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0190A - 인터넷과 문제풀이 전용 휴대 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인터넷과 문제풀이 전용 휴대 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0090190A KR20030090190A KR1020020028196A KR20020028196A KR20030090190A KR 20030090190 A KR20030090190 A KR 20030090190A KR 1020020028196 A KR1020020028196 A KR 1020020028196A KR 20020028196 A KR20020028196 A KR 20020028196A KR 20030090190 A KR20030090190 A KR 200300901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portable device
- user
- user computer
- computer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VKWMGUNWDFIWNW-UHFFFAOYSA-N 2-chloro-1,1-dioxo-1,2-benzothiazol-3-one Chemical compound C1=CC=C2S(=O)(=O)N(Cl)C(=O)C2=C1 VKWMGUNWDFIW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5 exerci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37 g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751 gemsto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20 luminiscence typ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258 poly(methylsilm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70 poly(p-phenylene terephthalat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12 protecto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84 tocoph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31 tricalc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과 문제 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와, 상기 휴대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 상기 휴대장치에서 출력할 수 있는 포맷의 문제 컨텐츠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과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요청한 문제 컨텐츠를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해주는 문제제공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면, 원하는 문제 컨텐츠만을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구입할 수 있고, 휴대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제 시험과 동일한 학습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채점 및 성적관리를 사용자 컴퓨터에서 편리하게 함으로써, 피학습자의 학습 및 성적 관리 등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터넷과 문제 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무선 인터넷을 경유하여 문제 제공 서버가 사용자 컴퓨터로 문제 풀이 전용 휴대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문제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해당 문제 컨텐츠를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로 다운로드 하여 시험(Examination)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학생들의 학습방법은 통상 오프라인 상에서의 방법과 온라인 상에서의 학습으로 대별될 수 있다.
오프라인 상에서의 학습은 전통적인 방식으로서, 교과서, 학습지, 문제집 등을 이용하여 학습을 하는 것이다. 따라서, 수험생 또는 학생들은 많은 교과서와 문제집, 학습지 등을 한꺼번에 가지고 다녀야 하는데, 보아야 할 책의 수가 많아지면서 부피 및 무게가 커져서 모든 교재 등을 가지고 다닐 수 없게 되었다.
또한, 문제집이나 참고서를 구입하는데 너무 많은 비용이 소비되며, 매년 약간씩 수정되므로 해가 지나면 다시 볼 수 없고, 새로운 교재 등을 구입하여야 하므로 비용의 부담이 더욱더 증가되는 현실이다.
한편, 최근에는 컴퓨터를 학습에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즉, 컴퓨터를 이용하여 오프라인 상에서 학습 및 문제풀이를 할 수 있는 학습용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최근 인터넷 사용의 확산으로 인하여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온라인 학습이 제안되고 있다. 즉, 컴퓨터 또는 무선인터넷 기능을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학습 서버에 접속한 후, 학습 서버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학습 및 문제풀이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온라인 학습방식은 실시간으로 학습 및 문제풀이가 가능하고, 필요한 내용만을 요청하여 볼 수 있으므로, 반복학습 및 문제풀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컴퓨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방법은 이용하는 장치에 따라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퍼스널컴퓨터(PC)와 같은 장비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휴대성을 만족시킬 수 없다. 즉, 컴퓨터 등의 휴대가 불가능하므로 집이나 학교 등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는 환경에서만 학습을 할 수 있어서 불편하다. 현재 대부분의 온라인 교육은 이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와 웹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서버에 접속한 뒤 학습 컨텐츠를 열람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휴대가 가능한 노트북 등의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우선, 책가방과 함께 휴대하기가 너무 무겁고, 가격이 비싸며, 컴퓨터를 부팅하고 학습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데 너무 오래 걸려 등교버스 안 또는 휴식 시간 등의 짧은 시간에는 이용할 수 없다. 또한, 배터리의 사용시간이 2 내지 3시간으로 비교적 짧아서 장시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휴대폰, PCS 등과 같은 무선인터넷 기능을 보유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단말기는 표시부(Display)가 너무 작아서 충분한 정보를 한꺼번에 볼 수 없으며, 단말기의 저장공간이 비교적 작아서 많은 양의 컨텐츠를 저장할 수 없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마다 실시간으로 컨텐츠를 다운 받아 사용하여야 하는데, 데이터 전송량이 많아 이동통신 요금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전파 음영지역에서는 전혀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종래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에 학습용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나 이에도 다음과 같은 단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PDA에는 운영체제(OS), 브라우저(Browser) 등과 같이 기본적으로 필요한 프로그램이 저장 공간인 롬(ROM)에 저장되어 있어서, 저장 공간의 사용이 기본적으로 제한을 받게 마련이며, 따라서 학습용 프로그램의 사용에 제한을 받게 된다.
한편,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과 관련된 특허출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24349호(인터넷을 이용한 전자학습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동 공개특허 제2000-12686호(인터넷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구성), 동 공개특허 제2000-30514호(인터넷을 이용한 맞춤 학습시스템 및 맞춤 학습방법) 등이 그 예들이다. 그러나, 이러한 출원은 모두 사용자측 단말기가 PC이므로, 휴대성이 없다는 전술한 단점을 그대로 보유하고 있다.
즉, 수험생, 고시생 등과 같은 피학습자는 대부분 학교, 학원, 독서실 등 집이 아닌 야외에 있는 시간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공간에는 대부분 컴퓨터가 없기 때문에, 사용자 단말기로 PC를 이용하는 기존의 모든 온라인 관련발명을 이용할 수 없고, PC가 있는 집이나 컴퓨터실 등에서만 이용할 수 없어서 아주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휴대성을 보유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제2001-1063호 한국공개특허 등이 그 예이다. 상기 특허출원은 언어 학습 기능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으로서, 어학모드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어학학습 데이터를 단말기로 전송해주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그 밖의 대부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방법에서는 단순히 학습관련 자료를 단말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순한 형태이다.
한편, 수험생 등의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시험(Examination)"으로서, 즉 문제를 보고 그에 대한 정답을 선택하며, 시험 종료 후에 그에 대한 결과를 알려주는 것이 가장 효율적인 교육 방식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학습방법은 휴대성이라는 문제점은 해결하였으나, 그다지 높은 학습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착안한 것으로, 편리하면서도 휴대성과 높은 학습효과를 모두 달성할 수 있는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원격 시험 서비스 제공방법을 구현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과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제 제공 서버와, 사용자 컴퓨터(PC) 및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원하는 문제 컨텐츠만을 휴대장치에 다운로드/저장하여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없이 시험을 볼 수 있고, 채점 결과와 성적관리 등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밀번호에 의하여 인증된 자에게만 문제 컨텐츠에 대한 채점결과를 열람하게 함으로써, 수험생의 학습 및 성적의 투명하고 편리한 관리를 할 수 있는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문제풀이 전용 휴대 장치의 대략적인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의 기능별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시험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도 5는 사용자 컴퓨터가 문제 제공 서버로부터 문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제 1 문제 다운로드 단계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문제풀이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이 채점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시험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 120 :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
130 : 인터넷(망) 140 : (문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150 :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160 : 문제 제공 서버
170 :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은,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와, 상기 휴대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 상기 휴대장치에서 출력할 수 있는 포맷의 문제 컨텐츠를 저장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과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요청한 문제 컨텐츠를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해주는 문제제공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문제제공서버는 외부의 다른 서버로부터 다양한 형식의 문제컨텐츠를 수집하여,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포맷으로 전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을 가지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컨텐츠는 1 이상의 문제로 이루어진 1 이상의 문제 컨텐츠 패키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에는 문제제공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문제 컨텐츠를 휴대장치로 다운로드하고, 휴대장치로부터 업로드된 데이터를 기초로 채점, 성적관리 및 통계를 수행하는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휴대장치는 전원부와, 1 이상의 문제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1 이상의 문제 컨텐츠 패키지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의 문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과, 음성형태의 문제 컨텐츠와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신호 출력수단과, 키패드, 터치스크린, 필기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수단과,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 및 사용자의 명령신호에 따라 선택된 문제 컨텐츠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채점결과를 산출·저장·관리하는 학습용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휴대장치는 경고 또는 기능표시를 위한 1 이상의 발광표시수단 또는 진동표시수단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으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타이머가 구비됨으로써, 문제풀이를 위한 시간제한 및 시간계측을 할 수 있으며, 시간제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시간이 임박하거나 초과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오디오신호 출력수단, 발광표시수단 또는 진동표시수단을 이용하여 경고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장치에는 저장되어 있는 문제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고, 각 문제에 대한 정답 선택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며,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으로 정답 선택 정보를 업로드 하기 위한 문제풀이용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문제풀이용 응용 프로그램은 필요한 경우 채점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문제 제공 서버가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문제 컨텐츠를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으로 다운로드 하는 제 1 문제 다운로드 단계와,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은 문제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문제 컨텐츠를 저장하고, 특정 문제 컨텐츠를 휴대장치로 다운로드 하는 제 2 문제 다운로드 단계와,
상기 휴대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문제 컨텐츠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각 문제에 대하여 입력한 정답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문제 풀이 단계와,
상기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관리 프로그램은 휴대장치로부터 상기 정답 선택 정보를 전송 받아 채점을 수행하고 채점결과를 저장하며, 인증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채점결과를 디스플레이 하는 채점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장치 또는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은 채점 단계 이후에, 해당 문제에대한 풀이 정보를 출력하는 해답풀이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컴퓨터의 관리 프로그램은 문제 컨텐츠에 대한 채점 이외에, 과목별, 사용자별, 단원별 통계 등을 산출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문제 제공 서버는 인터넷으로 연동되어 있는 여러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문제 컨텐츠만을 수집하고, 본 발명에 의한 휴대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전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크게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110)와,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120), 휴대장치에서 출력할 수 있는 포맷의 문제 컨텐츠를 저장한 문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0), 데이터베이스(140) 및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120)과 연동되어 사용자가 요청한 문제 컨텐츠를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해주는 문제 제공 서버(160)로 이루어진다. 또한, 인터넷(130)을 경유하여 문제 제공 서버(160)와 연동되어 있는 1 이상의 외부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170)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110)는 소정 포맷의 문제 컨텐츠를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문제 컨텐츠를 출력한다. 이러한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에는 문제풀이용 응용 프로그램(11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응용 프로그램(111)은 문제 컨텐츠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각 문제의 정답으로 선택한 입력신호, 즉 정답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기능과, 채점을 위하여 정답 선택 정보를 연결된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Upload)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필요한 경우에는, 문제 풀이 컨텐츠(해답 컨텐츠)를 출력하는 기능과, 자체적인 채점 기능을 추가로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풀이전용 휴대장치와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이하의도 2, 도 3 및 도 6을기초로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120)은 인터넷(130)을 통하여 문제 제공 서버(160)에 연결되어 있는 일반적인 퍼스널 컴퓨터 또는 노트북 컴퓨터이며, 본 발명에 의한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관리 프로그램(121)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120)에 설치되는 관리 프로그램(121)은 문제 제공 서버(16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문제 컨텐츠의 리스트를 컴퓨터 모니터 상에 출력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 컨텐츠를 휴대장치로 다운로드 해주는 다운로드 기능을 구비한다. 또한, 휴대장치로부터 정답 선택 정보, 즉 시험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미리 저장되어 있던 해답정보를 이용하여 채점하는 채점 기능과, 해당 사용자의 과목별, 단원별, 시험종류별, 시간별 성적 통계 등의 통계결과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통계 기능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의 관리 프로그램(121) 및 문제풀이용 응용 프로그램(111)은 C,C++, Visual Basic, Visual C 등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당업자가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는 것으로, 구체적인 알고리즘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컴퓨터(120)와 문제 제공 서버(160)를 연결하는 통신채널로서의 인터넷(130)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하는 것이다. 인터넷망의 구성 및 프로토콜 등은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문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0)는 휴대장치(110)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식(Format)의 각종 문제 컨텐츠 데이터를 카테고리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휴대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은 문제 컨텐츠의 종류(텍스트 또는 음성 등)에 따라 다르게 정해질 수 있다.
그밖에, 각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150)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문제 제공 서버로 접속한 사용자 인증, 사용자별 성적관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DB(150)에는 사용자의 인적정보와, 사용자의 ID 및 비밀번호와 같은 인증정보, 사용자가 구입한 문제 컨텐츠에 대한 정보, 각 사용자의 성적 관리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전술한 사용자 DB(150) 및 문제 컨텐츠 DB(140)는 기능적으로는 구분되어 구현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통합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 베이스들은 컴퓨터 시스템의 저장수단에 구현되는 데이터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오라클(Oracle), 인포믹스(Informix), 사이베이스(Sybase), DB2와 같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이나, 겜스톤(Gemston), 오리온(Orion), O2 등과 같은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OODBMS)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목적에 맞게 구현될 수 있고,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당한 필드(field)들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충분하게 구현가능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문제 제공 서버(160)는 인터넷 상에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특정 결과를 산출하여 제공하기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결합의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으로, 도스(DOS), 윈도우(WINDOWSTM), 리눅스(LinuxTM),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TTPS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E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 제공용 웹서버(web server)는, 통상적인 의미의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서버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포함한다. 즉, 외부의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문제 컨텐츠를수집/변환하여 저장하고, 사용자가 요청한 문제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으로 다운로드 해주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구비하는 소정의 시스템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서버는 기능에 따라 여러 개의 모듈(Module)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듈들은 독립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하나의 프로그램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모듈(또는 프로시저; Procedure)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170)은 EBS와 같은 교육방송 업체의 서버, 기타 인터넷 교육업체, 문제 은행 업체의 서버 등, 인터넷 상에서 문제를 포함하는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모든 시스템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문제풀이 전용 휴대 장치(110)의 대략적인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약13, 10, 2cm 정도로 작은 본체(210)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치 전면에 디스플레이 패널(220)이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220)은 3 내지 4인치 크기에, 240×320 픽셀의 해상도를 가지며, 8비트(256칼라)의 칼라 이상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패널 하부에는 1 이상의 기능키로 이루어지는 키패드가 구비되어 있다. 키패드에는 객관식 문제의 정답을 선택할 수 있는 1번부터 5번까지의 번호 선택키(231)와, 커서 이동키(233) 및 선택키(236)와, 전원버튼(232)과, 문제의 재생/일시정지 버튼(234) 및 정지버튼(235)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키패드에포함되는 기능키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문제풀이에 적합한 다른 기능키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키패드 이외에, 전술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펜으로 작동하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현됨으로써 다른 형태의 입력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한글 및 영문 필기 인식 프로그램을 내장함으로써 스타일러스펜으로 입력한 한글 또는 영문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치 전면부 우측 하단에는 음성형태의 문제를 들려주기 위한 스피커(2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장치의 밑면에는 배터리를 넣을 수 있는 배터리함(260)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크레이들(Cradle) 또는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의 컴퓨터 등과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USB 또는 직렬(RS-232)포트(250)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전원, 즉 배터리는 방전시간이 8시간 이상인 2차 배터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1∼2시간 동안 충전될 수 있는 리튬 이온 배터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밖에, 장치의 측면부에는 스테레오 이어폰을 꽂을 수 있는 이어폰잭(222), 음량조절수단(223)이 구비되어 있으며,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 모든 입력수단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홀드스위치(240)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그밖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MMC 또는 CF(Compact Flash) 방식의 추가 메모리 카드를 삽입할 수 있는 메모리 슬롯(Slot)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장치는 본 발명에 의한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의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문제풀이에 필요한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한 형태상의 많은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의 기능별 구성요소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문제풀이 전용 휴대 장치는, 크게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 및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부로서의 중앙연산장치(CPU; 310)와, 입력수단(340), 디스플레이 패널(320) 및 오디오신호 출력장치(330)를 포함하는 출력수단, 문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350), 전원부(370), 및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용 인터페이스(36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LED로 구성되는 발광표시수단(381) 및/또는 진동모터로 이루어지는 진동표시수단(382)과,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타이머(39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중앙연산장치(310)는 장치에 내장된 문제풀이용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구동하여, 구성요소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문제풀이 기능을 수행한다. 소정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이러한 문제풀이용 응용 프로그램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6을 참고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중앙연산장치로 인텔사의 Strong ARM 또는 그 이상 성능의 프로세서를 이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입력수단(340)은 도 1에 도시된 예와 같은 키패드 입력수단(341), 터치스크린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동하는 터치스크린 입력수단(342), 필기 인식 프로그램에의하여 구현될 수 있는 필기 입력수단(343)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음성 입력수단 등 다른 여하한 입력수단이 추가로 이용될 수 있다.
키패드 입력수단(341)은 객관식 정답 선택 번호키, 커서 이동키, 선택키, 문제 재생/일시정지키, 전원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키패드 입력수단에는 문제풀이에 필요한 다른 형태의 기능키가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터치스크린 입력수단(342)과 필기 입력수단(343)이 구현을 위하여, 소정의 터치스크린 구동 프로그램 및 필기 인식 프로그램 등이 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입력을 위하여 스타일러스펜과 같은 소정의 전자 필기 도구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출력수단으로서의 디스플레이 패널(320)은 터치스크린 기능이 구비되어 있는 박막 표시 액정패널(TFT-LCD), 유기 전계 발광 패널(Electronic Luminescence)등이 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수 인치 크기의 어떠한 디스플레이용 패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야간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백라이트(Back Light) 기능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디오 신호 출력장치(330)는 스피커(Speaker) 등이 될 수 있으며, 후술할 바와 같이, 경고음, 음성형태의 문제, 음성 안내 메시지 등의 오디오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저장부(350)는 문제 컨텐츠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로서, 크게 롬(ROM)과 램(RAM)으로 이루어진다. 롬에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채점결과 인증용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등 변경이 허용되지 않는 중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데 이용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16M바이트 크기의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를 이용하였다. 램(RAM)에는 주로 문제 컨텐츠와 문제풀이 컨텐츠 등의 데이터가 저장되며, 32M바이트 이상의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부에 저장되는 문제 컨텐츠는 다수의 개별 문제로 이루어진 1 이상의 문제 컨텐츠 패키지일 수 있다. 문제 컨텐츠 패키지는, 예를 들면, 과목별 및 교과별 단원 학습 문제집, (과목별) 대입 기출 문제집, (과목별) 대입 예상 문제집, TOEIC, TOEFL, TEPS 등의 영어 시험 문제집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대입, 영어 시험의 듣기 평가 문제집도 가능하며, 각 문제에 대한 해설(문제풀이) 컨텐츠까지 함께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저장부에 저장되는 문제 컨텐츠의 형태는 크게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텍스트+이미지 컨텐츠와, 음성출력이 가능한 오디오 컨텐츠로 대별될 수 있다.
텍스트+이미지 형태의 컨텐츠의 데이터 포맷은 응용 프로그램의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면, HWP, DOC, PPT, TXT, WML, XML 등에 의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컨텐츠의 데이터 포맷은 WAV, MP3, AU, RA 등일 수 있으나, 오디오 재생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용 인터페이스(360)는, 일반 PC와 유선 연결된 상태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USB 또는 직렬(Serial) 포트일 수 있다. 또한, 통신용 인터페이스는 무선 인터넷망을 경유하여 외부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소정의 무선통신칩과, 무선인터넷용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일 수도 있다.
전원부(370)는 장시간 작동이 가능하고 충전이 가능한 2차 전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문제풀이 전용 휴대 전자 장치는 보통 수 시간 이상의 시험 시간 동안 작동하여야 하므로, 적어도 6시간 이상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발광표시수단(381)은 LED로 구현되며, 전원 LED, 경고 LED, 기타 기능 LE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경고 LED는 문제풀이에 설정된 제한시간이 경과하였거나 임박했을 때, 그를 사용자에게 통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전원 LED는 전원의 ON/OFF를 표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진동표시수단(382)은 통상적인 휴대폰에 사용되는 진동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진동표시수단은 수업 또는 시험 도중, 조용한 강의실에서 본 발명에 의한 문제풀이를 하다가 제한시간이 임박했거나 종료된 경우 벨로 경고할 때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타이머(390)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문제 컨텐츠의 최초 문제가 게시될 때부터 제한 시간동안 작동하다가, 만료시간이 다가오거나 제한시간이 종료된 경우, 중앙연산장치로 경고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타이머(390)의 제한시간은 각 문제마다 할당될 수도 있고, 각 문제 컨텐츠 패키지마다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학능력 모의고사 언어영역 전체에 대하여 120분의 제한시간을 할당하거나, 각 1문제에 1분씩의 제한시간을 할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렇게 할당된 제한시간 정보는 문제 컨텐츠 정보와 함께 저장부에 저장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은 각 문제 컨텐츠 패키지의 문제풀이 도중에 잔여시간을 패널상에 디스플레이 해줄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회 모의 TOEIC reading 시험 : 34분 30초 남았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패널상에 출력해 줌으로써 사용자가 잔여시간을 항상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문제풀이 도중에 전술한 재생/일시정지 버튼이 눌려지는 경우에는, 문제 재생뿐 아니라 타이머의 동작을 일시 중지시키고, 다시 재생/일시정지 버튼이 눌려지면 문제재생 및 타이머 작동을 재시작 한다. 이러한 타이머는 장치의 시스템 클록(Clock)을 분주(Dividing)함으로써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시험 서비스 제공방법의 전체적인 흐름을 도시한다.
우선, 사용자는 자신의 PC와 같은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문제 제공 서버에 접속한 후, 원하는 문제 컨텐츠를 구입한다. 즉, 문제 컨텐츠에 대한 대금을 지불하고, 선택된 문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아 사용자 컴퓨터의 저장부에 저장한다. (S411, 제 1 문제 다운로드 단계).
그 다음으로,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로 원하는 문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한다. 즉, 시험을 보고자 하는 문제 컨텐츠 패키지를 선택한 후, 휴대장치를 사용자 컴퓨터와 연결한 상태에서, 직렬통신(Serial) 또는 USB방식으로 해당되는 문제 컨텐츠 패키지를 휴대장치로 다운로드 한다. 문제 컨텐츠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은 휴대장치는 그 문제 컨텐츠를 저장부에 저장한다. (S412, 제 2 문제 다운로드 단계)
그런 다음, 피학습자(수험생)는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학교 교실, 독서실 등의 외부 공간에서 정해진 시간에 해당 문제 컨텐츠 패키지에 대한 시험(문제풀이)과정을 수행한다(S413). 이러한 시험(문제풀이)과정은 출력되는 각 문제 컨텐츠에 대하여 피학습자가 정답이라고 판단되는 보기를 선택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피학습자가 정답이라고 선택한 보기 결과를 "정답 선택 정보"라 칭한다. 이러한 시험과정은 휴대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문제풀이용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상세한 내용은 도 6을 참고로 아래에서 설명한다.
시험과정이 종료되면, 휴대장치에는 전술한 정답 선택 정보가 저장되고, 피학습자가 귀가한 후 사용자 컴퓨터에 휴대장치를 연결하여 채점단계를 수행한다. 채점을 위하여 우선 휴대장치는 저장되어 있는 정답 선택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한다(S414).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관리 프로그램은 수신한 정답 선택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던 해답정보를 일대일로 비교함으로써 해당 문제 컨텐츠 시험에 대한 채점을 수행한다(S415). 채점이 종료되면 채점결과가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된다.
이후에 채점결과를 열람하고자 하는 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필요에 따라 채점결과 열람에 필요한 인증(Authentication)을 수행한 후(S416), 채점결과를 출력한다(S417). 채점결과 확인에 인증을 요구하는 것은, 채점결과는 문제를 푼 피학습자(수험생)의 일종의 개인 정보이므로 보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학습자 본인이나, 교사 또는 부모 등과 같이 해당 피학습자의 채점결과를 열람할 자격이 있는 자만이 채점결과를 보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채점결과 열람에 인증을 요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채점결과 열람시의 인증은 ID 및/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하고, 기저장되어 있던 비밀번호 등과 비교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채점 및 채점결과 출력은 사용자 컴퓨터에서 관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으며, 휴대장치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즉, 피학습자가 시험과정을 종료한 후 곧바로 휴대장치를 이용해 채점결과를 열람하게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채점 후에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전체 문제 또는 일부 문제에 대하여 해답 컨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별도로 수행할 수도 있다(S418). 특히, 자신이 틀린 문제에 대한 해답 컨텐츠만을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사용자 컴퓨터가 문제 제공 서버로부터 문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제 1 문제 다운로드 단계의 흐름도이다.
우선, 문제 제공 서버는 외부의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각종 문제 컨텐츠를 수집하고(S511), 본 발명에 의한 휴대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문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문제 수집/변환/저장 과정을 수행한다(S512, S513).
그러나, 이러한 문제 수집/변환/저장 단계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의한 서비스 제공업체가 자체적으로 문제 컨텐츠를 개발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문제 수집/변환/저장 단계가 생략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일단, 문제 제공 서버에 1 이상의 문제 컨텐츠 패키지가 저장된 상태에서,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문제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로그인한다(S514).
정당한 사용자로 로그인되면, 문제 제공 서버는 자신이 보유하고 있는 문제 컨텐츠 패키지의 제목 리스트를 출력해 준다(S515). 사용자는 출력된 리스트 중에서 구입하고자 하는 문제 컨텐츠 패키지를 선택하고, 구입 대금을 지불(결재)한다(S516).
결재가 정상적으로 되면 문제 제공 서버는 선택된 문제 컨텐츠를 해당 사용자의 컴퓨터로 전송(다운로드) 해주고(S517), 사용자 컴퓨터는 전송 받은 문제 컨텐츠를 저장부에 저장한다(S518). 이로써, 제 1 문제 다운로드 단계가 종료된다.
사용자 컴퓨터로부터 휴대장치로 문제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과정은 컴퓨터로부터 외부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일반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어렵지 않게 구현 가능할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문제풀이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사용되는 휴대 장치의 전원을 켜면(S611), 휴대 장치에 설치되어 있던 응용 프로그램은 도 8a와 같은 초기화면을 디스플레이 해준다. 이 상태에서 "1.문제 컨텐츠 패키지"라는 항목이 선택되면,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컨텐츠 패키지의 리스트를 출력해준다(S612). (도 8b 참조)
사용자가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특정 문제 컨텐츠 패키지를 선택하면(S613), 응용 프로그램이 해당 컨텐츠 패키지에 제한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지 판단한다(S614). 제한시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타이머의 다운카운트를 개시하고(S615), 동시에 해당 문제 컨텐츠 패키지에 포함되어 있는 문제를 순서대로 디스플레이 패널상에 출력한다(S616).
현재 디스플레이 되고 있는 문제의 보기 중 하나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해당 문제에 대한 정답선택이 완료된다(S616). 이 때, 사용자가 정답으로 선택한 보기가 어느 것인지 확인해 줄 필요가 있는 바, 선택된 보기의 항목번호에 체크를 하거나, 색깔을 바꾸어 표시하는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일단 한번 선택한 보기를 변경하기 위하여 선택을 취소할 수 있는 별도의 기능키를 할당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실제 시험에서와 같이 한 번 선택한 보기를 나중에 바꿀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응용 프로그램은 항상 제한시간이 만료되는 지 모니터링하고 있다가, 제한시간 만료가 임박하는 경우에는 LED, 벨, 진동 등의 표시수단을 이용하여 경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617, S618). 제한시간과 경고시점과의 관계, 경고수단 등은 사용자에 의하여 임의로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모든 문제에 대하여 정답선택(보기선택)이 종료되어 사용자가 시험 종료 신호를 입력하거나, 제한시간이 종료된 경우에는(S619, S620), 사용자가 선택한 정답선택(보기선택)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함으로써 문제풀이 과정이 종료된다(S621). 이처럼, 시험종료 신호가 입력되거나 제한시간이 종료된 경우에 한하여 채점을 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한시간 내에는 한 번 선택한 보기를 다시 변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하나의 문제 컨텐츠에 대하여 여러 사용자가 응시할 수 있도록, 장치의 최초 사용시 고유의 ID 및 비밀번호로 로그인 하도록 하여도 되며, 이러한 경우 각 사용자의 정답 선택 정보는 따로 저장되어야 할 것이다.
도 4와 관련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이 채점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나, 휴대 장치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이 직접 채점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출력해 주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전체 문제 또는 일부 문제에 대하여 해답 컨텐츠(문제 풀이 컨텐츠)를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문제풀이 도중에 재생/일지정지 버튼이 눌려지는 이벤트(Event)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출력되고 있던 문제 컨텐츠를 화면에서 일시 제거하고, 타이머의 동작을 일시 중단한다. 이 때, 문제 컨텐츠를 화면에서 일시 삭제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시정지 버튼을 누른 후 문제를 다 풀고 다시 재생시킴으로써 시간제한의 의미가 없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과정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 화면의 예는 도 8을 참고로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이 채점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사용자 컴퓨터에는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 컴퓨터의 저장부에는 채점하고자 하는 모든 문제 컨텐츠 패키지에 대한 해답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된 관리 프로그램은, 연결된 휴대 장치로부터 채점 요청이 있는 경우(S711), 그 휴대 전자장치로부터 해당 문제 컨텐츠 패키지에 대한정답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S713). 그리고, 자신이 저장하고 있던 해답정보 등을 기초로 모든 문항에 대하여 채점을 수행하여 최종 채점결과를 산출/저장하고(S714), 채점이 완료되면 화면상에 채점결과를 출력해준다(S716).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채점 이전에 채점 요청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S712).
이러한 관리 프로그램은 채점 기능 이외에, 각 사용자별, 과목별, 문단별 통계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피학습자에 대하여 매월별로 "수학" 과목에 대한 성적의 변화 추이를 산출하여, 그래프 등으로 보여주는 것과 같다. 이러한 통계 기능을 이용함으로써 피학습자의 성적, 학습성취정도를 일관되게 관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채점 결과 및/또는 통계 결과를 문제 제공 서버 또는 별도의 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문제 제공 서버 또는 관리 서버가 통합하여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여러 피학습자들과 상대적인 성적 평가 등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학습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시험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우선 휴대 장치의 전원을 켜면 도 8a와 같은 초기화면이 출력되고, 메뉴 중에서 "1. 문제 컨텐츠 패키지 선택"이라는 항목을 선택하면, 도 8b와 같이 저장되어 있는 문제 컨텐츠 패키지의 리스트가 출력된다.
도면에서는 "1. 대입 수능 모의고사(2회)"와 "2. TOEIC 시험(기출 1회)","3. 5학년 산수 단원 3 연습문제" 등이 예시되어 있으며, 더 세부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대입 수능 모의고사 중에서도 "1.1 언어영역", "1.2 수리탐구영역" 등으로 세분하여 선택할 수 있고, TOEIC 시험도 "2.1 Listening"과 "2.2 Reading" 으로 세분하여 선택할 수 있는 것과 같다.
특정한 문제 컨텐츠 패키지가 선택되면, 도 8c와 같은 안내메시지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안내메시지에는 선택된 문제 컨텐츠의 내용과, 제한시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재생/일시정지" 버튼을 누르면 문제 컨텐츠의 디스플레이 및 시험이 개시된다.
도 8d는 문제 컨텐츠가 오디오 신호로 되어 있는 듣기 평가 중의 화면을 도시한다. 수능시험 언어(외국어)영역의 듣기평가나 TOEIC, TOEFL의 듣기(Listening) 테스트 등에서는 오디오 신호 형태로 저장된 컨텐츠를 출력해주고, 사용자가 내용을 듣고 문제 선택키를 이용하여 정답을 선택하는 것이다.
한편, 화면 하단에는 제한시간 중 잔여시간을 실시간으로 알려줄 수 있다.
도 8e 및 도 8f는 텍스트로 된 수능시험의 언어영역 문제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면을 도시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휴대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활자화된 시험 문제지와 달리, 패널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 컨텐츠의 양이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커서방향키" 등을 이용하여 이전 화면 및 이후 화면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8e에서와 같이 문제가 긴 경우, 커서방향키의 ▶를 누름으로써 도 8f와 같은 다음 화면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8f에서 ◀키를 누르면 이전 화면인 도 8e로 이동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이러한 문제의 자유로운 이동은 화면단위로 이루어지지 않고, 도 8e의 화면 우측과 같은 스크롤바(Scroll Bar)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줄 단위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문제는 하나의 화면에 출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상하 스크롤을 이용하여 전체 문제를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각 문제마다 풀이 시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문제별 소요시간을 산출함으로써 유용한 통계자료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g는 텍스트와 수식이 함께 포함된 문제 컨텐츠가 디스플레이 되는 예를 도시하며, 도 8h는 텍스트와 이미지가 포함된 문제 컨텐츠의 예를 도시한다. 화면 하단에는 계속하여 잔여 시간을 출력해주고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8a의 초기화면에서 "2.채점 요청(정답 선택 정보 업로드)" 메뉴를 선택하면, 피학습자가 시험을 본, 즉 정답 선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문제 컨텐츠 패키지의 리스트가 출력되고, 그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정답 선택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를 수신한 사용자 컴퓨터의 관리 프로그램은 도 7과 같은 과정으로 채점 결과를 산출하여 출력해준다.
또한, 도 8a의 초기화면에서 "3.컨텐츠 편집" 메뉴를 선택하면, 각종 문제 컨텐츠를 임의로 저장, 삭제할 수 있는 편집모드로 전환된다. 문제 컨텐츠 편집은 크게 저장되어 있던 컨텐츠의 삭제와, 새로운 컨텐츠의 다운로드/저장으로 나눌 수있다.
컨텐츠의 삭제는 단순히 선택된 문제 컨텐츠를 장치 메모리로부터 삭제하는 것이고, 다운로드는 유선으로 사용자 컴퓨터와 연결하고 사용자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던 새로운 문제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는 과정을 의미한다. 다운로드를 위해서 응용 프로그램은 우선 휴대 장치가 사용자 컴퓨터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연결된 경우에, 선택된 문제 컨텐츠 패키지를 다운로드 받아 저장한다. 이러한 문제 컨텐츠의 편집시에는 채점 결과 열람과 유사하게, 정당하게 편집할 수 있는 자인지 인증하는 과정을 추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하여 예시적으로 기재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변형 또는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이용하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제 시험과 동일한 학습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즉, 피학습자 및 피학습자의 보호자(교사, 부모)는 문제 제공 서버로부터 원하는 문제 컨텐츠만을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구입하고, 그를 휴대 장치에 저장시켜 피학습자가 어디에 있든지 시험을 볼 수 있게 한다. 또한, 채점 및 성적관리를 사용자 컴퓨터에서 편리하게 함으로써, 피학습자의 학습 및 성적 관리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히, 경량이면서도 저렴한 문제풀이 전용 휴대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시간과 장소에 있어서 제한이 있었던 종래의 온라인 교육방법과 달리,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시험을 보게 할 수 있고 그 채점 및 성적관리를 전산화함으로써 시험에 의한 학습 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 문제풀이 전용 휴대 장치;상기 휴대 장치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상기 휴대 장치에서 출력할 수 있는 포맷의 문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문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과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사용자가 요청한 문제 컨텐츠를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으로 전송해주는 문제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문제 제공 서버는 외부의 다른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다양한 형식의 문제컨텐츠를 수집하여, 상기 휴대 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포맷으로 전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문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문제 컨텐츠는 1 이상의 문제로 이루어진 1 이상의 문제 컨텐츠 패키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에는 문제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문제 컨텐츠를 휴대 장치로 다운로드하고, 휴대 장치로부터 업로드된 데이터(정답 선택 정보)를 기초로 채점, 성적관리 및 통계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는 관리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휴대장치는 전원부;1 이상의 문제 컨텐츠로 이루어지는 1 이상의 문제 컨텐츠 패키지를 저장하는 저장부;텍스트 또는 이미지 형태의 문제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패널;음성형태의 문제 컨텐츠와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신호 출력수단;키패드, 터치스크린, 필기입력 수단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수단;외부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수단; 및사용자의 명령신호에 따라 선택된 문제 컨텐츠를 출력하고, 사용자의 입력신호를 기초로 문제 컨텐츠에 대한 정답 선택 정보를 산출·저장하고, 채점을 위하여 상기 정답 선택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으로 업로드 하는 기능의 문제풀이용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된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휴대 장치는 경고 또는 기능표시를 위한 1 이상의 발광표시수단 또는 진동표시수단 및, 문제풀이에 시간제한 및 시간계측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되는 타이머를 추가로 구비하며, 시간제한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 시간이 임박하거나 초과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오디오신호 출력수단, 발광표시수단 및 진동표시수단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경고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시스템.
- 문제풀이 전용 휴대 장치와,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과, 상기 휴대 장치에서 출력할 수 있는 포맷의 문제 컨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문제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있고 상기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과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있는 문제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한 방법으로서,상기 문제 제공 서버가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문제 컨텐츠를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으로 다운로드 하는 제 1 문제 다운로드 단계;상기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은 문제 제공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문제 컨텐츠를 저장하고, 특정 문제 컨텐츠를 휴대 장치로 다운로드 하는 제 2 문제 다운로드 단계와,상기 휴대 장치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문제 컨텐츠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각 문제에 대하여 입력한 정답 선택 정보를 저장하는 문제 풀이 단계와,상기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관리 프로그램은 휴대 장치로부터 상기 정답 선택 정보를 전송 받아 채점을 수행하고 채점결과를 저장/출력하는 채점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채점 단계에서는 사용자 컴퓨터는 채점요청자의 ID 및 인증용 비밀번호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된 ID 및/또는 비밀번호를 이용한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채점 결과를 산출 또는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휴대 장치 또는 사용자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채점 단계 이후에, 해당 문제 컨텐츠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한 풀이 정보를 출력하는 해답풀이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제공 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상기 문제 제공 서버는 인터넷으로 연동되어 있는 1 이상의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문제 컨텐츠를 수집하고, 상기 휴대장치에서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으로 전환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문제 컨텐츠 수집·저장 단계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제 풀이 전용 휴대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 서비스 제공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28196A KR20030090190A (ko) | 2002-05-21 | 2002-05-21 | 인터넷과 문제풀이 전용 휴대 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28196A KR20030090190A (ko) | 2002-05-21 | 2002-05-21 | 인터넷과 문제풀이 전용 휴대 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0090190A true KR20030090190A (ko) | 2003-11-28 |
Family
ID=3238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28196A KR20030090190A (ko) | 2002-05-21 | 2002-05-21 | 인터넷과 문제풀이 전용 휴대 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0090190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2607B1 (ko) * | 2006-10-09 | 2007-05-02 | (주)동원에스앤에스 | Rf 무선리모콘을 이용한 실시간 학업성취도 평가 및 분석 시스템 |
KR100974055B1 (ko) * | 2008-04-07 | 2010-08-04 |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 유압브레이커 |
KR101012459B1 (ko) * | 2008-08-01 | 2011-02-08 | 주식회사대교 | 전자학습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학습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37457A (ko) * | 2000-04-25 | 2000-07-05 | 이승재 |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형 단어 학습 방법 |
KR20000054205A (ko) * | 2000-05-26 | 2000-09-05 | 김동주 | 인터넷상에서의 멀티미디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
KR20000066469A (ko) * | 1999-04-16 | 2000-11-15 | 이하용 | 휴대용 단어 암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JP2001318582A (ja) * | 2000-05-08 | 2001-11-16 | D Pao:Kk | 移動体通信端末利用の学習システム及び学習方法。 |
KR100353549B1 (ko) * | 2000-03-22 | 2002-09-27 | 인벤텍 베스타 컴파니 리미티드 | 언어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
2002
- 2002-05-21 KR KR1020020028196A patent/KR2003009019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6469A (ko) * | 1999-04-16 | 2000-11-15 | 이하용 | 휴대용 단어 암기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KR100353549B1 (ko) * | 2000-03-22 | 2002-09-27 | 인벤텍 베스타 컴파니 리미티드 | 언어를 학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
KR20000037457A (ko) * | 2000-04-25 | 2000-07-05 | 이승재 | 유무선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형 단어 학습 방법 |
JP2001318582A (ja) * | 2000-05-08 | 2001-11-16 | D Pao:Kk | 移動体通信端末利用の学習システム及び学習方法。 |
KR20000054205A (ko) * | 2000-05-26 | 2000-09-05 | 김동주 | 인터넷상에서의 멀티미디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카탈로그[머니투데이 증권면]2000.05.08 *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12607B1 (ko) * | 2006-10-09 | 2007-05-02 | (주)동원에스앤에스 | Rf 무선리모콘을 이용한 실시간 학업성취도 평가 및 분석 시스템 |
KR100974055B1 (ko) * | 2008-04-07 | 2010-08-04 | 코막중공업 주식회사 | 유압브레이커 |
KR101012459B1 (ko) * | 2008-08-01 | 2011-02-08 | 주식회사대교 | 전자학습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자학습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100178645A1 (en) | Participant response system with question authoring/editing facility | |
AU2008204688B2 (en) | Participant response system employing graphical response data analysis tool | |
US20110244953A1 (en) | Participant response system for the team selection and method therefor | |
CN102232206A (zh) | 用于传达数据值的传感输出 | |
KR20150101632A (ko) |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 |
CN107146484A (zh) | 一种基于智能手机和云存储的英语听说教学系统 | |
AlShareef | The importance of using mobile learning in supporting teaching and learning of English language in the secondary stage | |
KR20030089097A (ko) | 문제풀이 전용 휴대용 전자장치 | |
JP6855541B2 (ja) | 携帯型情報処理装置、テスト支援システム及びテスト支援方法 | |
KR20130104007A (ko) | 학원관리시스템과 연계한 학생관찰시스템과 일정 관리를 통한 학습 관리 방법 | |
CN106530870A (zh) | 一种基于计算机软件技术的多媒体教学辅助系统 | |
KR20030090190A (ko) | 인터넷과 문제풀이 전용 휴대 장치를 이용한 원격 시험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
TWI598855B (zh) | 線上教學暨行動學習系統 | |
JP2003043907A (ja) | 学習支援システム | |
CN106485970A (zh) | 一种基于计算机软件技术开发的教学系统 | |
KR200284663Y1 (ko) | 문제풀이 전용 휴대용 전자장치 | |
KR20050108270A (ko) | 네트워크를 연동한 교육지원 시스템 및 방법 | |
CN106485971A (zh) | 一种基于计算机的多媒体教学辅助系统 | |
CN106530871A (zh) | 一种基于计算机软件技术开发的教学辅助系统 | |
US11620916B1 (en) | Machine learning method and system for an on-line course | |
CN213123724U (zh) | 一种可移动式智慧班牌 | |
KR20120120589A (ko) | 자기주도 학습 시스템 및 그의 방법 | |
Joshi Kaustubh et al. | Android Based E-Learning Application “Class-E” | |
CN114822775A (zh) | 沙盘游戏量化分析系统、方法及存储介质 | |
KR100621681B1 (ko) | 인터넷을 통한 원격교육용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