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2221Y1 -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 - Google Patents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2221Y1
KR200332221Y1 KR20-2003-0025217U KR20030025217U KR200332221Y1 KR 200332221 Y1 KR200332221 Y1 KR 200332221Y1 KR 20030025217 U KR20030025217 U KR 20030025217U KR 200332221 Y1 KR200332221 Y1 KR 200332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swivel
weight plate
support tube
ax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52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철
Original Assignee
신재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철 filed Critical 신재철
Priority to KR20-2003-00252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2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2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2221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73Means for releasably holding a ball in position; Balls constrained to move around a fixed point, e.g. by tethering
    • A63B69/0091Balls fixed to a movable, tiltable or flexible ar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43/007Arrangements on balls for connecting line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3/00Balls with special arrangements
    • A63B2043/001Short-distance or low-velocity balls for training, or for playing on a reduced are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나의 골프공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타격연습을 수행하는 기구에 관련된다. 구성의 특징으로서, 조절노브(15)가 장착된 지지관(12)을 중앙에 구비하는 중량판(10)이 사용된다. 조절노브(15)에 의해 가변 높이로 고정되는 고정대(20)는 상기 중량판(10)의 지지관(12) 상에 상측으로 장착된다. 상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로 절개홈(30a)을 구비하는 회전대(30)는 상기 고정대(20)에 액슬(38)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와이어를 이분할로 권취하여 결합되는 타격봉(42)(44)은 상기 회전대(30) 상에 홀더(40)를 개재하여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타격봉(42)(44)의 외단부에는 골프공(50)이 장착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골프공(50)의 타격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원복수단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어느 장소에서나 설치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임팩트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고장이 없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 {Golf swing practice device}
본 고안은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느 장소에서나 설치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임팩트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고장이 없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생활 스포츠로 인식되고 있는 골프의 인기를 반영하듯이 전국적으로 골프장 건설이 활발하고 도심에도 골프 연습장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와 함께 건물의 옥상에 설치할 수 있는 간이형 골프 연습장이나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휴대형 퍼팅 연습기 등의 판매도 날로 신장되고 있다.
후자의 경우, 시간을 내지 못하는 사람들도 저비용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휴대하여 활용하기 불편하고 타격 중간에 골프공을 주어 모으는 일이 번거로워 활용도가 그다지 높지 않다.
또한, 휴대가 용이하도록 아무리 소형화한다고 하더라도 야외에서 사용할 때 골프공을 임팩트하는 자체가 다른 사람에게 불안감을 조장하기도 하고 골프공이 때로 멀리 나가서 수거의 불편과 분실의 우려도 크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골프공을 어느 장소에서나 손쉽게 타격하면서 연습할 수 있는 스윙 및 퍼팅 연습기가 필요한 실정이나 아직까지는 수요자의 구미에 맞는 연습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점들을 충분히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어느 장소에서나 설치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임팩트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고장이 없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주요부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격봉을 분리한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기구 요부를 나타낸 도식도.
도 7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타격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중량판 15: 조절노브
20: 고정대 22, 32: 고정볼트
30: 회전대 35: 스프링
38: 액슬 40: 홀더
42, 44: 탄성봉 50: 골프공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나의 골프공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타격연습을 수행하는 기구에 있어서: 조절노브(15)가 장착된 지지관(12)을 중앙에 구비하는 중량판(10); 상기 중량판(10)의 지지관(12) 상에 상측으로 장착되고, 조절노브(15)에 의해 가변 높이로 고정되는 고정대(20); 상기 고정대(20)에 액슬(38)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로 절개홈(30a)을 구비하는 회전대(30); 상기 회전대(30) 상에 홀더(40)를 개재하여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와이어를 이분할로 권취하여 결합되는 타격봉(42)(44); 상기 타격봉(42)(44)의 외단부에 장착되는 골프공(50); 및 상기 골프공(50)의 타격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설치되는 원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골프공(50)은 지지봉(46)의 단부에 스프링(55)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원복수단은 고정대(20)와 회전대(30) 사이에 장착되는 토션스프링(35)과, 타격봉(42)(44)의 중간에 삽착되는 수지재의 완충관(48)을 구비한다.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중량판(10)의 지지관(12) 상에 고정대(12)가 상측으로 개재되고, 고정대(20)의 중심부에 액슬(38′)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액슬(38′)의 일측에는 골프공(50)을 구비하는 수지봉(70)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주요부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타격봉을 분리한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하나의 골프공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타격연습을 수행하는 기구에 관하여 개시된다. 우선, 조절노브(15)가 장착된 지지관(12)을 중앙에 구비하는 중량판(10)이 사용된다. 중량판(10)은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원반형으로 형성하며 타격의 충격에 흔들림이 없을 정도의 중량을 택한다. 중량판(10)의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지관(12)을 고정하고, 지지관(12)의 외주면에서 대향하는 2개소 지점에 나선을 지닌 조절노브(15)를 장착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조절노브(15)에 의해 가변 높이로 고정되는 고정대(20)가 상기 중량판(10)의 지지관(12) 상에 상측으로 장착된다. 고정대(20)는 외면이 2단 구조로 되고 내면에 관통공을 지닌다. 고정대(20)의 하단을 지지관(12)에 삽착하고 조절노브(15)로 조이면 고정상태가 유지된다. 물론, 조절노브(15)를 풀어 고정대(20)의 높이를 가변할 수도 있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로 절개홈(30a)을 구비하는 회전대(30)가 상기 고정대(20)에 액슬(38)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회전대(30)는 원기둥 구조이고 상면에서 일정 폭과 깊이의 절개홈(30a)이 형성된다. 회전대(30)에는 상하로 이격된 지점에 수평방향으로 2개의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측의 관통공(30b)은 후술하는 홀더(40)를 고정하고, 하측의 관통공은 액슬(38)을고정하는 용도이다. 액슬(38)은 회전대(30)에 동축으로 고정되고 하방향으로 고정대(20)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회전대(30)는 중량판(10) 및 고정대(20)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와이어를 이분할로 권취하여 결합되는 타격봉(42)(44)이 상기 회전대(30) 상에 홀더(40)를 개재하여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된다. 홀더(40)는 부호 41의 관부재와 부호 43의 판부재가 일체로 결합된 형태이다. 홀더(40)의 판부재(43)에는 상하로 2개의 관통공(40a)이 형성된다. 홀더(40)는 판부재(43)를 이용하여 회전대(30)의 절개홈(30a) 상에 장착된다. 전술한 회전대(30)의 관통공(30b)과 홀더(40)의 일측 관통공(40a)을 일치시켜 볼트를 삽착하면 볼트를 중심으로 하는 홀더(40)의 상하 회동이 가능하다. 또한 어느 홀더(40)의 관통공(40a)을 택하는가에 따라 홀더(40)의 조립 높이가 2단으로 가변된다. 타격봉(42)(44)은 마치 스프링을 빽빽하게 권취한 형태로서 내측타격봉(42)의 외경이 외측타격봉(44)의 내경과 동일하여 나선 형태로 맞물려 결합된다. 내측타격봉(42)은 홀더(40)의 측면에서 볼트(45)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외측타격봉(44)은 외측으로 멀어질수록 외경이 감소하는 원뿔형 구조로 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타격봉(42)(44)의 외단부에 골프공(50)이 장착된다. 외측타격봉(44)의 외단에 지지봉(46)이 고정되고, 지지봉(46)의 외단에 골프공(50)이 장착된다. 골프공(50)의 장착 구조는 후술하는 도 4에서 상술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골프공(50)의 타격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원복수단이 설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골프공(50)은 중량판(10), 고정대(20), 회전대(30)를 수직축으로 하고 홀더(40)와 타격봉(42)(44)을 수평축으로 하여 고정되는데, 타격연습시 골프공(50)이 계속 회전되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되지 않으면 불편하고 안전사고의 위험도 있다. 본 고안의 원복수단은 타격시 골프공(50)이 일정한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되고 복귀되도록 한다.
도 2에서, 본 고안의 원복수단은 고정대(20)와 회전대(30) 사이에 장착되는 토션스프링(35)을 구비한다. 고정대(20)의 상면과 회전대(30)의 저면은 토션스프링(35)을 수용하도록 요홈을 구비할 수도 있다. 토션스프링(35)은 고정대(20)에 체결된 고정볼트(22)와 회전대(30)에 체결된 고정볼트(32) 사이에 걸어 고정한다. 토션스프링(35)은 고정대(20)와 회전대(30)가 일정한 이격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도 있다. 미설명 부호 24는 회전대(30)가 일정 각도이상 회전하면 고정볼트(32)와 접촉하여 회전을 중지시키는 스토퍼이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원복수단 타격봉(42)(44)의 중간에 삽착되는 수지재의 완충관(48)을 구비한다. 2분할 구조의 타격봉(42)(44) 내부에 완충관(48)을 삽착하면 골프공(50)의 타격시 타격봉(42)(44)의 지나친 휨 현상을 완화하고 신속한 복귀를 위한 탄성력을 보강할 수 있다. 완충관(48)은 타격봉(42)(44)의 길이의 70% 정도로 충분히 길게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중량판(10), 고정대(20), 회전대(30), 홀더(40), 타격봉(42)(44) 등의 주요부를 모두 내마모성이 우수한 금속제로 형성하여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골프공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골프공(50)은 지지봉(46)의 단부에 스프링(55)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설치된다. 골프공(50)의 내부에 2단의 홈이 형성된다. 지지봉(46)의 단부는 골프공(50)의 홈에 삽입되고 여기에 압축스프링(55)이 설치된다. 압축스프링(55)은 적어도 2단의 원추형으로 형성되고, 지지봉(46)의 단부에 장착되는 헤드(47)와 와셔(49)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지지봉(46)의 타단에는 관체(52)가 장착되고, 관체(52)는 너트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타격시 골프공(50)에 작용하는 충격력이 압축스프링(55)에 의해 완화되는데, 너트를 조임에 따라 압축스프링(55)의 초기 탄성력이 가변된다.
사용에 있어서, 골프공(50)은 최초에 바닥면에 놓인 상태이고 타격과 동시에 일정 각도까지 회전되면서 상측으로 회동되고 마지막으로 타격봉(42)(44)의 휨이 발생한다. 이후 타격봉(42)(44), 완충관(48), 토션스프링(35)의 복원력으로 인해 골프공(50)은 다시 최초의 위치로 신속하게 원복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변형예에 따른 기구 요부를 나타낸 도식도가 도시된다.
도 5에서, 전술한 중량판(10) 대신 수지판(60)을 사용하고, 지지관(12)은 몰딩하여 성형한다. 수지판(60)의 중량이 작아 충격에 흔들리기 쉬우므로 저면에는 진공흡착패드(65)를 부착한다.
도 6a에서 보듯이, 전술한 2분할 구조의 타격봉(42)(44) 대신 단일의 타격봉(44′)을 사용하고, 타격봉(44′)의 외단에 수지봉(70)이 고정될 수도 있다.
도 6b에서는 전술한 타격봉(42)(44)과 지지봉(46) 대신 수지봉(70)을 사용하고, 수지봉(70)은 직경이 일정한 형태로 할 수도 있지만 이점쇄선처럼 직경이 가변되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중간 지점에서 직경이 가장 커지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타격기구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보듯이, 상기 중량판(10)의 지지관(12) 상에 고정대(12)가 상측으로 개재되고, 고정대(20)의 중심부에 액슬(38′)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액슬(38′)의 일측에는 골프공(50)을 구비하는 수지봉(70)이 결합된다. 그리고 도 7의 경우도 전반적인 구성은 도 1과 거의 동일한데, 다만 고정대(20)의 중심부에 개재되는 액슬(38′)에 바로 수지봉(70)이 결합되어 사용되는 구조에 일부 차이가 있다.
한편, 상기한 도 5, 6, 7의 구성은 도 1의 구성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내구성이 약하므로 퍼팅용 또는 청소년용으로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의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는 어느 장소에서나 설치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임팩트하는 것이 가능할 뿐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장기간 고장이 없이 원활하게 작동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고, 또 이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하나의 골프공을 이용하여 반복적인 타격연습을 수행하는 기구에 있어서:
    조절노브(15)가 장착된 지지관(12)을 중앙에 구비하는 중량판(10);
    상기 중량판(10)의 지지관(12) 상에 상측으로 장착되고, 조절노브(15)에 의해 가변 높이로 고정되는 고정대(20);
    상기 고정대(20)에 액슬(38)을 개재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의 중앙에 일정 깊이로 절개홈(30a)을 구비하는 회전대(30);
    상기 회전대(30) 상에 홀더(40)를 개재하여 상하로 요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와이어를 이분할로 권취하여 결합되는 타격봉(42)(44);
    상기 타격봉(42)(44)의 외단부에 장착되는 골프공(50); 및
    상기 골프공(50)의 타격후 원위치로 복귀시키도록 설치되는 원복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골프공(50)은 지지봉(46)의 단부에 스프링(55)을 개재하여 탄성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복수단은 고정대(20)와 회전대(30) 사이에 장착되는 토션스프링(35)과, 타격봉(42)(44)의 중간에 삽착되는 수지재의 완충관(48)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판(10)의 지지관(12) 상에 고정대(12)가 상측으로 개재되고, 고정대(20)의 중심부에 액슬(38′)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액슬(38′)의 일측에는 골프공(50)을 구비하는 수지봉(70)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
KR20-2003-0025217U 2003-08-05 2003-08-05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 Expired - Fee Related KR200332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17U KR200332221Y1 (ko) 2003-08-05 2003-08-05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5217U KR200332221Y1 (ko) 2003-08-05 2003-08-05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2221Y1 true KR200332221Y1 (ko) 2003-11-05

Family

ID=4941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5217U Expired - Fee Related KR200332221Y1 (ko) 2003-08-05 2003-08-05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22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984B1 (ko) 2007-07-30 2008-05-22 배순자 골프 스윙 연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0984B1 (ko) 2007-07-30 2008-05-22 배순자 골프 스윙 연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8671B1 (en) Self-loading practice batting tee
US6413175B1 (en) Batting tee
US4089521A (en) Tennis stroke trainer
US4460172A (en) Tennis training apparatus
US7226373B2 (en) Batting swing practice apparatus
US5897444A (en) Ball support batting tee
US4903966A (en) Device for batting and striking practice
US5238251A (en) Volleyball training and monitoring apparatus
US5916045A (en) Batting tee
US8870687B2 (en) Hitting device with resilient strap
US20080220910A1 (en) Artificial pitcher for practicing the hitting skill of baseball
US5494278A (en) Hitting practice machine for ball games
US4417730A (en) Tennis practice apparatus
JPS6359977A (ja) 打球練習装置
US4508340A (en) Batting aid with pivotally supported ball
US4508339A (en) Eye-hand coordinator
US200600357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ing golf or baseball swings
US7070520B1 (en) Sports training device for hitting a ball
US5577964A (en) Golf ball tee device
US20160030826A1 (en) Batting training apparatus
US7056237B2 (en) Portable basketball rebound apparatus and method
JPH0728941B2 (ja) バツテイング練習具
KR200332221Y1 (ko) 골프공 타격연습 기구
CN110755828B (zh) 球类挥击练习器
WO2017141270A1 (en) Trainer for ball hit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3080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31027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3080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23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date: 20050218

Comment text: Written Decision on Result of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code: UT07011S01D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22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2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date: 20070910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