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3326A - 성기능 장애 치료용 생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성기능 장애 치료용 생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3326A
KR20030043326A KR1020010074415A KR20010074415A KR20030043326A KR 20030043326 A KR20030043326 A KR 20030043326A KR 1020010074415 A KR1020010074415 A KR 1020010074415A KR 20010074415 A KR20010074415 A KR 20010074415A KR 20030043326 A KR20030043326 A KR 20030043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mposition
herbal
sexual dysfun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현
Original Assignee
윤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현 filed Critical 윤종현
Priority to KR102001007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3326A/ko
Publication of KR2003004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332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1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impote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Vir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Zoolog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Rheumat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숙지황, 녹용, 사상자, 쇄양 및 인삼을 포함하는 성기능 장애치료 및 예방용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산수유, 구기자, 건지황, 백출, 토사자, 백복령, 산약, 당귀, 백강잠, 자하거, 지골피 및 봉밀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보조 성분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성기능 장애 치료용 생약 조성물{A COMPOSITION FOR TREATING A SEXUAL DYSFUNCTION}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성기능 장애를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남성의 발기부전증이나 조루증과 같은 성기능 장애를 치료 및 예방하기 위한 생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남성의 성기능 장애는 크게 성행위에 필요한 발기력 또는 그 유지력 불능인 발기기능 장애와 사정 조절 능력의 상실로 야기되는 성신경과민증으로 나눌 수 있다.
발기기능 장애란 일반적으로 성적 기능성 발기 무능력인 발기 부전증, 음경이 지속적이고 고통스럽게 발기되는 지속 발기증, 및 음경의 해면 조직과 관련근막의 장애를 의미한다. 발기부전증은 심인성(심리적 장애; psychologic impotence), 기질성(생리학적 이상; organic impotence) 또는 이들 두가지 복합 요인으로 발생한다. 상기 기질성 발기 부전은 신경인성, 혈관성, 및 내분비성 발기부전으로 분류한다.
연령별로 40대에 10%, 50대에 20%, 60대에 30% 그리고 70대에 50%의 발기부전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발기부전으로 고통받는 남성이 약 60만명이 넘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발기부전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수가 증가하는 것은 산업화된 현대사회의 신체적, 정신적 각종 유해요소에 과도하게 노출됨에 따른 각종 성인병의 발병률이 증가하고, 인구의 고령화에 따른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성기능 장애의 치료에는 정신성욕 요법, 호르몬 요법, 혈관확장제 등의 약물 투여, 혈관외과 수술, 이식형 음경보철, 진공장치 등과 같은 외부보조기가 사용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4,127,118호에는 발기향상 및 증진용 약물을 투여하는 발기부전증 치료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발기를 증진시키는 적절한 혈관 확장제, 특히 아드레날린 차단제 또는 근육이완제를 음경에 주사하는 방법이다. 미국 특허 제4,801,587호는 혈관확장제로 파파베린, 히드랄라진, 소듐니트로프루시드, 페녹시 벤자민 또는 펜톨아민 및 주요 약제의 피부 흡수를 돕는 담체를 포함하는 연고제의 발기 부전증 치료제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아드레날린 길항제인 요힘빈(Yohimbine)은 심리적 원인의 발기부전증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약제로 시판되고 있다. 그러나 파파베린 등의 약제를 해면체에 주사하는 것이 효과적이기는 하지만 통상적으로 8 내지 32 mg으로 다량 투여해야 하므로 통증, 지속 발기증, 혈종 및 조직섬유화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부작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문제가 되고 있는 비아그라는 구연산 실데나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제로 발기부전증 환자에게 경구투여할 경우 발기유발 생리활성 물질인 cGMP를 파괴하는 효소인 PDE-5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발기를 유도하는 약리적 기전을 가진다. 그러나 질산염을 심장병 관련 약제와 함께 복용할 경우에는 혈압 급강하 현상에 의하여 위험을 유발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정 조절 능력의 상실로 야기되는 성신경과민중도 발기부전증과 마찬가지로 남성의 성기능 장애중 하나이다. 성신경과민증은 말초신경계와 중추신경계의 균형이 파괴되고 원활한 협조체제를 유지하지 못하여 성적 조절 능력이 상실됨으로써 나타나는 증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성신경 과민증의 대표적인 예가 남성의 조기사정증상인 조루증(early ejaculation)이다.
성신경과민증의 치료에는 정신요법과 약물요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들이 성중추신경의 흥분을 억제시키는 향정신성 약물 또는 성말초신경의 둔화를 위한 국소마취용 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성중추신경을 억제시키는 경우에는 성적 의욕상실로 성행위 자체가 불가능해질 우려가 있고 국소마취제는 혈관수축작용으로 발기부전을 유발하고 지속시간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생약 성분을 이용한 한의요법 등이 성기능 장애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예로는 인삼, 당귀, 육종용, 계피, 세신, 및 섬수로 이루어진 성신경과민증의 치료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148511호). 이 치료용 조성물은 현재 연고제로 「SS 크림」이라는 상품으로 시판되고 있다. SS 크림은 음경 귀두의 과민한 감각을 둔화시키고 혈류를 증가시키는 약리적 기전에 의해 그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성관계 약 1시간 전에 귀두에 바르고 30분 내지 1시간 후에물로 씻어내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크림의 일부가 피부에 잔류하고 냄새가 나서 사용상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성기능 장애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우수한 생약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숙지황, 녹용, 사상자, 쇄양 및 인삼을 포함하는 성기능 장애 치료 및 예방용 생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성기능 장애 치료 및 예방용 생약 조성물은 숙지황(Rehmanniae Radix Preparat), 녹용(Cervi Pantotrichum Cornu), 인삼(Panax Ginseng), 사상자(Cnidi Fructus) 및 쇄양(Cynomorii Herba)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숙지황은 월경불순, 자궁출혈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녹용은 양기회복등에 효능이 있고, 사상자는 낭습이나 여성대하를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쇄양은 변비치료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인삼은 강장 및 피로회복에 사용되며 인체의 신진대사를 원활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함량은 생약재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원료성분중 숙지황은 10 내지 4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부로 사용되며, 녹용, 인삼은 각각 5 내지 3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7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되며, 쇄양, 사상자는 각각 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된다. 원료 성분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에 있어야 생약 조성물이 바람직한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상기 성분 이외에도 산수유(Corni Fructus), 구기자(Lycii Fructus), 백출(Atractylodis Macrocephalae Rhizoma), 건지황(Rehmamniae Radix), 토사자(Cuscutae Semen), 백복령(Poria), 산약(Dioscorea Rhizoma), 당귀(Amgelica Gigantis Radix), 백강잠(Bombyx Batryticatus), 자하거(Hominis Placenta), 지골피(Lycii Radicis Cortex) 및 봉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보조 성분으로 더 포함하여 약효의 상승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들 보조성분인 산수유와 구기자는 각각 10 내지 3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토사자, 백출, 건지황은 1 내지 2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백복령, 산약, 당귀, 백강잠, 및 자하거는 각각 1 내지 2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3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지골피는 1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2 내지 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봉밀은 1 내지 15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내지 10 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원료성분을 물이나 유기 용매에 넣고 열추출하거나 열추출물을 분말화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에탄올, 부탄올 등과같은 알코올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원료성분들은 건조하거나 건조하지 않은 상태에서 추출될 수 있다.
또한 통상적인 약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환제, 정제, 현탁제, 용액제, 겔제, 연고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또는 패드제로 제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제로 제조할 경우에는, 상기 생약 원료의 추출액과 발효맥아액을 혼합한 후 이를 가열하여 점도가 높은 혼합물을 얻고, 여기에 분말 상태의 생약원료 추출물을 첨가한 다음 봉밀을 첨가, 반죽하여 일정양의 환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의 생약 조성물은 하루에 200 내지 220 mg/kg의 양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기능 장애 정도 및 성기능 장애 환자의 연령, 체중 등에 따라 투여량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투여회수는 1일 3회가 바람직하나 성기능 장애 정도에 따라 투여회수 또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생약 조성물은 경구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투여방법은 약제의 제형에 따라 용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생약재 원료로 숙지황 240g, 녹용 160g, 인삼 160g, 사상자 80g 및 쇄양 80g 을 물로 깨끗이 씻고 건조하여 분쇄한 후, 이 가루상태의 분말에 봉밀 240g을 첨가하여 반죽하였다. 반죽된 것을 5.2g씩 환제로 뭉친 후 금박을 입혔다.
실시예 2
생약재 원료로 숙지황 240g, 녹용 160g, 인삼 160g, 사상자 80g 및 쇄양 80g 을 물로 깨끗이 씻고 건조하여 분쇄한 다음 혼합하여 증류수 10,000 ml을 넣고 4시간 가량 가열, 여과, 증발하여 2,000 ml의 제1 추출액을 얻었다. 1차 추출액을 제외한 나머지 고형분 약재를 3시간 가량 가열하여 2,000 ml의 제2 추출액을 얻었다.제1 추출액과 제2 추출액을 혼합한 후 다시 약탕기에 넣고 수분을 증발시켜 2,000 ml 추출액 혼합물을 얻었다. 여기에 발효맥아액을 혼합한 후 약탕기에서 4시간 가열하여 끈적끈적한 엿 상태의 혼합물 2,000 ml를 제조하였다. 제1추출액과 동일 조성의 약재를 건조하여 만든 가루상태의 분말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하여 반죽하였다. 이때 봉밀 240g도 함께 첨가하였다. 반죽된 것을 5.2g씩 환제로 뭉친 후 금박을 입혔다.
실시예 3
추출약재로 산수유 240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또는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추출약재로 구기자 240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또는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에 5
추출약재로 토사자 120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또는 2와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추출약재로 건지황 120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또는 2와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추출약재로 백출 120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또는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추출약재로 백복령 80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또는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9
추출약재로 산약 80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또는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0
추출약재로 당귀 80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또는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1
추출약재로 백강잠 80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또는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추출약재로 자하거 80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또는 2 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추출약재로 지골피 40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14
추출약재로 산수유 240g, 구기자 240g, 토사자 120g, 건지황 120g, 백출 120g, 백복령 80g, 산약 80g, 당귀 80g, 백강잠 80g, 자하거 80g 및 지골피 40g을 더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 또는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성기능 장애 치료용 생약 조성물은 발기능과 성기능 향상효과가 우수하며, 성신경의 둔화를 통하여 흥분의 속도를 늦출 수 있어 발기 시간을 늘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로와 수면장애, 소화장애 등의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약재를 원료로 하므로 인체에 독성이나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6)

  1. 숙지황, 녹용, 사상자, 쇄양 및 인삼을 포함하는 성기능 장애 치료 및 예방용 생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숙지황은 10 내지 40 중량부, 상기 녹용, 인삼은 각각 5 내지 30 중량부, 및 상기 쇄양은 1 내지 20 중량부인 생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산수유, 구기자, 토사자, 건지황, 백출, 백복령, 산약, 당귀, 백강잠, 자하거, 지골피, 및 봉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생약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수유와 구기자는 각각 10 내지 30 중량부이고, 토사자, 건지황, 백출은 1 내지 25 중량부이고, 상기 백복령, 산약, 당귀, 백강잠, 및 자하거는 각각 1 내지 20 중량부이고, 지골피는 1 내지 10 중량부, 봉밀은 1 내지 15 중량부인 생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환제, 정제, 현탁제, 용액제, 겔제, 연고제, 스프레이제, 패취제 또는 패드제로 제형화되는 생약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성기능 장애는 발기 부전증 또는 성신경과민증인 생약 조성물.
KR1020010074415A 2001-11-27 2001-11-27 성기능 장애 치료용 생약 조성물 Ceased KR20030043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415A KR20030043326A (ko) 2001-11-27 2001-11-27 성기능 장애 치료용 생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4415A KR20030043326A (ko) 2001-11-27 2001-11-27 성기능 장애 치료용 생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3326A true KR20030043326A (ko) 2003-06-02

Family

ID=2957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4415A Ceased KR20030043326A (ko) 2001-11-27 2001-11-27 성기능 장애 치료용 생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332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1843A (zh) * 2013-03-15 2013-06-12 叶文明 一种肉苁蓉锁阳保健缓释胶囊
US20130337089A1 (en) * 2011-03-10 2013-12-19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ring loss
CN104489656A (zh) * 2014-12-07 2015-04-08 阿拉善盟万铭生物制品有限公司 一种锁阳黄酮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7137645A (zh) * 2017-05-25 2017-09-08 成都六然堂益生菌研究所 一种男性用补肾阳滋肾阴的中药膏服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124A (ko) * 1991-06-14 1993-01-15 김상두 한약재를 주제로 하는 자양 강장용 약제
KR960028901A (ko) * 1995-01-06 1996-08-17 김기태 한약재를 이용한 하초건강 보조주머니
KR980000459A (ko) * 1996-06-25 1998-03-30 정연재 자양강장제용 생약제제 농축조성물
KR0148511B1 (ko) * 1993-09-14 1998-11-02 최형기 성신경과민증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KR20000072546A (ko) * 2000-09-08 2000-12-05 오정일 녹용을 주재로 한 보양주의 제조방법
KR20010009489A (ko) * 1999-07-10 2001-02-05 김춘란 피부외용 남성 성기능장애 치료제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0124A (ko) * 1991-06-14 1993-01-15 김상두 한약재를 주제로 하는 자양 강장용 약제
KR0148511B1 (ko) * 1993-09-14 1998-11-02 최형기 성신경과민증 예방 및 치료용 의약조성물
KR960028901A (ko) * 1995-01-06 1996-08-17 김기태 한약재를 이용한 하초건강 보조주머니
KR980000459A (ko) * 1996-06-25 1998-03-30 정연재 자양강장제용 생약제제 농축조성물
KR20010009489A (ko) * 1999-07-10 2001-02-05 김춘란 피부외용 남성 성기능장애 치료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72546A (ko) * 2000-09-08 2000-12-05 오정일 녹용을 주재로 한 보양주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37089A1 (en) * 2011-03-10 2013-12-19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ring loss
US9694043B2 (en) 2011-03-10 2017-07-04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Group Of Kyung Hee University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earing loss
CN103141843A (zh) * 2013-03-15 2013-06-12 叶文明 一种肉苁蓉锁阳保健缓释胶囊
CN104489656A (zh) * 2014-12-07 2015-04-08 阿拉善盟万铭生物制品有限公司 一种锁阳黄酮咀嚼片及其制备方法
CN107137645A (zh) * 2017-05-25 2017-09-08 成都六然堂益生菌研究所 一种男性用补肾阳滋肾阴的中药膏服剂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102982A (ko)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체질 치료를 위한 중약제제
CN101352505A (zh) 一种治疗跌打伤科接骨散
CN103877247B (zh) 用于治疗褥疮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20100079858A (ko) 천연광물과 한약재를 주원료로 한 피부질환 치료용 외용제
JPH07300423A (ja) 早発射精予防用または治療用医薬組成物
CN100431593C (zh) 一种治疗脑积水的中药制剂
CN118403118A (zh) 一种治疗糖尿病足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357357A (zh) 治疗骨伤纯中药活血胶囊及其制备工艺
KR20030043326A (ko) 성기능 장애 치료용 생약 조성물
CN106390077A (zh) 一种治疗腹痛、腹泻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770733A (zh) 一种治疗心绞痛的新型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008576A (zh) 一种治疗扭伤的外用中药及其制备方法
WO2001064229A1 (fr) Medicament de traitement de l'obesite, sa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CN100431569C (zh) 一种治疗痛经的中药制剂
KR20030041370A (ko) 성기능 장애 치료용 생약 조성물
CN119405765B (zh) 一种暖宫中药组合物、含其的暖宫穴位贴及制备方法
CN109700887A (zh) 一种治疗阳痿早泄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0090285A (zh) 一种治疗坐骨神经痛的膏药及其制备方法
CN1977936A (zh) 一种治疗男女诸虚症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697928B (zh) 一种治疗跌打损伤的药物组合物的制备方法
KR20030030978A (ko) 성기능 장애 치료용 생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4404507A (zh) 一种缓解骨伤疼痛的外敷药水及其制备方法
CN105267411B (zh) 一种治疗骨折的药物组合物
CN105169111A (zh) 一种用于治疗慢性荨麻疹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15252700A (zh) 用于治疗颈源性耳鸣的中药组合物、药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1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7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07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