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8164Y1 -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 - Google Patents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8164Y1
KR200308164Y1 KR20-2003-0000037U KR20030000037U KR200308164Y1 KR 200308164 Y1 KR200308164 Y1 KR 200308164Y1 KR 20030000037 U KR20030000037 U KR 20030000037U KR 200308164 Y1 KR200308164 Y1 KR 2003081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ective
rice
defective rice
solenoid valve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00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화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스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스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스캔
Priority to KR20-2003-0000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81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81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81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5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of granular material, e.g. ore particles, gr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1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a code applied to the object which indicates a property of the object, e.g. quality class, contents or incorrect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07C5/362Separating or distributor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3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by means of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18Sorting the articles during free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81Sorting of food items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차 불량미 선별부(不良米 選別部)의 기능과 2차 불량미 선별부(不良米 選別部)의 기능이 모두 정상(正常)의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실시간(real time)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한 미립 색채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의 미립 색채 선별 장치는 비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경우 실시간으로 그 비정상적 상태를 파악하여 대처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고, 본 고안은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1차 불량미 선별부(不良米 選別部)와 2차 불량미 선별부(不良米 選別部)로 이루어진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에 있어서, 1차 불량미 선별부에서 제1 미립 공급 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불량미(不良米)의 갯수를 계수하여 소정의 수치로 표시하도록 제1 계수기(計數器, counter)와 제1 표시기가 구비되고, 2차 불량미 선별부의 제2 미립 공급 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불량미의 갯수에 따른 "제2 전자 밸브의 구동 신호의 인가 회수"를 계수하여 1차 불량미 선별부에서의 "1차 불량미 선별율"을 소정의 수치로 표시하도록 제2 계수기(計數器, counter)와 제2 표시기가 구비되고, 아울러 2차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에 의하여 선별되는 불량미의 갯수를 계수하여 2차 불량미 선별부에서의 "2차 불량미 선별율"을 소정의 수치로 표시하도록 제3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과, 제3 신호 처리 수단과 제3 계수기(計數器, counter)와 제3 표시기가 구비되고, 그 비교 및 연산을 위하여중앙처리장치(CPU)가 구비된 미립 색채 선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1 표시기의 표시된 수치와 제2 표시기의 표시된 수치와 제3 표시기의 표시된 수치를 보아서, 1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과, 2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이 각각 정상(正常)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실시간(real time)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고, 또한 1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과 2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이 정상(正常)의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정상(正常)의 상태가 아닌 부분을 실시간(real time)으로 쉽게 알아, 전자 밸브 구동의 지연(遲延) 시간(delay time)의 필요한 조절 등으로 실시간(real time)으로 용이하게 대처함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Rice-selecting device by color light intensity}
본 고안은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차 불량미 선별부(不良米 選別部)에서의 1차 불량미 선별율(不良米 選別率)과, 2차 불량미 선별부(不良米 選別部)에서의 2차 불량미 선별율(不良米 選別率)을 실시간(real time)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함으로써,
본 고안의 사용자가 1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과 2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이 모두 정상(正常)의 상태로서 유지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실시간(real time)으로 쉽게 알수 있도록 된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서의 미립 색채 선별 장치는 통상의 미립 공급 수단과,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과, 신호 처리 수단과,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의 4부분으로 구성되어, ① 시각(視覺)에 의하여 혼합미 중 양품미쪽과 불량미쪽에서의 선별 상태의 분석을 각각 행하면서,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새로이 각 구성 수단의 조정을 행한 후,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었고, ②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미리 불량미의 혼입율이 알려진 원료미를 흘려, 불량미 선별율과 불량미 농도를 분석하여, 정해진 선별 상태가 되도록, 배경판과, 감도와, 전자 밸브 구동을 위한 지연 시간과, 유량을 조정하고 있었고, ③ 또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미립 색채 선별 장치의 운전 중에 혼합미를 샘플링(sampling)하여 사람 손에 의하여 분석하고 계량(計量)하여 그 불량미 혼입률이나 불량미 선별률을 산출하였으나,
상기 ① 내지 ③의 어느 방식에 있어서도, 광원의 광량, 배경판의 밝기, 주위 온도, 전원 전압의 변화 등과,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의 오염, 전자 밸브의 구동 상태, 공기 분사 노즐의 공기압, 분사 방향, 공기의 퍼짐 현상 등 여러 변동 요인으로 인하여 선별 상태를 장시간에 걸쳐 일정한 적정 수준으로 유지됨을 보증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실시간(實時間)의 현재 상태로 즉, 리얼 타임(real time)으로 불량미의 선별 상태를 감시함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1차 불량미 선별부(不良米 選別部)와 2차 불량미 선별부(不良米 選別部)로 이루어진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에 있어서, 1차 불량미 선별부에서 제1 미립 공급 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불량미(不良米)의 갯수에 따른 "제1 전자 밸브의 구동 신호의 인가 회수"를 계수하여 소정의 수치로 표시하도록 제1 계수기(計數器, counter)와 제1 표시기가 구비되고, 2차 불량미 선별부에서 제2 미립 공급 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불량미의 갯수에 따른 "제2 전자 밸브의 구동 신호의 인가 회수"를 계수하여 1차 불량미 선별부에서의 "1차 불량미 선별율"을 소정의 수치로 표시하도록 제2 계수기(計數器, counter)와 제2 표시기가 구비되고, 아울러 2차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에 의하여 선별되는 불량미의 갯수를 계수하여 2차 불량미 선별부에서의 "2차 불량미 선별율"을 소정의 수치로 표시하도록 제3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과 제3 신호 처리 수단과 제3 계수기(計數器, counter)와 제3 표시기가 구비되고, 그 비교 및 연산을 위하여 중앙처리장치(CPU)가 구비된 구성으로써,
사용자가 제1 표시기의 표시된 수치와 제2 표시기의 표시된 수치와 제3 표시기의 표시된 수치를 보아서, 1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과, 2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이 각각 정상(正常)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실시간(real time)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고, 또한 1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과 2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이 정상(正常)의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정상(正常)의 상태가 아닌 부분을 실시간(real time)으로 쉽게 알아, 전자 밸브 구동의 지연(遲延) 시간(delay time)의 필요한 조절 등으로 실시간(real time)으로 용이하게 대처함이 가능하도록 된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개략적으로 보인 종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3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의 구성 및 작용을 보인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회로의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면에서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불량미(不良米), 2 : 양품미(良品米), 3 : 원료미(原料米),
100 : 1차 불량미 선별부(不良米 選別部),
110 : 제1 미립(米粒) 공급 수단, 111 : 제1 피더(feeder, 입자 공급 장치), 112 : 제1 슈트(chute, 입자 활강로(粒子 滑降路)),
120 : 제1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 121 : 제1 광원(光源),
122 : 제1 광센서(光 sensor)(즉,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122-a : 렌즈, 123 : 제1 배경판(背景板),
125 : 낙하 유로
130 : 제1 신호 처리 수단, 131 : 증폭 회로,
132-1, 132-2 : 비교 회로, 132-1-a, 132-2-a : 설정기,
133 : 오알(OR) 회로,
134 : 원셧 멀티바이브레이터 (one shot multivibrator)(단안정(單安定) 멀티바이브레이터),
135 : 지연(遲延) 회로,
140 : 제1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不良米 選別 除去 手段), 141 :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로, 142 : 제1 전자 밸브(電磁 valve), 143 : 제1 공기(air) 분사 노즐(nozzle)
150 : 제1 계수기(計數器), 160 : 제1 표시기,
200 : 2차 불량미 선별부(不良米 選別部),
210 : 제2 미립(米粒) 공급 수단, 211 : 제2 피더(feeder, 입자 공급 장치), 212 : 제2 슈트(chute, 입자 활강로(粒子 滑降路)),
220 : 제2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 221 : 제2 광원(光源),
222 : 제2 광센서(光 sensor)(즉,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222-a : 렌즈, 223 : 제2 배경판(背景板),
225 : 낙하 유로
230 : 제2 신호 처리 수단, 231 : 증폭 회로,
232-1, 232-2 : 비교 회로, 232-1-a, 232-2-a : 설정기,
233 : 오알(OR) 회로,
234 : 원셧 멀티바이브레이터 (one shot multivibrator)(단안정(單安定) 멀티바이브레이터),
235 : 지연(遲延) 회로,
240 : 제2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不良米 選別 除去 手段), 241 :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로, 242 : 제2 전자 밸브(電磁 valve), 243 : 제2 공기(air) 분사 노즐(nozzle),
250 : 제2 계수기, 260 : 제2 표시기,
320 : 제3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 321 : 제3 광원(光源),
322 : 제3 광센서(光 sensor)(즉,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322-a : 렌즈, 323 : 제3 배경판(背景板),
325 : 낙하 유로
330 : 제3 신호 처리 수단, 331 : 증폭 회로,
332-1, 332-2 : 비교 회로, 332-1-a, 332-2-a : 설정기
333 : 오알(OR) 회로,
350 : 제3 계수기, 360 : 제3 표시기
500 : 중앙처리장치(CPU),
A : 제1 슈트(112),
B : 1차 선별된 양품미 배출구,
C : 제2 슈트(212) 또는 1차 선별된 불량미 배출구,
D : 2차 선별된 양품미 배출구,
E : 2차 선별된 불량미 낙하 유로(325) 또는 2차 선별된 불량미 배출구,
Z : 1차 선별 혼합미, TR : 트랜지스터.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불량미(不良米)(1)[즉, 양품미(良品米)(2) 중 가장 어두운 양품미(2)의 소정의 밝기 보다 어둡게 착색된 불량미(1)(이하, "어두운 불량미(1)"라고 함)와, 양품미(2) 중 가장 밝은 양품미(2)의 소정의 밝기 보다 밝게 착색된 불량미(1)(이하, "밝은 불량미(1)"라고 함)임]가 원료미(原料米)(3)의 총량(總量)[즉, 총중량(總重量) 또는 총 갯수]에 대하여 소정의 불량미 혼입율(混入率)[즉, "불량미의 중량(또는 갯수)/원료미의 총 중량(또는 총 갯수)"의 비율]로 혼입되어 존재하는 원료미(原料米)(3)를 제1 피더(feeder, 입자 공급 장치)(111)와 제1 슈트(chute, 입자 활강로(粒子 滑降路))(112)로 제1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不良米 檢出 光學 手段)(120)에 공급하는 제1 미립(米粒) 공급 수단(110)과,
원료미(3) 중에 혼입되어 있는 불량미(不良米)(1)를 선별 검출 가능하도록 제1 광원(光源)(121)과 제1 광센서(光 sensor)(122)와 렌즈(122-a)와 제1 배경판(背景板)(123)을 구비한 제1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120)과,
상기 제1 광센서(12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로(141)와 제1 전자(電磁) 밸브(valve)(142)를 구동시키도록 증폭 회로(131)와, 비교 회로(132-1)(132-2)와, 설정기(132-1-a)(132-2-a)와, 오알(OR) 회로(133)와, 원셧 멀티바이브레이터(one shot multivibrator)(단안정(單安定) 멀티바이브레이터)(134)와, 지연(遲延) 회로(135)를 구비한 제1 신호 처리 수단(130)과,
낙하 유로(落下 流路)(125)를 통과하는 불량미(不良米)(1)를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로(141)와 제1 전자 밸브(142)와 제1 공기(air) 분사 노즐(nozzle)(143)로 선별 제거하는 제1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不良米 選別 除去 手段)(140)으로 이루어진 1차 불량미 선별부(不良米 選別部)(100)와;
2차로 불량미(1)의 선별 제거를 위하여,
상기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 의하여 일단(一旦) 불량미(1)로서 선별되었으나 이 선별된 불량미(1)에 아직 양품미(良品米)(2)가 혼입되어 있는 혼합미(混合米)(Z)[이하, "1차 선별 혼합미(Z)"라고 함]를 제2 피더(feeder)(211)와 제2 슈트(chute)(212)로 제2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不良米 檢出 光學 手段)(220)에 공급하는 제2 미립(米粒) 공급 수단(210)과,
상기 "1차 선별 혼합미(Z)" 중에 혼입되어 있는 불량미(不良米)(1)를 선별 검출 가능하도록 제2 광원(光源)(221)과 제2 광센서(光 sensor)(222)와 렌즈(222-a)와 제2 배경판(背景板)(223)를 구비한 제2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220)과,
상기 제2 광센서(22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로(241)와 제2 전자(電磁) 밸브(valve)(242)를 구동시키도록 증폭 회로(231)와, 비교 회로(232-1)(232-2)와, 설정기(232-1-a)(232-2-a)와, 오알(OR) 회로(233)와, 원셧 멀티바이브레이터(one shot multivibrator)(단안정(單安定) 멀티바이브레이터)(234)와, 지연(遲延) 회로(235)를 구비한 제2 신호 처리 수단(230)과,
낙하 유로(225)를 통과하는 불량미(1)를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로(241)와 제2 전자 밸브(242)와 제2 공기(air) 분사 노즐(nozzle)(243)로 선별 제거하는 제2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不良米 選別 除去 手段)(240)으로 이루어진 2차 불량미 선별부(200)로 이루어진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에 있어서;
상기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상기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에 의하여 소정 시간 동안에 공급되어 상기 낙하 유로(125)를 통과하는 불량미(不良米)(1)의 갯수[이하, "원래의 불량미 갯수"라고 함]에 따른 상기 광센서(122)로부터의 불량미(1)의 선별 검출의 신호의 갯수에 따른, 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로(141) 및 상기 제1 전자 밸브(142)를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제1 신호 처리 수단(130)으로부터의 제1 전자 밸브 구동 신호의 인가 회수(印加 回數)[이하, "제1 전자 밸브구동 회수"라고 함]를 계수(計數, count) 가능하도록 된 제1 계수기(計數器, counter)(150)와;
이 제1 계수기(150)로 계수된 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를, 중앙처리장치(CPU)(500)에 의하여 연산하여, 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로 표시하는 제1 표시기(1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2차 불량미 선별부(200)의 상기 제2 미립 공급 수단(210)에 의하여 상기 소정 시간 동안에 공급되어 낙하 유로(落下 流路)(225)를 통과하는 불량미(不良米)(1)의 갯수[즉, 상기 "1차 선별 혼합미(Z)" 중 불량미(1)의 갯수]에 따른 상기 광센서(222)로부터의 불량미(1)의 선별 검출의 신호의 갯수에 따른, 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로(241) 및 상기 제2 전자 밸브(242)를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제2 신호 처리 수단(230)으로부터의 제2 전자 밸브 구동 신호의 인가 회수(印加 回數)[이하,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라고 함]를 계수(計數, count) 가능하도록 된 제2 계수기(計數器, counter)(250)와;
상기 제1 계수기(150)로 계수된 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와 상기 제2 계수기(250)로 계수된 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가 중앙처리장치(CPU)(500)에 의하여 비교 및 연산되어, "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의 값[즉, 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 분(分)의 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의 값][이하, "1차 불량미 선별율"이라고 함]을 이 "1차 불량미 선별율"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로 표시하는 제2 표시기(2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2차 불량미 선별부(200)의 상기 제2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240)에 의하여 선별되는 불량미(不良米)(1)를 선별 검출 가능하도록,
제3 광원(光源)(321)과 제3 광센서(光 sensor)(322)와 렌즈(322-a)와 제3 배경판(323)을 구비한 제3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320)과;
상기 2차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240)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에 선별되어 낙하 유로(325)를 통과하는 불량미(不良米)(1)의 갯수[이하, "2차 선별 불량미 갯수"라고 함]에 따른 상기 제3 광센서(322)로부터의 불량미(1)의 선별 검출의 신호의 갯수를 제3 계수기(350)가 계수(計數, count) 가능하도록 증폭 회로(331)와, 비교 회로(332-1)(332-2)와, 설정기(332-1-a)(332-2-a)와, 오알(OR) 회로(333)를 구비한 제3 신호 처리 수단(330)과;
상기 "2차 선별 불량미 갯수"를 계수(計數, count)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신호 처리 수단(330)으로부터의 불량미(1)의 선별 검출에 따른 신호의 갯수를 계수(計數, count) 가능하도록 된 제3 계수기(計數器, counter)(350)와;
상기 제2 계수기(250)로 계수된 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와 상기 제3 계수기(350)로 계수된 상기 "2차 선별 불량미 갯수"가 중앙처리장치(CPU)(500)에 의하여 비교 및 연산되어, "상기 2차 선별 불량미 갯수/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의 값[즉, 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 분(分)의 상기 "2차 선별 불량미 갯수"의 값][이하, "2차 불량미 선별율"이라고 함]을 이 "2차 불량미 선별율"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로 표시하는 제3 표시기(360)가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즉, 상기 "원래의 불량미 갯수"]를 이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로 상기 제1 표시기(160)에 표시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1차 불량미 선별율(選別率)"을 이 "1차 불량미 선별율"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로 상기 제2 표시기(260)에 표시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2차 불량미 선별율(選別率)"을 이 "2차 불량미 선별율"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로 상기 제3 표시기(360)에 표시하도록, 상기 비교 및 연산을 하는 중앙처리장치(CPU)(500)가 구비된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이다.
상기 지연 회로(135)(235)는 통상의 V-F(전압-주파수) 변환기와 통상의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구비한 통상의 구성이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상기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에 의한 상기 공급의 상기 "소정의 시간"과, 상기 제2 미립 공급 수단(210)에 의한 상기 공급의 상기 "소정의 시간"과, 상기 2차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240)에 의한 상기 선별의 상기 "소정의 시간"이 서로 같은 소정의 시간이지만, 그 각각의 시간대(時間帶)는 불량미(1)의 흐름에 따라 순차로 이어지는 시간대이다.
상기 제3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320)에서 상기 제2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240)으로부터 선별되는 불량미(1)의 낙하 유로(325)는 경사진 투명 유리(glass) 홈통 등 투명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표시기(160)에 표시되는 소정의 수치에서 정상 상태로 원료미(3)의 투입량인 하기 데이터 A를 조정 가능하도록, 피더(111)의 진동을 조절 가능하도록 된 통상의 원료미 공급량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이 구비된다.
상기 제2 표시기(260)에 표시되는 소정의 수치에서 정상 상태로 하기 "데이터 C/데이터 A"의 값을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광원(121)에 대한 제1배경판(123)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통상의 제1 서보 모터[그 도시는 생략함]와, 이 제1 서보 모터의 구동를 제어하는 통상의 제1 배경판 각도 제어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2 표시기(260)에 표시되는 소정의 수치에서 정상 상태로 하기 "데이터 C/데이터 A"의 값을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지연회로(135)에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로(141)와 제1 전자(電磁) 밸브(142)의 구동에 대한 지연시간을 조절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통상의 제1 지연시간 제어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이 구비된다[상기 조절을 위한 상기 수단들에 대한 회로적 연결의 도시는 생략함].
상기 제1 광원(121)의 밝기와, 상기 제2 광원(221)의 밝기와, 상기 제3 광원(321)의 밝기와, 이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제1 배경판(123)의 반사광의 밝기와, 상기 제2 배경판의 반사광(223)의 밝기와, 상기 제3 배경판(323)의 반사광의 밝기는, 평균적 양품미(2)의 반사광의 밝기와 서로 동일한 밝기로 구성되며, 양품미(2) 중 가장 어두운 양품미(2)의 소정의 밝기 보다 어두운 상기 "어두운 불량미(1)"는 배경판(123)(223)(323) 보다 어두워 불량미(1)로 검출 가능하며, 양품미(2) 중 가장 밝은 양품미(2)의 소정의 밝기 보다 밝은 상기 "밝은 불량미(1)"는 배경판(123)(223)(323) 보다 밝아 불량미(1)로 검출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과 같은 기술 내용이다.
상기 전자 밸브 구동 회로(141)(241)와 상기 전자 밸브(142)(242)의 구동을 위한 상기 지연(遲延) 시간은 상기 광센서(122)(222)의 각 광축으로부터 공기 분사 노즐(143)(243)까지의, 낙하 유로(125)(225)에서의, 불량미(1)의 낙하 시간에 따른지연 시간으로서 통상의 기술에 따른 기술 내용과 같다.
상기 "1차 선별 혼합미(Z)"는, 도1의 "T" 표시와 같이, 상기 2차 불량미 선별부(2)의 상기 제2 불량미 공급 수단(210)으로 자동 이송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3 표시기(360)에 표시되는 소정의 수치에서 정상 상태로 하기 "데이터 E/데이터 C"의 값을 조절 가능하도록, 상기 제2 광원(221)에 대한 제2 배경판(223)의 각도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서보 모터[그 도시는 생략함]의 구동를 제어하는 제2 배경판 각도 제어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제3 표시기(360)에 표시되는 소정의 수치에서 정상 상태로 하기 "데이터 E/데이터 C"의 값을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지연회로(235)에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제2 전자(電磁) 밸브에 대한 지연시간을 조절하여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지연시간 제어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이 구비된다[상기 조절을 위한 상기 수단들에 대한 회로적 연결의 도시는 생략함].
상기 제1 표시기(160)에 표시되는 소정의 수치에서 정상 상태로 원료미(3)의 공급량인 하기 데이터 A를 조정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제2 표시기(260)에 표시되는 소정의 수치에서 정상 상태로 하기 "데이터 C/데이터 A"의 값을 조정 가능하며, 아울러 상기 제3 표시기(360)에 표시되는 소정의 수치에서 정상 상태로 하기 "데이터 E/데이터 C"의 값을 조정 가능하도록, 상기 원료미 공급량 조절 수단과, 상기 제1 배경판 각도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지연시간 제어 수단과, 상기 제2 배경판 각도 제어 수단과, 상기 제2 지연시간 제어 수단에 각각 전기회로적으로 연결되는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이 구성되며, 다른 실시예로서 그 자동제어가가능한 자동제어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센서(122)와 상기 제2 광센서(222)와 상기 제3 광센서(322)는, 불량미(1)의 더욱 정확한 선별 검출을 위하여,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 선별된 양품미(2)는, 도1의 "R" 표시와 같이,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 또다시 공급되어 불량미 선별 과정을 추가로 반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구성의 본 고안의 작용은 하기와 같다.
본 고안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122)(222)(322)를 원료미(3) 내지 불량미(1)의 상기 각각의 낙하 유로(流路)(125)(225)(325)에 설치하여, 이들 각각의 낙하 유로를 통과하는 불량미(1)의 갯수를, 광센서(122)(222)(322)로부터의 불량미(1)의 각각의 선별 검출의 신호에 따라, 계수 가능하여, 공급되는 원료미(3) 중의 소정의 시간 동안의 "원래의 불량미 갯수"와, "1차 불량미 선별율"과, "2차 불량미 선별율"을, 각각 제1 표시기(160)와 제2 표시기(260)와 제3 표시기(360)에 소정의 수치로 각각 표시 가능 하도록 하여, 1차 불량미 선별부(100)와 2차 불량미 선별부(100)가 정상적으로 구동하고 있는가를 실시간(real time)으로 판단함이 가능하며, 전자 밸브 구동 회로(141)(241)과 전자 밸브(142)(242)와 공기 분사 노즐(143)(243)의 구동을 위한 지연 시간(遲延 時間, delay time)을 조절하는 등의 필요한 조치를 실시간(real time)으로 용이하게 수동 제어, 또는 자동 제어로 행함이 가능하도록 된 것이다.
불량미 색채 선별 장치의 기능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불량미 혼입율(混入率)과, 불량미 선별율(選別率)(즉, 불량미 제거율(不良米 除去率))과, 불량미 농도를 아는 것이 필요하다.
우선, 불량미 혼입율은 원료미(3)의 총중량(總重量)(또는 총 갯수) 분(分)의 불량미(1)의 중량(重量)(또는 갯수)의 비율[즉, "불량미의 중량(또는 갯수)/원료미의 총 중량(또는 총 갯수)"의 비율, 즉 원료미의 총 중량(또는 총 갯수)에 대한 불량미의 중량(또는 갯수)의 비율]이다.
불량미 선별율은 원료미(3)[즉, 선별되기전의 불량미(1)와 양품미(2)의 혼합미(混合米)로서의 원료미(1)] 중의 "불량미(1)"의 중량(重量)(또는 갯수) 분(分)의 선별된 "불량미(1)"의 중량(重量)(또는 갯수)의 비율[즉, "선별된 불량미의 중량(또는 갯수)/원료미 중의 불량미의 중량(또는 갯수)"의 비율, 즉, 원료미 중의 불량미의 중량(또는 갯수)에 대한 선별된 불량미의 중량(또는 갯수)의 비율]이다.
불량미 농도는 일단(一旦) 불량미(1)로서 선별되었으나 이 불량미(1)에 아직 양품미(良品米)(2)가 혼입되어 있는 혼합미[즉, 선별된 불량미(1)와, 동 선별의 때에 불량미로서 잘못 선별된 양품미(2)의 혼합미, 이하, 이를 "선별 혼합미"라고 함]의 중량(重量)(또는 갯수) 분(分)의 선별된 불량미(1)의 중량(重量)(또는 갯수)의 비율[즉, "선별된 불량미의 중량(또는 갯수)/선별 혼합미의 중량(또는 갯수)"의 비율, 즉, 선별 혼합미에 대한, 선별된 불량미의 중량(또는 갯수)의 비율]이다.
통상은 상기 불량미 혼입률, 불량미 선별률, 불량미 농도는 그 중량비로 표시하거나, 그 미립(米粒)의 갯수의 비로 표시한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그 특정한 위치인 도1의 위치 A 내지 위치 E에 대하여, 이들 위치를 통과하는 불량미(1)의 갯수에 대한 각각의 데이터는, 이 모두의 위치에 대한 측정과, 그 내용과, 분석결과를 아는 것이 필요한데, 본 고안에서는 위치 A에서의 데이터와, 위치 C에서의 데이터와, 위치 E에서의 데이터를 아는 것 만으로써, 위치 A와, 위치 B, 위치 C, 위치 D, 위치 E에서의 각각의 데이터를 알 수 있다. 즉,
위치 A에서의 데이터 A 내지 위치 E에서의 데이터 E를 얻기 위하여, 측정점을 위치 A 내지 위치 E 전부로 한다면, 그 각각의 위치에서의 불량미(1)의 공급 상태 내지 선별 상태를 전부 파악할 수는 있지만, 그러기 위하여는 광센서 등을 구비한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을 위치 A 내지 위치 E에 모두 별개로서 설치하거나,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위치 A 내지 위치 E에서 각각 샘플링(sampling, 표본 추출)하여 1개의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으로 순차적으로 측정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불량미 검출 광센서 수단을 위치 A 내지 위치 E에 모두 별개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설치 공간의 확대와, 관련된 구성의 복잡함과, 그 비용 증가로 인하여, 실현되지 못하였고, 따라서, 종래의 기술에서는, 위치 A 내지 위치 E에서 각각 샘플링(sampling, 표본 추출)하여 불량미의 공급 상태 내지 선별 상태를 측정하였기 때문에, 실시간((real time)으로 측정하지 못하여, 분석실에서 사람 손으로 분석하는 것과 실질적으로 같은 수준이었고, 따라서, 미립 색채 선별 장치의 불량미 선별 운전 중의 문제점을 실시간(real time)으로 대처할 수 없었다.
본 고안은 위치 A 내지 위치 E 중에서, 위치 A(제1 슈트(112))와, 위치 C[즉, 제2 슈트(212)(C) 또는 1차 선별된 불량미 배출구(C)]와, 위치 E[2차 선별된 불량미 낙하 유로(325)(E) 또는 2차 선별된 불량미 배출구(E)]의 3위치의 측정점의 데이터만을 분석하여도, 위치 A에서의 원료미(3)의 공급 흐름 상태 및, 위치 B 내지 위치 E에서의 불량미(1)의 선별 상태를 확인 가능한 것에 착안한 것이다.
상기 소정의 시간들은 예컨대 1분 정도가 바람직하며 그 각각의 상기 시간대(時間帶)는 불량미(1)의 흐름에 따른 상기 순차로 이어지는 시간대이므로, 그 시간차(時間差)는 실시간(real time)으로 상기 조정을 위하여 무시할 정도이다.
미립(米粒)은 통상 그 1g이 약 50개의 미립으로 되어 있는데, 하기에서는 미립의 갯수로 표시하여 데이터 A 내지 데이터 E의 상관관계를 개략적으로 보면, 하기 가) 내지 마)의 기재와 같다. 즉,
가) 위치 A에서 :
원료미(3)가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을 통하여 예컨대 20,000개/분으로 공급되어 흘러내리는 경우, 원료미(3)의 불량미 혼입률이 통상의 2%이면, 위치 A 즉 제1 슈트(112)(A)에서의 불량미(1)의 갯수는, 데이터 A로서, 데이터 A = 400개/분[상기 20,000개/분 ×상기 2% = 400개/분]이어야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을 통한 공급 미립 유량이 정상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데이터 A가 400개/분을 초과하거나 400개/분 미만인 경우에는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을 통한 공급 원료미의 유량의 적정한 조절이 필요하다.
나) 위치 B에서 :
예컨대, 불량미 선별율이 90%라고 하면, 위치 B 즉 1차 선별된 양품미 배출구(B)에서의 불량미(1)의 갯수는, 데이터 B로서, 데이터 B = 40개/분[상기 400개/분 ×(100% - 상기 90%) = 40개/분]이어야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불량미 선별 제거가 정상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데이터 B가 40개/분을 초과하거나 40개/분 미만인 경우에는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140)에 의한 불량미 선별이 비정상적이므로 관련 구성의 적정한 조절이 필요하다.
다) 위치 C에서 :
예컨대, 불량미 선별율이 상기 90%라고 하면, 위치 C 즉, 제2 슈트(212)(C) 또는 1차 선별된 불량미 배출구(C)에서의 "1차 선별된 불량미(1)의 갯수"는, 데이터 C로서, 데이터 C = 360개/분[상기 400개/분 ×상기 90% = 360개/분]이어야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140)에 의한 불량미 선별이 정상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데이터 B가 360개/분을 초과하거나 360개/분 미만인 경우에는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불량미 선별 제거가 비정상적이므로 관련 구성의 적정한 조절이 필요하다.
라) 위치 D에서 :
예컨대, 불량미 선별율을 상기 90%라고 하면, 위치 D 즉 2차 선별된 양품미 배출구(D)로 선별되어 나온 2차 선별된 불량미(1)의 갯수는, 데이터 D로서, 데이터 D = 36개/분[상기 360개/분 ×(100% - 90%) = 36개/분]이어야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 의한 불량미 선별이 정상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데이터 D가 36개/분을 초과하거나 36개/분 미만인 경우에는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불량미 선별 제거가 비정상적이므로 관련 구성의 적정한 조절이 필요하다.
마) 위치 E에서 :
예컨대, 불량미 선별율을 상기 90%라고 하면, 위치 E 즉, 2차 선별된 불량미 낙하 유로(325)(E) 또는 2차 선별된 불량미 출구(E)로 선별되어 나온 불량미(1)의 갯수 즉 "2차 선별된 불량미의 갯수"는, 데이터 E로서, 데이터 E = 324개/분[상기 360개/분 ×상기 90% = 324개/분] 이어야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불량미 선별 제거가 정상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데이터 E가 324개/분을 초과하거나 324개/분 미만인 경우에는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불량미 선별 제거가 비정상적이므로 관련 구성의 적정한 조절이 필요하다.
상기 가) 내지 마)의 기재와 같이, 위치 A 내지 위치 E에서의 각각의 불량미(1)의 갯수인, 데이터 A 내지 데이터 E의 상관관계는, 데이터 B = 데이터 A - 데이터 C이며, 데이터 D = 데이터 C - 데이터 E이다. 따라서 데이터 A, 데이터 C, 데이터 E 만으로써, 데이터 A 내지 데이터 E 의 모두를 알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를 제1 계수기(150)로 계수하면 위치 A에서의 데이터 A 즉,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료미(1) 중의 불량미(1)의 갯수인 데이터 A를 아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를 제2 계수기(250)로 계수하면 제1 불량미 선별부(100)에서 불량미(1)로서 선별 제거되어 "1차 선별된 불량미 배출구(C)"로부터 배출되는 "1차 선별된 불량미(1)의 갯수"인 데이터 C를 아는 것이 가능하다.
제3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320)의 제3 광센서(322)로부터의 불량미(1)의 선별 검출의 신호에 따른 제3 신호 처리 수단(330)로부터의 디지탈 신호 하이(High)레벨의 갯수를 제3 계수기(350)으로 계수하면, 제2 불량미 선별부(200)에서 불량미(1)로서 선별 제거되어 "2차 선별된 불량미 배출구(E)"로부터 배출되는 "2차 선별된 불량미(1)의 갯수"인 데이터 E를 아는 것이 가능하다.
데이터 E는 그 유량이 상대적으로 적으므로, 제3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320)은 그 설치를 위한 공간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데이터 A와 데이터 C와 데이터 E에 따른, 1차 불량미 선별부(100)와 2차 불량미 선별부(200)의 각각의 기능의 정상 여부에 대한 조절은 하기와 같다. 즉,
i) 데이터 A에 관하여 보면, 상기 가)의 기재와 같이,
① 공급 원료미(3)의 불량미 혼입율이 통상의 원료미의 불량미 혼입율인 2%인 경우, 원료미(3)를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을 통하여 예컨대 20,000개/분으로 공급하면, 위치 A에서의 원료미(3) 중의 불량미(1)의 갯수인 데이터 A = 400개/분이어야 투입된 유량이 정상적임을 의미한다.
② 데이터 A > 400개/분이면, 그 불량미 혼입율이 2% 초과이므로,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불량미(1)의 정확한 선별 제거를 위하여,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을 통한 공급 원료미(3)의 유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절은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에서의 통상의 원료미 공급량 조절 수단에 대한 수동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 또는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한다.
③ 데이터 A < 400개/분이면, 그 불량미 혼입율이 2% 미만이므로,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불량미(1)의 정확한 선별 제거를 위하여,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을 통한 공급 원료미(3)의 유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절은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에서의 통상의 원료미 공급량 조절 수단에 대한 수동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 또는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한다.
ii) 데이터 C에 관하여 보면, 상기 다)의 기재와 같이,
① 위치 C 즉, 제2 슈트(212) 또는 1차 선별된 불량미(1)의 배출구(C)에서의 불량미(1)의 갯수인 데이터 C = 데이터 A ×0.9이면,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불량미 선별 제거가 정상적임을 의미하여,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제1 광원(121)의 밝기 및, 제1 배경판(123)의 불량미(1)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와,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전자 밸브 구동의 지연 시간이 정상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임을 의미한다.
② 데이터 C < 데이터 A ×0.9이면,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제1 배경판(123)의 불량미(1)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가 너무 어두워, 통상 불량미(1)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양품미(2) 보다 색채가 어두운 불량미(1)[즉, 상기 어두운 불량미(1)]가 양품미(2)로 잘못 식별되어 상기 어두운 불량미(1)가 정상적으로 선별 제거되지 아니하고 있거나,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전자 밸브(142) 구동의 지연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설정되어 불량미(1)가 선별 제거되지 아니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 제1 배경판(123)의 각도를 통상의 제1 배경판(123)의 각도 제어 수단에 대한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제1 반사판(123)의 불량미(1)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를 높이거나,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높이거나, 또는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전자 밸브(142) 구동의 지연 회로(135)에 대한 수동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의하여 정상적으로 조절하거나,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조절한다.
③ 데이터 C > 데이터 A ×0.9이면,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제1 배경판(123)의 불량미(1)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가 너무 밝아 양품미가 불량미로서 선별 제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제1 배경판(123)의 각도를 제1 배경판(123)의 각도 제어 수단에 대한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제1 반사판(123)의 불량미(1)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를 낮추거나,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낮춘다.
iii) 데이터 E에 관하여 보면, 상기 마)의 기재와 같이,
① 위치 E 즉, 2차 선별된 불량미 낙하 유로(325) 또는 2차 선별된 불량미 배출구(E)에서의 불량미(1)의 갯수인 데이터 E = 데이터 A ×0.9 ×0.9 즉, 데이터 E = 데이터 C ×0.9이면,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불량미 선별 제거가 정상적임을 의미하여, 2차 불량미 선별부(200)의 제2 광원(221)의 밝기 및 제2 배경판(223)의 불량미(1)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와, 2차 불량미 선별부(200)의 전자 밸브(242) 구동의 지연 시간이 모두 정상적임을 의미한다.
② 데이터 E < 데이터 A ×0.9 ×0.9 즉 데이터 E < 데이터 C ×0.9이면,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제2 배경판(223)의 불량미(1)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가 너무 어두워, 상기 어두운 불량미(1)가 양품미(2)로 잘못 식별되어 상기 어두운 불량미(1)가 정상적으로 선별 제거되지 아니하고 있거나,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전자 밸브(242) 구동의 지연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설정되어 불량미(1)가 선별 제거되지 아니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제2 배경판(223)의 각도를 제2 배경판(223)의 각도 제어 수단에 대한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제2 반사판(223)의 불량미(1)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를 높이거나,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높이거나, 또는 전자 밸브(242) 구동의 지연 회로(235)에 대한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조절하거나,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조절한다.
③ 데이터 E > 데이터 A ×0.9 ×0.9 즉 데이터 E > 데이터 C ×0.9이면,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제2 배경판(223)의 불량미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가 너무 밝아 양품미(2)가 불량미(1)로서 선별 제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제2 배경판(223)의 각도를 제2 배경판(223)의 각도 제어 수단에 대한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제2 반사판(223)의 반사광의 밝기를 낮추거나,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낮춘다.
결국, 본 고안은, 위치 A 내지 위치 E 중에서, 위치 A와, 위치 C와, 위치 E의 3위치의 측정점만을 분석하여도, 위치 A에서의 원료미(3) 공급 상태 및, 위치 B 내지 위치 E에서의 불량미(1) 선별 상태를 확인 가능한 것에 착안하여, 위치 A와, 위치 C는 미립 색채 선별 장치의 종래의 광센서(122)(222)를 구비한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120)(220)을 그대로 사용하고, 위치 E점만은 새롭게 광센서(322)를 구비한 상기 제3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320)을 추가하여, 최소의 제작 비용으로, 위치 A 및 위치 C 및 위치 E의 측정점에서의 분석이 실시간(real time)으로 가능하게 된 것이다.
상기 데이터 A, 상기 데이터 C, 상기 데이터 E의 각 수치를 본 고안의 사용자가 판독 편리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표시기(160)과 제2 표시기(260)와 제3 표시기(360)의 각각의 표시에서, 상기 정상적인 공급 상태에서의 불량미(1)의 흐름에 관한 수치 및 상기 정상 상태의 불량미(1) 선별 제거 상태에 관한 수치를, 각각 예컨대 2000이라는 기준 수치로 변환하여 통일시켜둠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데이터 A 즉 상기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위치 A에서의 "원래의 불량미 갯수"의 수치인 400개/분을, 제1 표시기(160)에서의 수치(K)로서, 중앙제어장치(CPU)(500)에 의하여, 예컨대 상기 기준수치 2000이라고 표시하고(즉,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400에 대하여 임의의 상수인 5를 곱하여 예컨대 2000이라는 수치로서 제1 표시기(160)에 표시함),
아울러 "상기 데이터 C/상기 데이터 A"의 비율 즉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상기 "1차 불량미 선별율"의 수치인 "360/400" 즉 0.9(즉, 90%)를, 제2 표시기(260)에서의 수치(L)로서, 중앙제어장치(CPU)(500)에 의하여, 상기 기준수치 2000이라고 표시하고(즉,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0.9에 대하여 임의의 수(數)인 20000/9를 곱하여 상기 2000이라는 기준수치로서 제2 표시기(260)에 표시하고),
아울러 "상기 데이터 E/상기 데이터 C"의 비율 즉 정상적인 상태에서의 상기 "2차 불량미 선별율"의 수치인 "324/360" 즉 0.9(즉, 90%)를, 제3 표시기(360)에서의 수치(M)로서, 중앙제어장치(CPU)(500)에 의하여, 상기 기준수치 2000이라고 표시하면(즉,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0.9에 대하여 임의의 수(數)인 20000/9를 곱하여 상기 2000이라는 수치로서 제3 표시기(360)에 표시하면), 상기 K와, 상기 L과, M의 각각의 의미하는 하기와 같다. 즉,
상기 K에 관하여 보면,
① K = 2000이면, 상기 가) 기재와 같이, 데이터 A = 400개/분이므로, 상기 i)의 ① 기재와 같이,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을 통하여 공급된 원료미(3)의 유량이 정상 상태임을 의미한다.
② K > 2000이면, 데이터A > 400개/분임에 따라, 그 불량미 혼입율이 2% 초과이므로, 데이터A > 400개/분의 경우에 관한 상기 i)의 ② 기재와 같이,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불량미(1)의 정확한 선별 제거를 위하여,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을 통한 공급 원료미(3)의 유량을 줄일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절은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에서의 통상의 원료미 공급량 조절 수단에 대한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 또는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한다.
③ K < 200, 데이터 A < 400개/분임에 따라, 그 불량미 혼입율이 2% 미만이므로, 데이터 A < 400개/분의 경우에 관한 상기 i)의 ③ 기재와 같이,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불량미(1)의 정확한 선별 제거를 위하여,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을 통한 공급 원료미(3)의 유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절은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에서의 통상의 원료미 공급량 조절 수단에 대한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 또는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한다.
상기 L에 관하여 보면,
① L = 2000이면, 데이터 C = 데이터 A ×0.9임에 따라, 상기 데이터 C = 데이터 A ×0.9에 관한 상기 ii)의 ① 기재와 같이,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 의한 불량미 선별 제거가 정상적임을 의미한다.
② L < 2000이면 데이터 C < 데이터 A ×0.9이므로, 상기 데이터 C < 데이터 A ×0.9의 경우에 관한 상기 ii)의 ② 기재와 같이,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제1 배경판(123)의 반사광의 밝기가 너무 어두워, 통상의 불량미(1)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양품미(2) 보다 색채가 어두운 불량미(1)[즉, 상기 어두운 불량미(1)]가 양품미(2)로 잘못 식별되어 상기 어두운 불량미(1)가 정상적으로 선별 제거되지 아니하고 있거나,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전자 밸브(142)의 구동 지연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설정되어 불량미(1)가 선별 제거되지 아니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 제1 배경판(123)의 각도를 통상의 제1 배경판(123)의 각도 제어 수단에 대한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제1 반사판(123)의 반사광의 밝기를 높이거나,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높이거나, 또는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전자 밸브(142) 구동의 지연 회로(135)에 대한 수동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조절하거나,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조절한다.
③ L > 2000이면, 데이터 C > 데이터 A ×0.9이므로, 상기 데이터 C > 데이터 A ×0.9의 경우에 관한 상기 ii)의 ③ 기재와 같이,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제1 배경판(123)의 불량미(1)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가 너무 밝아 양품미(2)가 불량미(1)로서 선별 제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의 제1 배경판(123)의 각도를 제1 배경판(123)의 각도 제어 수단에 대한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제1 반사판(123)의 반사광의 밝기를 낮추거나,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낮춘다.
상기 M에 관하여 보면,
① M = 2000이면, 데이터 E = 데이터 A ×0.9 ×0.9 즉, 데이터 E = 데이터 C ×0.9이므로, 상기 데이터 E = 데이터 A ×0.9 ×0.9에 관한 상기 iii)의 ① 기재와 같이,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불량미 선별 제거가 정상적임을 의미하여, 2차 불량미 선별부(200)의 제2 광원(221)의 밝기 및 제2 배경판(223)의 불량미(1)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와, 2차 불량미 선별부(200)의 전자 밸브(242)의 구동의 지연 시간이 모두 정상적임을 의미한다.
② M < 2000이면, 데이터 E < 데이터 A ×0.9 ×0.9 즉 데이터 E < 데이터 C ×0.9이므로, 상기 데이터 E < 데이터 A ×0.9 ×0.9의 경우에 관한 상기 iii)의 ② 기재와 같이,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제2 배경판(223)의 불량미(1)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가 너무 어두워, 상기 어두운 불량미(1)가 양품미(2)로 잘못 식별되어 상기 어두운 불량미(1)가 정상적으로 선별 제거되지 아니하고 있거나,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전자 밸브(242) 구동의 지연 시간이 비정상적으로 설정되어 불량미가 선별 제거되지 아니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제2 배경판(223)의 각도를 제2 배경판(223)의 각도 제어 수단에 대한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제2 반사판(223)의 불량미(1)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를 높이거나,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높이거나, 또는 전자 밸브(242) 구동의 시간 지연 회로(235)에 대한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조절하거나,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정상적으로 조절한다.
③ M > 2000이면, 데이터 E > 데이터 A ×0.9 ×0.9 즉 데이터 E > 데이터 C ×0.9이므로, 상기 데이터 E > 데이터 A ×0.9 ×0.9의 경우에 관한 상기 iii)의 ③ 기재와 같이,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제2 배경판(223)의 반사광의 밝기가 너무 밝아 양품미(2)가 불량미(1)로서 선별 제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때에는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의 제2 배경판(223)의 각도를 제2 배경판(223)의 각도 제어 수단에 대한 수동의 조절 수단[그 도시는 생략함]에 의하여 제2 반사판(223)의 반사광의 밝기를 낮추거나, 그 자동제어수단[그 도시는생략함]에 의하여 낮춘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서, 제1 광센서(122)는 양품미(2) 중 가장 어두운 양품미(2)의 소정의 밝기보다 어두운 불량미(1) 즉 상기 "어두운 불량미(1)"와, 양품미(2) 중 가장 밝은 양품미(2)의 소정의 밝기보다 밝은 불량미(1) 즉 상기 "밝은 불량미(1)"를 포함한 불량미(1)를 선별 검출하여, 상기 광센서(122)로부터의 상기 "어두운 불량미(1)"의 선별 검출의 신호는 통상의 증폭 회로(131)에 의하여 증폭되어 통상의 비교 회로(132-2)에 인가되고, 상기 광센서(122)로부터의 상기 "밝은 불량미(1)"의 선별 검출의 신호는 통상의 증폭 회로(131)에 의하여 통상의 비교 회로(132-1)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 회로(132-2)에서는 그 설정기(132-2-a)에 의한 통상의 비교 기준 전압(Vg)[양품미(2) 중 가장 어두운 양품미(2)의 소정의 밝기에 상응하는 전압]과 비교되어 상기 "어두운 불량미(1)"의 선별 검출에 따른 디지털 신호 하이(High) 레벨이 통상의 오알(OR) 회로(133)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 회로(132-1)에서는 그 설정기(132-1-a)에 의한 통상의 비교 기준 전압(Vf)[양품미(2) 중 가장 밝은 양품미(2)의 소정의 밝기에 상응하는 전압]과 비교되어 상기 "밝은 불량미(1)"의 선별 검출에 따른 디지털 신호 하이(High) 레벨이 통상의 오알(OR) 회로(133)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 회로(132-2)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비교 회로(132-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통상의 오알(OR) 회로(133)에 의하여, 모두 불량미(1) 선별 검출 신호로서 출력되어, 통상의 원 셧 멀티바이브레이터(one shot multivibrator)(단안정(單安定) 멀티바이브레이터)(134)와, 통상의 지연(遲延) 회로(135)를 거쳐, 이 지연 회로(135)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통상의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로(141)의 통상의 트랜지스터(TR)에 인가되어, 제1 전자 밸브(141)를 구동하여, 제1 광센서(122)에 의하여 선별 검출된 불량미(1)를 제1 전자 밸브(142)의 구동에 따른 공기 분사 노즐(143)의 작동에 의하여 선별 한다.
상기 지연 회로(135)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디지털 신호 하이(High) 레벨인 "제1 전자 밸브 구동 신호"이며 이 "제1 전자 밸브 구동 신호의 인가 회수"를 제1 계수기(150)가 계수하여, 그 계수된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 즉 "원래의 불량미 갯수"를 중앙처리장치(500)에 인가한다.
상기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 제2 광센서(222)는 상기 "어두운 불량미(1)"과, 상기 "밝은 불량미(1)"를 포함한 불량미(1)을 선별 검출하여, 상기 광센서(222)로부터의 상기 "어두운 불량미(1)"의 선별 검출의 신호는 통상의 증폭 회로(231)에 의하여 증폭되어 통상의 비교 회로(232-2)에 인가되고, 상기 광센서(222)로부터의 상기 "밝은 불량미(1)"의 선별 검출의 신호는 통상의 증폭 회로(231)에 의하여 증폭되어 통상의 비교 회로(232-1)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 회로(232-2)에서는 그 설정기(232-2-a)에 의한 통상의 비교 기준 전압(Vg)과 비교되어 상기 "어두운 불량미(1)"의 선별 검출에 따른 디지털 신호 하이(High) 레벨이 통상의 오알(OR) 회로(233)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 회로(232-1)에서는 그 설정기(232-1-a)에 의한 통상의 비교 기준 전압(Vf)과 비교되어 상기 "밝은 불량미(1)"의 선별 검출에 따른 디지털 신호하이(High) 레벨이 통상의 오알(OR) 회로(233)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 회로(232-2)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비교 회로(232-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통상의 오알(OR) 회로(233)에 의하여, 모두 불량미(1) 선별 검출 신호로서 출력되어, 통상의 원 셧 멀티바이브레이터(one shot multivibrator)(단안정(單安定) 멀티바이브레이터)(234)와, 통상의 지연(遲延) 회로(235)를 거쳐, 이 지연 회로(235)로부터의 출력신호는 통상의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로(241)의 통상의 트랜지스터(TR)를 통하여, 제1 전자 밸브(242)를 구동하여, 제2 광센서(222)에 의하여 선별 검출된 불량미(1)를 제2 전자 밸브(242)의 구동에 따른 공기 분사 노즐(243)의 작동에 의하여 선별한다.
상기 지연 회로(235)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디지털 신호 하이(High) 레벨인 "제2 전자 밸브 구동 신호"이며 이 "제2 전자 밸브 구동 신호의 인가 회수"를 제2 계수기(250)가 계수하여, 그 계수된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 즉 "1차 선별된 불량미(1) 갯수(1)"를 중앙처리장치(500)에 인가한다.
상기 제3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320)에서, 제3 광센서(322)는 상기 "어두운 불량미(1)와, 상기 "밝은 불량미(1)"를 포함한 불량미(1)를 선별 검출하여, 상기 광센서(322)로부터의 상기 "어두운 불량미(1)"의 선별 검출 신호는 비교 회로(332-2)에 인가되고, 상기 제3 광센서(322)로부터의 상기 "밝은 불량미(1)"의 선별 검출 신호는 비교 회로(332-1)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 회로(332-2)에서는 그 설정기(332-2-a)에 의한 통상의 비교 기준 전압(Vg)과 비교되어 상기 "어두운 불량미(1)"의 선별 검출에 따른 디지털 신호 하이(High) 레벨이 통상의 오알(OR) 회로(333)에 인가된다.
상기 비교 회로(332-1)에서는 그 설정기(332-1-a)에 의한 통상의 비교 기준 전압(Vf)과 비교되어 상기 "밝은 불량미(1)"의 선별 검출에 따른 디지털 신호 하이(High) 레벨이 통상의 오알(OR) 회로(333)로 인가된다.
상기 비교 회로(332-2)로부터의 출력 신호와, 상기 비교 회로(332-1)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통상의 오알(OR) 회로(333)에 의하여, 모두 불량미(1) 선별 검출 신호로서 출력된다. 이 오알(OR) 회로(333)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제3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320)의 제3 광센서(322)에 의하여 선별 검출된 "2차 선별 불량미 갯수"를 디지털 신호 하이(High) 레벨로 출력한 신호이다.
상기 오알(OR) 회로(330)로부터의 출력 신호인 디지털 신호 하이(High) 레벨의 갯수를 제3 계수기(350)가 계수하여, 그 계수된 수치인 "2차 선별된 불량미 갯수"를 중앙처리장치(500)에 인가한다.
상기 중앙처리장치(500)에 의하여, 제1 계수기(150)로 계수된,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 즉,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에 의하여 공급되어 흐르는 소정의 "원래의 불량미(1) 갯수"를 상기 소정의 수치인 K로 하여 이 수치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 예컨대 상기 2000으로 제1 표시기(160)로 표시한다.
아울러 상기 중앙처리장치(500)에 의하여, 제1 계수기(150)로 계수된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 즉,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에 의하여 공급되어 흐르는 "원래의 불량미(1) 갯수"와, 제2 계수기(250)로 계수된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 즉, "1차 선별 혼합미(Z)" 중의 불량미(1)의 갯수를 비교 및 연산하여,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의 값[즉, "제2 계수기(250)에 의하여 계수된 불량미(1)의 갯수/제1 계수기(150)에 의하여 계수된 불량미(1)의 갯수"의 값, 즉 "데이터 C/ 데이터 A"의 값]을 소정의 값 예컨대 상기 L로 하여 이 소정의 값에 상응하는 소정의 값 예컨대 상기 2000으로 제2 표시기(260)로 표시한다.
아울러 상기 중앙처리장치(500)에 의하여, 제2 계수기(250)로 계수된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 즉, "1차 선별 혼합미(Z)" 중의 불량미(1)의 갯수와, 제3 계수기(350)로 계수된 "2차 선별 불량미의 갯수"를 비교 및 연산하여, "제3 계수기(350)로 계수된 2차 선별 불량미 갯수/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의 값 [즉, "제3 계수기(350)에 의하여 계수된 2차 선별 불량미 갯수/제2 계수기(250)에 의하여 계수된 불량미(1)의 갯수"의 값, 즉 "데이터 E/ 데이터 C"의 값]을 소정의 값 예컨대 상기 M으로 하여 이 소정의 값에 상응하는 소정의 값 예컨대 상기 2000으로 제3 표시기(360)로 표시한다.
본 고안의 사용자는 상기 제1 표시기(160)과 상기 제2 표시기(260)와 상기 제3 표시기(360)의 각 표시 상태를 보아, 상기 2000을 기준을 하여 2000을 초과하는 경우와, 2000 미만인 경우 상기 각각의 경우에 기재된 필요한 조절을 필요한 때 즉 실시간(real time)으로 수동 조절 수단에 의하여 조절하거나, 그 자동 제어 수단에 의하여 조절가능하다.
상기 제1 광센서(122)와 상기 제2 광센서(222)와 상기 제3 광센서(322)는,쌍으로 구비된 구성의 경우 불량미(1)의 더욱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상기 2차 불량미 선별부(200)에서 선별된 양품미(2)(D)는 불량미(1)가 아직 혼입되어 있음에 따라 1차 불량미 선별부(100)으로 또다시 투입되어 불량미 선별을 추가로 반복함도 가능하므로, 불량미(1)의 제거가 더욱 충실하여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본 고안의 사용자가 제1 표시기의 표시된 수치와 제2 표시기의 표시된 수치와 제3 표시기의 표시된 수치를 보아서, 1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과, 2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이 정상(正常)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실시간(real time)으로 확인 가능하고, 또한 1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과 2차 불량미 선별부의 기능이 정상(正常)의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정상(正常)의 상태가 아닌 부분을 실시간(real time)으로 쉽게 알아, 배경판의 불량미에 대한 반사광의 밝기나, 전자 밸브 구동의 지연(delay) 시간의 필요한 조절 등으로 실시간(real time)으로 용이하게 대처함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미립(米粒) 이외에도 다른 곡립에도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

  1. 불량미(不良米)(1)가 원료미(原料米)(3)의 총량(總量)에 대하여 소정의 불량미 혼입율(混入率)로 혼입되어 존재하는 원료미(原料米)(3)를 제1 피더(feeder, 입자 공급 장치)(111)와 제1 슈트(chute, 입자 활강로(粒子 滑降路))(112)로 제1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不良米 檢出 光學 手段)(120)에 공급하는 제1 미립(米粒) 공급 수단(110)과,
    원료미(3) 중에 혼입되어 있는 불량미(不良米)(1)를 선별 검출 가능하도록 제1 광원(光源)(121)과 제1 광센서(光 sensor)(122)와 제1 배경판(背景板)(123)을 구비한 제1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120)과,
    상기 제1 광센서(12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로(141)와 제1 전자(電磁) 밸브(valve)(142)를 구동시키도록 증폭 회로(131)와, 비교 회로(132-1)(132-2)와, 설정기(132-1-a)(132-2-a)와, 오알(OR) 회로(133)와, 원셧 멀티바이브레이터(one shot multivibrator)(단안정(單安定) 멀티바이브레이터)(134)와, 지연(遲延) 회로(135)를 구비한 제1 신호 처리 수단(130)과,
    낙하 유로(落下 流路)(125)를 통과하는 불량미(不良米)(1)를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로(141)와 제1 전자 밸브(142)와 제1 공기(air) 분사 노즐(nozzle)(143)로 선별 제거하는 제1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不良米 選別 除去 手段)(140)으로 이루어진 1차 불량미 선별부(不良米 選別部)(100)와;
    2차로 불량미(1)의 선별 제거를 위하여,
    상기 1차 불량미 선별부(100)에 의하여 일단(一旦) 불량미(1)로서 선별되었으나 이 선별된 불량미(1)에 아직 양품미(良品米)(2)가 혼입되어 있는 혼합미(混合米)(Z)[이하, "1차 선별 혼합미(Z)"라고 함]를 제2 피더(feeder)(211)와 제2 슈트(chute)(212)로 제2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不良米 檢出 光學 手段)(220)에 공급하는 제2 미립(米粒) 공급 수단(210)과,
    상기 "1차 선별 혼합미(Z)" 중에 혼입되어 있는 불량미(不良米)(1)를 선별 검출 가능하도록 제2 광원(光源)(221)과 제2 광센서(光 sensor)(222)와 제2 배경판(背景板)(223)를 구비한 제2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220)과,
    상기 제2 광센서(22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로(241)와 제2 전자(電磁) 밸브(valve)(242)를 구동시키도록 증폭 회로(231)와, 비교 회로(232-1)(232-2)와, 설정기(232-1-a)(232-2-a)와, 오알(OR) 회로(233)와, 원셧 멀티바이브레이터(one shot multivibrator)(단안정(單安定) 멀티바이브레이터)(234)와, 지연(遲延) 회로(235)를 구비한 제2 신호 처리 수단(230)과,
    낙하 유로(225)를 통과하는 불량미(1)를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로(241)와 제2 전자 밸브(242)와 제2 공기(air) 분사 노즐(nozzle)(243)로 선별 제거하는 제2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不良米 選別 除去 手段)(240)으로 이루어진 2차 불량미 선별부(200)로 이루어진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에 있어서;
    상기 1차 불량미 선별부(100)의 상기 제1 미립 공급 수단(110)에 의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에 공급되어 상기 낙하 유로(125)를 통과하는 불량미(不良米)(1)의 갯수[이하, "원래의 불량미 갯수"라고 함]에 따른 상기 광센서(122)로부터의 불량미(1)의 선별 검출의 신호의 갯수에 따른, 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로(141) 및 상기 제1 전자 밸브(142)를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제1 신호 처리 수단(130)으로부터의 제1 전자 밸브 구동 신호의 인가 회수(印加 回數)[이하,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라고 함]를 계수(計數, count) 가능하도록 된 제1 계수기(計數器, counter)(150)와,
    이 제1 계수기(150)로 계수된 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를 중앙처리장치(CPU)(500)에 의하여 연산하여 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로 표시하는 제1 표시기(160)가 구비되고;
    상기 2차 불량미 선별부(200)의 상기 제2 미립 공급 수단(210)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에 공급되어 낙하 유로(225)를 통과하는 불량미(不良米)(1)의 갯수[즉, 상기 "1차 선별 혼합미(Z)" 중 불량미(1)의 갯수]에 따른 상기 광센서(222)로부터의 불량미(1)의 선별 검출의 신호의 갯수에 따른, 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로(241) 및 상기 제2 전자 밸브(242)를 구동시키기 위한, 상기 제2 신호 처리 수단(230)으로부터의 제2 전자 밸브 구동 신호의 인가 회수(印加 回數)[이하,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라고 함]를 계수(計數, count) 가능하도록 된 제2 계수기(計數器, counter)(250)와,
    상기 제1 계수기(150)로 계수된 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와 상기 제2 계수기(250)로 계수된 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가 중앙처리장치(CPU)(500)에 의하여 비교 및 연산되어, "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의 값[이하, "1차 불량미 선별율"이라고 함]을 이 "1차 불량미 선별율"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로 표시하는 제2 표시기(260)가 구비되고;
    상기 2차 불량미 선별부(200)의 상기 제2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240)에 의하여 선별되는 불량미(不良米)(1)를 선별 검출 가능하도록,
    제3 광원(光源)(321)과 제3 광센서(光 sensor)(322)와 제3 배경판(323)을 구비한 제3 불량미 검출 광학 수단(320)과,
    상기 2차 불량미 선별 제거 수단(240)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시간 동안에 선별되어 낙하 유로(325)를 통과하는 불량미(不良米)(1)의 갯수[이하, "2차 선별 불량미 갯수"라고 함]에 따른 상기 제3 광센서(322)로부터의 불량미(1)의 선별 검출의 신호의 갯수를 제3 계수기(350)가 계수(計數, count) 가능하도록 증폭 회로(331)와, 비교 회로(332-1)(332-2)와, 설정기(332-1-a)(332-2-a)와, 오알(OR) 회로(333)를 구비한 제3 신호 처리 수단(330)과,
    상기 "2차 선별 불량미 갯수"를 계수(計數, count) 가능하도록, 상기 제3 신호 처리 수단(330)으로부터의 불량미(1)의 선별 검출에 따른 신호의 갯수를 계수(計數, count) 가능하도록 된 제3 계수기(計數器, counter)(350)와,
    상기 제2 계수기(250)로 계수된 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와 상기 제3 계수기(350)로 계수된 상기 "2차 선별 불량미 갯수"가 중앙처리장치(CPU)(500)에 의하여 비교 및 연산되어, "상기 2차 선별 불량미 갯수/상기 제2 전자 밸브 구동 회수"의 값[이하, "2차 불량미 선별율"이라고 함]을 이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로표시하는 제3 표시기(360)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전자 밸브 구동 회수"를 이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로 상기 제1 표시기(160)에 표시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1차 불량미 선별율(選別率)"을 이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로 상기 제2 표시기(260)에 표시하도록 하며, 아울러 상기 "2차 불량미 선별율(選別率)"을 이에 상응하는 소정의 수치로 상기 제3 표시기(360)에 표시하도록, 상기 비교와 연산을 하는 중앙처리장치(CPU)(5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
KR20-2003-0000037U 2003-01-02 2003-01-02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 KR2003081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037U KR200308164Y1 (ko) 2003-01-02 2003-01-02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0037U KR200308164Y1 (ko) 2003-01-02 2003-01-02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8215A Division KR100471177B1 (ko) 2002-12-31 2002-12-31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8164Y1 true KR200308164Y1 (ko) 2003-03-19

Family

ID=49403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037U KR200308164Y1 (ko) 2003-01-02 2003-01-02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81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955B1 (ko) 2012-06-01 2019-12-17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색채 선별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6955B1 (ko) 2012-06-01 2019-12-17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색채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0433C (zh) 具有显示控制设备的颗粒颜色分选装置
US5779058A (en) Color sorting apparatus for grains
KR100312880B1 (ko) 입상물색선별기
US4454029A (en) Agricultural product sorting
US4870394A (en) Smoke detector with improved testing
US4697709A (en) Sorter for agricultural products
JPH07155702A (ja) 穀粒色彩選別装置
US4878582A (en) Multi-channel bichromatic product sorter
KR890000155B1 (ko) 색채 선별기의 이면 밝기 자동 조정장치
KR100471177B1 (ko)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
KR200308164Y1 (ko)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
US4170306A (en) Control apparatus for sorting products
JPH0146194B2 (ko)
JP2011047692A (ja) 色彩選別機及び色彩選別機の運転制御方法
JP2001272353A (ja) 粉粒体検査装置
JP4674390B2 (ja) 玄米色彩選別方法及び玄米色彩選別装置
JP4465816B2 (ja) 玄米色彩選別方法及び玄米色彩選別装置
JPH10216650A (ja) 粒状物色彩選別機および粒状物色彩選別機の制御方法
US10684210B2 (en) Monitoring device for adjusting light irradiation in particle analysis apparatus
KR100471128B1 (ko)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
KR200308146Y1 (ko) 미립 색채 선별 장치(米粒 色彩 選別 裝置)
JP2006177691A (ja) 穀粒選別機の制御システム
JP7482799B2 (ja) 粒状体検査装置
JPH0824899B2 (ja) 穀物色彩選別機の感度調整装置
US20240261822A1 (en) Optical sorting machine, sorting simulation device, and simulation method regarding sorting commodities to be sorted by using optical sor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3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