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5299A - 전기적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적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5299A
KR20030095299A KR10-2003-0036259A KR20030036259A KR20030095299A KR 20030095299 A KR20030095299 A KR 20030095299A KR 20030036259 A KR20030036259 A KR 20030036259A KR 20030095299 A KR20030095299 A KR 20030095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plug
jack
ruler
sh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6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6679B1 (ko
Inventor
니시다아츠시
호리다카유키
미나카타마사토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5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6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0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operated by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dual-continuity coupling part
    • H01R13/7031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 H01R13/7032Shorting, shunting or bussing of different terminals interrupted or effected on engagement of coupling part, e.g. for ESD protection, line continuity making use of a separate bridging element directly cooperating with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전기적 접속 장치는, (1) 한 쌍의 핀을 지지하는 잭과, (2) 상기 핀과 각각 계합(係合)하는 한 쌍의 전기 단자를 지지하는 플러그와, (3) 핀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기 위해 상기 잭에 설치된 단락 클립과, (4) 상기 플러그에 설치된 괘지구(掛止具)와, (5) 상기 잭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커버를 구비한다. 괘지구는 단락 클립에 의하여 핀을 단락시키는 제 1 위치와, 그 단락 클립을 비단락 위치까지 후퇴시키는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다. 커버는 회동에 의해서 플러그를 잭에 계합시키며, 또한, 상기 괘지구를 상기 제 2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전기적 접속 장치{ELECTRICAL CONNECTION SYSTEM}
본 발명은 전기 접속 장치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제 1의 구성 요소와 제 2의 구성 요소의 적정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을 때에 제 1의 구성 요소의 전기 접점이 서로 단락됨과 동시에, 이들 요소의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면 상기 전기 접점의 단락을 해제하는 괘지 요소가 제 2의 구성 요소에 구비된 전기 접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각각 한 쌍의 전기 커넥터 요소를 구비한 2개의 구성 요소(예를 들면, 플러그와 잭)로 이루어져, 이 플러그와 잭을 접속하는 것에 의하여 전기 커넥터 요소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접속 장치가 알려져 있다.또, 플러그가 잭에 접속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한 쌍의 커넥터 요소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킬 수 있도록 한 단락 요소를 잭 내에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플러그 측에 괘지 요소를 구비하여, 플러그와 잭이 분리되어 있을 때에는 괘지 요소가 제 1의 괘지 위치에서 걸어 고정되도록 하고, 플러그와 잭이 완전하게 계합할 때에는 괘지 요소를 누르거나 함으로써 제 2의 괘지 위치로 이동시켜, 상기 단락 요소에 단락을 해제시킴과 동시에, 플러그가 잭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기계적 록을 행한 구성도 공지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5,314,345호나, 일본특허 제2,647,335호에 개시된다.
상기 구성은, 예를 들면 차량의 에어백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중계하는 중계 장치에서, 해당 중계 장치와 제어 장치를 접속하는 접속 장치로 이용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이 에어백 시스템은 차량의 운전실 내에 장착된 에어백 조립체와, 전기식 또는 전자식의 제어 장치와, 중계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 에어백 시스템의 일반적인 설치 방법으로서는, 에어백 조립체·제어 장치·중계 장치- 이 세 요소를 각각 별개로 차량에 설치하고 그 후에, (A) 제어 장치-중계 장치 사이, 및 (B) 중계 장치- 에어백 조립체 사이를 각각 와이어 하니스를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이중 (A)의 제어 장치-중계 장치 사이를 접속하는 구성에서는 일단을 제어 장치에 접속된 한 쌍(2개)의 와이어 하니스의 타단에 상기 플러그가 장착된다. 그리고 한 쌍(2개)의 와이어 하니스의 도선은 각각 상기 플러그의 한 쌍의 단자(전기 커넥터 요소)에 접속된다. 그 한편으로, 중계 장치측에는 한 쌍의 단자(전기 커넥터 요소)를 갖는 전술한 잭이 구비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를 잭에 삽입하는 간단한 작업으로 제어 장치-중계 장치 사이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실현된다. 한편, 플러그를 잭에 삽입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잭 측의 한 쌍의 단자가 상기 단락 요소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단락된다. 따라서, 에어백 시스템의 차량에의 설치시에 누설되는 전하(電荷)나 오접속(誤接續) 등에 의하여 에어백 조립체측에 전류가 흘러 작동됨으로써 열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플러그를 잭에 삽입하고 계합시킨 후, 상기 괘지 요소의 괘지 위치를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단락 요소에 의한 단락이 해제됨과 동시에, 플러그와 잭과의 계합 상태가 기계적으로 로크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중계 장치 사이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안정적으로 확보된다.
또한, 상기 중계 장치로는 예를 들면, 에어백의 작동/비작동을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가 고려된다.
즉, 법규제 등의 어떠한 사정에 의하여 에어백의 작동/비작동을 절환 가능한 구성이 필요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제어 장치와 에어백 조립체 사이의 접속 회로 중에 중계 장치로서의 스위치를 개재시키면, 해당 스위치를 OFF 측으로 바꿈으로써 제어 장치로부터의 에어백 작동 신호를 에어백 조립체에 대하여 차단할 수 있고 에어백의 비작동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단, 그러한 스위치 기능을 제어 장치에 직접 구비하게 한 구성도 물론 고려되며, 이 때는 상기와 같은 중계 장치는 필요하지 않게 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중계 장치를 이용할 때의 이점은 그러한 스위치 기능을 갖지 않는 기존의 제어 장치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제어 장치의 설계 변경을 생략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단락 요소는 플러그를 잭에 삽입하기 이전 단계에서 에어백 조립체의 의도되지 않은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플러그를 잭에 삽입하고 계합시킨 후에는 상기 단락 요소에 의한 단자간의 단락이 해제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플러그를 잭에 삽입한 후에는 상기 괘지 요소를 반드시 제 2의 괘지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지만, 괘지 요소는 소형 부품인 것이 많고, 이 괘지 요소가 제 2의 괘지 위치에 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며, 따라서 단락의 해제를 망각하는 경우도 적잖이 있게 된다. 단락의 해제를 망각한 채 후속 조립 작업을 진행한 후, 점검 작업 등으로 단락 해제가 되어 있지 않은 것이 판명된 경우에는 플러그에 액세스하기 위해 조립한 것을 다시 분해하지 않으면 안되고, 괘지 요소를 제 2의 괘지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한번 더 조립하고 고치는 작업이 필요해지며, 이러한 작업에는 대단한 수고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플러그와 잭이 계합되고 걸어 고정되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전기적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의 목적은, 접속 작업이 간단하고 접속에 걸리는 시간과 수고를 절감할 수 있는 전기적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의 관점에 의하면 ,한 쌍의 제 1 전기 커넥터 요소를 지지하는 제 1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제 1 전기 커넥터 요소와 각각 계합하는 한 쌍의 제 2 전기 커넥터 요소를 지지하는 제 2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장착된 단락 요소로서, 상기 제 1 전기 커넥터 요소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 요소와, 상기 제 2의 구성 요소에 장착된 괘지 요소로서, 상기 단락 요소에 의하여 상기 제 1 전기 커넥터 요소를 단락시키는 제 1 위치와 그 단락 요소를 비단락 위치까지 후퇴시키는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괘지 요소와,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회동 부재로서, 회동을 통해서 제 2의 구성 요소를 제 1의 구성 요소에 계합시키며, 또한, 상기 괘지 요소를 상기 제 2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회동 부재를 구비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회동 부재를 회동시키는 한 번의 작업으로 제 2의 구성 요소의 제 1의 구성 요소에 대한 계합과, 괘지 요소의 제 2 위치로의 이동이 가능케 된다. 또, 회동 부재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통해서, 구성 요소 사이가 계합되고 있는 것과, 괘지 요소가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것의 확인이 용이해질 수 있고, 두 구성 요소의 계합을 망각하는 것과 괘지 요소의 제 2 위치로의 이동을 망각하는 작업 오류가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 2의 관점에 의하면, 상기 제 2의 구성 요소가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계합하지 않을 때는 상기 괘지 요소의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전기적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괘지 요소에 힘을 가함으로써 이들 두 구성 요소를 계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 계합 후에는 괘지 요소에 힘을 가함으로써 그 괘지 요소가 제 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체로서 1회의 동작(회동 부재를 회동시키는 하나의 동작)으로 접속 상태로 할 수 있는 구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의 관점에 의하면, 상기 제 2의 구성 요소를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계합시키는 방향과 상기 괘지 요소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이 일치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동 부재를 회동시키는 한 번의 작업으로 제 2의 구성 요소의 제 1의 구성 요소에 대한 계합과, 괘지 요소의 제 2 위치로의 이동을 순조롭게 연이어서 행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의 관점에 의하면,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괘지 요소를 누름으로써 상기 제 2의 구성 요소가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계합하는 것과, 상기 괘지 요소가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연속으로 행해지는 전기적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동 부재를 회동시키는 한 번의 작업에 의하여 제 2의 구성 요소의 제 1의 구성 요소에 대한 계합과, 괘지 요소의 제 2 위치로의 이동이 연속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접속 작업에 걸리는 시간과 수고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의 관점에 의하면,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괘지 요소를 누르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의 구성 요소가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계합하면, 상기 괘지 요소에 대한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괘지가 해소되고, 그 괘지 요소가 상기 제 2 위치로 향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두 구성 요소가 계합하기 전에는, 회동 부재가 괘지 요소를 누르는 힘을 제 2의 구성 요소가 제 1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계합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두 구성 요소가 계합한 후에는, 회동 부재가 괘지 요소를 누르는 힘을 그 괘지 요소가 제 2 위치로 이동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 결과, 제 2의 구성 요소의 제 1의 구성 요소에 대한 계합과 ,괘지 요소의 제 2 위치로의 이동이 연속으로 순조롭게 행해지기 때문에, 접속 작업에 걸리는 시간과 수고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의 관점에 의하면, 상기 회동 부재는 그 일단에 회동축을 가지며, 또한, 그 회동 부재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그 중도부분이 상기 괘지 요소를 누르는 전기적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동축을 지점으로 하는 지레의 원리에 따라 회동 부재에 가한 힘이 작아도 괘지 요소를 강제로 힘으로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조립 작업시에 그다지 큰 힘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 작업자의 피로가 경감된다.
본 발명의 제 7의 관점에 의하면, 상기 회동 부재를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또한 구비한 전기적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의 구성 요소와 제 2의 구성 요소와의 접속을 완료시킨 후, 회동 부재가 무용하게 회동하지 않도록 고정해 두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후의 작업에 방해가 되지 않고 작업성이 양호하다.
본 발명의 제 8의 관점에 의하면,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고정되어 있을 때는 상기 괘지 요소의 상기 제 1 위치로의 이동, 및 상기 제 2의 구성 요소의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계합 해제가 모두 상기 회동 부재에 의하여 규제되는 전기적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동 부재를 고정시킴으로써, 전기 커넥터 요소 사이가 한번 더 단락되지 않도록 그리고 구성 요소 사이의 접속이 해제되지 않도록, 회동 부재에 의하여 로크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제 2의 구성 요소 사이가 뜻하지 않게 분리되는 사태가 회피된다.
본 발명의 제 9의 관점에 의하면,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계합된 제 2의 구성 요소를 덮도록 커버 형상으로 형성되는 전기적 접속 장치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 1의 구성 요소에 접속된 상태의 제 2의 구성 요소를 커버로 덮음으로써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의 구성 요소와 제 2의 구성 요소 사이의 전기적 접속의 안정성·확실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취해진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온전하게 드러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 예에 관계된 전기적 접속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 단면도.
도 4는 단락 클립의 사시도.
도 5는 플러그의 내부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중앙 플러그 부분을 위로 향한 상태의 플러그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플러그에 괘지구를 설치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괘지구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1의 ⅸ-ⅸ선 단면도.
도 10은 플러그를 잭에 일부 삽입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 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xi-xi선 단면도.
도 12는 회동된 커버가 플러그를 압입하는(눌러 끼우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xⅲ - xⅲ선 단면도.
도 14는 커버가 또한 괘지구를 압입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xⅴ-xⅴ선 단면도.
도 16은 커버가 닫혀지고 로크(lock)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ⅹvⅱ-ⅹvⅱ선 단면도.
도 18은 커버가 닫혀지고 로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기적 접속 장치5 : 괘지구(괘지 요소)
11 : 잭(제 1의 구성 요소)12 : 플러그(제 2의 구성 요소)
24 : 단락 클립(단락 요소)71 : 커버(회동부재)
75 : 돌기(고정수단)
도 1에는 에어백 시스템에 사용되는 커넥터 장치(전기적 접속 장치)(1)의 전체적인 구성의 상세 사항이 도시되어 있다. 이 접속 장치(1)는 잭(제 1의 구성 요소)(11)과, 이 잭(11)에 계합 가능한 플러그(제 2의 구성 요소)(12)로 이루어진다.도 1에 도시된 것은 잭(11)과 플러그(12)의 계합전의 상태이다.
잭(11)은, 에어백 시스템의 제어 장치와, 그 제어 장치에 전기적으로 결합되지 않으면 안 되는 에어백 조립체의 착화 장치(스퀴브라고 지칭되는 경우도 있음.)의 사이에 개재되는 중계 장치의 일부로 구비된다. 착화 장치는 제어 시스템으로부터 충분한 전기 에너지가 부여될 때에 연소하는 화공(火工) 장치이다. 이 착화 장치의 연소에 의하여 가스 발생 재료가 착화되며, 그 결과 에어백이 전개된다(펼쳐진다).
중계 장치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백의 작동/비작동을 절환하기 위한 스위치로 되어 있다. 이 스위치를 OFF로 하는 것에 의해서 제어 장치로부터의 에어백 작동 신호를 착화 장치에 대하여 차단하여, 에어백을 작동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잭(11)에는 단락 클립(단락 요소)(24)이 구비되어 있다. 이 단락 클립(24)은 잭(11)과 플러그(12)가 기계적으로 계합되고 전기적으로 접속될 때까지 잭(11)에 갖춰진 한 쌍 2개의 핀(13) 사이를 단락 상태로 한다. 이것에 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플러그(12)는 에어백의 제어 장치에 대하여 2개의 도선(32)을 이용하여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 플러그(12)에는 괘지구(掛止具)(괘지 요소)(5)가, 도 1에 도시된 제 1의 괘지 위치에서 걸어 고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잭의 구성〕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잭(11)은 본체(10)를 구비하고, 이 본체(10)의 상면에는 개구부(1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O)는 중계 장치의 하우징 등과 같은 관계된 구조체내에 직접 내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개구부(10a)는 본체(10)와는 분리된 별개의 요소로 형성하고, 관계된 구조체에 추가한 것도 가능하다.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인 도 2 또는, ⅲ-ⅲ선 단면도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개구부(10a)에는 저부벽(17)이 종단(終端)을 이룬다. 이 저부벽 (17)으로부터는 도전성을 갖는 금속제의 한 쌍의 수컷형의 핀(제 1 전기 커넥터 요소)(13)이 상향 돌출해 있다(도 3). 이들 2개의 핀(13)은 각각 그 근원 부분에서 도체 접속부(39)가 수직으로 형성되며, 이 도체 접속부(39)에 한 쌍의 도선(38) 중 대응하는 도선이 접속된다.
도선(38)은 절연재가 피복된 선으로 됨과 동시에, 그 선의 단부에 있어서는 대응하는 도체 접속부(39)에 전기적으로 및 기계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벗겨 내어져 있다. 이러한 선은 임의의 종래의 방법{통상은, 도체 접속부(39)의 일부를 선의 벗겨진 단부의 주위에 압착한 것)에 의하여 부착된다.
이 도선(38)은 에어백 작동 신호의 중계 또는 차단을 절환하는 도시하지 않는 스위치에 공지의 방법으로 접속되며, 이 스위치가 에어백 착화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따라서, 해당 스위치가 ON으로 되어 있으면, 핀(13)에 전기 에너지를 부여하여 착화 장치가 착화되고 에어백이 전개한다.
도 1에 나타낸 것처럼, 개구부(10a)의 측부의 내벽은 원호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부(10a)의 입구 부분에 있어서, 해당 개구부(10a)의 측부의 내벽에는 둘레 방향으로 가늘고 긴 볼록한 부분(14)이 설치된다. 이 볼록한 부분(14)의 상면측은 비스듬하게 절삭되어 경사면(14a)이 형성된다.
경사면(14a)은 도 11 또는 도 1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2)가 괘지부(42 또는 55)를 수용하여, 탄성 각부(脚部)(41) 또는 제 1 각부(51)에 내측으로 향하는 변형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볼록한 부분(14)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2)의 괘지구(5)의 괘지부(42)를 계지하며, 계합 상태를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상기 개구부(10a)의 내벽에는 단락 클립(24)이 고정된다. 이 단락 클립(24)은 스프링 강과 같은 탄성적인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다. 단락 클립(24)의 일부는 양쪽의 상기 핀(13)에 그 접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편향되어, 양 핀(13)의 사이에 전기적인 단락 회로를 형성한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단락 클립(24)은 판 형상의 기부(基部)(25)와, 그 기부(25) 상에서 절곡되어 아래쪽으로 신장된 한 쌍의 각부(26)와, 그 한 쌍의 각부(26)의 각각의 하부에서 90도 절곡된 한 쌍의 접합부(27)를 구비한다. 각부(26) 각각은 기부(25)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계단 형상으로 절곡됨과 동시에, 편향되어 쌍방의 핀(13)의 측부에 접합부(27)의 선단이 대응되고 전기적인 접속이 얻어지게 되어 있다. 이 기부(25)가 도 3과 같이, 잭(11)의 본체(10)에 형성된 개구부(10a)의 슬릿(slit) 모양의 홈(28)에 빠지지 않도록 삽입됨으로써, 단락 클립(24)이 개구부(10a) 내에서 유지된다.
단락 클립(24)은 신축되는 상태로 개구부(10a)에 설치되며, 그 결과,접합부(27)는 기부(25)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즉, 핀(13)에 근접한 방향}으로 항상 힘을 받는다.
도 3에는, 단락 위치에 있는 단락 클립(24)이 도시되어 있다. 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핀(13)은 그 하부 부분에서 단락 클립(24)의 접합부(27)에 전기적으로 접속함과 동시에 개구부(10a) 내에서 위쪽을 향하여 신장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11)의 본체(10)는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 방향의 일단측{개구부(10a)를 형성한 측과 동일측}으로부터 양측 방향으로 회동축(70)이 각각 돌출된다. 이 회동축(70)에 「⊃」자 모양의 커버(71)(회동 부재)가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이 커버(71)는 천정부(72)와, 천정부(72)의 단부로부터 수직으로 형성된 한 쌍의 측벽부(73)를 갖는다. 측벽부(73)의 길이 방향의 일단에는 축공(軸孔)이 설치되어 있고, 이 축공에 상기 회동축(70)을 끼워 관통시킴으로써, 커버(71)를 해당 회동축(70) 회전으로 회동 개폐를 자유롭게 하고 있다. 또한, 도 1과 도 3에는 커버(71)가 열린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 측벽부(73)에는 각각 계지구멍(74)이 개구되고 있고, 그 계지구멍(74)은 본체(10)의 측부 외벽에 돌출시켜 형성한 돌기(75)(고정 수단)에 계합할 수 있는 치수 및 배치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커버(71)를 닫은 상태에서는 계지구멍(74)과 돌기(75)가 계합되어, 커버(71)의 해당 닫힘 상태를 지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플러그의 구성〕
커넥터 장치(1)의 플러그(12)는 도 1과 도 3을 참조함으로써 잘 이해된다. 플러그(12)는 중앙 플러그 부분(본체 부분)(31)을 구비하고, 이 중앙 플러그부분(31)의 내부에는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아래쪽으로 신장된 메스(mes)형의 한 쌍의 전기 단자(제 2 전기 커넥터 요소)(30)를 지지하고 있다. 이들 전기 단자(30)는, 도선(32)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잭(11)의 핀(13)을 받아들여 계합할 수 있는 구성 및 치수로 되어 있다. 전기 단자(30)와 도선(32)과의 접속은 핀(13)과 도선(38)과의 접속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압착 등의 공지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도선(32)은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플러그(12)의 상자 모양의 하측 부분(34)의 빈 공간(34a) 안에 배치된 페라이트 비드(ferrite bead)(35)를 통과한다. 페라이트 비드(35)는 대략적으로 상자 모양의 균질체로 되어, 평행하게 원통형의 2개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공에 도선(32)을 끼워 관통시킴으로써 도선(32)에 생기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선(32)은 빈 공간(34a)의 후측벽의 개구부를 통과한 후, 하측 부분의 단부로부터 외부로 나와서 제어 장치에 접속된다.
중앙 플러그 부분(31)은 도 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사각통(四角筒)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원호 형상의 탄성 각부(41)가 중앙 플러그 부분(31)의 측면에 배치되어, 중앙 플러그 부분(31)과 평행하게 아래쪽에 신장되어 있다{도 6에서는 지면(紙面)의 상방(上方)이 아래쪽을 나타낸다). 이 탄성 각부(41)는 잭(11)의 본체(10)의 개구부(10a)의 내부에 견고하게 계합할 수 있도록 그 치수 및 배치가 정해져 있다.
탄성 각부(41)의 하부에는,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한 괘지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괘지부(42)는, 도 1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2)를 잭(11)에 대하여 적정하게 계합시킨 때에 전술의 볼록한 부분(14)을 타고 넘어가서 그 하부의 공간에 들어갈 수 있는 치수 및 배치로 되어 있다.
도 1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플러그 부분(31)은 또한 기다란 돌출부(43)를 갖는다. 이 기다란 돌출부(43)는 잭(11)을 올바른 방향으로 접속할 때에 플러그(12)를 개구부(10a)의 내벽에 형성된 기다란 홈(29)(도 1에 도시됨)에 계합할 수 있는 치수 및 위치로 이루어진다. 이 기다란 돌출부(43)와 기다란 홈(29)에 의하여 역방향의 접속이 방지되어, 플러그(12)의 2개의 전기 단자(30)와 잭(11)의 2개의 핀(13)과의 올바른 접속 관계가 확보된다.
플러그(12)는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상측부분(36)과 하측부분(34)이 그 길이 방향의 일단에서 서로 접속된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 부분은 변형 가능하게 하고, 상기 상측부분(커버 부분)(36)이 도면에 표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되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중앙 플러그 부분(31)과 탄성 각부(41)는 하측부분(34)에 형성되어 있다.
상측부분(36)에는 임의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 한 쌍의 탭 신장부(37)와 한 쌍의 괘지부(40)가 형성된다. 한편, 하측부분(34)에는 계합 홈(47)과 계지구멍(4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전술한 도선(32)과 페라이트 비드(35)를 상·하측부분(36, 34)의 사이에 끼운 상태에서 상측부분(36)을 되접어서 탭 신장부(37)와 계합 홈(47)을 계합시키고, 또, 괘지부(40)와 계지구멍(44)을 계합시키는 것에 의하여, 상측부분(36)과 하측부분(34)이 일체로 결합된다. 이러한구성에 의해, 도선(32)을 덮는 거의 직방체 형상의 포위체(包圍體)가 제공된다.
도 7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2)의 상측부분(36)의 상면이면서 중앙 플러그 부분(31)의 형성 부분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넓고 얕은 홈(4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45)의 폭방향의 양측에는 서로 마주 보는 한 쌍의 관통 개구부(46)가 대략「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관통 개구부(46)에, 이하에 설명되는 괘지구(괘지 요소)(5)가 장착된다. 이 괘지구(5)는 도 7과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천정부(가압부)(50)와, 그 천정부(50)의 폭방향 양측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 1 각부(51)와, 제 1 각부(51)를 사이에 두고 그 양측에 위치한 규제부(52)와, 가압부(50)의 길이 방향의 단부로부터 일렬이 되게 아래쪽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제 2 각부(53)를 구비한다. 이 제 1 각부(51)와 규제부(52)는 일직선 형태로 나란히 형성되는 한편, 제 2 각부(53)는 제 1 각부(51)와 규제부(52)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제 2 각부(53)의 사이에 슬릿(58)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있다.
이들 각부(51, 53)와 규제부(52)는 상기 플러그(12)의 상측부분(36)에 형성된 대략「L」자 모양의 관통 개구부(46)에 삽입될 수 있는 치수 및 배치로 되어 있다.
상기 제 1 각부(51)는 아래로부터 순서로 제 1 괘지부(54)와, 제 2 괘지부(55)를 구비한다. 이들 두 괘지부(54, 55)는 모두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지만, 제 2 괘지부(55)가 제 1 괘지부(54)보다 그 돌출량이 더 크다.
이 괘지구(5)의 상세 사항을 주로 도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각부(51)의 제 1 괘지부{소(小) 돌출부}(54)는 그 선단에 계단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도 1의 ⅸ-ⅸ선 단면도인 도 9의 좌측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12)의 탄성 각부(41)에는 횡방향의 개구(60)가 설치되고 그 하단에 계단부(61)가 형성되어 있다.
괘지구(5)는 플러그(12)에 삽입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 제 1 각부(51)의 계단부(54a)가 탄성 각부(41)의 계단부(61)에 부딪치는 위치(「제 1의 괘지 위치」라고 칭한다)에 걸려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 때, 괘지구(5)의 제 2 괘지부{대(大) 돌출부}(55)는 개구(6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탄성 각부(41)의 하단 내측에는 괘지홈(62)이 지름 방향으로 절취되어 형성된다. 전술한 제 1의 괘지 위치로부터 괘지구(5)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 그 제 1 괘지부(54)의 외측으로의 돌출부가 괘지홈(62)에 걸려 고정된다. 이 위치를 「제 2의 괘지 위치」라고 칭하지만, 이 제 2의 괘지 위치에 있어서 괘지하는 정도는 괘지구(5)를 플러그(12)로부터 끌어올리는 것에 의하여 제 1의 괘지 위치에 되돌리는 것이 가능한 정도로 약간 약하게 되어 있다.
괘지구(5)의 규제부(52)는, 도 8에 나타낸 것처럼, 제 1 각부(51)의 탄성 변형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는 슬릿(56)을 개재하여 형성됨과 동시에, 아래쪽으로 연장 돌출된다. 규제부(52)는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아래쪽으로 조금씩 두께가 감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의 우측 부분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규제부(52)는 플러그(12)의 탄성 각부(41)의 두꺼운 몸체부분(63)의 내면에 형성한 내측 돌출부(63a)와 중앙 플러그 부분(31)의 측부의 외면 사이에 위치한다.
괘지구(5)가 도시된 제 1의 괘지 위치에 있는 상태{즉, 플러그(12)의 홈(45)으로부터 천정부(50)가 띄어져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기 규제부(52)가 탄성 각부(41)의 두꺼운 몸체부분(63)의 내측 돌출부(63a)에 대하여 위쪽으로 후퇴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탄성 각부(41)의 괘지부(42)의 내측으로의 변형은 규제되지 않는다. 한편, 괘지구(5)가 제 2의 괘지 위치에 있는 상태{즉, 천정부(50)가 홈(45)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규제부(52)가 상기 내측 돌출부(63a)에 대면하는 위치까지 내려가기 위해 탄성 각부(41)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이 저지된다.
제 2 각부(53)는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괘지구(5)가 제 1의 괘지 위치로부터 제 2의 괘지 위치까지 압입되면, 단락 클립(24)의 절곡 부분까지 진출하고, 핀(13)으로부터 접합부(27)를 후퇴시켜, 핀(13)에 대한 전기적 단락을 해제하도록 한다. 또한, 한 쌍의 제 2 각부(53)의 양측이 단락 클립(24)의 절곡 부분까지 진출하는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어느 것이든 하나만이 핀(13)으로부터 접합부 27을 후퇴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접속 동작〕
이상에서 설명한 커넥터 장치(전기적 접속 장치)(1)의 접속 방법을 주로 도 10 이후의 도면을 참조하고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것처럼, 잭(11)과 플러그(12)가 접속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잭(11)의 개구부(10a)에 설치된 상기 단락 클립(24)은 핀(13) 사이의 전기적 단락을 행한다. 또, 잭(11)측의 커버(71)는 도 1 및 도 3과 같이 열린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것처럼, 플러그(12)에 대하여 장착된 괘지구(5)는 전술한 제 1의 괘지 위치{제 1 각부(51)의 계단부(54a)가 탄성 각부(41)의 계단부(61)에 부딪치는 위치)에서 미리 걸려 고정된다.
플러그(12)가 잭(11)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도 1, 도 3 및 도 9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상태)에서는, 괘지구(5)를 플러그(12)에 대하여 아래로 눌러도 전술한 계단부(54a, 61) 사이의 작용에 의해서, 괘지구(5)는 플러그(12)에 대하여 압입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괘지구(5)의 천정부(50)는 플러그(12)의 홈(45)으로부터 띄어져 있는 상태이며, 이 상태는 도 1과 같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12)의 상·하측 부분(36, 34)의 측면을 손가락으로 눌러, 중앙 플러그 부분(31) 및 탄성 각부(41)의 하단의 일부를 잭(11)의 개구부(10a)에 삽입한 상태가 도 10과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 때는 도 11에 나타낸 것처럼, 탄성 각부(41)의 괘지부(42)는 개구부(10a) 입구의 경사면(14a)에 대응되는 상태로 정지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커버(71)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1)의 천정부(72)의 하면(천정면)이 괘지구(5)의 천정부(50)를 아래로 누른다. 또한, 커버(71)는 길이 방향 일단측이 회동축(70)에 의하여 회전 지지됨과 동시에, 그 천정부(72)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에 의하여 괘지구(5)를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천정부(72) 상면의 길이 방향의 타단측에 힘을 가하여 커버(71)를 닫도록 함으로써, 상기 회동축(70)을 지점으로 한 지레의 원리에 의하여 작은 힘으로도 괘지구(5)를 강한 힘으로 아래쪽으로 압입할 수 있다. 그 결과,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작업자의 피로를 경감할 수 있는 구성이 된다.
아래로 눌려지는 괘지구(5)는 그 계단부(54a)(도 9)가 탄성 각부(41)의 계단부(61)를 아래쪽으로 누른다. 그 결과, 플러그(12) 전체에 아래쪽으로의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 결과, 탄성 각부(41)의 괘지부(42)가 경사면(14a)에 대하여 미끄러지게 되어 탄성 각부(41)에 내측을 향하는 모멘트 M1(도 11)이 작용한다.
괘지구(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의 괘지 위치에 있기 때문에, 규제부(52)는 탄성 각부(41)의 내측 돌출부(63a)의 위치에 없고, 탄성 각부(41)의 내측으로의 변형은 규제되지 않는다. 이 결과, 상기 모멘트 M1이 작용하는 탄성 각부(41)는 도 13과 같이 내측으로 휘어져서, 괘지부(42)가 볼록한 부분(14)을 타고 넘어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괘지부(42)의 이동 후의 상태가 도 14와 도 15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도면으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잭(11)측의 핀(13)과 플러그(12)측의 전기 단자(30)가 전기적인 도통(導通) 상태로 된다.
괘지부(42)가 볼록한 부분(14)을 타고 넘은 후에는, 괘지구(5)의 제 2 괘지부(55)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0a) 입구의 경사면(14a)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도 14의 화살표와 같이 커버(71)가 더 회동되어 괘지구(5)의 천정부(50)가 아래쪽으로 더 눌러지면, 제 2 괘지부(55)가 경사면(14a)에 대하여 미끄러지게 되어, 괘지구(5)의 제 1 각부(51)에 내측으로 향하는 모멘트 M2(도 15)가 작용한다. 그 결과, 제 1 각부(51)는 내측으로 휘어지고, 제 2 괘지부(55)는 볼록한 부분(14)을 타고 넘어서 아래쪽으로 이동하며, 이에 수반하여 괘지구(5)가 플러그(12)에 대하여 하강하여, 그 천정부(50)가 플러그(12) 상면의 홈(45)에 수납된다.
이렇게 괘지구(5)는 제 1 각부(51)의 제 2 괘지부(55)가 볼록한 부분(14)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고, 또한 제 1 각부(51)의 제 1 괘지부(54)가 괘지홈(62)에 걸려 고정되어, 제 2의 괘지 위치로 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커버(71)가 플러그(12)의 윗부분을 덮도록 닫혀지고, 그 커버(71)의 측벽부(73)에 형성된 계지구멍(74)이 본체(10)의 측면에 돌출한 돌기(75)와 계합한다. 이것에 의해, 도 16·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71)가 닫힘 상태로 고정되어, 그 후에는 커버(71)가 무용하게 회동하지 않고 차후의 작업의 방해가 되는 일도 없다.
또한, 괘지구(5)가 제 2의 괘지 위치에 있을 때는, 제 2 각부(53)도 아래쪽으로 진출하고, 그 하단이 단락 클립(24)의 스텝 형상의 부분을 눌러 그 접합부(27)를 핀(13)으로부터 분리시키기 때문에, 핀(13) 사이의 전기적 단락 상태가 해제된다. 이상에 의하여, 한 쌍의 핀(13)과 전기 단자(30)와의 전기적 접속이 완료된다.
또, 이 제 2의 괘지 위치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것처럼, 괘지구(5)의 규제부(52)가 탄성 각부(41)의 두꺼운 몸체부분(63)의 내면에 설치된 내측 돌출부(63a)에 대면하는 위치까지 내려가서 탄성 각부(41)의 내측으로의 탄성 변형을 저지한다. 그 결과, 플러그(12)에 위쪽 방향으로의 힘이 걸려도 탄성 각부(41)의 괘지부(42)가 볼록한 부분(14)을 타고 넘어갈 수 없어서 플러그(12)는 잭(11)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
즉, 괘지구(5)를 다시 한번 위쪽 방향으로 끌어올리고 제 1의 괘지 위치로 하지 않는 한 플러그(12)가 잭(11)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되며, 이는 플러그(12)와 잭(11)이 접속된 상태에서의 기계적 록이 실현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접속 동작을 단계를 따라 설명했지만, 실제로는 커버(71)의 회동은 도 10 → 도 12 → 도 14 → 도16으로 연속적으로 행해지고, 이 커버(71)의 회동이라는 한 번의 작업에 의하여, 플러그(12)와 잭(11)과의 계합, 및 괘지구(5)의 제 2의 괘지 위치로의 이동이 단시간에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이것은,
(A) 플러그(12)를 잭(11)에 계합시키는 방향과, 괘지구(5)를 제 1의 괘지 위치에서 제 2의 괘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방향 모두가 아래방향으로 동일한 것과,
(B) 회동 커버(71)는 닫은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괘지구(5)를 그 아래방향으로 누르도록 구성된 것과,
(C) 괘지구(5)가 제 1의 괘지 위치에 있을 때는 그 괘지구(5)와 플러그(12)가 괘지됨으로써, 커버(71)가 괘지구(5)를 아래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플러그(12) 전체를 압입하는 힘으로 이용하는 것과,
(D) 플러그(12)가 잭(11)에 계합이 완료된 후는 ,괘지구(5)의 플러그(12)에의 괘지만 해소시켜, 커버(71)가 괘지구(5)를 아래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그 괘지구(5)가 제 2의 괘지 위치로 이동하는 힘으로 이용하는 것,
에 의하여 달성된다.
따라서, 커버(71)를 회동시키는 한 번의 작업(원 액션)만으로 '(1)플러그(12)의 잭(11)으로의 계합, 및 (2) 괘지구(5)의 제 2가 괘지 위치로의 이동'의 두 작업을 단시간에 행할 수 있고 조립시의 시간과 수고가 절감되게 된다.
또, 도 16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커버(71)가 닫힘 상태로 되고 계지구멍(74)과 돌기(75)와의 계합에 의하여 고정되고 있을 때는, 플러그(12)가 잭(11)에 계합되고, 또한 괘지구(5)는 반드시 제 2의 괘지 위치에 있도록, 커버(71)와 플러그(12) 및 괘지구(5)의 치수와 형상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커버(71)가 닫힘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 잭(11)과 플러그(12)와의 계합이 적정하게 이루어지며, 또한, 괘지구(5)가 제 2의 괘지 위치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작은 괘지구(5)가 제 2의 괘지 위치에 있는가 아닌가 여부를 눈으로 보고 확인한 것보다도 알기 쉽고, 에어백의 조립 작업시에 괘지구(5)의 괘지를 잊어버리는 미스를 현저하게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서는, 커버(71)가 닫힘 상태로 되고 계지구멍(74)과 돌기(75)와의 계합에 의하여 고정되고 있을 때는, 플러그(12)의 잭(11)으로부터의 분리 이탈, 및 괘지구(5)의 플러그(12)에 대한 상방으로의 이동(제 1의 괘지 위치로의 이동)은 모두 커버(71)의 천정면(72)에 의하여 규제된다. 이것은 잭(11)과 플러그(12)와의 계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괘지구(5)와 커버(71)에 따른 이중의 록을 거는 것이 가능함을 의미하며, 플러그(12)가 뜻하지 않게 잭(11)으로부터 자연스럽게 빠져 버리는 것과 같은 사태가 확실하게 회피된다.
또, 이 닫힘 상태에서는 도 18에 나타낸 것처럼, 잭(11)에 접속된플러그(12)의 윗면이나 측면을 커버(71)로 「⊃」자 모양으로 덮는 형태로 되기 때문에, 잭(11)과 플러그(12)의 계합부분을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따라서, 잭(11)과 플러그(12) 사이의 전기적 접속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러그와 잭이 계합되어 고정되는 것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고, 또한 접속 작업이 간단하고 접속에 걸리는 시간과 수고를 절감할 수 있는 전기적 접속 장치를 제공하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언급된 구체적인 실시예와 연계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많은 대체적인 형태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분명히 알 것이다. 따라서, 전술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를 위한 것이지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다음의 청구항에 명시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9)

  1. 한 쌍의 제 1 전기 커넥터 요소를 지지하는 제 1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제 1 전기 커넥터 요소와 각각 계합하는 한 쌍의 제 2 전기 커넥터 요소를 지지하는 제 2의 구성 요소와,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장착된 단락 요소로서, 상기 제 1 전기 커넥터 요소 사이를 전기적으로 단락시키는 단락 요소와,
    상기 제 2의 구성 요소에 장착된 괘지 요소로서, 상기 단락 요소에 의하여 상기 제 1 전기 커넥터 요소를 단락시키는 제 1 위치와, 그 단락 요소를 비단락(非短絡) 위치까지 후퇴시키는 제 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괘지 요소와,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된 회동 부재로서, 회동을 통해서 상기 제 2의 구성 요소를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계합시키며 또한 상기 괘지 요소를 상기 제 2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회동 부재를,
    구비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구성 요소가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계합하지 않을 때는, 상기 괘지 요소의 상기 제 2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전기적 접속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구성 요소를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계합시키는 방향과, 상기 괘지 요소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이 일치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괘지 요소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 2의 구성 요소가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계합하는 것과, 상기 괘지 요소가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전기적 접속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괘지 요소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상기 제 2의 구성 요소가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계합하면, 상기 괘지 요소에 대한 상기 제 1 위치에서의 괘지만 해소하고, 상기 괘지 요소가 상기 제 2 위치를 향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그 일단에 회동축을 가지며, 또한 상기 회동 부재가 회동하는 것에 의해 그 중간 부분이 상기 괘지 요소를 누르는, 전기적 접속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를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전기적 접속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가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고정되고 있을 때는, 상기 괘지 요소의 상기 제 1 위치로의 이동, 및 상기 제 2의 구성 요소의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로부터의 계합 해제가 모두 상기 회동 부재에 의하여 규제되는, 전기적 접속 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부재는 상기 제 1의 구성 요소에 계합된 제 2의 구성 요소를 덮도록 커버 형태로 형성되는, 전기적 접속 장치.
KR1020030036259A 2002-06-06 2003-06-05 전기적 접속 장치 KR100976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65493A JP4034125B2 (ja) 2002-06-06 2002-06-06 電気的接続装置
JPJP-P-2002-00165493 2002-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5299A true KR20030095299A (ko) 2003-12-18
KR100976679B1 KR100976679B1 (ko) 2010-08-18

Family

ID=2954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6259A KR100976679B1 (ko) 2002-06-06 2003-06-05 전기적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99556B2 (ko)
EP (1) EP1369965B1 (ko)
JP (1) JP4034125B2 (ko)
KR (1) KR100976679B1 (ko)
CN (1) CN100365878C (ko)
HK (1) HK1060656A1 (ko)
TW (1) TWI2672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0647B1 (fr) * 2004-05-19 2006-08-25 Cie Deutsch Societe Par Action Connecteur auto-centre a verrouillage inertiel
DE102004031464B3 (de) * 2004-06-30 2006-02-09 Tyco Electronics Amp Gmbh Verriegelbare Steckverbindung
US7005591B1 (en) * 2004-09-01 2006-02-28 Phillips & Temro Industries, Inc. Thermostatic cord
FR2877504A1 (fr) * 2004-11-04 2006-05-05 Tyco Electronics France Sas So Connecteur electrique a interference de formes.
DE102004055297B4 (de) * 2004-11-16 2007-07-19 Fci Steckverbinderanordnung mit Sekundärverriegelung
US7090527B2 (en) * 2004-12-06 2006-08-15 Jds Uniphase Corporation Transceiver delatching mechanism
JP4520315B2 (ja) * 2005-01-21 2010-08-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用電線カバー
EP1691456B1 (en) * 2005-02-10 2008-05-21 Tyco Electronics France SAS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DE102005021375B4 (de) * 2005-05-04 2007-02-01 Yazaki Europe Ltd., Hemel Hempstead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ür Airbag-Zündsysteme
JP4613747B2 (ja) * 2005-08-17 2011-01-1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548272B2 (ja) * 2005-08-17 2010-09-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52606B2 (ja) 2006-05-15 2011-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7645151B2 (en) * 2007-03-22 2010-01-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hunted electrical connector and shunt therefore
US7537473B2 (en) * 2007-06-28 2009-05-26 Fci Americas Technology, Inc. Low profile shorting bar for electrical connector
JP5058696B2 (ja) * 2007-07-19 2012-10-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ロック式コネクタ
DE102008019634B4 (de) * 2008-04-18 2010-12-02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system mit Sekundärverriegelung
FR2931307B1 (fr) * 2008-05-19 2010-05-07 Ncs Pyrotechnie & Tech Piece de connexion electrique formee d'un boitier a deux branches orientes a 90°
CN102074844B (zh) * 2009-11-20 2013-11-1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的制造方法
WO2014096882A1 (en) * 2012-12-17 2014-06-26 Delphi International Operations Luxembourg S.À.R.L. Electrical high power connector assembly
DE102013111696A1 (de) * 2013-10-23 2015-04-23 Endress + Hauser Flowtec Ag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 Feldgerät sowie Feldgerät mit einer solchen Anschlussvorrichtung
EP3026763B1 (en) * 2014-11-28 2017-02-22 Magneti Marelli S.p.A. Electric apparatus with safety connector for preventing electric shock
JP6407819B2 (ja) * 2015-07-31 2018-10-17 株式会社シマノ 自転車用コンポーネント
EP3516741B1 (de) * 2016-09-23 2021-06-02 Stäubli Electrical Connectors AG Stecker mit schutz
US9865968B1 (en) * 2017-01-25 2018-01-09 Delphi Technologies, Inc. Connector housing with an integral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device
US10938166B2 (en) * 2017-02-10 2021-03-02 Sentinel Connector Systems, Inc. Switched power over ethernet connector
EP3396789B1 (en) * 2017-04-27 2021-03-03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for airbag restraint systems
US10044142B1 (en) * 2017-04-28 2018-08-07 Valeo North America, Inc. Connector locking holder
JP1595977S (ko) * 2017-08-01 2018-01-29
CN217522314U (zh) * 2022-05-11 2022-09-30 景霞荣 一种用于插头或插座的旋转手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593B2 (ja) * 1990-10-31 2000-03-21 株式会社秩父富士 Icソケット
US5376017A (en) 1992-09-29 1994-12-2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Connector
US5275575A (en) * 1992-10-09 1994-01-04 Trw Inc.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with safety interlock
JP2815081B2 (ja) * 1993-02-18 1998-10-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ッテリ間接続用コネクタ装置
US5616045A (en) * 1995-07-14 1997-04-01 Augat Inc. Squib connector for automotive air bag assembly
US6053762A (en) * 1996-09-18 2000-04-25 Yazaki Corporation Service plug terminal fitting structure
DE69936207T2 (de) * 1998-07-15 2008-01-2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Sparks Verbinder für airbag-gasgenerator
JP2000315549A (ja) 1999-04-28 2000-11-1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650034B2 (ja) * 2000-03-01 2005-05-18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KR100564091B1 (ko) * 2000-03-01 2006-03-27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접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67239B (en) 2006-11-21
TW200408169A (en) 2004-05-16
CN100365878C (zh) 2008-01-30
CN1469512A (zh) 2004-01-21
US6899556B2 (en) 2005-05-31
EP1369965B1 (en) 2012-11-14
JP2004014261A (ja) 2004-01-15
HK1060656A1 (en) 2004-08-13
EP1369965A2 (en) 2003-12-10
US20030228782A1 (en) 2003-12-11
JP4034125B2 (ja) 2008-01-16
EP1369965A3 (en) 2003-12-17
KR100976679B1 (ko)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679B1 (ko) 전기적 접속 장치
KR100564091B1 (ko) 전기 접속 시스템
KR100282328B1 (ko) 연동장치를가진전기접속시스템
KR100530174B1 (ko) 잠금부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EP0808749B1 (en) Connector for airbag gas generator
US6435894B2 (en) Connector for airbag gas generator
JP4606283B2 (ja) コネクタ
JP2647336B2 (ja) 電気接続装置
EP1463163B1 (en) Electric connector plug and its assembly method
JP2003203722A5 (ko)
JPH07147173A (ja) コネクタ短絡スプリング
JP2002151181A (ja) スクイブのシャント
US20090098758A1 (en) Connection system and squib connector therefor
JP3607883B2 (ja)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US7147503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having a cover with a latch
TWI599121B (zh) Flat conductor electrical connector
CN201868679U (zh) 电源电路连接装置
JP3428914B2 (ja) コネクタ
KR100976325B1 (ko) 점화장치용 커넥터 조립체 및 단락조립체
JP2001319747A (ja) 掛け止めを有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3446990B2 (ja) コネクタのロック忘れ検知構造
JP3958544B2 (ja) レバー嵌合式電源回路遮断装置
EP165581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engaging shapes
JP3006441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0182721A (ja) レバー付きコネクタにおける半嵌合検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