서 자신이 살 집을 구상한다든지, 자신이 사는 집의 모형을 제작하여 가구배치를 해 본다든지 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었다.Therefore, it was not easy for the general public to make an architectural model. Therefore, it was almost impossible for the general public to design a house for himself or to create a model of his house while arranging furniture by making an architectural model.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제 1목적은, 누구라도 쉽게 제작할 수 있는 건축모형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problems,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chitecture model kit that anyone can easily manufacture.

그리고 본 고안의 제 2목적은, 내력벽 및 비내력벽을 구분하고 보를 설치할 수 있고 문이나 창문 등을 계획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축물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건축모형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And the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ding model kit that can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by being able to distinguish the bearing wall and the non-bearing wall, install the beam, and plan the door or window.

또한 본 고안의 제 3목적은, 바닥유닛 및 층간 바닥유닛을 투명 재질의 물질로 구성함으로써 건축모형의 도면을 바닥유닛의 저면에 놓고 보면서 제작할 수 있고 층간 바닥유닛의 결합 후에도 하층의 평면을 검토할 수 있는 건축모형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by constructing the floor unit and the inter-floor floor unit made of a material of transparent material can be produced while placing the drawings of the architectural model on the bottom of the floor unit, and even after the floor floor unit is combined to examine the floor plane It is to provide an architectural model kit.

아울러, 본 고안의 제 4목적은, 각 유닛을 재활용할 수 있어 설계 변경 및 해체 후 재조립이 용이한 건축모형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chitectural model kit that can be recycled to each unit and easy to reassemble after the design change and dismantling.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preferred embodiments associated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모형 키트의 제 1실시예를 사용하여 제작된 건축모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building model manufactured using the first embodiment of the building model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닥유닛에 대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oor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기본 연결유닛에 대한 사시도,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asic connecting unit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b는 도 3a의 연결유닛의 제 1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nection unit of Figure 3a,

도 3c는 도 3a의 연결유닛의 제 2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the connecting unit of Figure 3a,

도 4a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내력벽을 위한 벽체유닛에 대한 사시도,Figure 4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ll unit for the bearing wal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비내력벽을 위한 벽체유닛에 대한 사시도,Figure 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ll unit for the non-bearing wall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층간 바닥유닛에 대한 사시도,5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layer fl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b는 도 5a의 층간 바닥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판에 대한 사시도,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late for connecting the interlayer floor unit of Figure 5a,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층간 연결유닛에 대한 구성도,6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layer conn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유닛에 대한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fram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유닛에 대한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1의 실선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lid line portion of FIG.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모형 키트의 제 2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uilding model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바닥유닛 11 : 층간 바닥유닛10: floor unit 11: floor floor unit

13 : 관통공 20 : 연결유닛13: through hole 20: connection unit

21 : 층간 연결유닛 23 : 체결공21: interlayer connection unit 23: fastening hole

25 : 체결부 30 : 벽체유닛25: fastening portion 30: wall unit

31 : 문틀유닛 33 : 창문유닛31: door frame unit 33: window unit

35 : 돌출부 100 : 건축모형 키트35: protrusion 100: model kit

본 고안은, 다수개의 제 1요철부가 소정 피치간격을 두고 격자형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바닥유닛;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first uneven portion is a bottom unit which is continuously arranged in a grid form with a predetermined pitch interval;

상기 피치간격을 가지는 다수개의 제 2요철부가 일면에 형성되는 연결유닛; 및A conn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uneven portions having the pitch interval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높이방향 양단에 상기 제 1 및 제 2요철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제 3요철부가 상기 피치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각단이 상기 바닥유닛 또는 연결유닛에 체결되는 판재 형상의 벽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nd a plate-shaped wall unit having a third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cave-convex portions formed at the pitch in the height direction and having the pitch interval so that each end is fastened to the floor unit or the connection unit. do.

여기서, 상기 제 1요철부는 상기 바닥유닛을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이고,Here, the first uneven portion is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bottom unit,

상기 제 2요철부는 상기 연결유닛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체결공이며,The second uneven portion is a fastening hole formed by being embedded in the connection unit,

상기 제 3요철부는 상기 벽체유닛의 높이방향 양단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third concave-convex portion is preferably a protrud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height direction both ends of the wall unit.

그리고 상기 바닥유닛은, 상기 바닥유닛을 통하여 저면에 배치되는 건축물의 설계 도면 또는 하층에 설치되는 건물 형상이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loor unit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loor unit or a building shape installed on a lower floor can be viewed.

또한 상기 연결유닛의 폭은, 체결되는 상기 벽체유닛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unit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wall unit to be fastened.

그리고 상기 연결유닛은, 연속적인 적층이 가능하도록 타면에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un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in a position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on the other surface to enable a continuous stacking.

또한 상기 벽체유닛은, 건축물의 내력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두께가 상기 피치의 약 1.2~1.5배로 형성되거나, 또는 건축물의 비내력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두께가 상기 피치의 약 0.8~1.2배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벽체유닛의 폭방향 중심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ll unit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2 to 1.5 times the pitch so as to form a bearing wall of the building, or a thickness of about 0.8 to 1.2 times the pitch so as to form a specific bearing wall of the building. The protrusion is preferably disposed along the widthwise center of the wall unit.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키트는, 상기 바닥유닛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한정하여 구성되는 층간 바닥유닛;And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layer floor unit configured to limit the floor unit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상기 벽체유닛의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 사이에 문이 내부에 형성된 문틀 형상을 가지는 문틀유닛; 및A door frame unit having a door frame shape formed therein between protrus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wall unit; And

상기 벽체유닛의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 사이에 창문 형상이 형성되는 창문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indow unit is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formed on both ends of the wall unit; preferably comprises a further.

아울러, 상기 키트는, 상기 바닥유닛 및 층간 바닥유닛의 관통공에 끼움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가구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k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furniture unit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that can be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floor unit and the interlayer floor unit.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모형 키트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architectural model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모형 키트의 바람직한 제 1실시예를 사용하여 제작된 건축모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바닥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연결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벽체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building model manufactured using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building model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loor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unit which comprises an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And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ll unit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모형 키트는 크게 바닥유닛(10), 벽체유닛(30) 및 연결유닛(2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1 to 4, the building model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floor unit 10, the wall unit 30 and the connection unit 20.

바닥유닛(10)은 다수개의 관통공(13)이 소정 피치(P)간격을 두고 격자형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구조이다.The bottom unit 1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lattice form at a predetermined pitch P interval.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바닥유닛(10)은 건축모형이 제작되는 작업공간으로서, 대략 사각 판상으로 소정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초·중·고생을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키트(100)가 제작된다면, 해당 학생들이 사용하는 책상 면적에 상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면적은 바닥유닛(10)의 대략적인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에서 설명될 건축모형의 축척 및 이에 따른 피치(P)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In more detail, the floor unit 10 is a working space where a building model is manufactured,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Therefore, if the k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desk area used by the corresponding students may be formed. However, this area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only for explaining the approximate size of the floor unit 10, and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construction model to be described below and the size of the pitch (P) accordingly. .

이러한 바닥유닛(10)에는 이하에서 설명될 벽체유닛(30)이 체결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공(13)이 형성된다. 관통공(13)은 소정 피치(P)간격을 두고 격자형으로 연속 배치되므로 벽체유닛(30)을 건축모형의 형태에 따라 원하는 위치의 관통공(13)에 끼움결합할 수 있다.The bottom unit 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3 to be fastened to the wall unit 30 to be described below. Since the through holes 13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lattice shape at a predetermined pitch P interval, the wall unit 30 may be fitted into the through holes 13 at a desired position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uilding model.

여기서 상기 피치(P)는 일반적으로 건축모형의 축척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따라서 건축모형의 축척이 크게 되면 피치(P)는 작아지고, 이에 따라 관통공(13)의 크기 및 이하에서 설명될 벽체유닛(30) 및 연결유닛(20)의 각부 치수도 작아지게 된다.The pitch P is general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building model. Therefore, when the scale of the building model is increased, the pitch P becomes small, and thus, the size of the through hole 13 and the size of each part of the wall unit 30 and the connection unit 20 to be described below are also reduced.

그리고 바닥유닛(10)의 저면에는 제작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설계도면이 놓여질 수 있는데, 이 때 상기 도면을 보면서 벽체유닛(30)을 바닥유닛(10)의 관통공(13)에 끼움결합할 수 있도록 바닥유닛(10)은 투명 재질의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물질로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계열이 될 수 있겠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And the bottom of the floor unit 10 may be a design drawing of the building to be manufactured, at this time, so that the wall unit 30 can be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3 of the floor unit 10 while looking at the drawings. The bottom unit 10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of a transparent material. Such materials may be, for example, plastic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벽체유닛(3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방향 양단에 상기 피치(P)간격을 두고 돌출부(35)가 형성되는데 두께에 따라 두 종류로 구분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력벽을 형성하기 위한 벽체유닛(30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비내력벽을 형성하기 위한 벽체유닛(30b)으로 구분된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wall unit 30 has protrusions 35 formed at intervals of the pitch P at both end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is divided into two types according to thickness. That is, it is divided into a wall unit 30a for forming a load bearing wall as shown in FIG. 4A and a wall unit 30b for forming a non-bearing wall as shown in FIG. 4B.

따라서, 본 고안은 건축모형의 평면도를 보며 건축모형의 제작시에 내력벽 및 비내력벽을 구분하여 조립할 수 있게 하여 건축물의 구성원리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게 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understanding of the membership of buildings by looking at the floor plan of the building model and by assembling the bearing wall and the non-bearing wall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the building model.

벽체유닛(30)의 두께에 대해 설명하면, 도 4a의 벽체유닛(30a)은, 건축물의 내력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두께 t1이 상기 피치(P)의 약 1.2~1.5배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4b의 벽체유닛(30b)의 두께 t2는, 건축물의 비내력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상기 피치(P)의 약 0.8~1.2배로 형성된다. 예를 들면, 피치(P)가 6mm라고 하면, 도 4a의 벽체유닛(30a)의 두께 t1은 약 8mm이고, 도 4b의 벽체유닛(30b)의 두께 t2는 약 5mm가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내력벽 및 비내력을 구성하기 위한 두께의 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unit 30, the wall unit 30a of FIG. 4A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t 1 of about 1.2 to 1.5 times the pitch P so as to constitute a load bearing wall of the building. Further, the thickness t 2 of the wall unit (30b) of 4b is formed approximately 0.8 to 1.2 times of the pitch (P) in order to configure the non-load bearing of the structure. For example, if the pitch P is 6 mm, the thickness t 1 of the wall unit 30a of FIG. 4A is about 8 mm, and the thickness t 2 of the wall unit 30b of FIG. 4B is about 5 mm. However, the ratio of the thicknesses for constructing the bearing wall and the specific strength is not limited thereto because it is present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벽체유닛(30a, 30b)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서로 두께만이 다르므로 이하에서는 공통적인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all units 30a and 30b shown in FIGS. 4A and 4B differ only in thickness from each other, and thus, common shapes will be described below.

벽체유닛(30)은 기본적으로 건축모형의 벽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벽체유닛(30)은 건축모형의 축척 및 용도에 따라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판재 형상을 갖게 된다. 이러한 벽체유닛(30)의 높이방향 양단에 관통공(13) 및 이하에서 설명될 체결공(23)이 끼움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35)가 형성된다.The wall unit 30 basically forms a wall of an architectural model. Therefore, the wall unit 3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ccording to the scale and use of the building model and has a plate shape as a whole. Protruding portions 35 into which the through holes 13 and the fastening holes 23 to be described below are fitted are formed at both ends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wall unit 30.

이러한 돌출부(35)는 소정 피치(P)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즉, 돌출부(35)는 벽체부의 길이를 상기 피치값으로 나누어 얻어진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35)는 벽체유닛(30)의 길이에 따라 높이방향 양단에 각각 1개씩일 수도 있고, 십여개씩일 수도 있다.A plurality of such protrusions 35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pitch P interval. That is, the protrusions 35 may be formed by the number obtained by dividing the length of the wall portion by the pitch value. Therefore, the protrusions 35 may be one at each end in the height direction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wall unit 30, or may be at least a dozen.

이 때 벽체유닛(30)의 길이방향 양단은 다른 벽체유닛(30)과 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길이방향 최외곽의 돌출부(35) 상호간이 상기 피치(P)간격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설명하면, 인접 배치되는 벽체유닛(30)이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동일한 피치(P)간격을 갖도록 벽체유닛(30)은 길이방향 최외곽의 돌출부(35)에서 상기 피치(P)의 1/2만큼만이 연장되어 형성된다.At this time,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ll unit 3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the pitch (P) interval between the projections 35 of the outermos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other wall unit (30). In other words, the wall unit 30 is formed at the length of the outermost protruding portion 35 in the longitudinal outermost direction so that the wall units 30 adjacent to each other have the same pitch P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ly two are formed to extend.

그리고 돌출부(35)는, 벽체유닛(30)의 두께 여부, 즉 내력벽인지 비내력인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벽체유닛(30)의 폭방향 중심을 따라 배치된다.And the protrusion part 35 is arrange | positioned along the width direction center of the wall unit 30 regardless of the thickness of the wall unit 30, ie, whether it is a load bearing wall or a non-bearing force.

연결유닛(20)은,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3)과 동일한 피치(P)를 가지는 다수개의 체결공(23)이 일면에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3A to 3C, the connection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3 having the same pitch P as the through hole 13 on one surface thereof.

여기서,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연결유닛의 기본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연결유닛의 제 1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연결유닛의 제 2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Here,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asic shape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the connection unit of Figure 3a, Figure 3c is a second of the connection unit of Figure 3a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a modification.

본 고안에 따른 연결유닛(20)의 기본형상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형상의 일면에 상기 피치(P)를 가진 다수개의 체결공(23)이 형성되는 것이다.The basic shape of the connecting unit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a,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3 having the pitch (P) on one surface of the rod shap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연결유닛(20)은 벽체유닛(30)의 상단에 끼움결합되어 벽체유닛(30)과 길이방향으로 대접하는 벽체유닛(30)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연결유닛(20)의 폭은 벽체유닛(30)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벽체유닛(30)이 내력벽 및 비내력벽을 구성하기 위하여 두 종류가 존재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유닛(20)의 폭도 두 종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the connection unit 20 is fitted to the upper end of the wall unit 30 to connect and fix the wall unit 30 and the wall unit 30 to b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ach other connecting unit 20 The width of) is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wall unit (3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wall unit 30 is provided with two kinds of widths of the connection unit 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two kinds for forming the bearing and non-bearing walls.

그리고 연결유닛(20)은, 본 고안에서 기둥을 별도의 유닛으로 형성하지는 않았지만 기둥이 존재할 건축물의 모서리에서 모서리로 벽체유닛(30)의 상단을 따라 연결되므로 건축물의 보와 유사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는 유닛이다.And the connection unit 20 is not formed as a separate unit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can be understood as a concept similar to the beam of the building because it is connected along the top of the wall unit 30 from the corner of the building to the corner where the column will be present. Unit.

본 고안에 따른 연결유닛의 제 1변형예(20a)는 벽체유닛(30)으로 형성되는 벽체의 모서리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때 체결공(23)은 상기 "ㄴ" 형상을 따라 상기 피치(P)간격으로 형성되고 벽체유닛(30)의 돌출부(35)에 끼움결합이 가능하다.The first modification 20a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nnecting the edge portion of the wall formed by the wall unit 30, as shown in Figure 3b, it is configured in a "b" shape.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23 is formed at the pitch (P) interval along the "b" shape and can be fitted to the protrusion 35 of the wall unit (30).

본 고안에 따른 연결유닛의 제 2변형예(20b)는 벽체유닛(30)으로 형성되는 벽체면의 길이방향 일면에 다른 벽체면이 만나게 될 때 그러한 대접면의 상단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ㅗ"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 때 체결공(23)은 상기 "ㅗ" 형상을 따라 상기 피치(P)간격으로 형성되고 벽체유닛(30)의 돌출부(35)에 결합가능하다.The second modified example 20b of the connec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connecting the upper end of such abutment surface when another wall surface meets one longitudinal side surface of the wall surface formed of the wall unit 30, FIG. 3C. As shown in the figure, it is configured in a "ㅗ" shape.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23 is formed at the pitch (P) interval along the "ㅗ" shape and can be coupled to the protrusion 35 of the wall unit (30).

여기서, 본 고안에서는, 관통공(13) 및 체결공(23)의 단면 형상을 직사각형으로 하고, 돌출부(35) 및 체결부(25)의 단면 형상을 관통공(13) 및 체결공(23)에 각각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면 형상이 원형이거나 팔각형 등 다른 형태로도 가능하다.He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through hole 13 and the fastening hole 23 are rectangular, and the cross-sectional shapes of the protrusion 35 and the fastening part 25 are the through holes 13 and the fastening hole 23. It was configur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to be fitted to each.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may be circular or octagonal.

이상에서 설명된 바닥유닛(10), 벽체유닛(30) 및 연결유닛(20)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모형 키트를 제작하는데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다. 즉, 단층으로 구성되는 건축모형은 상기와 같은 기본유닛들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2층 이상으로 구성되는 건축모형을 제작하거나 보다 현실에 가까운 건축모형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유닛들이 필요하게 된다.The floor unit 10, the wall unit 30, and the connection unit 20 described above are essential components for manufacturing the building model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building model composed of a single layer may be manufactured with the basic units as described above. However, in order to produce an architectural model composed of two or more floors or a more realistic architectural model, the units described below are required.

이하에서는 그러한 선택적으로 구비 가능한 유닛들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such selectively available units will be described.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층간 바닥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층간 바닥유닛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판에 대한 사시도이다.Figure 5a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layer fl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b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plate for connecting the interlayer floor unit of Figure 5a.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바닥유닛(11) 및 연결판(40)은 1층의 제작이 완료된 이후에 2층을 설치할 수 있는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다.5A and 5B, the interlayer bottom unit 11 and the connecting plate 40 are configured to form a slab capable of installing two layers after the production of the first layer is complete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층간 바닥유닛(11)은 바닥유닛(10)을 가로, 세로 소정길이로 관통공(13)과 인접한 관통공(13) 사이의 중심 공간을 지나도록 절단한 형상이다. 다시 말하면, 층간 바닥유닛(11)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상기 피치(P)간격을 두고 관통공(13)이 형성된 직사각 형상으로 구성된다.In more detail, the interlayer floor unit 11 is a shape in which the floor unit 10 is cut so as to pass through the central space between the through hole 13 and the adjacent through hole 13 by a predetermined leng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other words, the interlayer bottom unit 11 has a rectangular shape in which the through holes 13 are formed at intervals of the pitch P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as shown in FIG. 5A.

이 때 층간 바닥유닛(11)은 하층, 예를 들면, 1층에 배치되는 벽체 등의 평면 형상이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interlayer floor unit 11 is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a planar shape such as a wall disposed on the lower layer, for example, one layer can be seen.

연결판(40)은, 층간 바닥유닛(11)이 슬라브를 형성할 때 단일의 층간 바닥유닛(11)이 벽체와 벽체 사이를 연결할 수가 없는 경우 다수의 층간 바닥유닛(11)이 결합될 수 있도록 층간 바닥유닛(11)과 인접한 층간 바닥유닛(11)을 결속하는 구성요소이다.The connecting plate 40 is such that when the interlayer floor unit 11 forms a slab, a plurality of interlayer floor units 11 may be coupled when a single interlayer floor unit 11 cannot connect between walls and walls. It is a component for binding the interlayer floor unit 11 and the interlayer floor unit 11 adjacent thereto.

따라서 연결판(40)에는 층간 바닥유닛(11)을 연결할 수 있도록 층간 바닥유닛(11)의 관통공(13)과 동일한 피치(P)간격을 갖는 돌출구(41)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출구(41)는 연결판(40)에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4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돌출구(41)가 연결판(40)에 6개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Therefore, the connecting plate 40 is formed with a protrusion 41 having the same pitch (P) interval as the through-hole 13 of the interlayer bottom unit 11 so as to connect the interlayer bottom unit 11. Two or more such protrusions 41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plate 40, but preferably four or more are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x protrusions 41 are formed on the connecting plate 40.

그리고 연결판(40)은, 층간 바닥유닛(11)을 통해 하층의 평면을 관찰할 때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층간 바닥유닛(11)과 마찬가지로 투명 재질의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plate 40 is preferably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like the interlayer bottom unit 11 so as not to obscure the field of view when observing the plane of the lower layer through the interlayer bottom unit 11.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층간 연결유닛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층간 연결유닛(21)은 연속적인 적층이 가능하도록 일면에는 체결공(23)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체결공(23)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25)가 구비된다. 즉, 층간 연결유닛(21)은, 상기에서 언급된 연결유닛(20)의 타면에 체결부(25)가 더 구비되는 형상을 갖는다.6 is a block diagram of an interlayer connec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interlayer connecting unit 21 has a fastening hole 23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a fastening portion protruding to a position and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23 on the other surface thereof to enable continuous stacking. 25 is provided. That is, the interlayer connecting unit 21 has a shape in which the fastening part 25 is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nnecting unit 20 mentioned above.

이러한 층간 연결유닛(21)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모형 키트(100)로 일개 층의 평면을 형성하고 그 위로 추가하여 하나 이상의 층을 적층할 때 벽체유닛(30)과 층간 바닥유닛(11) 사이에 게재되어 높이방향으로 연속적인 적층이 가능하게 한다.The interlayer connection unit 21 is a wall model 30 and the interlayer floor unit 11 when forming a plane of one layer and adding one or more layers above the building model k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laced in between to allow continuous lamination in the height direction.

따라서 더 이상 높이방향으로 연장되지 않는 벽체유닛(30)에는 연결유닛(20)으로 마감하고 벽체유닛(30)이 계속적으로 적층되는 부분에는 층간 연결유닛(21)을 장착한 후 상부층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실제에 가까운 건축물을 구성하게 된다.Therefore, the wall unit 30 which no longer extends in the height direction is finished by the connection unit 20, and the interlayer connection unit 21 is mounted on the portion where the wall unit 30 is continuously stacked, thereby forming an upper layer. The building will be closer to reality.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문틀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틀유닛(31)은 벽체유닛(30)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된다.7 is a perspective view of a door fram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7, the door frame unit 31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wall unit 30.

그러나, 문틀유닛(31)은 높이방향 양단 및 길이방향 양단이 사각 형상의 문틀을 형성하고 그 내부로 문을 나타내기 위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문틀유닛(31)은 건축물의 문이 형성되는 위치에 결합되어 실제 건축물의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다.However, the door frame unit 31 is configured in a shape for forming the door frame of the rectangular shape of both ends in the height direction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represent the door therein. Therefore, the door frame unit 31 is coupled to the position where the door of the building is formed to form an image of the actual building.

그 이외의 다른 유닛들과의 연결은 벽체유닛(30)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Connection with other units is made in the same manner as the wall unit 30.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창문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유닛(33)도 벽체유닛(30)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된다.8 is a perspective view of a window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the window unit 33 also has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wall unit 30.

그러나 창문유닛(33)은 실제의 벽체에 창문이 형성된 것과 같이 하단에는 벽체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창문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창문유닛(33)도 건축물에서 창문이 형성되는 위치에 결합됨으로써 실제 건축물과 유사한 이미지를 줄 수 있게 된다.However, the window unit 33 is configured such that a wall is formed at the bottom and a window is formed at the top as the window is formed on the actual wall. Therefore, the window unit 33 is also coupled to the position where the window is formed in the building can give an image similar to the actual building.

창문유닛(33)도 문틀유닛(31)과 마찬가지로, 그 이외의 다른 유닛들과의 연결은 벽체유닛(30)과 동일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Similar to the door frame unit 31, the window unit 33 is connected to other units in the same manner as the wall unit 30.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건축모형 키트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바닥유닛(10) 및 층간 바닥유닛(11)의 관통공(13)에 끼움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가구유닛(미도시)을 더 포함한다.And the building model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furniture unit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that can be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3 of the floor unit 10 and the interlayer floor unit 11 (not shown) Mor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가구유닛은 건축모형의 현실감을 높이기 위하여 실내에 배치되는 가구의 형상으로 구성되고 바닥유닛(10) 및 층간 바닥유닛(11)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돌출부가 저면에 구비된다. 이 때 돌출부는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있는데, 이는 가구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돌출부가 2개 이상 구비될 경우 각 돌출부는 최소한 상기 피치간격 이상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the furniture unit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furniture disposed in the interior to increase the realism of the building model and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that can be fitted to the floor unit 10 and the interlayer floor unit 11 on the bottom. In this case, one or more protrusions may be provided, which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urniture. When two or more protrusions are provided, each protrusion is preferably disposed at least at least the pitch interval.

가구유닛의 형상은 일반적으로 가정, 사무실 등에서 자주 사용하는 침대, 소파, 변기, 장농, 식탁, 책상, 의자 등이 될 수 있다.The shape of the furniture unit may be a bed, a sofa, a toilet, a farm, a dining table, a desk, a chair, and the like, which are commonly used in homes and offices.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모형 키트의 결합 방식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ll be described the coupling method of the architectural model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도 1의 타원영역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lliptical region of FIG. 1.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모형 키트(100)는 홈 및/또는 돌기가 형성된 각 구성요소를 연속적으로 끼움결합함으로서 건축모형을 제작한다.As shown in FIG. 9, the building model k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duces a building model by successively fitting each component in which grooves and / or protrusions are formed.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바닥유닛(10)에 형성된 관통공(13)에는 원하는 건축모형의 평면에 따라 벽체유닛(30), 문틀유닛(31) 또는 창문유닛(33)의 돌출부(35)가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바닥유닛(10)의 저면에 제작하고자 하는 건축모형의 도면을 배치하고 벽체유닛(30), 문틀유닛(31) 및 창문유닛(33)을 도면에 따라 바닥유닛(10)의 관통공(13)에 끼우는 방식으로 결합하여 1층 평면을 구현한다. 이러한 1층 평면에는 소파, 식탁, 가구 등의 가구유닛을 배치하여 보다 현실감있는 건축모형을 실현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protrusion 35 of the wall unit 30, the door frame unit 31, or the window unit 33 is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13 formed in the floor unit 10 according to the plane of the desired building model. Can be. Accordingly, the drawing of the architectural model to be manufactured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floor unit 10, and the wall unit 30, the door frame unit 31 and the window unit 33 are formed in the through hole 13 of the floor unit 10 according to the drawing. ) To create a one-story plane. On the first floor, furniture units such as sofas, dining tables, and furniture can be arranged to realize a more realistic architectural model.

이 후 벽체유닛(30) 등은 높이방향 양단에 돌출부(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벽체유닛(30) 등의 상단에 어느 유닛과도 체결되지 않은 돌출부(35)에는 연결유닛(20)이 끼워질 수 있다. 이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연결유닛(20) 또는 층간 연결유닛(21)이 벽체유닛(30)에 체결될 수 있으나, 층간 바닥유닛(11)이 체결뿐만 아니라 상부층을 위한 다른 유닛들이 결합되기 위해서는 층간 연결유닛(21)이 벽체유닛(30)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ince the wall unit 30 and the like have protrusions 35 formed at both ends in the height direction, the connection unit 20 is fitted to the protrusions 35 which are not fastened to any unit at the top of the wall unit 30 or the like. Can b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9, the connection unit 20 or the interlayer connecting unit 21 may be fastened to the wall unit 30 as necessary, but the interlayer bottom unit 11 may be fastened as well as the upper layer. In order for the other units to be coupled, the interlayer connecting unit 21 is preferably fastened to the wall unit 30.

그리고, 층간 바닥유닛(11)은 층간 연결유닛(21)의 일면에 형성된 체결부(25)에 끼워지고, 층간 바닥유닛(11) 상호간은 연결판(40)에 의해 체결된다. 이 때 연결판(40)은 층간 바닥유닛(11) 상호간을 상면에서 하면방향으로 또는 하면에서 상면방향으로 연결할 수 있으나, 층간 바닥유닛(11)에 벽체유닛(30)이 상면에 체결될 수 있으므로 간섭을 피하기 위해 하면에서 상면방향으로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n, the interlayer bottom unit 11 is fitted to the fastening part 25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interlayer connecting unit 21, and the interlayer bottom unit 11 is fastened by the connecting plate 40.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late 4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bottom floor unit 11 in the lower surface direction or from the low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direction, but the wall unit 30 to the interlayer floor unit 11 can be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it is preferable to fit in the upper surface direction from the lower surface.

이와 같이 1층을 형성한 후 높이방향으로 2층을 추가하는 작업이 마무리되면,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3층 이상의 층도 적층할 수 있다.In this way, after forming the first layer and finishing the operation of adding two layers in the height direction, the above process may be repeated to stack three or more layers.

그리고 원하는 각 층의 제작이 마무리되면 최고층에는 층간 바닥유닛(11)을 통해 지붕 슬라브를 제작하여 최종적으로 건축모형을 완성할 수 있다.And when the production of each desired floor is finished, the roof layer can be finally finished on the top floor through the interlayer floor unit 11 to finally complete the architectural model.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각 유닛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요철 구조를 갖는다.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바닥유닛(10)에 관통공(13), 연결유닛(20)에 체결공(23), 그리고 벽체유닛(30)에 돌출부(35)가 형성되는 요철 구조의 일례를 예시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an uneven structure that can be connected to each unit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an example of an uneven structure in which the through hole 13 in the bottom unit 10, the fastening hole 23 in the connection unit 20, and the protrusion 35 in the wall unit 30 are formed. Illustrated.

따라서 바닥유닛(10), 연결유닛(20) 및 벽체유닛(30)의 체결부위는 상기 실시예와 반대로 형성된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요철 구조를 갖는 건축모형 키트가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이다.Therefore,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floor unit 10, the connection unit 20 and the wall unit 30 may have a concave-convex structure formed as opposed to the above embodiment, the second construction model kit having such a concave-convex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모형 키트의 제 2실시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바닥유닛(10s), 연결유닛(20s) 및 벽체유닛(30s)의 요철구조가 제 1실시예와 반대로 형성되어 있다.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a building model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neven structure of the bottom unit 10s, the connecting unit 20s and the wall unit 30s is formed as opposed to the first embodiment.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바닥유닛(10s)에는 소정 피치(P)간격으로 관통공이 형성되는 대신에 동일한 피치(P)를 가지는 돌출부(13s)가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유닛(20s)에는 체결공 대신에 외부로 돌출된 체결부(23s)가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벽체유닛(30s)에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대신에 함몰부(35s)가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bottom unit 10s is formed with protrusions 13s having the same pitch P instead of through holes formed at a predetermined pitch P interval. In addition, the connection unit 20s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art 23s protruding to the outside instead of the fastening hole. Also in this manner, the wall unit 30s is formed with a depression 35s instead of a protrusion.

따라서 상기의 기본유닛(10s, 20s, 30s)에서 변형되는 추가적인 유닛, 즉 문틀유닛(미도시) 및 창문유닛(미도시) 뿐만 아니라 가구유닛(미도시) 등도 제 1실시예와 반대의 요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층간 연결유닛(미도시)은 제 1실시예의 반대로 요철을 형성하여도 결국 동일한 형상을 갖게 되므로 본 실시예의 층간 연결유닛은 제 1실시예의 그것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Therefore, additional units deformed from the basic units 10s, 20s, and 30s, that is, the door frame unit (not shown) and the window unit (not shown) as well as the furniture unit (not shown), etc. It can be formed as. However, the interlayer connecting unit (not shown) has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because the interlayer connecting unit (not shown) eventually has the same shape even when the concave-convex is formed.

그리고 층간 바닥유닛(미도시)은 층간 연결유닛과 벽체유닛의 사이에 끼워지게 될 것이므로 일면으로만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고, 양면에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since the interlayer floor unit (not shown) will be fitted between the interlayer connection unit and the wall unit,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rusions are not formed only on one side, but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이와 같이 각 유닛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제 2실시예의 결합 방식은, 요철구조가 제 1실시예와 반대로 형성되었을 뿐이어서 상기에서 설명한 제 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method of the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each unit is configured is similar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because the uneven structure is formed in the opposite manner to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모형 키트(100)에 의하면, 벽체유닛(30)이 길이방향으로 직선인 것만 예시하였으나, 연결유닛의 변형예(20a, 20b)와 같이 "ㄴ" 형상, "ㅗ" 형상 또는 곡면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building model ki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wall unit 30 is only illustrated as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the "b" shape, " It is also possible to comprise a ㅗ "shape or a curved surface.

그리고 벽체유닛(30)은, 상기 "ㄴ" 형상 또는 "ㅗ" 형상에서 각부가 내력벽 및 비내력벽을 구성하기 위해 각부의 두께를 달리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연결유닛(20)의 폭에도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wall unit 30 may be formed by varying the thickness of each part in order to form the bearing wall and the non-bearing wall in the "b" shape or "ㅗ" shape. This can be applied to the width of the connection unit 20 in the same manner.

그리고 본 고안에 대한 실시예에서 바닥유닛(10), 벽체유닛(30) 및 연결유닛(20)과 이에 대한 변형 및 선택적으로 구비가능한 유닛들에 대해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건축물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 예를 들면, 난간유닛이나 계단 유닛 등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응용 및 변형이 가능하다.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llustrated for the floor unit 10, the wall unit 30 and the connection unit 20, and variations and optionally provided therewith, but not limited to this for implementing the building Various shapes, for example, handrail units or staircase units, etc., can be applied and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건축모형 키트는 바닥유닛, 연결유닛 및 벽체유닛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구성요소들을 원하는 형태로 결합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건축모형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Architectural model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is composed of a floor unit, a connection unit and a wall unit, etc., by combining the components in the desired form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the user desired architectural model.

따라서 누구라도 용이하고 신속하게 건축모형을 제작하여 볼 수 있어, 일반인도 자신이 사는 집의 구조를 제작하여 내부에 가구 및 인테리어를 자유롭게 변형하여 볼 수 있고, 원하는 형태의 설계구조를 모형으로 구체화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anyone can easily and quickly create an architectural model, so that the general public can make the structure of his house and freely transform the furniture and interior inside, and design the desired design structure into a model.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내력벽 및 비내력벽을 구분하고 보를 설치할 수 있고 문이나 창문 등을 계획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일반인 및 학생들에게 건축물의 구조에 대해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bearing wall and the non-bearing wall, and to install beams and to plan doors and windows so that the general public and students can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more clearly.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바닥유닛 및 층간 바닥유닛을 투명 재질의 물질로 구성함으로써 건축모형의 도면을 바닥유닛의 저면에 놓고 보면서 제작할 수 있고층간 바닥유닛의 결합 후에도 하층의 평면을 검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or unit and the interfloor floor unit ar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drawings of the architectural model can be produced while being placed on the bottom of the floor unit, and the bottom plane can be examined even after the floor floor unit is combined. There is this.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하면, 각 유닛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일단 제작된 건축모형에서 각 유닛을 분리하여 새로운 설계에 의한 건축모형을 제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cycle each unit, so that each unit is separated from the manufactured model, thereby producing an architectural model according to a new design.

비록 본 고안이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본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라고 여겨진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embodiments, various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intended that the appended claims cover suc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s fall within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다수개의 제 1요철부가 소정 피치간격을 두고 격자형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바닥유닛;A bottom unit having a plurality of first uneven parts continuously arranged in a lattice form at a predetermined pitch interval; 상기 피치간격을 가지는 다수개의 제 2요철부가 일면에 형성되는 연결유닛; 및A connec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second uneven portions having the pitch interval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d 높이방향 양단에 상기 제 1 및 제 2요철부에 끼움결합될 수 있는 제 3요철부가 상기 피치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각단이 상기 바닥유닛 또는 연결유닛에 체결되는 판재 형상의 벽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모형 키트.And a plate-shaped wall unit having a third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cave-convex portions formed at the pitch in the height direction and having the pitch interval so that each end is fastened to the floor unit or the connection unit. Architectural model kit,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요철부는 상기 바닥유닛을 관통되어 형성되는 관통공이고,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uneven portion is a through hole formed through the bottom unit, 상기 제 2요철부는 상기 연결유닛에 함입되어 형성되는 체결공이며,The second uneven portion is a fastening hole formed by being embedded in the connection unit, 상기 제 3요철부는 상기 벽체유닛의 높이방향 양단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모형 키트.The third concave-convex portion is a building model kit,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formed protruding on both ends of the wall unit in the height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유닛은, 상기 바닥유닛을 통하여 저면에 배치되는 건축물의 설계 도면 또는 하층에 설치되는 건물 형상이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모형 키트.The building model kit of claim 2, wherein the floor uni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a design drawing of a building dispos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loor unit or a building shape installed on a lower floor may be viewed through the floor unit.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의 폭은, 체결되는 상기 벽체유닛의 두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모형 키트.The building model kit of claim 3, wherein the width of the connection unit is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wall unit to be fastened.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닛은, 연속적인 적층이 가능하도록 타면에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는 위치 및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체결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모형 키트.The construction model kit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ion unit further includes a fastening part protruding to a position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hole on the other surface to enable continuous stacking.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유닛은, 건축물의 내력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두께가 상기 피치의 약 1.2~1.5배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벽체유닛의 폭방향 중심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모형 키트.The wall unit of claim 5, wherein the wall unit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1.2 to 1.5 times the pitch so as to constitute a bearing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protrusion is disposed along a widthwise center of the wall unit. Architectural Model K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유닛은, 건축물의 비내력벽을 구성할 수 있도록 두께가 상기 피치의 약 0.8~1.2배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벽체유닛의 폭방향 중심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모형 키트.The wall unit of claim 5, wherein the wall unit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of about 0.8 to 1.2 times the pitch so as to constitute a non-bearing wall of the building, and the protrusion is disposed along a widthwise center of the wall unit. Architectural model kit.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상기 바닥유닛을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한정하여 구성되는 층간 바닥유닛;According to claim 6 or 7, The kit, Interlayer floor unit configured to limit the floor unit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 상기 벽체유닛의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 사이에 문이 내부에 형성된 문틀 형상을 가지는 문틀유닛; 및A door frame unit having a door frame shape formed therein between protrus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wall unit; And 상기 벽체유닛의 양단에 형성된 돌출부 사이에 창문 형상이 형성되는 창문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모형 키트.And a window unit having a window shape formed between protrus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wall uni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키트는, 상기 바닥유닛 및 층간 바닥유닛의 관통공에 끼움결합 가능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가구유닛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모형 키트.10. The building model kit of claim 8, wherein the kit further comprises a furniture unit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that can be fit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floor unit and the interlayer floor unit.
KR20-2004-0011457U 2004-04-24 2004-04-24 A Kit For Building Model KR20036121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457U KR200361218Y1 (en) 2004-04-24 2004-04-24 A Kit For Building Mod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1457U KR200361218Y1 (en) 2004-04-24 2004-04-24 A Kit For Building Mod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218Y1 true KR200361218Y1 (en) 2004-09-07

Family

ID=49349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1457U KR200361218Y1 (en) 2004-04-24 2004-04-24 A Kit For Building Mod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218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5113A (en) * 2019-04-22 2019-08-02 广东省交通运输高级技工学校 A kind of rail traffic station mod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5113A (en) * 2019-04-22 2019-08-02 广东省交通运输高级技工学校 A kind of rail traffic station mod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51956B2 (en) An architectural structure
KR200361218Y1 (en) A Kit For Building Model
US20230220692A1 (en) House
KR101037441B1 (en) Assembly set for Han-Ok model by assembling basic unit
KR20240101110A (en) A Kit For Building Model
EP2723950B1 (en) Element-based covering system
KR20070080802A (en) Wall partition
KR100929009B1 (en) Block type partition with height and width control
JP2007171874A (en) Simulated building set, and method for determining building structure by using the same
JP7040720B2 (en) Narrow building
JP2012225016A (en) Standardized building
JPS6214877Y2 (en)
JP7033772B2 (en) Panel connection type building and its design and construction method
JP2741733B2 (en) Unit building
JPS6339727Y2 (en)
JP2009097224A (en) Partition wall structure, pillar having side grooves formed in four longitudinal side surfaces and cruciform fitting grooves formed in upper and lower butt ends,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EA040648B1 (en) ARCHITECTURAL DESIGN
JP2622220B2 (en) Dwelling unit and connection structure of dwelling unit
KR100788882B1 (en) Multipurpose assembly structure and portable seat using the same
CN116771014A (en) Multifunctional keel partition wall system
JP2011169096A (en) Structural components and method for fabrication of the same
JP2001049882A (en) Multiple dwelling house
JP2618554B2 (en) Unit building
JPH08254025A (en) Multiple dwelling house
JPH08254024A (en) Multiple dwelling h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