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080Y1 -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 Google Patents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9080Y1
KR200329080Y1 KR20-2003-0023445U KR20030023445U KR200329080Y1 KR 200329080 Y1 KR200329080 Y1 KR 200329080Y1 KR 20030023445 U KR20030023445 U KR 20030023445U KR 200329080 Y1 KR200329080 Y1 KR 200329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d
light emitting
housing
pcb substrate
emitting di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산
Original Assignee
김종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산 filed Critical 김종산
Priority to KR20-2003-0023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90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9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90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와;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가 일체로 장착되어 제조되는 PCB기판과; 상기 PCB기판과 선택적으로 연결 및 연결해제가능하며, 연결시 상기 PCB기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널리 사용되던 형광등이나 네온등을 LED로 대체함으로써 그 제조비용을 줄이는 한편 제조가 용이하고 전기적으로도 안전하며, 에너지 절감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Illuminator using LED}
본 고안은,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널리 사용되던 형광등이나 네온등을 LED로 대체함으로써 그 제조비용을 줄이는 한편 제조가 용이하고 전기적으로도 안전하며, 에너지 절감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에 관한 것이다.
근자에 들어 우리의 주변에는 광고나 홍보를 위한 조명기구("간판"을 포함)의 사용이 실로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간판만을 보더라도 아크릴 판재에 광고나 홍보문구만을 표시하던 것을 떠나 이제는 그 내부에 빛을 발산할 수 있는 광원으로 형광등이나 네온등을 삽입한 것이 많이 존재한다.
특히, 네온등은 일반 형광등에 비해 그 밝기 조절이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점멸기능이 있어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참고로, 네온(neon)이라 하는 것은, 주기율표 제0족에 속하는 비활성기체로써, 대기중에 약간 함유되어 있기는 하나 그 존재량은 0.00182용량%(클라크수 제76위)이다.
네온은 액체공기의 분류시 스펙트럼에서 발견되었으며, 무색, 무취의 기체로, 20℃에서 100ml의 물에 15ml 녹는다. 액체공기를 증발시킨 부분을 저온에서 액화하고, 이것을 되풀이하여 헬륨과 함께 모아, 액체수소로 네온을 고체화하여 헬륨에서 분리시켜 얻는다. 방전 때에 적색부분에 현저한 휘선스펙트럼을 보이며, 다른 기체에 비해서 그다지 저압이 아니라도 가이슬러관에서 방전하여 적색으로 빛나므로 네온관등에 이용된다.
이러한 네온등을 이용하여 간판을 구성하고자 한다면, 우선 일정한 간판 케이스 내에 수많은 네온등을 배치하여 고정한다. 그리고는 각 네온등에 하나씩의 트랜스를 결합하고, 각 트랜스는 점멸기에 연결한다. 그런 다음, 점멸기에 전원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에는 통상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가 더 장착된다.
그런데, 이처럼 네온등을 이용하여 간판을 제조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스가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제로 그 제조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트랜스로 인해 화재의 위험도가 높은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통상의 네온등은 그 수명이 약 1년 정도이기는 하나 파손이 쉽기 때문에 빈번하게 네온등을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일각에서는 네온등이 갖는 장점은 그대로 살리면서도 네온등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새로운 광원으로써 발광다이오드(LED)를 사용한 조명기구가 등장하고 있다. 발광다이오드는 기존의 광원에 비해 에너지 절감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차세대 에너지원으로써 한 몫을 담당하게 되었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조명기구를 제조한 종래기술이 출원번호 10-2001-0013941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은 연질의 비닐 줄네온관에 네온의 역할을 하도록 빛을 발휘할 수 있는 수많은 꼬마전구(LED)를 내장하고 문자판은 입체적으로 구성하는 한편 문자의 갓테두리는 튀어나오도록 한 것으로써, 종래의 유리관과 같이 별도의 열을 가하지 않더라도 자연스럽게 비닐의 관을 입체문자의내부에 내장할 수 있어 열을 가하는 불편을 해소하는 한편 간단한 조립이 가능해지도록 하였다.
그런데, 개시된 종래기술은, 연질의 비닐 줄네온관에 일일이 LED를 내장해야 하고 또한, 줄네온관을 별도도 더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실제로 그 제조비용이 줄어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제조 역시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꼬마전구로부터의 빛이 원하는 만큼 발현되지 않아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방식 외에도, 아크릴 판재 등을 이용하여 소정의 문자나 숫자를 성형해 놓은 다음, 그 내부에 수많은 LED를 장착하여 LED에 의한 광고나 홍보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한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역시, 네온등을 대체하여 LED를 사용했다는 점에서는 종래의 기술과 차별화될 수 있으나, LED를 하나 하나씩 일일이 장착해야 되므로 실질적으로 대량생산에의 어려움이 있어 현실적이지 못하다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널리 사용되던 형광등이나 네온등을 LED로 대체함으로써 그 제조비용을 줄이는 한편 제조가 용이하고 전기적으로도 안전하며, 에너지 절감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반사효율 배가수단으로 인해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을 좀 더 세고 강하게 반사시킬 수 있어 그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한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고안의 제3 및 제4실시예에 따른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에 대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로써,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가 간판에 적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하우징 14 : PCB기판
15 : 저항 16 : 발광다이오드
18 : 점멸부 20 : 전원공급부
31 : 스크래치 32 : 굴절면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와;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가 일체로 장착되어 제조되는 PCB기판과; 상기 PCB기판과 선택적으로 연결 및 연결해제가능하며, 연결시 상기 PCB기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PCB기판에는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와 하나씩 혹은 몇 개의 그룹단위로 대응하는 복수의 저항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PCB기판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상기 하우징은 투명재질로써 내부가 빈 관상체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반사효율을 배가시키는 반사효율 배가수단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상기 반사효율 배가수단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상기 PCB기판에 상호 인접하게 배열되는 한편 상기 PCB기판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복수개로 배치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 외에도, 상기 반사효율 배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을 난반사시키거나 선의 형상으로 발광시키는 스크래치를 포함할 수도 있고, 상기 하우징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어느 일측에 도포되는 난반사필름으로 대채할 수도 있다.
혹은, 상기 하우징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빛을 굴절시키는 굴절면으로써 반사효율 배가수단을 이룰 수도 있다.
상기 PCB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PCB기판 상에 결합된 발광다이오드를 점멸시키는 한편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어댑터가 내장된 점멸부와; 상기 점멸부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부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며, 각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5, LED)와,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5, LED)가 일체로 장착되어 제조되는 PCB기판(14)과, PCB기판(14)과 선택적으로 연결 및 연결해제가능하며, 연결시 PCB기판(14)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0)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20)는 도 5에서 설명할 간판의 제조시 장착할 수 있는 것이므로, PCB기판(14)의 제조자가 전원공급부(20)까지 제조하여 판매할 필요는 없다.
발광다이오드(16)는, 반도체의 pn 접합구조를 이용하여 주입된 소수캐리어(전자/양공)를 만들어내고, 이들의 재결합에 의하여 발광시키는 것으로 소위,LED(light emitting diode)라고도 한다.
발광다이오드(16)에 적합한 재료로는, 첫째, 발광파장이 가시 또는 근적외영역에 존재할 것, 둘째, 발광효율이 높을 것, 셋째, p-n접합의 제작이 가능할 것 등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으로서 주로, 비소화갈륨 GaAs, 인화갈륨 GaP, 갈륨-비소-인 GaAs1-x Px, 갈륨-알루미늄-비소 Ga1-xAlxAs, 인화인듐 InP, 인듐-갈륨-인 ln1-xGaxP 등 3 B 및 5 B족인 2원소 또는 3원소 화합물 반도체가 사용되고 있는데, 2 B, 6 B족이나 4 A, 4 B족인 것에 대하여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발광기구는 크게 나누어, (1)자유 캐리어의 재결합에 의한 것과, (2)불순물 발광중심에서의 재결합에 의한 것이 있다. 전자에서 발광파장은 대략 ch/Eg(c 는 광속, h 는 플랑크 상수, Eg 는 금지띠의 에너지폭)와 같으며, 비소화갈륨의 경우에는 약 900nm인 근적외광이 된다. 갈륨-비소-인에서는 인의 함유량 증가에 따라 Eg가 증가하므로 가시발광 다이오드가 된다.
한편, 후자에서 발광파장은 반도체에 첨가되는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인화갈륨인 경우, 아연 및 산소 원자가 관여하는 발광은 적색(파장 700nm)이고, 질소 원자가 관여하는 발광은 녹색(파장 550nm)이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16)는 종래에 채용되던 형광등이나 네온등의 광원에 비해 소형인 반면, 수명은 길며, 전기에너지가 빛에너지로 직접 변환하기 때문에 전력이 적게 들고 효율이 높다. 또한, 고속응답이라 자동차 계기류의 표시소자, 광통신용광원 등 각종 전자기기의 표시용 램프, 숫자표시 장치나 계산기의 카드 판독기 등에 쓰일 수 있다.
종래의 광원으로 채용되던 네온등에는 하나씩의 트랜스가 장착되어야만 했는데 반해, 본 발광다이오드(16)는 별도의 PCB기판(14)에 여러 개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통상의 발광다이오드(16)는 빛을 내는 몸체부분과 복수의 다리부분을 갖는데, 이러한 구조를 갖는 것일 경우, PCB기판(14)에는 이 다리부분이 남땜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종래의 것에 비해 제조하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물론, 이처럼 발광다이오드(16)에 다리부분이 형성된 것(일반 LED)도 존재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분이 없는 칩 LED도 존재한다. 도면에는 칩 LED에 대해 도시하고 있지만 전술한 일반 LED 역시 채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 발광다이오드(16)의 효율을 높이고 각 발광다이오드(16)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PCB기판(14) 상에는 하나의 발광다이오드(16)에 대응하도록 하나씩의 저항(15)을 마련하고 있다. 물론, 도 1에는 저항(15)에 발광다이오드(16)가 하나씩 조합되어 있으나, 경우에 따라 여러 개의 발광다이오드(16)를 그룹단위로 묶어 하나의 저항(15)을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PCB기판(14)에 마련되는 발광다이오드(16)는, 단색의 빛을 발광하는 단색LED를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칼라LED를 사용할 수도 있다. 칼라LED는 그 내부에 RGB(적색, 녹색, 황색) 물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조합에 의해 다색을 발광시키게 된다. 물론, 단색LED의 경우에는, 적색, 녹색, 주황색, 청색 등의 색깔을 발현시킬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16)로 인가되는 전원은 직류전원이 채용된다. 따라서, 전원공급부(20)는 일반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컨버터 등을 더 포함하고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별도의 컨버터 없이도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 때, 칼라LED가 적용될 경우, 전원공급부(20)에서 PCB기판(14)으로 인가되는 전압은, 약 12V 정도이고 단색LED가 적용될 경우의 전압은 대략 9V 정도가 된다.
전원공급부(20)와 PCB기판(14) 사이에는 PCB기판(14)에 연결되어 PCB기판(14) 상에 결합된 발광다이오드(16)를 점멸시키는 점멸부(18)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점멸부(18)는 도시 않은 컨트롤부에 의해 컨트롤될 것이다. 이처럼 점멸부(18)를 사용하여 발광다이오드(16)를 점멸시키게 되면, 네온등이 갖는 점멸 회수에 비해 훨씬 더 많은 회수로 점멸을 행할 수 있어 광고나 홍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점멸부(18)와는 별도로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어댑터를 PCB기판(14)에 더 장착할 수도 있으나,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어댑터가 내장된 점멸부(18)를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이러한 점멸부(18)를 사용하더라도 점멸부(18)의 점멸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컨트롤부를 더 마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PCB기판(14)에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6)를 결합시키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6)를 하나씩 혹은 몇 개 이상씩 그룹 지어 저항(15)을 연결해놓는다. 이러한 상태로 PCB기판(14)을 제조하게 되면, 그 제조비용을 줄이는 한편 제조가 용이하고 전기적으로도 안전하며, 에너지 절감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제조자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6)가 장착된 PCB기판(14)을 만들어 제조하면 되기 때문에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입장에서도 도 1처럼 제조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6)가 장착된 PCB기판(14)을 원하는 용도(도 5 참조)로 활용하기가 쉽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제2실시예
도 2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사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6)가 PCB기판(14)에 장착됨으로써, 실제로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6)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취한다.
이럴 경우, PCB기판(14)에 오염이 발생할 수 있어, 그 내구성이 저하될 수도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서는 별도의 하우징(12)을 더 구비하고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6)가 장착된 PCB기판(14)을 하우징(12) 내에 삽입하고 있다.
이 때, 하우징(12)은 그 내부에 PCB기판(14)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관상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발광다이오드(16)로부터의 빛이 효과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하우징(12)은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물론, PCB기판(14)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지 않고 원형이나 정사각형, 혹은 삼각형 형상을 갖는다면, 하우징(12) 역시 이에 대응하게 제조하면 될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이 하우징(12) 내에 복수의 발광다이오드(16)가 장착된 PCB기판(14)을 삽입하여, 하우징(12)과 함께 제조 출시할 경우에 있어서는, 실제로 종래의 네온등이나 형광등에 비해 발광효율이 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하우징(12)을 채용할 경우, 반사효율 배가수단을 추가로 마련하여 발광다이오드(16)로부터의 빛이 하우징(12)을 통해 외부로 난반사되도록 함으로써, 발광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반사효율 배가수단에 대해서는 다음의 실시예들에서 차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3실시예
도 3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의 외벽에는 반사효율 배가수단의 일 예로써 스크래치(31)가 형성되어 있다.
스크래치(31)는 하우징(12)을 제조한 후, 하우징(12)의 외벽에 형성할 수도 있고 혹은 하우징(12)의 제조시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처럼 하우징(12)의 외벽에 스크래치(31)를 형성한 후, 그 내부에 발광다이오드(16)를 설치한 PCB기판(14)을 장착하여 PCB기판(14)으로 전원을 공급하면, 발광다이오드(16)로부터의 빛은 하우징(12)의 표면을 통해 외측으로 발산된다.
이 때, 하우징(12)의 외벽에는 스크래치(3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우징(12)의 표면을 통해 빛이 발산되는 과정에서 스크래치(31)에 부딪힌 빛은 난반사될 수 있다. 따라서, 그 발광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발광다이오드(16)로부터의 빛은 통상적으로 점 형태를 띄는 반면, 스크래치(31)를 통한 빛은 선으로 표현될 수 있기 때문에 스크래치(31)에 의한 광고 및 홍보 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게 된다.
제4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에 대한 도면이다. 이 도면을 보면, 반사효율 배가수단으로써 하우징(12)의 내벽에 형성된 굴절면(32)을 그 예로 들고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2)의 내벽을 5각형상으로 하여, 굴절면(32)이 형성되도록 한다면, 발광다이오드(16)로부터의 빛이 하우징(12)의 외측으로 발산되는 과정에서 각 굴절면(32)에 굴절되어 난반사를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도 4 역시, 발광효율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제5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5실시예로써,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가 간판에 적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은 본 고안에 따른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10)가 간판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간판은, 프레임(1)으로 되어 있는데, 그 프레임(1) 내에는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조명기구(10)가 상호 이격배치되어 있다. 이에, 별도의 컨트롤을 통해 각 조명기구(10) 중에서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순차적으로 점멸시키거나, 몇 개씩 그룹단위로 묶어 점멸시키거나 혹은, 전체를 한번에 점멸시킴으로써 간판에 대한 광고나 홍보효과를 최대한 거둘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10)를 간판에 적용할 경우,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10)는 이미 제조사에서 일체로 대량생산하여 공급한 경우이므로, 이를 이용하여 간판을 제조할 경우 간판의 제조가 더욱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보면, PCB기판(14)이 직사각형의 형태로 되어 있고, 발광다이오드(16)가 PCB기판(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지만, PCB기판(14)을 원형이나 삼각형 혹은, 기타 다른 형상으로 제조한다면 발광다이오드(16)의 배열 역시 이에 대응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보면, 하우징(12)이 관상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사각형상을 비롯하여 삼각형상, 육각형상 등 하우징(12)의 형상은 어떠한 것으로 형성하더라도 무관한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2)의 외벽에 스크래치(31)를 형성하고 있지만, 반대로 하우징(12)의 내벽에 스크래치(31)를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2)의 내벽을 5각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하우징(12) 내벽의 형상은 3각형상, 4각형상을 비롯하여 6각형상 이상으로도 충분히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이들 굴절면(32)은 하우징(12)의 외벽에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PCB기판(14)의 전면에만 발광다이오드(16)를 부착하고 있다. 그러나, 발광효율을 좀 더 높이고자 한다면, 발광다이오드(16)를 PCB기판(14)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복수개로 배치하는 한편, 각 발광다이오드(16)들이 상호 인접하도록 촘촘히 배열하면 될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더하여, 반사효율 배가수단은 하우징(12)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어느 일측에 도포되는 난반사필름이 될 수도 있다. 난반사필름으로써는 디퓨져필름 등을 채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우징(12)을 간판(1)에 일열로 배치한 것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하우징(12)을 조합하여 일정한 글자나 모양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12)의 형상을 변경한다면 어떠한 형태의 무늬라도 형성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널리 사용되던 형광등이나 네온등을 LED로 대체함으로써 그 제조비용을 줄이는 한편 제조가 용이하고 전기적으로도 안전하며, 에너지 절감효과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거의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교체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대량생산이 가능해지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반사효율 배가수단으로 인해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빛을 좀 더 세고 강하게 반사시킬 수 있어 그 발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가 제공된다.

Claims (10)

  1.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와;
    소정의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가 일체로 장착되어 제조되는 PCB기판과;
    상기 PCB기판과 선택적으로 연결 및 연결해제가능하며, 연결시 상기 PCB기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기판에는 상기 복수의 발광다이오드(LED)와 하나씩 혹은 몇 개의 그룹단위로 대응하는 복수의 저항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CB기판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투명재질로써 내부가 빈 관상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마련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반사효율을 배가시키는 반사효율 배가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효율 배가수단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상기 PCB기판에 상호 인접하게 배열되는 한편 상기 PCB기판의 전면 및 배면에 각각 복수개로 배치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효율 배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의 빛을 난반사시키거나 선의 형상으로 발광시키는 스크래치를 포함하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효율 배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어느 일측에 도포되는 난반사필름을 포함하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효율 배가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벽 또는 내벽 중 어느 일측에 형성되어 빛을 굴절시키는 굴절면을 포함하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B기판에 연결되어 상기 PCB기판 상에 결합된 발광다이오드를 점멸시키는 한편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어댑터가 내장된 점멸부와;
    상기 점멸부를 컨트롤하는 컨트롤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엘이디(LED)를 이용한 조명기구.
KR20-2003-0023445U 2003-07-21 2003-07-21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KR200329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445U KR200329080Y1 (ko) 2003-07-21 2003-07-21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445U KR200329080Y1 (ko) 2003-07-21 2003-07-21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9080Y1 true KR200329080Y1 (ko) 2003-10-04

Family

ID=49416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445U KR200329080Y1 (ko) 2003-07-21 2003-07-21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9080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116B1 (ko) * 2009-07-21 2009-12-07 (주)에스앤에스라이팅 반사효율이 향상된 파워 외장형 led 형광등
KR101040203B1 (ko) * 2009-05-06 2011-06-09 최진선 가로등 부착용 광고판과 그 제조방법
KR101283280B1 (ko) * 2007-08-13 2013-07-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오디오 조명구조
KR102311274B1 (ko) * 2020-12-29 2021-10-12 이준식 번호표 표시등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280B1 (ko) * 2007-08-13 2013-07-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오디오 조명구조
KR101040203B1 (ko) * 2009-05-06 2011-06-09 최진선 가로등 부착용 광고판과 그 제조방법
KR100930116B1 (ko) * 2009-07-21 2009-12-07 (주)에스앤에스라이팅 반사효율이 향상된 파워 외장형 led 형광등
KR102311274B1 (ko) * 2020-12-29 2021-10-12 이준식 번호표 표시등 장치
WO2022145698A1 (ko) * 2020-12-29 2022-07-07 이준식 번호표 표시등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1440B1 (en) Multi-function signboard
US9944519B2 (en) LED-based light bulb
KR200418901Y1 (ko) 바타입의 조명용 엘이디 튜브
US20040233668A1 (en) Decorative string lights
KR200329080Y1 (ko) 엘이디를 이용한 조명기구
US8752982B2 (en) Modularized street lamp
US7661840B1 (en) Lighting device with illuminated front panel
US20060209569A1 (en) Soft glow nightlight
CN218153698U (zh) 一种装饰灯
CN2497148Y (zh) 电子发光霓虹灯
JP2009146608A (ja) 照明装置
KR20050007088A (ko) 조명등
JP3574614B2 (ja) 発光体及び灯器
KR200356985Y1 (ko) 칼라 광고 보드
CN206112568U (zh) 照明装置
KR200390836Y1 (ko) 발광다이오드형 광고 간판
KR200445867Y1 (ko) 간판용 엘이디 조명등
CN2551857Y (zh) 一种led晶体霓虹灯
JPH10228803A (ja) 車両の前照灯装置
CN202947050U (zh) Led汽车灯
KR200413480Y1 (ko) 자동차용 조명기구
CN201502895U (zh) 光源装置
KR200425468Y1 (ko) 컬러 엘이디램프
KR200387500Y1 (ko) 광색 변화되는 광고판
KR100416473B1 (ko) 복합 발광다이오드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