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5901Y1 - 교반기 - Google Patents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5901Y1
KR200355901Y1 KR20-2004-0010727U KR20040010727U KR200355901Y1 KR 200355901 Y1 KR200355901 Y1 KR 200355901Y1 KR 20040010727 U KR20040010727 U KR 20040010727U KR 200355901 Y1 KR200355901 Y1 KR 200355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impeller
stirrer
rotating shaft
food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필순
이규암
김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이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이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이아
Priority to KR20-2004-0010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59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5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5901Y1/ko
Priority to PCT/KR2004/002804 priority patent/WO2005099920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46Removing components of defined structure
    • B01D53/72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53/48 - B01D53/70, e.g. hydrocar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68Removing 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B01D53/8603 - B01D53/86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10Addition or removal of substances other than water or air to or from the material during the treatment
    • C05F17/15Addition or removal of substances other than water or air to or from the material during the treatment the material being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60Heating or cooling during the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70Controlling the treatment in response to process parame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1/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 F26B11/1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 F26B11/1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with movement which is non-progressive in stationary drums or other mainly-closed receptacles with moving stirring devices the stirring device moving in a vertical or steeply-inclined pla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1/00Reactants
    • B01D2251/10Oxidants
    • B01D2251/104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10Noble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102Platinum group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90Odorous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70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5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리컬 임펠러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교반 및 파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교반통의 전방 벽면 및 후방 벽면에 존재하는 발효물(음식물 쓰레기)까지도 균일하게 교반, 파쇄할 수 있는 교반기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교반기는 제 1 및 제 2 교반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각 회전축 표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로드가 장착되고, 나선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임펠러들이 각 로드의 선단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각 로드 선단에 인접한 임펠러 단부 외측에는 절개부가 구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제 1 교반통과 제 2 교반통의 인접부 표면에는 돌출부가 구성되어 회전축에 의한 임펠러의 회전시 임펠러의 절개부가 각 교반통 표면에 구성된 돌출부 위를 통과하여 절개부와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발효물이 강제로 파쇄되며, 각 회전축의 양 종단에 장착된 선단 및 후단 로드의 외면에는 각 교반통의 전방 벽면 및 후방 벽면을 향하여 연장된 다수의 연장편이 설치되어 임펠러의 회전력 및 파쇄력이 미치지 않는 교반통의 전방 벽면 및 후방 벽면으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 발효물을 교반 및 파쇄시킨다.

Description

교반기{Agitator}
본 고안은 발효된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 및 교반 과정에서 발생된 콜로이드 상태의 발효물을 파쇄(破碎)할 수 있는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 건조 발효기에서는, 음식물 쓰레기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건조를 위하여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강제로 교반(攪拌)하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발효가 완료된, 즉 죽 형태의 음식물 쓰레기(이하, "발효물"이라 칭함)가 투입되는 교반기 하부에는 가열 수단이 장착되어 있으며, 이 가열 수단에서 발생된 열에 의하여 발효물이 건조된다. 그러나, 가열 수단과 인접한 부분의 발효물에는 과다한 열이 공급되는 반면에 가열 수단과 떨어져 있는 발효물에는 건조에 필요한 열이 충분하게 공급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교반기 내에는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이 교반기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축에는 다수의 로드(rod)가 회전축과 수직을 이루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부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이 회전함으로서 회전하는 각 로드는 발효물을 교반하게 된다.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특허출원 제 10-2002-0019890호(출원일 : 2002년 4월 12일) 호 및 본 출원인이 등록권자로 등록되어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 264897 호에는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반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출원인의 특허출원 제 10-2002-0019890호(이하, "선출원 발명"이라 칭함)에 개시된 교반기의 사시도 및 내부 구성도로서, 교반기(100)는 밀폐형 하우징(101) 및 하우징(100) 내부에 장착된 회전축(111, 121)으로 구성된다.
밀폐된 하우징(101)의 상부에는 투입구(102)가 형성되어 있어 이 투입구 (102)를 통하여 발효된 음식물 쓰레기(죽 형태로서, 이하에서는 "발효물"이라 칭함)가 하우징(101) 내부로 투입된다.
하우징(101) 내부 공간의 하부는 하우징(101)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평행한 2개의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반원통형 부분들이 각각 제 1 및 제 2 교반통(110 및 120)을 형성한다. 각 교반통(110 및 120) 내부에는 각각의 구동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111, 121)이 교반통(110, 120)의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하우징(101) 하부의 프레임(102) 내에는 교반통(110 및 120) 내부의 발효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수단(103)이 설치되어 있다.
각 교반통(110 및 120) 내에 장착된 각 회전축(111 및 121)에는 다수의 로드(112A, 112B, 112C, 112D 및 122A, 122B, 122C, 122D)가 회전축(111 및 112)과수직을 이루는 상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각 로드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다. 여기서, 각 로드(112A, 112B, 112C, 112D 및 122A, 122B, 122C, 122D)는 대응하는 축(111 및 112)을 관통하여 축 양측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축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 형태로서, 각 로드(112A, 112B, 112C, 112D 및 122A, 122B, 122C, 122D)는 그 양 종단이 각 교반통(110, 120)의 바닥면에 인접할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또한, 한 축(예를 들어, 111)에 고정된 각 로드(112A, 112B, 112C 또는 112D)는 인접하는 다른 로드들과 직교하는 상태이다.
각 축(111, 121) 주변에는 나선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임펠러들(210, 220)이 각 로드(112A, 112B, 112C, 112D 및 122A, 122B, 122C, 122D)의 선단부에 의하여 지지된다. 각 헬리컬형 임펠러들(210, 220 및 230, 240)를 구성하는 각 만곡 부재(131 ..134, 231..234)에는 절개부(R)가, 각 교반통(110, 120)의 경계부(300)를 이루는 벽면에 파쇄용 돌출턱(P)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를 갖는 선출원 발명에 따른 교반기의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교반기는 발효물에 대한 전체적인 교반 및 파쇄 기능은 우수하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각 교반통(110 및 120)의 전방 벽면 및 후방 벽면(즉, 각 회전축(111, 121)의 선단 및 후단 대응 벽면)에는 교반 과정에서 발효물이 유입되며, 이 부분에 유입된 발효물에는 임펠러(210, 220 및 230, 240)의 회전력이 미치지 않게 되어 쌓이게 된다. 따라서, 이 부분에 쌓여진 발효물에 대한 교반 및 파쇄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모든 발효물(음식물 쓰레기)의 균일한 교반 및 파쇄가 이루어지지 않을수 있다.
본 고안은 선출원 발명에 개시된 헬리컬 임펠러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교반 및 파쇄 장치의 기능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교반통의 전방 벽면 및 후방 벽면에 존재하는 발효물(음식물 쓰레기)까지도 균일하게 교반, 파쇄할 수 있는 교반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교반기는 제 1 및 제 2 교반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각 회전축 표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로드가 장착되고, 나선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임펠러들이 각 로드의 선단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각 로드 선단에 인접한 임펠러 단부 외측에는 절개부가 구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제 1 교반통과 제 2 교반통의 인접부 표면에는 돌출부가 구성되어 회전축에 의한 임펠러의 회전시 임펠러의 절개부가 각 교반통 표면에 구성된 돌출부 위를 통과하여 절개부와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발효물이 강제로 파쇄되며, 각 회전축의 양 종단에 장착된 선단 및 후단 로드의 외면에는 각 교반통의 전방 벽면 및 후방 벽면을 향하여 연장된 다수의 연장편이 설치되어 임펠러의 회전력 및 파쇄력이 미치지 않는 교반통의 전방 벽면 및 후방 벽면으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 발효물을 교반 및 파쇄시킨다.
한편, 연장편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교반통 내에서의 회전축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교반통의 전방 및 후방 벽면과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일반적인 교반기의 사시도 및 내부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부분이 대응 도면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교반기에서의 전방 벽면의 부분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반기의 교반통의 전방(또는 후방) 벽면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의 "A" 부분과 대응하는 도면(즉, 도 2의 어느 한 교반통인 좌측 교반통(110)과 대응하는 부분)이다.
본 고안에 따른 교반기의 내부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선출원 발명에 따른 교반기의 내부 구성과 전체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상세한 내부 구성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 부재중 선출원 발명과 관련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 2와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본 고안에 따른 교반기의 가장 큰 구성적인 특징은 회전축(111)의 선단 및 후단에 고정된 로드(도 3에서는 도 2에서 회전축(111)의 선단에 고정된 로드(112A)의 양 로드(112A-1, 112A-2)만이 도시됨)의 외면에 다수의 연장편(E)을 형성시킨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통(110) 전방 벽면(110-1)과 대응하는 각 로드(112A-1, 112A-2)의 외면에 형성된 연장편들(E)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각 연장편들(E)은 교반통 내에서의 회전축(101)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교반통(110)의 전방 벽면(110-1)과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연장편들(E)을 구비한 교반기를 작동하게 되면, 교반통(110) 내부에 존재하는 발효물(음식물 쓰레기)은 헬리컬형 임펠러(도 2의 210, 220 및 230, 240)에 의하여 교반 및 파쇄되며, 이와 동시에 교반통(110)의 전방 벽면(110-1) 쪽으로 유입된 발효물은 회전하는 각 종단 로드(112A-1, 112A-2)의 외면에 형성된 연장편들(E)에 의하여 교반됨과 동시에 교반통(110)의 전방 벽면과 연장편들(E) 사이에서 파쇄된다.
한편 도 3 및 위의 설명에서는 교반통(110)의 전방 벽면(110-1) 및 그와 대응하는 로드(112A-1, 112A-2)만을 도시하고 그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목적을 위하여 교반통의 후방 벽면에 대응하는 로드에도 연장편을 구성하여야 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구성에서는 모든 교반통의 전방 및 후방 벽면에 대응하는 로드에도 동일한 하게 연장편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헬리컬형 임펠러에 의하여 교반통 내부 공간에 존재하는 발효물이 교반 및 파쇄되며, 헬리컬형 임펠러의 회전력 및 파쇄력이 미치지 않는 교반통 선단 및 후단에 존재하는 발효물은 회전축 양 종단의 로드에 구성된 연장편에 의하여 교반 및 파쇄됨으로서 교반통 내로 투입된 모든 음식물 쓰레기를 균일하게 교반/파쇄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

  1. 제 1 및 제 2 교반통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각 회전축 표면에는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로드가 장착되고, 나선 방향이 서로 다른 2개의 임펠러들이 각 로드의 선단부에 의하여 지지되며, 각 로드 선단에 인접한 임펠러 단부 외측에는 절개부가 구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제 1 교반통과 제 2 교반통의 인접부 표면에는 돌출부가 구성되어 회전축에 의한 임펠러의 회전시 임펠러의 절개부가 각 교반통 표면에 구성된 돌출부 위를 통과하여 절개부와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는 발효물이 강제로 파쇄되는 교반기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축의 양 종단에 장착된 선단 및 후단 로드의 외면에는 각 교반통의 전방 벽면 및 후방 벽면을 향하여 연장된 다수의 연장편이 설치되어 임펠러의 회전력 및 파쇄력이 미치지 않는 교반통의 전방 벽면 및 후방 벽면으로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및 파쇄시키는 교반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편들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있으며, 교반통 내에서의 회전축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교반통의 전방 및 후방 벽면과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하는 교반기.
KR20-2004-0010727U 2004-04-19 2004-04-19 교반기 KR200355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727U KR200355901Y1 (ko) 2004-04-19 2004-04-19 교반기
PCT/KR2004/002804 WO2005099920A1 (en) 2004-04-19 2004-11-03 Food waste trea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727U KR200355901Y1 (ko) 2004-04-19 2004-04-19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5901Y1 true KR200355901Y1 (ko) 2004-07-09

Family

ID=35149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727U KR200355901Y1 (ko) 2004-04-19 2004-04-19 교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355901Y1 (ko)
WO (1) WO200509992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4712A (zh) * 2019-12-27 2020-04-14 洛阳希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饲料添加剂的益生菌发酵装置
CN114653193A (zh) * 2021-07-13 2022-06-24 浙江锌芯友好环境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恶臭气体的处理技术及其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06915B1 (fr) 2013-06-13 2015-06-26 Serveco Sa Soc Systeme de traitement destine a deshydrater des dechets alimentaires
FR3014547B1 (fr) * 2013-12-09 2019-05-24 Societe Serveco (Sa) Systeme de traitement destine a secher des dechets alimentaires
CN104230400B (zh) * 2014-09-16 2016-09-14 中国环境科学研究院 一种餐厨废弃物快速资源化处理设备
CN105948830A (zh) * 2016-07-14 2016-09-21 湖北澳星环保成套设备有限公司 一种组合式远红外发酵设备及发酵方法
NL2018141B1 (en) * 2017-01-07 2018-07-25 Ecocreation B V Compost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355B1 (ko) * 1995-10-19 1998-11-16 서경원 음식물 찌꺼기 퇴비화장치의 악취제거방법 및 그 장치
KR100231787B1 (ko) * 1997-03-12 1999-12-01 김희용 음식찌꺼기 처리기의 악취발생 제거방법 및 그 탈취장치
WO1999038624A1 (fr) * 1998-01-30 1999-08-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Installation d'elimination des ordures brutes
KR100289939B1 (ko) * 1998-05-20 2001-10-19 김희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4712A (zh) * 2019-12-27 2020-04-14 洛阳希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饲料添加剂的益生菌发酵装置
CN114653193A (zh) * 2021-07-13 2022-06-24 浙江锌芯友好环境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餐厨垃圾恶臭气体的处理技术及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99920A1 (en)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55901Y1 (ko) 교반기
KR101063964B1 (ko) 양념 교반 장치
KR200264897Y1 (ko) 교반기
KR20140006259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기
KR101655065B1 (ko) 파쇄ㆍ건조식 수산생물 폐사체 처리장치
KR20050072284A (ko) 다중 날개를 가진 교반스크류 및 교반장치
CN206823647U (zh) 一种印染用漂白剂搅拌机
CN220546857U (zh) 双轴混合机
KR20060066289A (ko) 더블탱크방식의 교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버섯재배용배지의 일괄처리시스템
CN206082276U (zh) 一种电池材料贴底搅拌装置
JP2000317431A (ja) 生ごみ処理における攪拌粉砕装置
KR2016006807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0081585A (ko) 음식물 또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교반기
JP4560961B2 (ja) 生ごみ処理機
KR101599837B1 (ko) 보드식 반죽기
KR101078300B1 (ko) 사료 및 퇴비 제조용 발효배합기
CN207385280U (zh) 一种化肥生产用搅拌器
JPH11253776A (ja) 斜軸攪拌機
KR100607236B1 (ko) 교반기의 구조
KR200308534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교반기
KR200166774Y1 (ko) 반죽기
CN209121256U (zh) 一种用于红象草的饲料的深加工装置
CN214715810U (zh) 一种双轴肥料搅拌机
JPH07121350B2 (ja) 混練機
JP2530979B2 (ja) 家庭用生ごみコンポスト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40419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7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40420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4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02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7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906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