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925Y1 - A cushion - Google Patents
A cush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13925Y1 KR200313925Y1 KR20-2003-0004258U KR20030004258U KR200313925Y1 KR 200313925 Y1 KR200313925 Y1 KR 200313925Y1 KR 20030004258 U KR20030004258 U KR 20030004258U KR 200313925 Y1 KR200313925 Y1 KR 20031392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shion
- waist
- cushion portion
- filler
- chair
- Prior art date
Links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789 fasten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7 radioactive fallou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58 se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Abstract
본 고안은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 등받이 부분의 허리 위치에 쿠션 소재로 사용하면서 쿠션 중심부에 가해지는 인체 압력에 의하여 허리 측면 부위를 감싸는 측면 쿠션으로 인체의 흔들림을 완충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체 공학적인 구조의 쿠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More specifically, the cushioning material is used as a cushion material at the waist position of the chair back portion, and the side cushion that surrounds the waist side part by the human body pressure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cushion can cushion and support the shaking of the human body. It relates to a cushion of the ergonomic structure made.
본 고안은 의자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쿠션의 장점을 갖으면서도 인체의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 줄 수 있도록 이루어 사용이 간편하고 허리를 편안하게 유지하는 쿠션을 제공하며, 허리 부분의 쿠션 기능은 물론 허리의 측면 부분을 감싸 지지하도록 이루어 자동차와 같은 흔들림이 발생하는 의자에 있어 인체를 편안하게 하며 실내 의자에서는 사용자의 자세를 곧게 유지하는 쿠션을 제공하고자, 직물 외피로 이루어지며 허리를 지지하며 완충재가 충진된 허리쿠션부(10)와, 허리 쿠션부 양단에 공간적으로 독립하여 연장된 옆구리 쿠션부(20), 허리 쿠션부 상부에 일체로 이루어지며 양단의 옆구리 쿠션부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연결부(40)를 포함하여 각 쿠션부 내부에 완충 충진재(30)를 내장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hion that is easy to use and keeps the waist comfortable while having the advantages of a cushion independently made from the chair, and comfortably supports the waist. It is wrapped around the side to support the human body in a chair that shakes like a car and provides a cushion to keep the user's posture straight. It includes a waist cushion portion 10, a side cushion cushion portion 20 extending spatially independent of both ends of the waist cushion portion,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ist cushion portion, and a connection portion 40 for preventing the flank cushion portions from opening at both end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filling material 30 is built into each cushion unit.
Description
본 고안은 쿠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자 등받이 부분의 허리 위치에 쿠션 소재로 사용하면서 쿠션 중심부에 가해지는 인체 압력에 의하여 허리 측면 부위를 감싸는 측면 쿠션으로 인체의 흔들림을 완충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인체 공학적인 구조의 쿠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shion. More specifically, the cushioning material is used as a cushion material at the waist position of the chair back portion, and the side cushion that surrounds the waist side part by the human body pressure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cushion can cushion and support the shaking of the human body. It relates to a cushion of the ergonomic structure made.
일반적으로 의자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에는 허리 지지용 쿠션을 사용하여 본 경험이 많을 것이다.In general, a user using a chair will have a lot of experience using a cushion for back support.
가정의 책상용 의자, 소파, 사무용 의자, 자동차의 의자 등 사용자 들이 앉아 생활하는 의자는 매우 다양하다.There are many chairs where users sit and live, such as desk chairs, sofas, office chairs, and car chairs in their homes.
상기와 같은 다양한 의자에 사용하기 위하여 제안된 쿠션들은 매우 다양하다.Cushions proposed for use in such various chairs are very diverse.
상기 쿠션들을 대별하면 의자와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사용시 허리에 받혀 사용하는 것과, 의자에 내장되어 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The cushions can be classified into ones that are made independently of the chair and are used by being supported by the waist during use, and are integrally built into the chair.
의자와 독립적으로 이루어진 주지된 쿠션으로서는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일정한 두께의 완충재(솜, 스폰지 몰드재 등)를 충진하여 이루어 쿠션 또는 간이 베개로 이용하는 것이 있었다.As a well known cushion made independently of a chair, a cushion or a simple pillow was formed by filling a buffer material (cotton, sponge mold material, etc.) of a constant thickness inside the rectangle or circle.
그러나 이러한 주지의 쿠션은 짧은 시간 자세를 바꾸어 사용하는 정도의 쿠션재로서는 이용이 가능하지만 그 쿠션은 중심부가 높고 바깥둘레가 낮은 형태의 봉재물이어서 허리를 "S"자 곡선으로 유지하기는 하지만 허리가 양측으로 치우치는 것에 취약하여 장시간 사용하면 허리가 어는 한쪽의 측방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오히려 앉은 자세를 불안정하게 하여 허리의 불편함이 가중된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se well-known cushions can be used as a cushioning material that is used by changing a short time posture, but the cushion is a high-centered material with a low outer circumference. It is vulnerable to bias toward both sides, so if you use it for a long time, the waist is leaned to one side of the freezing side, so it is unstable to posture, which increases the discomfort of the waist.
이러한 쿠션은 인체의 공학적인 배려를 통한 편안함과 의학적 측면의 안정된 허리 상태를 만들어 주지 못하는 것이다.These cushions do not create a comfortable waist state of comfort and medical aspects through engineering consideration of the human body.
한편 독립된 쿠션 중에는 허리와 맞닿는 일표면을 만곡의 면으로 형성하여중심부보다 양측이 외향 돌출되도록 일체의 몰드를 내장하여 이루어진 쿠션이 있으나 이는 허리와 의자 사이의 공간을 채워주는 기능뿐 안락한 쿠션으로서 기능하지 못하고 있으며, 의자의 허리 부분이 돌출되어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러한 쿠션을 지나치게 허리를 돌출되게 하므로 오히려 사용시 불편함이 가중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mong the independent cushions, there is a cushion formed by forming a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waist as a curved surface so that both sides protrude outward from the center portion, but this is a function that fills the space between the waist and the chair. If the waist portion of the chair is made to protrude, the cushion is excessively protruding from the waist, thus increasing the inconvenience of use.
이는 몰드의 변형 한계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deformation limit of the mold.
물론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독립적인 쿠션이 있으나 이들은 모두 사용자의 허리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편안하게 받쳐주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Of course, there are various types of independent cushions, but these all have disadvantages of not being able to comfortably support the user's waist even for a long time.
참조될 수 있는 선행 기술로서는 실용 공개 제 97-51407호, 제 97-36456호 등이 있다.Prior art that can be referred to includes Practical Publication Nos. 97-51407, 97-36456, and the like.
한편, 의자에 내장되어 일체화 되거나 또는 의자에 고정하여 사용하는 쿠션의 경우에는 쿠션을 이루는 공간적인 제약이 작으므로 진동 마사지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부가하고 있기는 하지만 보편적인 의자에 적용하기에는 곤란한 문제가 있으며 구동 에너지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구입 및 유지 보수비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cushion that is integrated into a chair or fixed to a chair, since the spatial constraints of the cushion are small, various functions such as vibration massage are added, but there are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apply to a general chair. Since the driving energy must be used, the purchase and maintenance cost is high.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쿠션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cush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object.
본 고안은 의자와 별도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쿠션의 장점을 갖으면서도 인체의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 줄 수 있도록 이루어 사용이 간편하고 허리를 편안하게 유지하는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hion that is easy to use and maintains the waist comfortably while having the advantage of a cushion made independently from the chair, while comfortably supporting the waist of the human body.
본 고안은 허리 부분의 쿠션 기능은 물론 허리의 측면 부분을 감싸 지지하도록 이루어 자동차와 같은 흔들림이 발생하는 의자에 있어 인체를 편안하게 하며 실내 의자에서는 사용자의 자세를 곧게 유지하는 쿠션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hion to support the side of the waist as well as cushioning of the waist portion to make the human body comfortable in the chair that shakes like a car, and provides a cushion to keep the user's posture straight in the indoor chair.
본 고안은 자유 자재로 변형이 가능하여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변형되어 기능하는 쿠션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shion that can be freely deformed, easy to store and use, and temporarily deformed by use.
상기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허리를 지지하며 완충재가 충진된 허리쿠션부와, 허리 쿠션부 양단에 공간적으로 독립하여 연장된 옆구리 쿠션부, 허리 쿠션부 상부에 일체로 이루어지며 양단의 옆구리 쿠션부의 벌어짐을 방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의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realize the above object is to support the waist and the cushion filled with the back cushion portion, and the side cushion cushion portion extended spatially independent of both ends of the waist cushion portion, the side of the upper cushion portion is made integrally It is made by including a connecting portion for preventing the opening of the cushion portion.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로서의 외형 사시도.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as a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횡단면 구성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3 is a schematic use state diagra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변형 실시예로서의 외형 사시도.4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변형 실시예로서의 배면 상태도5 is a back state as another modifi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 : 허리 쿠션부 20 : 옆구리 쿠션부10: waist cushion portion 20: side cushion portion
30 : 완충 충진재 40 : 연결부30: buffer filler 40: connection
50 : 결속부재 60 ; 지퍼50: binding member 60; zipp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기술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본다.It looks at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은 본 고안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쿠션의 외형 사시도이며, 도 2 는 동 횡 방향의 단면 상태도를, 도 3은 사용상태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Figure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cushion showing a bas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state diagram in the transverse direction, Figure 3 shows a state of use, respectively.
본 고안의 쿠션은 직물 외피로 이루어지며 인체의 허리를 지지하기 위한 상광 하협 형태로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허리 쿠션부(10)와 상기 허리 쿠션부와 봉제선으로 구획하여 충진재 공간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양단에 마련한 옆구리 쿠션부(20)와 상기 쿠션부(10, 20)에 완충 충진재(30)를 충진하여 이루되 상기 허리 쿠션부(10)의 하부는 내향 만곡하여 이루어진다.The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fabric outer shell and divided into a waist cushion portion 10 and a waist cushion portion and a seam line positioned at a central portion in the form of a normal light lower strait to support the waist of the human body, so that the filling space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illing the side cushion portion 20 and the cushion portion (10, 20)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uffer filler 30 is filled, but the lower portion of the waist cushion portion 10 is made by bending inward.
한편, 상기 허리 쿠션부(10)의 상부에는 허리 쿠션부와 일체의 직물 외피로이루어지며 허리 쿠션부 양단의 옆구리 쿠션부(20)의 벌어짐을 방지하도록 옆구리 쿠션부(20)를 연결하는 연결부(40)를 봉제선으로 구획하여 이루되 충진재를 배제하여 신축을 규제하도록 이루어 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portion of the waist cushion portion 10 is made of a fabric covering integral with the waist cushion portion and the connecting portion for connecting the side cushion portion 20 to prevent the flank of the side cushion portion 20 at both ends of the waist cushion portion ( 40) can be made by dividing the seam to regulate the expansion by excluding the filler.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상기 직물 외피로 이루어지는 쿠션은 허리가 위치하는 중앙 부분에 상광 하협 형태를 갖도록 허리 쿠션부(10)를 이루고 허리 쿠션부 하부는 중심부로 내향 만곡하여 충진재(30)를 충진하여 볼록하게 이루어져 있다.The cushion made of the outer skin of the fabric forms a waist cushion 10 so as to have a form of a lower light in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waist is locat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aist cushion is curved inward to the center to fill the filler 30 to be convex.
상기 내향 만곡된 부분은 쿠션이 세워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쿠션 외측으로 위치하게 하여 허리 쿠션부(10)가 허리에 지지될 때 인체 척추를 "S" 형태로 편안하게 받쳐주는 작용을 한다.The inwardly curved portion serves to support the human spine comfortably in the form of "S" when the waist cushion portion 10 is supported by the waist by positioning the hip portion of the user outside the cushion in a standing state of the cushion.
또한, 상광 하협의 형태를 이룸으로서 양단에 위치되는 옆구리 쿠션부(20)의 내향 위치 변형을 도우며 엉덩이는 긴밀하게 잡아주고 옆구리는 약간의 활동성을 보장하는 작용을 이루게 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shape of the ordinary light strait to help the inward position deformation of the side cushion portion 20 is located at both ends while holding the hips tightly and the side flank is to ensure a little activity.
한편, 상기 허리 쿠션부(10) 양단에 봉재선으로 분리된 충진재 공간을 갖는 옆구리 쿠션부(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쿠션을 받쳐놓고 앉게되면 사용자의 신체 하중에 의하여 허리 쿠션부(10)의 중심부가 압박되면서 양단의 옆구리 쿠션부(20)는 사용자의 옆구리 부분으로 즉, 전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면서 사용자의 옆구리를 지지하게 작용한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cushion portion 20 having a filler space spaced at both ends of the waist cushion portion 10 is separated by a sewing line as shown in FIG. While pressing the center of the (10) side flank cushion portion 20 of the user's flank portion, that is, while moving in the forward direction to support the side flank of the user.
이와 같은 사용 자세는 엉덩이는 빠지고 허리를 밀어 넣어 지지하며 옆구리 양쪽을 받쳐주는 형태로의 변형이 이루어지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편안하게 지지하는 것이다.This use posture is to support the user's waist comfortably while the hips fall out and push the waist to support and the deformation of the side to support the sides.
여기서, 종전과 같이 옆구리 부분을 단순히 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만곡시켜 이루는 경우에서는 허리의 불편함과 사용자 신체 특성에 따른 가변성이 떨어져 모든 사용자에게 친숙하게 적용될 수 없는 단점이 발생되게 되나, 본 고안은 허리 쿠션부에 작용하는 압박 정도에 따라 그 양단의 옆구리 쿠션부가 위치 변형되므로 사용자의 신체 특성이나 사용 습관에 따라 편안하게 허리를 받쳐주는 작용을 이루게 된다.Here, in the case of forming the curved side by simply protruding the flanks in the front direction as before, the disadvantages occur due to the inconvenience of the waist and the variability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haracteristics, which cannot be applied to all users. According to the degree of pressure acting on the waist cushion portion, the side cushion portions at both ends of the position is deform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mfortably support the waist according to the user's physical characteristics or usage habits.
물론 허리 쿠션부(10)와 옆구리 쿠션부(20)가 구획되지 아니하고 공간적으로 일체를 이루어 단일의 충진재가 내장된다면 이러한 작용을 얻을 수 없을 것이다.Of course, if the waist cushion portion 10 and the side cushion portion 20 is not partitioned and are integrally formed in a single filler to be built, this action will not be obtained.
한편, 본 고안의 옆구리 쿠션부(20)는 허리 쿠션부(10)로부터 구획된 공간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고 그 공간 내부에는 완충 충진재(30)가 충진되므로 필요 이상으로 외향 신장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허리 쿠션부(10) 상부에 충진재를 내장하지 아니하며 양단의 옆구리 쿠션부(20)의 상부 일단과 연결되는 연결부(40)을 이루는 경우 충진재가 내장되지 아니하여 직물 외피 고유의 신장 계수 이상으로는 신장되지 아니하므로 옆구리 쿠션부의 늘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ide cushion portion 2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to be connected to the space partitioned from the back cushion portion 10 and the inside of the space is filled with a buffer filler 30 can be extended outwards more than necessary to prevent this If the filler does not have a built-in filler on the upper back cushion portion 10, and when forming a connecting portion 40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side cushion portion 20 of both ends, the filler is not built-in due to the inherent elongation coefficient of the fabric outer As it is not extended, it is possible to prevent sagging of the side cushion portion.
상기 본 고안에 각 쿠션부(10, 20)에 내장하는 완충 충진재(30)는 솜을 충진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스폰지와 같은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일정 외형으로 성형한 몰드 소재를 내장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ing filler 30 embedded in each of the cushion units 10 and 20 is most preferably filled with cotton, and may be formed by embedding a mold material molded into a certain shape using a synthetic resin such as a sponge. .
또한, 본 고안의 쿠션은 촉감이 좋은 직물 외피로 이루어지며 특별히 한정하지는 아니하지만 동절기에는 짧은 털을 갖는 직물 외피가 선택될 수 있고, 하절기에는 까칠한 촉감의 직물 외피가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good feel of the outer fabric and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winter, a short outer sheath can be selected, and in the summer can be selected in a rough skin feel.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 4 도시의 변형 실시예와 같이 변형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by modifying the modified embodiment shown in FIG.
이는 상기 쿠션에 있어서, 허리 쿠션부(10)와 옆구리 쿠션부(20)를 분리하여 이루고, 허리 쿠션부(10)의 양 측면 및 이에 대향하는 옆구리 쿠션부(20)의 측면부에 결속과 분리가 가능한 결속 부재(50)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In the cushion, it is made by separating the waist cushion portion 10 and the side cushion portion 20, and the binding and separation of the sides of the waist cushion portion 10 and the side portions of the side cushion portion 20 opposite thereto The binding member 50 is form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결속 부재라 함은 매직 밴드, 슬라이드 파스너, 스냅 단추 등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The binding member may be variously selected such as a magic band, a slide fastener, a snap button, and the like.
이와 같이 허리 쿠션부(10)와 옆구리 쿠션부(20)를 분리 구성하여 결속 부재(50)로서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설명한 작용은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타 용도로서 나누어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유용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back cushion portion 10 and the side cushion portion 20 are separately configured to be used as the binding member 50,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nd is useful when it is intended to be divided into other uses. It can be chosen.
또한, 본 고안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쿠션부(10, 20)를 개폐하는 지퍼(60)를 부가하여 충진재(30)를 빼내고 쿠션 외피를 세탁 가능하도록 마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a zipper 60 that opens and closes each cushion unit 10 and 20 may be added to remove the filler 30 and wash the cushion envelope.
본 고안을 서술하는 과정에서의 모든 실시예에서는 허리 쿠션부의 높이에 비해 양단의 옆구리 쿠션부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양 옆구리를 감싸않는 인체 공학적인 구조를 이루도록 한다.In all embodiments in the process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o form a height of the sides of the cushion cushion portion at both ends relative to the height of the waist cushion portion to achieve an ergonomic structure that does not surround the user's sides.
이상에서 상세하게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의자와 별도로 독립적으로이루어지는 쿠션의 장점을 갖으면서도 인체의 허리를 편안하게 받쳐 주는 효과가 있고, 허리 부분의 쿠션 기능은 물론 허리의 측면 부분을 감싸 지지하도록 이루어 자동차와 같은 흔들림이 발생하는 의자에 있어 인체를 편안하게 하며 실내 의자에서는 사용자의 자세를 곧게 유지하여 신체의 이상 발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자유 자재로 변형이 가능하여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변형되어 기능하므로 인체 공학적인 쿠션 기능을 제공하는 등의 여러 효과를 갖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has the effect of comfortably supporting the waist of the human body while having the advantage of a cushion that is made independently from the chair, made of cushioning of the waist portion as well as supporting the side of the waist portion In the chair that shakes like a car, it makes the human body comfortable. In the indoor chair, the user's posture is kept straight so that the abnormal development of the body can be suppressed. It is a very practical design with several effects, such as providing a ergonomic cushion function because it is temporarily transformed by the func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4258U KR200313925Y1 (en) | 2003-02-13 | 2003-02-13 | A cush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04258U KR200313925Y1 (en) | 2003-02-13 | 2003-02-13 | A cushion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13925Y1 true KR200313925Y1 (en) | 2003-05-22 |
Family
ID=49407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04258U KR200313925Y1 (en) | 2003-02-13 | 2003-02-13 | A cush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13925Y1 (en)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2635Y1 (en) * | 2010-02-26 | 2011-03-10 | 김광현 | Feeding Cushions |
KR200471527Y1 (en) | 2012-10-19 | 2014-02-27 | 김용언 | Dual cushion for supporting lumbar vertebra |
KR101556496B1 (en) * | 2015-05-25 | 2015-10-02 | 엄윤수 | waist supporter |
KR200478751Y1 (en) | 2015-07-15 | 2015-11-12 | 오수현 | Lumbar support |
KR20220088179A (en) * | 2020-12-18 | 2022-06-27 | 이나래 | Cushion for nursing |
-
2003
- 2003-02-13 KR KR20-2003-0004258U patent/KR200313925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52635Y1 (en) * | 2010-02-26 | 2011-03-10 | 김광현 | Feeding Cushions |
KR200471527Y1 (en) | 2012-10-19 | 2014-02-27 | 김용언 | Dual cushion for supporting lumbar vertebra |
WO2014061851A1 (en) * | 2012-10-19 | 2014-04-24 | Kim Yong Eun | Lumbar vertebra supporting dual cushion |
KR101556496B1 (en) * | 2015-05-25 | 2015-10-02 | 엄윤수 | waist supporter |
KR200478751Y1 (en) | 2015-07-15 | 2015-11-12 | 오수현 | Lumbar support |
KR20220088179A (en) * | 2020-12-18 | 2022-06-27 | 이나래 | Cushion for nursing |
KR102520326B1 (en) | 2020-12-18 | 2023-04-11 | 이나래 | Cushion for nurs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437070A (en) | Multiple use pillow | |
KR20170002198U (en) | Functional cervical vertebra and wing pillow | |
KR200313925Y1 (en) | A cushion | |
KR200485147Y1 (en) | Cervical pillow | |
KR101480045B1 (en) | Deformable cushion with stretch material | |
KR101977730B1 (en) | Bedding having different cushion feeling | |
KR20100092302A (en) | Memory foam pillow for health | |
KR20110012265A (en) | Cervical vertebrae pillow fabricated by three dimensional sewing | |
KR20090009526U (en) | Cushion | |
JP3111334U (en) | Good sleep pillow | |
KR200460471Y1 (en) | seat board of chair | |
KR101837910B1 (en) | Functional Pillow | |
KR20040101584A (en) | Multi-hardness and elastomer of Health pillow for control of Height | |
KR200337702Y1 (en) | A pillow | |
KR200255644Y1 (en) | A combined board to sit on and cushion of ergomechanics design | |
KR200389046Y1 (en) | A pillow using super-particles of air bead | |
KR101905336B1 (en) | Pillow | |
KR100665859B1 (en) | Arm pillow | |
CN218127934U (en) | Back-lying neck protection pillow | |
KR200233455Y1 (en) | Pillow | |
KR101616208B1 (en) | A pillow | |
KR200372638Y1 (en) | Folding mattress | |
KR102221517B1 (en) | Improved bed mattress with lumbar reinforcement structure | |
CN217730286U (en) | Novel memory cotton headrest | |
KR200211509Y1 (en) | A Sofa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510 Year of fee payment: 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