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5058Y1 - 현금인출기 부스 - Google Patents

현금인출기 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5058Y1
KR200295058Y1 KR2020020024376U KR20020024376U KR200295058Y1 KR 200295058 Y1 KR200295058 Y1 KR 200295058Y1 KR 2020020024376 U KR2020020024376 U KR 2020020024376U KR 20020024376 U KR20020024376 U KR 20020024376U KR 200295058 Y1 KR200295058 Y1 KR 2002950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tm
leg
roller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43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보현
Original Assignee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일정밀 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200243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50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50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5058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2) 뒤에 도어(3)가 있고, 도어(3)를 열고 현금인출기(CD)를 수납하는 본체(2) 뒤로 현금인출기를 함께 빼내며 결합하도록 상부 플레이트(17)에는 인출기를 고정시키고, 상부 플레이트(17)는 하부 플레이트(8) 위에서 회전 가능토록 이루어지며, 하부 플레이트(8)에는 본체(2) 하부에 설치 고정된 가이드 기어 (13)와 기어 결합하는 기어(15)를 회전시키는 모터(16)를 고정시켜, 모터(16)의 회전력으로 전후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부스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17) 중앙 상면에 선단으로 슬라이드 인출 가능하며 현금인출기(CD)가 안치되도록 결합된 보조플레이트(30)와,
상부 플레이트(17)의 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현금인출기를 결합시키는 도어판(40)과,
상부 플레이트(17)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누름 시 길이가 늘어나는 보조다리 (50)를 포함하여 구성한 현금인출기 부스이다.

Description

현금인출기 부스{Booth for cash dispenser}
본 고안은 현금인출기를 지지 및 수용하는 부스에서, 현금인출기의 입출금시안내하는 상하부 플레이트외에 상부 플레이트에 추가로 신축 가능한 보조플레이트를 두어 인출기의 이동거리의 확장을 가능토록 하고, 상부 플레이트에는 눌러 다리가 늘어나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다리를 두어 어느 각도에서도 안정되게 지지고정 되도록 하고, 하부 플레이트 상면에 상부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롤러체를 설치하되 롤러체는 롤러의 상부 일부만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방식을 이루도록 하여, 상하부플레이트의 간격을 극소화하고 내구성을 증진시키도록 구성한 현금인출기 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은행 및 편의점등에 비치는 현금 자동 인출기는 실내와 실외에 따라 적절한 부스에 구분 설치되는 바, 상기한 실내용 부스는 외관을 고려하여 현금자동 인출기를 설치하게 되고, 실외용 부스는 외부인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내용 부스보다 견고하게 제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현금 자동 인출기는 내부로 돈을 출납시키기 위하여 배면에 문이 설치되어 있는 바, 현금 자동 인출기가설치된 부스는 상기한 문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벽으로부터 부스의 배면에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두어야한다.
즉, 실내, 외용의 부스를 막론하고 그 구조는 현금 자동 인출기를 설치하기 위해 정면에 설치된 정문과, 현금 자동 인출기가 삽입되는 본체와, 본체의 배면에 설치되어 현금 자동 지급기의 배면에 설치된 문을 열고 닫을 수 있는 후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한 후문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후문의 회전 반경에 따른 공간이 필수적으로 소요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현금 자동 인출기용 부스는 현금 자동 인출기에 돈을 출납하기 위하여 벽면으로부터 소정의 공간을 이격시켜야 하기 때문에 은행 및 편의점등의 점유공간을 현금 자동 인출기가 필요 이상으로 차지하게 됨으로써 실질적인 은행 및 편의점 업무에 공간이 작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려는 기술로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1996-0005640호가 개발되었다.
이는 현금인출기 본체(2)와, 본체(2)의 저면 일측에 경첩(미 도시)등으로 연결된 문(3)과, 본체(2)의 저면에 현금 자동 인출기(CD)가 안착되어 본체(2)의 내부로 인입 가능하게 하는 인출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인출 수단은 수평 슬라이드 수단과, 수평 슬라이드 수단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회전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수평 슬라이드 수단은 지지 로울러(7)가 저면 앞쪽에 설치됨과 아울러 양측이 본체(2)에 지지되는 하부 플레이트(8)와, 하부 플레이트(8)의 슬라이드 시 이를 지지하기 위해 본체(2)의 저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슬라이드 가이드(9)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하부 플레이트(8)에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슬라이드 가이드(9)에 밀착되어 하부플레이트(8)의 슬라이드를 용이하게 하는 슬라이드 로울러(1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슬라이드 가이드(9)와 하부 플레이트(8)의 걸림을 방지하기 위한 홈(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한 회전 수단이 삽입되는삽입공(12)이 중앙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한 하부 플레이트(8)를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구동 수단은 본체(2) 저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기어(13)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가이드 기어(13)와 치차 결합되도록 하부 플레이트(8)의 저면에 설치됨과 아울러 모터축(14)에 기어(15)가 설치된 모터(16)로 구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구동 수단을 설치하지 않고 손으로 하부 플레이트(8)를 당겨도 작동에는 이상이 없지만 구동수단을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된다.
상기한 회전 수단은 현금 자동 인출기(CD)가 안착되는 상부 플레이트(17)와, 상부 플레이트(17)의 하부에 설치되어 하부플레이트(8)의 삽입공(12)에 삽입되어 상부 플레이트(17)의 회전 중심을 이루게 되는 회전 축(18)과, 상부 플레이트(17)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하부플레이트(8)의 상부에 원형으로 설치된 레일(19)과, 상기한 레일(19)과 접촉되도록 상부 플레이트(17)의 회전 축(18) 주위에 다수 설치된 회전로울러(2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수평 슬라이드 수단과 회전 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기어(13)와 맞물리는 기어(15)가 축설된 모터 축(14)을 갖는 모터(16)와 지지로울러(7) 그리고 본체(2)에 설치된 슬라이드 가이드(9)와 접촉되는 슬라이드 로울러(10)가 설치된 하부 플레이트(8)와, 회전 축(18)이 하부 플레이트(8)의 삽입공(12)에 삽입되어 있고 회전 로울러(20)가 저면에 원형으로 다수 설치된 상부 플레이트(17)가 일체를 이루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기술 구성의 작용을 설명하면 벽면에 밀착되어 설치된 부스의 현금 자동 인출기(CD)에서 돈을 출납하기 위해서는 문을 열고 본체(2)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스위치(미 도시)를 누르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6)에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16)가 회전하게 됨과 아울러 고정된 상태인 가이드 기어(13)를 타고 유동 가능한 모터(16)즉, 모터(16)가 고정되어 있는 하부 플레이트(8)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하부 플레이트(8)에 설치된 슬라이드 로울러(10)는 슬라이드 가이드(9)를 타고 이동하여 수평 이동 동작을 부드럽게 하고 지지로울러(7)는 하부 플레이트(8)가 외부로 나오는 부분을 지지하게 되는 바, 하부 플레이트(8)가 본체(2)의 전면으로 적절한 위치에 돌출되면 스위치를 해제시켜 전원 인가를 차단하여 모터(16)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하부 플레이트(8)가 정지된 다음 사용자가 손으로 현금 자동 인출기(CD)를 회전시키면 현금 자동 인출기(CD)가 안착된 상부 플레이트(17)가 회전되는 바, 회전시 회전 로울러(20)와 레일(19)에 의해 회전동작이 부드럽게 되는 것이다.
현금 자동 인출기(CD)가 회전되면 배면의 문을 열어 돈의 출납을 행하고 출납이 완료되면 다시 현금 자동 인출기(CD)를 회전시켜 조작패널이 전면으로 나오게 한 후 모터(16)의 회전이 역 방향으로 되도록 전원이 인가되는 역 동작 스위치(미도시)를 눌러 하부 플레이트(8)가 본체(2)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현금 자동 인출기(CD)가 본체(2)의 내부로 삽입되면 문(3)을 닫고 키를 잠그게 됨으로써 돈의 출납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구성은 인출기의 뒤에서 현금 자동인출기를 꺼내어 현금등을 출납할 때 상하부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뒷 공간으로 쉽게 인출하는 잇점은 있으나, 보다 좁은 공간에 여러 대의 인출기를 정렬하거나 현금을 채워 넣는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는 채워 넣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현금인출기의 입출금을 좁은공간에서 가능하도록 현금인출기를 지지하는 부스의 지지 플레이트의 방향이동을 다양하게 가능토록 하고, 이동시 어느 방향에서도 안정하게 지지 가능토록 하는 현금인출기 부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현금인출기를 지지하는 부스를 이루는 상하플레이트간의 공간을 극소화 시켜 높이를 낮추고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부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부플레이트에 보조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좁은 공간에서 추가 거리 이동을 가능토록 하는 현금인출기 부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현금인출기를 지지 및 수용하는 부스에서, 현금인출기의 입출금시 안내하는 상하부 플레이트외에 상부 플레이트에 추가로 신축 가능한 보조플레이트를 두어 인출기의 이동거리의 확장을 가능토록 하고, 상부 플레이트에는 눌러 다리가 늘어나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다리를 두어 어느 각도에서도 안정되게 지지고정 되도록 하고, 하부 플레이트 상면에 상부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롤러체를 설치하되 롤러체는 롤러의 상부 일부만 노출되도록 수용하는 방식을 이루도록하여, 상하부 플레이트의 간격을 극소화하고 내구성을 증진시키도록 구성한다.
도 1 은 일반적인 현금인출기 부스의 측면도,
도 2 는 도 1 에 보인 현금인출기 부스의 요부 단면도,
도 3 은 일반적인 현금인출기의 평면 설명도,
도 4 는 본 고안의 일차 신장시킨 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5 는 도 4에서 다시 90도 회전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보조플레이트를 신장시킨 상태의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의 회전롤러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보조다리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 는 보조플레이트 선단의 요부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보조플레이트 40;도어판 50;보조다리 51;누름헤드 52;결합공 53;다리안내관 54;고정나사 55;고정편 56;받침다리 56-1;스토퍼 57;스프링 58;결합홈 59;결합돌기 60;회전롤러부 61;롤러 62;롤러공 63;롤러홀더 64;롤러홀더 절곡편 65;수직벽 66;고정나사
즉, 본 고안은 본체 뒤에 도어가 있고, 도어를 열고 현금인출기를 수납하는 본체 뒤로 현금인출기를 함께 빼내며 결합하도록 상부 플레이트에는 인출기를 고정시키고, 상부 플레이트는 하부 플레이트 위에서 회전 가능토록 이루어지며, 하부 플레이트에는 본체 하부에 설치 고정된 가이드 기어와 기어결합하는 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고정시켜, 모터의 회전력으로 전후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부스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 중앙 상면에 선단으로 슬라이드 인출 가능하며 현금인출기가 안치되도록 결합된 보조플레이트와,
상부 플레이트의 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현금인출기를 결합시키는 도어판과,
상부 플레이트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누름 시 길이가 늘어나는 보조다리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인출기 부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도어판에는 설치되는 현금인출기의 폭에 맞도록 조절나사로 폭이 조절되는 폭조절판을 설치한 것이 좋다.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롤러는 하부플레이트에 설치하되 롤러의 일부만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상하부플레이트의 간격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한다.
이하 본 고안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는 본 고안의 초기인출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5 는 상부플레이트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 은 도 5 상태에서 보조플레이트를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
본체(2) 뒤에 도어(3)가 있고, 도어(3)를 열고 현금인출기(CD)를 수납하는 본체(2) 뒤로 현금인출기를 함께 빼내며 결합하도록 상부 플레이트(17)에는 인출기를 고정시키고, 상부 플레이트(17)는 하부 플레이트(8) 위에서 회전 가능토록 이루어지며, 하부 플레이트(8)에는 본체(2) 하부에 설치 고정된 가이드 기어(13)와 기어 결합하는 기어(15)를 회전시키는 모터(16)를 고정시켜, 모터(16)의 회전력으로 전후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부스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17) 중앙 상면에 선단으로 슬라이드 인출 가능하며 현금인출기(CD)가 안치되도록 결합된 보조플레이트(30)와,
상부 플레이트(17)의 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현금인출기를 결합시키는 도어판(40)과,
상부 플레이트(17)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누름 시 길이가 늘어나는 보조다리 (50)를 포함하여 구성한 현금인출기 부스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도어판(40)에는 설치되는 현금인출기(CD)의 폭에 맞도록 조절나사(41)로 폭이 조절되는 폭조절판(42)을 설치한 것이 좋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7)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롤러부(60)는 하부플레이트 (8)에 설치하되 롤러(61)의 표면 일부만 노출되도록 설치하여 상하부플레이트 (17,8)의 간격을 최소화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보조플레이트(30)의 선단에는 신장시에는 펼쳐 다리를 이루고, 신축시에는 보조홈(17-1)에 결합시 상부플레이트(17)의 선단과 결합하는 푸시력에 의하여 접어지면서 결합하는 탄발다리(31)를 설치함이 좋다. 탄발다리(31)의 구조는 도 9 와 같이 보조플레이트(30)를 펼치면 신장하여 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하여 의하여 점선상태에서 실선 다리로 펼쳐져 스토퍼 (33)에 지지되고, 접으면 탄발다리(31)가 상부플레이트(17)선단에 닿아 상부플레이트(17)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는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 가능하다. 물론 접을 때 접힘 가능하도록 스토퍼(33)의 상부플레이트(17)의 대응 선단에는 홈을 형성하여야 한다. (34)는 탄발다리(31)가 접히는 홈이다. (17-2)는 보조플레이트(30)가 신축 및 신장시 이동 안내하는 보조 슬라이드홈 이다.
도 7 은 하부플레이트(8)에 도 6 에 보인 회전축(18)을 중심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상부플레이트(17)가 원운동을 하도록 설치된 회전롤러부(60)의 단면도로, 회전롤러부(60)는 하부플레이트(8)의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 롤러공(62)에 안치되며 양단을 이루는 롤러홀더절곡편(64)이 하부플레이트(8)의 상면에 지지되는 롤러홀더(63)와, 롤러홀더(63)의 수직벽(65)에 유착되며 상면이 일부만 노출되는 롤러(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홀더 절곡편(64)은 롤러홀더 고정나사(66)로 하부플레이트(8)상면에 고정된다.
도 8a 는 보조다리(50)의 평상시 신축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8b 는 보조다리(50)의 누름헤드(51)가 아래로 신장된 상태의 사시도로로, 상부플레이트(17)에 형성한 결합공(52)에 끼움 결합하는 다리안내관(53)과, 다리안내관(53)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하여 고정나사(54)가 설치되는 고정편(55)과, 다리안내관(53)의 내경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봉상의 받침다리(56)와, 받침다리(56)의 상단에 안치되어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7)과, 스프링(57)이 탄발력을 제공하도록 받침다리(56)상단에 직경이 크게 형성된 누름헤드(51)와, 받침다리(56)의 누름 작용시의 위치를 유지토록 받침다리(56)의 측면으로 돌출한 결합돌기(59)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결합돌기(59)가 신축시 고정되게 안내하도록 다리안내관(53)의 하단에는 하단에서 일정 상부 길이로 형성한 결합홈(58)을 형성한다. 받침다리(56)의 하단에느 스토퍼 (56-1)를 형성하여, 다리안내관(53)의 신축 결함상태를 유지토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을 사용할 경우 본체()에 안치된 하부플레이트()를 끌어내어 현금인출기에 현금을 채워넣도록 하는 일반적인 기능은 동일하므로 이에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고안의 특징적인 부분 위주로 설명한다. 도시하지 않은 현금인출기를 뒤로 끌어내면 모터(16)의 회전력으로 기어(15)가 가이드 기어(13)와 기어결합 하면서 회전하므로 도 2 와 같이 본체(2)에서 뒤로 신장된다. 그리고 도어판(40)을 잡고 도 5 와 같이 회전하여 원하는 위치에서 현금인출기를 조작하면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필요시 도 6 과 같이 보조플레이트(30)를 인출 신장시켜 현금인출기의 위치이동 범위를 확대한 특징이 있다. 이는 좁은 공간에서 현금인출기의 이동 거리를 확대하여 운영상의 범용성을 극대화시킨다. 이는 좁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아울러 보조플레이트(30)가 무게중심이 이동할 경우 상부플레이트(17)의 손상을 막기 위하여 보조다리(50)를 이용하는바. 이는 도 8a 와 같이 평소에는 보관하다가, 사용시에는 신발로 누름헤드(51)를 누름과 동시에 방향을 약 90도 회전시키면 도 8b 와 같이 결합돌기(59)가 다리안내관(53)의 결합홈(58)을 따라 신장된 후 방향이 90도 정도 회전하면, 결합돌기(59)가 다리안내관(53)의 하단면에 걸려 고정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는 결국 받침다리(56)가 신장고정되는 것이기에 보조플레이트(30)의 기울어짐 등을 막을 수 있다. 물론 다시 역90도로 회전시키면 결합돌기(59)가 결합홈(58)에 결합하면서 스프링(57)의 탄발력에 의하여 다시 도 8a 와 같이 원위치 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하부플레이트(8)에 상부플레이트(17)의 회전 안내용 회전롤러부(60)를 설치하고, 설치방식이 롤러(61)의 일부만 하부플레이트(8)의 상면으로 노출되어 안내하므로 롤러를 통채로 상부플레이트(17)에 설치한 종래의 방식에 비하여 상하부플레이트(17,8)간의 간격이 극소화되어 높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설치시에도 하부플레이트(8)에 형성한 롤러공(62)에 롤러홀더 (63)와 함께 조립된 롤러(61)등으로 이루어진 회전롤러부(60)를 나사(66)로 단순히 조립 결합하면 되므로 조립이 용이하고, 외관이 단순 깔끔해진다.
또한 본 고안은 도어판(40)을 상부플레이트(17)에 수직 상방으로 직접 결합고정한 상태이므로 인출 및 조립이 용이하고, 내면에 설치한 폭조절판(42)을 조절나사(41)로 조정하면 조절나사(41)의 회전운동을 폭조절판(42)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상호간의 폭(W1) 조절을 가능하게 하여 현금인출기의 사양에 따라 범용으로 안전하게 고정 사용 가능토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필요시 본체(2)에 별도의 도어가 필요 없는 구조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상부플레이트에 신장 가능한 보조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신장거리를 넓혀 좁은 공간에서 사용 가능한 범위를 넓혀준다.
또한 보조플레이트를 신장 사용할 경우에도 보조다리를 사용하여 상부플레이틀 고정시키므로 보조플레이트를 신장하여도 안정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하부프레이트에 상부플레이트의 회전시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안내하는 회전롤러부를 설치하고 롤러를 상부만 노출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기에 상하부플레이트의 공간이 줄어들어 부스의 높이를 줄여 원가절감에 기여한다.

Claims (4)

  1. 본체(2) 뒤에 도어(3)가 있고, 도어(3)를 열고 현금인출기(CD)를 수납하는 본체(2) 뒤로 현금인출기를 함께 빼내며 결합하도록 상부 플레이트(17)에는 인출기를 고정시키고, 상부 플레이트(17)는 하부 플레이트(8) 위에서 회전 가능토록 이루어지며, 하부 플레이트(8)에는 본체(2) 하부에 설치 고정된 가이드 기어(13)와 기어 결합하는 기어(15)를 회전시키는 모터(16)를 고정시켜, 모터(16)의 회전력으로 전후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부스에 있어서,
    상부 플레이트(17) 중앙 상면에 선단으로 슬라이드 인출 가능하며 현금인출기(CD)가 안치되도록 결합된 보조플레이트(30)와,
    상부 플레이트(17)의 후단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현금인출기를 결합시키는 도어판(40)과,
    상부 플레이트(17)의 선단부에 설치되어 누름 시 길이가 늘어나는 보조다리 (5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인출기 부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판(40)내면에는 설치될 현금인출기(CD)의 폭에 맞도록 조절나사(41)를 회전시켜 직선 이동토록 하는 구조로 대향하는 거리폭이 조절되는 한쌍의 폭조절판(42)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인출기 부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7)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롤러부(60)는 하부플레이트(8)에 설치하되 롤러(61)의 표면 일부만 노출되도록 설치하며, 회전롤러부(60)는 하부플레이트(8)의 일정 간격마다 설치된 롤러공(62)에 안치되며 양단을 이루는 롤러홀더절곡편(64)이 하부플레이트(8)의 상면에 지지되는 롤러홀더 (63)와, 롤러홀더(63)의 수직벽(65)에 유착되며 상면이 일부만 노출되는 롤러(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인출기 부스.
  4. 제 1 항에 있어서, 보조다리(50)는 상부플레이트(17)에 형성한 결합공(52)에 끼움 결합하는 다리안내관(53)과, 다리안내관(53)의 상단에서 수평으로 연장하여 고정나사(54)가 설치되는 고정편(55)과, 다리안내관(53)의 내경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봉상의 받침다리(56)와, 받침다리(56)의 상단에 안치되어 탄발력을 제공하는 스프링(57)과, 스프링(57)이 탄발력을 제공하도록 받침다리(56) 상단에 직경이 크게 형성된 누름헤드(51)와, 받침다리(56)의 누름 작용시의 위치를 유지토록 받침다리(56)의 측면으로 돌출한 결합돌기(59)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결합돌기(59)가 신축시 고정되게 안내하도록 다리안내관(53)의 하단에는 하단에서 일정 상부 길이로 형성한 결합홈(58)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금인출기 부스.
KR2020020024376U 2002-08-14 2002-08-14 현금인출기 부스 KR2002950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376U KR200295058Y1 (ko) 2002-08-14 2002-08-14 현금인출기 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4376U KR200295058Y1 (ko) 2002-08-14 2002-08-14 현금인출기 부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5058Y1 true KR200295058Y1 (ko) 2002-11-13

Family

ID=73078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376U KR200295058Y1 (ko) 2002-08-14 2002-08-14 현금인출기 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50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369B1 (ko) * 2012-03-16 2012-09-03 주식회사 우리은행 옥외형 금융자동화기기 부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369B1 (ko) * 2012-03-16 2012-09-03 주식회사 우리은행 옥외형 금융자동화기기 부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162994A (ja) 折り戸
WO2006125273A1 (en) Furniture
KR200295058Y1 (ko) 현금인출기 부스
KR101160093B1 (ko) 무전원 파티션 승강기능을 갖는 책상
US5836256A (en) Apparatus for mo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between retracted and extended positions
CN210422281U (zh) 一种新型内置式电动折叠门设备
JP2012012816A (ja) 移動式間仕切装置
JP2000152442A (ja) キャビネットラック取付用引出し式パネルのスライドロック機構
KR100498058B1 (ko) 승강가능한 칠판
US6422158B1 (en) Automatic teller machine transport system
JP2008100443A (ja) 黒板装置
KR960005640Y1 (ko) 현금 자동인출기용 부스
JPH0767726A (ja) 昇降式収納装置
KR200228547Y1 (ko) 컴퓨터 책상
KR200175962Y1 (ko) 현금자동지급기용 돌출회전식장치
JP2008280766A (ja) 連動引分式折戸装置
CN221507711U (zh) 一种可调节的宣传展板
KR200395483Y1 (ko) 인출식 거울
CA2373647C (en) Towel dispenser
KR20080004454U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조명수단이 구성된 전시용 진열장
JP5501704B2 (ja) 展示ケース
KR200211625Y1 (ko) 경대
NL2007866C2 (nl) Systeem en werkwijze voor het aanbieden van een object.
KR200186290Y1 (ko) 실내공간 구획장치
CN111059857B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20814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210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20814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310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UT0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during Technology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30624

Patent event code: UT06011S01I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