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03015A -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 Google Patents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03015A
KR20030003015A KR1020020035373A KR20020035373A KR20030003015A KR 20030003015 A KR20030003015 A KR 20030003015A KR 1020020035373 A KR1020020035373 A KR 1020020035373A KR 20020035373 A KR20020035373 A KR 20020035373A KR 20030003015 A KR20030003015 A KR 200300030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load
hydraulic excavator
alarm information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시무라사또루
나가하라다꾸미
우에다마사미찌
시마즈미쯔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96205A external-priority patent/JP475097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9620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013471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30003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03015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6Indic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2Mounting of implements directly on tools already attached to the machin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오퍼레이터가 크레인 작업을 할때에 엔진상태와 함께 하중상태를 포함하여 신속하게 파악하여 작업을 행할수 있는 동시에 상기 작업기와 차체에 발생하는 위험상태를 즉석에서 파악함으로 안정적인 작업을 신속히 행할수 있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을 제공한다.
붐과 아암과 버킷과 훅을 가지는 작업기를 구비하며, 크레인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이다. 모니터화면(44)를 가지는 모니터장치를 설치한다. 크레인작업기에 있어서, 모니터화면(44)에, 정격하중부하율에 관한 파라미터(parameter)와 엔진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크레인작업기에 있어 상기모니터화면(44)에 정격하중부하율에 관한 파라미터를 표시하는 파라미터표시부(51)와, 경보정보를 표시하는 경보정보표시부(53)를 설치하여 상기 경보정보표시부(53)의 복수의 표시항목의 순차절환표시를 가능하게 하며, 상기 파라미터표시부(51)를, 정격하중부하율이 위험영역 내에 있는 때에 경고색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EXCAVATOR}
이 발명은,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하부주행체와, 이 하부주행체에 선회기구를 통하여 선회가 자유롭게 장착되는 상부 선회체를 구비하며, 상부 선회체에는 작업기가 설치되며, 또, 작업기는, 붐과 아암과 버킷을 구비한다.
그리고, 이런 종류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에는, 작업기의 선단부에 훅(hoisting hook)을 설치하여 크레인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버킷은 아암에 요동기구를 통하여 피봇으로 지지되며, 이 요동기구의 일부를 구성하는 피봇지지축에 상기 훅이 매달린다.
그리고, 이 크레인작업에 따른 감아올리기(hoisting)작업에 있어서는, 매달린 하물의 정격하중(定格荷重)이 미리 설정되어, 매달린부재를 매단 상태에서의 실제하중이, 이 정격하중을 넘지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종래에는, 하중표시모니터를 설치하여, 이 하중표시모니터에 실제하중과 정격하중을 표시하고, 오퍼레이터에게 이들 하중을 알리도록 하였다. 또한, 이 하중표시모니터에 더하여, 또는 단독으로 과부하방지경보장치를 설치하여, 매달린 하중(실하중)이 그 자세에서의 정격하중의 예를들면 90%가 되면 경고음을 발생하는것 등이 있었다.
또, 상기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의 엔진상태도 확인할 필요가 있어, 이 때문에 모니터화면도 필요하게 되었다. 즉, 보통의 굴삭작업을 할 경우에는, 엔진의 냉각수온, 엔진오일온도, 연료잔류량등의 엔진상태를 파악하면, 그것으로 차체전체의 상태를 파악했다고 할수 있지만, 크레인작업을 행할 경우에는 거기에 더하여서, 상기 하중상태를 파악하지 않으면 차체전체의 상태를 파악한 것으로 되지 않는다.
즉, 크레인작업을 할 때에는, 엔진상태와 함께, 차체에 작용하는 하중상태가차체상태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기능함으로, 이 하중상태를 포함하여 파악하는것이, 안정적인 작업을 행하는 전제가 된다.
그런데, 하중표시모니터에서는, 실하중과 정격하중 등이 표시되기만 하므로, 이들의 수치를 근거로 하여 위험상태인가를 오퍼레이터 자신이 판단 할 필요가 있어, 작업속도를 더디게 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이어도, 현장의 소음 등으로 오퍼레이터에게 들리지 않는 경우도 있어, 안정적으로 오퍼레이터에게 그 위험상태를 알릴 수가 없었다.
또한, 크레인작업에 따른 감아올리기작업에는 , 과부하의 문제에 더하여, 훅이 버킷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훅과 버킷이 손상되거나, 훅에 의한 매달린부재의 감아올리기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훅접촉문제)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 훅접촉 등의 문제에 대하여 위험영역에 도달한 것만을 알리는 경보수단이 채용되고 있었다.
그런데, 하중표시모니터와, 엔진상태를 보는 모니터화면과는,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오퍼레이터는 이들을 동시에 관찰할 수가 없어, 작업하는데에 어렵고 크레인작업에 따른 상태의 확인에 번잡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오퍼레이터가 크레인작업에 있어서 작업기와 차체에 발생하는 위험상태를 즉석에서 파악하여 안정적으로 신속하게 작업을 행할수 있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발명인 크레인작업기겸용 유압셔블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간략측면도.
도2는, 도 1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의 운전실의 사시도.
도3은, 도 1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의 작업기의 선단부의 사시도.
도4는, 도 1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의 제어부의 블럭도.
도5 (a) (b)는, 도 1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의 모니터장치의 모니터 화면설명도.
도6 (a) (b) (c) (d)는, 도 1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의 모니터화면에 표시되는 파라미터표시부의 간략도.
도7은, 도 1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의 작업범위의 설명도.
도8은, 도 1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의 제어부의 간략블럭도.
도9 (a) (b)는, 부하율증대상태의 모니터화면의 간략도.
도10 (a) (b)는, 훅접촉경보상태의 모니터화면의 간략도.
도11 (a) (b)는, 아암대 지각 경보상태의 모니터화면의 간략도.
도12는, 스트로크엔드 경보상태의 모니터화면의 간략도.
도 13은, 고장발생상태의 모니터화면의 간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주행체 2 : 선회기구 3 : 상부 선회체 4 : 작업기 5 : 붐
6 : 아암 7 : 버킷 8 : 크롤러 벨트 9 : 주행부 10 : 훅 11 : 운전실
12 : 카운터 웨이트 13 : 운전석 14 : 주행조작수단 15 : 주행레버
16 : 주행레버 17 : 주행페달 18 : 주행페달 19 : 작업기 조작레버
20 : 작업기 조작레버 21 : 실린더 기구 22 : 실린더 기구 23 : 실린더 기구
24 : 피벗 지지축 25 : 요동기구 26 : 피벗 지지축 27 : 제1아암
28: 제2아암 29: 축 30: 축 31: 축 33: 기초부 34: 훅본체부 35: 연결부
36 : 붐각도센서 37 : 아암각도센서 38 : 하중검출센서
39 : 어태치먼트용 페달 40 : 계기판 42 : 검치수단 43 : 연산수단
44 : 모니터화면 45 : 모니터장치 46 : 예고ㆍ경고지령수단 47 : 음발생수단
48 : 기본표시수단 49 : 합성표시수단 51 : 파라미터표시부 51a : 제1부
51b : 제2부 52 :엔진상태표시부 53 : 경보정보표시부 55 : 누름버튼
56 : 앞창 57 : 측방창 58 : 세로틀 59 : 외장 케이스 60 : 수준기
61 : 케이스본체 62 : 뚜껑부재
다음으로, 본 발명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이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간략측면도이다. 이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하부주행체(1)와, 하부주행체(1)의 상부에 선회기구(2)를 통하여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상부선회체(3)를 구비하며, 상부선회체(3)에 작업기(4)가 연결설치되어 있다.
이 작업기(4)는, 그 기초단부가 상부선회체(3)에 요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붐(5)과, 붐(5)의 선단에 요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아암(6)과, 아암(6)의 선단에 요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버킷(7)을 구비한다. 그리고, 작업기(4)의 선단부에는 훅(10)이 부착설치되며, 이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크레인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하부주행체(1)는, 크롤러 벨트(crawler belt)(8)를 가진 좌우 한쌍의 주행부(9, 9)를 구비하며, 각 주행체(9, 9)의 크롤러 벨트(8, 8)가 구동하는것에 의하여 주행한다. 그리고, 상부선회체(3)는, 운전실(11)과 카운터웨이트(12)를 구비한다.
상부선회체(3)의 운전실(11)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앙부에는 운전석(13)이 설치되며, 이 운전석(13)의 전방에 주행조작수단(1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주행조작수단(14)은, 주행레버(15, 16)와, 각 주행레버(15, 16)와 일체로 요동하는 주행페달(17, 18)을 구비한다. 이 경우, 주행레버(15, 16)를 전방으로 누르면 하부주행체(1)가 전진하고, 주행레버(15, 16)을 후방으로 끌면 하부주행체(1)가 후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주행조작수단(14)의 근방에는, 어태치먼트 (attachment)용 페달(39)이 설치되며, 또한 한쪽의 측방의 창(57)측에 계기판(40)이 설치되어 있다.
또, 운전석(13)의 측부측에 작업기조작레버(19, 20)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작업기조작레버(19, 20)는 붐(5)의 상하움직임, 아암(6) 및 버킷(7)의 회동, 및 상부선회체(3) 자체와 선회조작 등을 행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선회체(3) 와 붐(5)이 실린더기구(21)로 연결되며, 붐(5)과 아암(5)과 아암 (6)이 실린더기구(22)로 연결되며, 아암(6)과 버킷(7)이 실린더기구(23)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작업기조작레버(19, 20)를 조작하는 것으로, 실린더기구 (21)의 피스톤로드를 신축시키면, 붐(5)이 그 기초단부를 중심으로 화살표 A 와 같이 요동(회동)이 작동하고, 실린더기구(22) 피스톤로드를 신축시키면, 아암(6)이 그 기초단부의 피봇지지축(24)을 중심으로 화살표 B 와 같이 요동(회동)되어 작동하고, 실린더기구(23)의 피스톤로드를 신축시키면, 버킷(7)이 그 기초단부의 피봇지지축(26)을 중심으로 화살표 C 와 같이 요동(회동)한다.
그리고, 실린더기구(23)의 피스톤로드의 선단부는 요동기구(25)에 피봇부착되며, 이 요동기구(25)에 상기 훅(10)이 부착된다. 이 경우, 요동기구(2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아암(27, 27)과 제2아암(28, 28)을 구비하며, 제1아암 (27, 27)의 일단부가 아암(6)의 선단부에 축(29)를 통하여 피봇부착되고, 제2아암 (28, 28)의 일단부가 버킷(7)의 기초단부에 축(30)을 통하여 피봇부착되고, 제1아암 (27, 27)의 타단부와 제2아암(28, 28)의 타단부가 축(31)을 통하여 피봇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축(31)에 상기 실린더기구(23)의 피스톤로드의 선단부가 연결되어, 축(30)에 훅(10)이 매달려 있다.
상기 훅(10)은, 기초단부(base part)(33)와, 훅본체부(34)를 가지며, 이들이 연결부(35)로 연결되고, 훅본체부(34)가 기초단부(33)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기초단부(33)에 공부(孔部)가 설치되어, 이 공부에 상기 축(30)이 끼워 통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훅(10)이 작업기(4)의 선단부에서 아래로 늘어뜨려져, 이 훅(10) 매달리는 부재가(도시를 생략)를 매달수 있다.
또, 이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붐각도센서 (36)와 아암각도센서(37)가 하중검출센서(38)를 가지는 검지수단(42)과, 검지수단(42)으로부터의 각 검지데이터가 입력되는 연산수단(43)과, 이 연산수단(43)에서 얻어지는 연산값 등이 표시되는 모니터화면(44)를 가진 모니터장치(45) 등을 구비한다.
이 경우,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붐각도센서(36)는 붐(5)의 기초단부측에 설치되어 붐각를 검출하고, 아암각도센서(37)은 아암(6)의 기초단부측에 설치되어 아암각를 검출한다. 또, 하중검출센서(38)은, 붐실린더(실린더기구21)의 보톰(bottom)압센서와 헤드압센서를 가지고, 이들에 의하여 훅(10)에 매달린 하중을 검출한다.
그런데, 크레인작업이 가능한 크레인작엄겸용 유압셔블의 경우, 도7의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붐각와 아암각가 크게 되어, 훅(10)이 버킷(7)에 접촉할 우려가 있음과 동시에, 도7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아암(6)이 상하방향으로 신장한 상태로 부터 또한, 붐(5)측에 요동할 우려가 있어, 이들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 크레인 작업겸용 유압셔블에서는, 훅접촉경보(훅10이 버킷7에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경보)와, 아암대 지각경보(arm對 地角警報)(아암6이 설정작업범위 외가 되는 경보)를 상기 붐각와 아암각를 기초로 하여, 운전실(11)에 설치되는 상기 모니터장치 (45)의 모니터화면(44)에 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고 ·경보지령수단(46)과 음발생수단(47)등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연산수단(43)과 예고 ·경보지령수단(46)등은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니터장치(45)의 모니터화면(44)은, 도5(a) (b)가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상태를 표시하는 제1모드와, 정격하중부하율에 관한 파라미터 등을 표시하는 제2모드로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엔진상태란, 예를 들면, 엔진냉각수의 온도, 엔진오일온도, 연료잔량 등이다.
즉, 모니터장치(45)의 제어부에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눈금과 각종 그림모양 등의 기본화상을 표시하는 기본표시수단(48)과, 이 표시수단(48)의 기본화상데이터와 상태량을 나타내는 화상데이터를 합성하여 모니터화면(44)의 합성도를 표시하는 합성표시수단(49)을 구비하며, 이것으로, 모니터화면(44)에 엔진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이 모니터화면(44)은, 예를들면, 액정판넬로 구성된다.
또, 제2모드의 경우, 도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라미터를 표시하는 파라미터표시부(51)과, 엔진상태를 표시하는 엔진상태표시부(52)와, 경보정보를 표시하는 경보정보표시부(53)가 설치된다. 그리고, 파라미터표시부(51)는, 모니터화면 (44)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하의 제1부(51a)와 제2부(51b)를 가진다.
여기서, 파라미터에는, 실하중, 정격하중, 양정(작업높이)H, 작업반경R, 및 정격하중부하율 등이며, 또, 정격하중이란, 작업기(4)의 각종상태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매달림가능 하중이며, 작업기(4)의 위치에 따라서 다르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정 H 란, 지면으로부터의 훅(10)까지의 높이 이며, 작업반경 R 이라는 것은, 상부선회체(3)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훅(10)까지의 길이를 나타낸다. 그리고, 정격하중부하율이라는 것은, 실하중을 정격하중으로 나눈 값이다.
제2모드의 엔진상태라는 것은, 연료잔량, 엔진의 냉각수의 온도, 엔진오일온도 등의 이 크레인 작업겸용 유압셔블의 엔진에 관한 것으로, 파라미터표시부(51)의 좌우로 설치된다. 또, 경보정보표시부(53)의 경보정보라는 것은, 상기 훅 접촉경보와 아암대 지각경보 등으로, 파라미터표시부(51)의 상부에 이 파라미터 표시부(51) 보다도 작게 경보정보표시부(53)가 배치 된다.
그런데, 모니터장치(45)에는 도 5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누름버튼 (55)‥이 설치되어, 이 가운데 예를 들면 '가'의 누름버튼(55)을 누르는 것으로, 제1모드와 제2모드의 절환이 행해 진다. 또, 예를 들면,'나'의 누름버튼(55)을 누르는 것으로 파라미터표시부(51)의 표시를 절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의 누름버튼(55)을 누르는 것으로, 제2모드로 절환될 때,도6(a)과 같이, 제1부(51a)에 실하중이 표시되고, 제2부(51b)에 정격하중이 표시되고, 다음으로 ‘나'의 누름버튼(55)를 누르면, 도6(b)와 같이, 제1부(51a)에 양정이 표시되고, 제2부(51b)에 작업반경이 표시되며, 다음으로, '나'의 누름버튼(55)을 누르면, 도6(c)와 같이, 제1부(51a)에 부하율이 표시되고, 제2부(51b)에 정격하중이 표시되고, 다음으로, '나'의 누름버튼(55)을 누르면, 도6(d)와 같이, 제1부(51a)에 부하율이 표시되고, 제2부(51b)에 작업반경이 표시된다.
이 경우, 물론, 제1부(51a)와 제2부(51b)에 표시되는 파라미터의 조합으로서는 변경이 자유로우며, 또, 절환하는 순번으로서도 변경이 자유로우며, 또한, 절환을 위한 누름버튼(55)으로서는 물론 '가'와 '나'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그리고, 작업중에 있어서, 예를 들어, 상기 부하율이 90%를 넘으면,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라미터표시부(51)의 제1부(51a)(문자이외의 배경부)를 예고색(도 예에서는, 해칭(hatching)으로 나타내고 있다.)으로 변화시키어, 100%를 넘으면,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부(51a)를 상기 예고색과는 다른 경고색〔 도 예에서는, 그물코(mesh)(網目)로 나타내고 있다〕으로 변화시킨다.
즉, 연산수단(43)으로 연산된 연산값이 예고·경고지령수단(46)에 입력되어,예고영역(90%를 넘은 영역)으로 되면, 제1부(51a)를 예고색으로 변화시키는 지령을 모니터장치(45)로 보내며, 위험영역 (100%를 넘은 영역)이 되면, 제1부(51a)를 경고색으로 변화시키는 지령을 모니터장치(45)에 보낸다.
또, 예고색과 경고색을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서는, 색상, 명도, 색채 가운데 적어도 1종류를 다르게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보통상태에서는, 예를 들어 모니터화면(44)전체의 색을 청색 및 하늘색으로 하고, 예고색을 황색으로 하고, 경고색을 적색으로 한다.
그리고, 예고색과 경고색으로 한 경우에는, 표시되는 문자를 예고색과 경고색과 다른색으로 하거나, 백색으로 뺀 문자로 하거나하여, 문자의 표시를 선명하게 한다. 또한, 파라미터표시부(51)를 예고색과 경고색으로 변화시키는 경우에는, 그것에 표시되는 문자만을 변화시키는 경우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예고색을 표시한 때에는, 음발생수단(47)에서 예고음이 발생되고, 경고색을 표시한 때에는, 음발생수단(47)으로부터 예고음과 다른 경고음이 발생된다. 즉, 예고영역이 되면, 예고·경고 지령수단(46)으로 부터 음발생수단(47)으로 예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를 보내며, 경고범위가 되면, 예고·경고지령수단(46)으로 부터 음발생수단(47)에 경고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신호를 보낸다.
이 음발생수단 (47)은, 예를 들면, 부저, 벨, 스피커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예고음과 경고음은, 각각 여러종류의 음을 채용할 수 있어, 음의 크기, 음의 높이 및 음의 강도 등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연속음과 단속음에 의하여도 다르게 할수 있다.
또, 경보정보표시부(53)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붐각와 아암각를 구비한 각도를 θ로 했을 때에, 165°θ<170°에서 아암대지각의 예고경보를 표시하고, 설정작업범위 외의 165°> θ에서 아암대지각의 경고정보를 표시하고, 280°< θ285°에서 훅접촉의 예고경보를 표시하고, 285°< θ에서 훅접촉의 경고정보를 표시하는 것이다.
훅접촉의 예고경보란, 도10 (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접촉」경보정보표시부(53)를 예고색〔도 예에서는 해칭(hatching)으로 나타내고 있다으로 변화시키어 「훅접촉」으로 표시하는 것이며, 훅접촉의 경고정보란, 도10 (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훅접촉」으로 표시한 채로 경보정보표시부(53)를 경고색(도 예에서는, 그물코로 나타내고 있다)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또, 아암대지각의 예고경보라는 것은, 도11 (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정보표시부(53)를 예고색으로 변화시키어 「아암대지각」으로 표시하는 것이며, 아암대지각의 경고정보란,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대지각」으로 표시한 대로 경보정보표시부(53)를 경고색으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경보정보표시부(53)의 예고색과 경고색은, 상기 파라미터(51)의 예고색과 경고색을 동일한 색이며, 이 경우도, 경보정보표시부(53)가 예고색으로 되면, 예고음을 발생시키어, 경보정보표시부(53)가 경고색이 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것이다. 이 경보정보표시부(53)는, 「훅접촉」과 「아암대지각」이 예고영역과 위험영역에 들어가지 않는 경우에, 통상부하율 (수치)이 표시되며, 「훅접촉」과 「아암대지각」이 예고영역과 위험영역에 들어가지 않는 상태라도, 부하율이 상기의 예고영역에 들어가면,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정보표시부 (53)를 예고색으로 변화시키어 「부하율」로 표시하는 것이며, 부하율이 상기의 위험영역에 들어가면,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하율」로 표시한 채로 경보정보표시부(53)를 경고색으로 변화시킨다. 이 경우 물론, 경보정보표시부(53)가 예고색이 되면, 예고음을 발생시키고, 경보정보표시부(53)가 경고색이되면,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경보정보표시부(53)에는, 상기 「훅접촉」과 「아암대지각」이외에,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로크엔드」가 표시된다. 여기서, 스트로크엔드라는 것은, 실린더기구(21)의 스트로크엔드이며, 붐각> MAX 각 -15°로, 이 「스트로크엔드」가 표시된다. 이 경우의 경보정보표시부(53)는 상기 예고색으로 된다. 그 때문에, 이 예고색과 함께 예고색을 발생시켜도 좋다.
또, 이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불에 경보정보표시부(53)에 표시되지 않는 다른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라미터표시부(51)의 전체를 상기 경고색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다른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예고색과 동일한 색으로 표시하거나, 예고색과 경고색과 다른 색으로 표시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예고음과 경고음과 동일한 음 또는 다른 음을 발생시켜도 좋다.
그런데, 경보정보표시부(53)에 복수의 상기 정보를 표시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태(상황)가 발생한 경우, 그 각 표시항목은 순차로 절환되어 표시되어 간다. 이 경우도, 물론, 각 표시항목은, 예고영역에서는 예고색이 되며, 위험영역에서는 위험색이 된다. 이것으로, 각종 예고상태와 위험상태가 발생한 경우에도 이들의 상태를 오퍼레이터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와 같이 구성된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에 의하면, 파라미터표시부(51)에 부하율이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도, 부하율이 예고영역에 들어가면, 도9(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정보표시부(53)에 「부하율」의 문자가 표시됨과동시에, 경보정보표시부(53) 및 파라미터표시부(51)의 제1부(51a)가 예고색으로 변화하고, 이 상태에서 부하율이 위험영역에 들어가면,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정보표시부(53)에 「부하율」의 문자가 표시된 채 이 경보정보표시부 (53) 및 파라미터표시부(51)의 제1부(51a) 가 경고색으로 변화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작업중에, 부하율이 예고영역에 들어가거나, 위험영역에 들어간 경우에 이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예고음과 경고음이 발생함으로, 오퍼레이터는, 시각과 청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작업을 중지시키거나, 작업기(4)를 안전한 상태가 되도록 요동시키거나 하여. 위험상태가 되는 것을 피할수 있다.
또, 훅접촉의 예고영역에 들어간 경우에,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정보표시부(53)에 「훅접촉」의 문자가 표시됨과 동시에, 경보정보표시부(53)가 예고색으로 변화하고, 이 상태에서 훅접촉이 위험영역에 들어간 경우에,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정보표시부(53)에 「훅접촉」의 문자가 표시된 채로 이 경보정보표시부(53)가 경고색으로 변화한다.
또한, 아암대지각의 예고영역에 들어간 경우에,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정보표시부(53)에「아암대지각」의 문자가 표시됨과 동시에, 경보정보표시부(53)가 예고색으로 변화하고, 이 상태에서 아암대지각이 위험영역에 들어간 경우에,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보정보표시부 (53)에 「아암대지각」의 문자가 표시된 채로, 이 경보정보표시부(53)가 경고색으로 변화한다.
이 때문에, 오퍼레이터는, 훅접촉과 아암대지각이 예고영역에 들어가거나,위험영역에 들어간 경우에 감지할 수 있다. 더욱이, 예고음과 경고음이 발생함으로, 이들 경우에도, 오페레이터는, 시각과 청각으로 파악할 수가 있다.
특히, 모니터화면(44)에, 정격하중부하율에 관한 파라미터와, 엔진상태와의 양자가 동시에 표시됨으로, 이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의 오퍼레이터는, 작업중에 필요한 각종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한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경보정보표시부(53)에는, 「부하율」「훅접촉」「아암대지각」「스트로크엔드」의 예고, 경고가 순차절환으로 표시되어 감으로, 오퍼레이터는 복수의 예고상태와 경고상태를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복수의 예고, 경고를 절환하면서 계속 표시하여도, 「부하율」에 관한 예고, 경고는, 바로미터표시부(51)에 제1부(51a)와 독립하여 표시됨으로, 특히 중요한 「부하율」에 관한 예고와 경고를 확실하게 또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어, 작업성이 한층 더 향상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경보정보표시부(53)에 부하율을 표시하지 않는것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니터장치(4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실(11)의 앞창(前窓)(56)과 한쪽의 측방창(側方窓)(57)을 구분하는 세로틀(58)의 하부에 배치되어, 그 외장케이스(59)에 수준기(level)(60)가 일체로 장착되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모니터장치(45)의 위치로서는, 오퍼레이터가운전석(13)에 앉아 이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을 주행시키거나, 작업기(4)를 사용하여 작업하거나 한 경우에, 그 모니터화면(44)의 관찰이 가능한 위치이면 되고, 도 2의 위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파라미터표시부(51)로서, 제1부(51a)와 제2부(51b)를 설치하지 않고 1개의 표시부로서, 파라미터의 문자를 크게 표시하도록 하거나, 역으로 3개이상으로 분리하여, 동시에 복수의 파라미터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문자를 크게 표시하도록 하면, 부하율 등의 1개의 파라미터표시가 보기쉽게 되며, 복수의 파라미터를 표시하면, 한번에 복수의 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표시부(51)와 엔진상태표시부(52)의 배치위치로하여도, 변경가능하며, 엔진상태표시부(52)를 모니터화면(44)의 중앙부에 설치하여, 이 주위에 파라미터표시부(51)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 제1부(51a)를 대신에, 제2부(51b)를, 예고색으로 하거나 경고색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경보정보표시부(53)의 배치위치도, 파라미터표시부(51)의 아래쪽위치로 하거나, 파라미터표시부(51)의 제1부(51a)와 제2부 (51b)와의 사이의 위치로 하여도 좋다. 물론, 「부하율」,「훅접촉」,「아암대지각」의 각예고영역과 위험영역의 변경도 가능하다. 또한, 파라미터표시부(51) 및 경보정보표시부(53)에 있어서, 예고영역에 들어가도, 예고색으로 변화하지 않는 것이어도 되고, 또한, 예고색과 경고색으로 변화한 때에, 예고음과 경고음이 발생하지 않는것이어도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의 청구항 1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붐(5)과 아암(6)과 버킷(7)과 훅(10)을 가지는 작업기(4)를 구비하며, 크레인작업을 가능케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에 있어서, 모니터화면(44)을 가진 모니터장치(45)를 설치하여, 상기 크레인작업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화면(44)에, 정격하중부하율 (이하, 부하율이라고 생략하기도 함.)에 관한 파라미터와, 경보정보를 표시함과동시에, 경보정보표시부(53)의 복수의 표시항목의 순차절환표시를 가능케하고, 또한, 파라미터표시부 (51)를, 상기 부하율이 위험영역에 있을 때에 경고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1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에서는, 크레인작업에 있어서는, 모니터장치의 모니터화면(44)에, 부하율에 관한 파라미터와, 경보정보가 표시됨으로, 이 파라미터로 부하율의 위험상태를 파악할수 있음과 동시에, 작업기(4)가 경보상태(위험상태)에 있으면, 경보정보로 이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 경보정보로서도 표시항목이 순차절환함으로, 여러가지 위험의 경보를 파악할수 있다.
또한, 파라미터표시부(51)는 부하율이 위험영역 내에 있는때는, 경고색으로되기때문에,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 부하율위험상태인가 아닌가의 판단이 용이하게 되어, 효율이 좋은 작업을 행할수 있다.
청구항 2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상기 경보정보는, 작업기(4)의 아암(6)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경보각도로 되는 아암대지각경보와, 작업기(4)의 훅(10)과 버킷(7)이 접촉상태가 되는 훅접촉경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2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경보정보가 아암대지각경보와 훅접촉경보이므로, 아암(6)이 위험각도가 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음과 동시에,훅(10)이 버킷(7)에 접촉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것으로, 크레인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상기 파라미터표시부(51)를 상기 모니터화면(44)의 중앙에 배치함과 동시에, 경보정보표시부(53)를 파라미터표시부 (51)의 주위에 파라미터표시부보다도 작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3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모니터화면(44)의 중앙에 파라미터표시부(51)를 배치함으로, 오퍼레이터에게 있어서는,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보기 쉽게 되어있어, 크레인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수 있다.
청구항 4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상기 파라미터표시부(51) 및 /또는 경보정보표시부(53)가 경고색일때에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4의 크레인 작업겸용 유압셔블은, 부하율 등이 위험영역내 일때에는, 파라미터표시부(51)및 /또는 경보정보표시부(53)가 경고색이 됨과 동시에, 경고음이 발생됨으로, 오퍼레이터는 부하율 등이 위험영역에 들어간 것을, 시각과 청각으로 확실하게 알수 있어, 효율이 좋은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파라미터표시부(51)및 /또는 경보정보표시부(53)를, 위험영역에 가까운 예고영역내에 있을때에 예고색으로 변화시켜, 상기 위험영역내에 있는 때에 상기 경고색으로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5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파라미터표시부(51)및/또는 경보정보표시부(53)는 위험영역에 가까운 예고영역내에 있을 때에 예고색으로 변화하므로, 오퍼레이터는 위험영역에 가까운 것을 파악할 수 있어 작업을 신중하게 행할수 있다. 그리고, 위험영역에 들어가면, 경고색으로 변화함으로, 오퍼레이터는 위험영역에 들어간 것을 파악할수가 있어, 작업을 정지시키거나, 작업기를 안전한 방향으로 요동시키거나 할수 있다.
청구항 6의 크레인 작업겸용 유압셔블은, 파라미터표시부 및/또는 경보정보표시부가, 예고색일 때에 예고음을 발생시키고, 경고색일 때에 상기 예고음과 다른 상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6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파라미터표시부 및/또는 경보정보표시부는 위험영역에 가까운 예고영역내에 있을때에 예고색을 내며, 이 예고색인 때에는, 예고음이 발생함으로, 오퍼레이터는 위험영역에 가까운 것을, 시각과 청각으로 확실하게 파악할수 있어, 작업을 신중하게 행할수 있다.
그리고, 위험영역에 들어가면, 경고색으로 변화함과 동시에, 이 경고색이 되었을 때에는, 경고음이 발생하므로, 오퍼레이터는 위험영역에 들어간 것을, 시각과 청각으로 확실하게 파악할 수 있어, 안전한 작업을 보다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그래서 청구항 7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붐(5)과 아암(6)과 버킷(7)과 훅(10)을 가지는 작업기(4)를 구비하며, 크레인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로, 모니터화면(44)을 가지는 모니터장치(45)를 설치하고, 상기 크레인작업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44)에, 정격하중부하율에 관한 파라미터와, 엔진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7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에서는, 크레인작업에 있어서는, 모니터화면(44)에, 정격하중부하율에 관한 파라미터와, 엔진상태와의 양자가 동시에 표시됨으로, 이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의 오퍼레이터는, 작업중에 필요한 차체상태를 용이하게 또한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청구항 8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상기 정격하중부하율에 관한 파라미터를 표시하는 파라미터표시부(51)를 모니터화면(44)의 중앙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엔진상태를 표시하는 엔진상태표시부(52)를 상기파라미터표시부(51)의 주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 8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파라미터표시부(51)가 모니터화면(44)의 중앙부에 배치됨으로, 이 파라미터표시부(51)에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보기쉽고, 상기 파라미터의 파악이 용이하게 된다.
청구항 9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은, 각종의 파라미터표시부(51)에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실하중, 정격하중, 작업반경, 작업높이, 및 정격하중부하율 등이며, 이들 복수의 절환표시를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청구항 9 의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에서는, 각종의 파라미터를 표시할 수 있어, 작업중의 여러가지 상태를 용이하게 또는 신속하게 파악할 수 있다.

Claims (9)

  1. 붐과 아암과 버킷과 훅을 가진 작업기를 구비하여, 크레인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에 있어, 모니터화면을 가진 모니터장치를 설치하며, 상기 크레인작업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화면에, 정격하중부하율에 관한 파라미터와, 경보정보를 표시함과 동시에, 경보정보표시부의 복수의 표시항목의 순차절환표시를 가능하게 하며, 파라미터표시부를 상기 정격하중부하율이 위험영역에 있을 때에 경고색으로 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정보는, 작업기의 아암과 지면이 이루는 각도가 소정 경보각도로 되는 아암대지경보와, 작업기의 훅과 버킷이 접촉상태가 되는 훅접촉경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표시부를 상기 모니터 화면의 중앙에 배치함과 동시에, 경보정보표시부를 파라미터표시부의 주위에 파라미터표시부보다도 작게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4. 제 1항에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표시부 와 경보정보표시부가 경고색 일 때에 경고음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5. 제 1항에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라미터표시부와 경보정보표시부를, 위험영역에 가까운 예고영역 내 일때에 예고색으로 변화시키고, 상기 위험영역내에 있을 때에 상기 경고색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작업기겸용 유압셔블.
  6. 제 5항에 있어서, 파라미터표시부와 경보정보표시부가, 예고색 일 때에 예고음을 발생시키고, 경고색 일 때에 상기 예고음과 다른 상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7. 붐과 아암과 버킷과 훅을 가지는 작업기를 구비하며, 크레인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에 있어, 모니터화면을 가지는 모니터장치를 설치하여, 상기 크레인작업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화면에, 정격하중부하율에 관한 파라미터와, 엔진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정격하중부하율에 관한 파라미터를 표시하는 파라미터표시부를 모니터화면의 중앙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엔진상태를 표시하는 엔진상태표시부를 이 파라미터표시부의 주위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9. 제 7항 또는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라미터표시부에 표시되는 파라미터가, 실하중, 정격하중, 작업반경, 작업높이, 정격하중부하율이며, 이들의 복수의 절환표시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KR1020020035373A 2001-06-28 2002-06-24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KR200300030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96205A JP4750970B2 (ja) 2001-06-28 2001-06-28 クレーン作業兼用油圧ショベル
JPJP-P-2001-00196205 2001-06-28
JPJP-P-2001-00196206 2001-06-28
JP2001196206A JP2003013471A (ja) 2001-06-28 2001-06-28 クレーン作業兼用油圧ショベル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03015A true KR20030003015A (ko) 2003-01-09

Family

ID=26617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373A KR20030003015A (ko) 2001-06-28 2002-06-24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6954150B2 (ko)
KR (1) KR200300030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3911A (zh) * 2011-10-01 2012-05-02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挖掘机在线故障诊断系统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320284C (zh) * 2002-12-27 2007-06-06 日立建机株式会社 工作液压缸的驱动装置
DE202004002541U1 (de) * 2004-02-18 2005-07-07 Liebherr-Hydraulikbagger Gmbh Baumaschine mit Schnellkupplung
KR20080069599A (ko) * 2005-10-18 2008-07-28 푸츠마이스터 콘크리트 펌프스 게엠베하 특히 대형 매니플레이터와 이동식 콘크리트 펌프용 작동 붐
US8135518B2 (en) 2007-09-28 2012-03-13 Caterpillar Inc. Linkage control system with position estimator backup
JP5271758B2 (ja) * 2009-03-11 2013-08-2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5248377B2 (ja) * 2009-03-16 2013-07-31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油圧駆動装置
US8783477B2 (en) * 2009-10-08 2014-07-22 Caterpillar Inc. Lightweight high-performance pipelayer
JPWO2013114737A1 (ja) * 2012-01-31 2015-05-11 株式会社五合 機器の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を設けた機器
US8983739B2 (en) 2012-11-30 2015-03-17 Caterpillar Inc. Real time pull-slip curve modeling in large track-type tractors
US8914215B2 (en) * 2012-11-30 2014-12-16 Caterpillar Inc. Measuring and displaying tractor performance
US9086698B2 (en) 2012-11-30 2015-07-21 Caterpillar Inc. Determining an optimum operating point of an earth moving machine
USD760725S1 (en) 2012-11-30 2016-07-05 Caterpillar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8965640B2 (en) 2012-11-30 2015-02-24 Caterpillar Inc. Conditioning a performance metric for an operator display
US8972129B2 (en) 2012-11-30 2015-03-03 Caterpillar Inc. Determination of optimum tractor reverse speed
JP6147062B2 (ja) * 2013-04-02 2017-06-14 株式会社タダノ 作業機の作業状態確認装置
CN108026715B (zh) 2015-09-15 2021-06-18 住友建机株式会社 挖土机
JP6697361B2 (ja) * 2016-09-21 2020-05-2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駆動システム
CN108291387B (zh) * 2016-11-09 2020-11-10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机械以及作业机械的控制方法
US9933294B1 (en) * 2017-01-12 2018-04-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load indicator
US11142442B2 (en) 2017-02-10 2021-10-12 Arrow Acquisition, Llc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controlling the stability of an industrial vehicle
WO2018161003A1 (en) 2017-03-03 2018-09-07 Cnh Industrial America Llc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implement load weights for a work vehicle with knowledge of operator-initiated control commands
KR101809005B1 (ko) * 2017-07-04 2017-12-15 황윤국 크레인 사용 안전유닛을 구비하는 버킷 링크
EP3450384A3 (en) * 2017-08-28 2019-05-08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Crane control system configured to generate a working range diagram, working range diagram for a crane, and method for generating a working range diagram for a crane.
KR20200105651A (ko) * 2018-01-10 2020-09-08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쇼벨 및 쇼벨의 관리시스템
US20190315169A1 (en) * 2018-04-17 2019-10-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icato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for use with vehicles
US11378440B2 (en) 2019-08-13 2022-07-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yload balance indicator
FI130526B (fi) * 2020-05-14 2023-11-02 Ponsse Oyj Järjestely ja menetelmä työkoneen ainakin yhden toiminnon ohjaamiseksi ja työkon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707A (ja) * 1994-04-21 1995-11-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作業範囲制限装置
KR100201878B1 (ko) * 1994-01-31 1999-06-15 토니헬샴 유압건설기계의모니터링및제어병행장치
JPH11247238A (ja) * 1998-03-03 1999-09-14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仕様油圧ショベル機の警報装置
JP2000087395A (ja) * 1998-09-14 2000-03-28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兼用油圧ショベルの警報装置
JP2000204578A (ja) * 1999-01-19 2000-07-25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クレーン仕様型バックホーの作業角度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01541A (fi) * 1979-05-18 1980-11-19 Coles Cranes Ltd Saekerhetsindikator foer last
US4532595A (en) * 1982-12-02 1985-07-30 Kruger Gmbh & Co. Kg Load-monitoring system for boom-type crane
US4660729A (en) * 1985-09-16 1987-04-28 Hugh E. Carbert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boom overload
US4677579A (en) * 1985-09-25 1987-06-30 Becor Western Inc. Suspended load measurement system
US4833615A (en) * 1986-10-15 1989-05-23 A.G.A. Credit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an aerial device having a pivotable boom
US5081838A (en) * 1989-03-28 1992-01-21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Hydraulic circuit with variable relief valves
JPH0783740A (ja) * 1993-09-14 1995-03-31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重量物搬送積載装置
JP2000034093A (ja) 1998-07-21 2000-02-02 Kobe Steel Ltd 旋回式作業機械とその安全作業領域及び定格荷重の設定方法
US6225574B1 (en) * 1998-11-06 2001-05-01 Harnischfeger Technology, Inc. Load weighing system for a heavy machinery
US6334085B1 (en) * 1999-04-26 2001-12-25 Komatsu Ltd Data processing unit for construction machine
US6492901B1 (en) * 2000-05-10 2002-12-10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Alarm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1878B1 (ko) * 1994-01-31 1999-06-15 토니헬샴 유압건설기계의모니터링및제어병행장치
JPH07292707A (ja) * 1994-04-21 1995-11-07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作業範囲制限装置
JPH11247238A (ja) * 1998-03-03 1999-09-14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仕様油圧ショベル機の警報装置
JP2000087395A (ja) * 1998-09-14 2000-03-28 Sumitomo Constr Mach Co Ltd クレーン兼用油圧ショベルの警報装置
JP2000204578A (ja) * 1999-01-19 2000-07-25 Yanmar Diesel Engine Co Ltd クレーン仕様型バックホーの作業角度制御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3911A (zh) * 2011-10-01 2012-05-02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挖掘机在线故障诊断系统及方法
CN102433911B (zh) * 2011-10-01 2013-12-04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采用挖掘机在线故障诊断系统进行故障诊断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557726B2 (en) 2009-07-07
US6954150B2 (en) 2005-10-11
US20030090384A1 (en) 2003-05-15
US20050155258A1 (en)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03015A (ko) 크레인작업겸용 유압셔블
US10087599B2 (en) Shovel and method of controlling shovel
KR101166054B1 (ko) 건설 기계의 운전 시스템
AU2011261705B2 (en) Dual monitor inform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for an excavator
US7626491B2 (en) Indicator control system for constrution machine
JP4488938B2 (ja) 作業機の表示装置
JP4801374B2 (ja) 建設機械の情報表示装置
KR20060128830A (ko) 건설 기계
JP2010185274A (ja) 監視カメラが備えられた建設機械
WO2022080025A1 (ja) 建設機械
JP4750970B2 (ja) クレーン作業兼用油圧ショベル
WO2022163388A1 (ja) 建設機械
JP2010001613A (ja) 解体作業機の安全監視装置
JP2009000026A (ja) 作業用走行車
JP4257722B2 (ja) スイング式油圧ショベルの制御装置
EP3832035B1 (en) Hydraulic excavator
JP6605524B2 (ja) 作業機械の稼働状態表示システム
JPH0958978A (ja) カウンタウエイト装着状態検出方法,装置および過負荷防止装置
JP2003013471A (ja) クレーン作業兼用油圧ショベル
JP2004162846A (ja) 再生情報表示機能を備える作業機の位置エネルギ回収・再生装置
CN220847811U (zh) 一种装载机铲斗举升极限位置的报警装置
JP4133562B2 (ja) 作業機械の作業機干渉防止域表示装置
JP3622811B2 (ja) リーダの角度検出装置
JP2003013472A (ja) クレーン作業兼用油圧ショベルのモニタ装置
JPH11247238A (ja) クレーン仕様油圧ショベル機の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