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960Y1 - 이너웨어 - Google Patents

이너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960Y1
KR200283960Y1 KR2020020006401U KR20020006401U KR200283960Y1 KR 200283960 Y1 KR200283960 Y1 KR 200283960Y1 KR 2020020006401 U KR2020020006401 U KR 2020020006401U KR 20020006401 U KR20020006401 U KR 20020006401U KR 200283960 Y1 KR200283960 Y1 KR 2002839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float
innerwear
protrusions
rece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4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코니에르마노
Original Assignee
카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34616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283960(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1576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09738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115554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15401B1/ja
Application filed by 카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카린 컴퍼니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9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9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3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upper parts of panties; pan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9/00Undergar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04B1/102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with stitch patter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46Upper torso garments, e.g. sweaters, shirts, leotar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32Therapeutic use
    • A41B2400/322Massag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3One surface including hollow piping or integrated straps, e.g. for inserts or mountin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편물 구조의 변화에 의해 이너웨어의 내측표면 상에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시킴으로서 피부를 자극하고, 마사지 효과를 갖는 동시에 피하지방 및/또는 과잉의 살의 감소를 촉진한다. 서로 다른 편물 구조를 갖는 돌출부와 오목부는 이너웨어의 내측표면 상에 교대로 짜여 지고, 오목부는 교대로 짜여진 깊은 오목부와 얕은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너웨어{AN INNER WEAR}
본 고안은 여성을 위한 이너웨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탱크톱, 웨이스트 니퍼, 바디슈트, 언더팬츠, 거들, 스팻, 팬티호스, 타이츠, 레오타드, 수영복 등과같이 착용자의 신체에 딱 맞게 입는 이너웨어에 관한 것으로, 우아한 외관을 가지는 탄성 편직물을 포함한다.
여성이 나이들어 감에 따라, 군살 또는 피하지방이 복부, 엉덩이, 넓적다리 등의 주위에 축적되고, 피부는 탄력을 잃어가게 되며, 몸은 형태를 유실하여, 매력적인 신체 행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일부 여성은 보정용 언더웨어를 입어 신체 형태를 조정한다.
예를 들어, 여성의 보편적인 이너웨어인 거들은 허리 아래, 특히 엉덩이, 복부, 둔부, 허벅다리 등에서 착용자의 신체의 형태를 좀 더 매력적으로 만들기 위해 착용된다. 거들은 튀어나온 하복부를 잡아당기면서 밀어넣고, 동시에 늘어지기 쉬운 둔부를 들어올려 자연스런 모양의 곡선을 만드는 기능을 한다. 거들은 매력적인 신체 행을 만들어 주고, 따라서 많은 여성들에 의해 착용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순히 착용자의 신체 형태를 보정할 뿐 아니라, 착용시에 있어서 거들의 안쪽표면 상에 형성된 파상형태의 돌출부를 통해 착용자의 피부를 자극하여 마사지 효과를 발생시키고, 리프레시 효과 및/또는 릴렉스 효과를 발생하여, 기분좋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의 거들이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거들의 예는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1-152607 호에 개시되어 있다. 턱스티치(tuck stitch)를 사용하여 짜여진 많은 줄의 파상형 돌출부가 본 거들의 내측표면상에 형성되고, 착용자의 신체가 움직일 때마다, 이들 파상형태의 돌출부가 착용자의 피부를 적당하게 압박 및 자극하여 마사지 작용을 일으키고, 거들이 리프레시 효과 및 릴렉스 효과를 나타내게 한다.
도 1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거들에 있어서, 여러 줄의 탄성 가변형의 교호적인 파상형태의 돌출부 (W, W,..., W)가 착용자의 신체에 대해 꼭 맞아야 하는 부분의 거들(G)의 내측표면상에 턱스티치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열로 짜여져 있다.
착용자가 운동 등의 경우에 그녀의 신체를 움직이면, 이들 파상형태의 돌출부(W, W,..., W)가 탄력있게 변형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돌출부에 접촉하고 있는 착용자의 피부에 적절한 압력을 가하여, 마사지 효과, 리프레시 효과 및 릴렉스 효과를 준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예의 경우, 도 20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턱스티치를 포함하는 여러 줄의 탄성 가변형의 파상형태의 돌출부(W, W,..., W)가 소정 부분의 전반에 걸쳐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열에 형성되고, 따라서 파상형태의 돌출부(W, W,..., W)가 착용자 신체의 운동 동작에 의해 잡아 당겨지는 경우, 돌출부(W)는 도 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무 잡아 당겨져서, 착용자가자 움직이는 동안에 돌출부(W)의 높이가 일시적으로 매우 낮아지고, 돌출부(W)에 의한 마사지 효과 및 리프레시 효과가 충분하게 나타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이 없는 이너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이한 편물구조를 변경함으로써 이너웨어의 내측표면상에 돌출부와 오목부를 형성하여 피부를 자극하는 이너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피부와 이너웨어 사이에 원활한 공기순환을 보장하기 위해 서로다른 깊이를 갖는 세 영역을 구비하는 이너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과도하게 팽창한 경우에도, 돌출부를 유지하기 위해 돌출부를 형성하는 편물구조에 강화 구조를 구비하는 이너웨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특성에 따르면, 이너웨어는 착용자의 신체에 꼭 맞아야 하는 위치에 이너웨어의 내측표면에 대해 서로 다른 편물구조를 가지는 돌출부 및 오목부를 포함하는 탄성 편직물을 포함한다. 오목부는 교대로 짜여진 깊은 오목부와 얕은 오목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이너웨어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신체가 움직일 때마다, 이너웨어의 내측표면상의 돌출부 및 오목부가 착용자의 피부를 자극하여, 마사지 작용을 주고,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또한, 군살 또는 피하지방이 돌출부 및 오목부에 의해 조여지고, 이러한 조임작용(pinching action)이 착용자의 신체가 움직일 때마다 반복되어,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이 자연스럽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오목부가 깊은 오목부 및 얕은 오목부를 포함하는 구성에서는, 특히, 깊은 오목부 및 얕은 오목부 사이의 깊이 차이에 따라 조임력(pinching force)이 변화하여, 피하지방을 감소시키는데 더 큰 효과가 있다.
또한, 이너웨어를 착용하였을 때, 돌출부에 의해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이 얕은 오목부 및 깊은 오목부로 밀려 이동하지만, 얕은 오목부가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으로 채워진 경우에도, 깊은 오목부에서는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의 층 위에공기층이 남아있는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향상된 통기성을 가지고, 압박감이 완화되어, 상쾌하고 착용감이 좋은 이너웨어가 얻어진다.
또한, 공기가 깊은 오목부 및 얕은 오목부로 들어가 단열 효과를 주고, 따라서, 본 고안의 이너웨어는 추위를 막는 이너웨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이너웨어는, 깊은 오목부가 플레인 스티치(plain stitch) 로 짜여지고, 얕은 오목부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 및 플로트 스티치(float stitch) 영역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편물구조를 가지고, 돌출부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 및 플로트 스티치 영역이 교대로 배열된 편물구조를 가지고, 스티치의 행 수는 얕은 오목부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에서보다 돌출부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에서 더 많이 설정되어 있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돌출부는 플로트 스티치 영역 및 플레인 스티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고, 플로트 스티치 영역은 복수의 플로트 스티치 및 하나 이상의 턱스티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로트 스티치 영역은 복수의 플로트 스티치 및 소정 수의 플로트 스티치마다 설정된 복수의 턱스티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목부 또는 얕은 오목부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 플로트 스티치 영역 및 턱스티치 영역의 배열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구성에 따르면, 돌출부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이 교대로 배열된 플로트 스티치 영역에 의해 잡아당겨지므로 어느정도 이면측 상에 부풀어오르도록 되고, 얕은 오목부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플로트 스티치 영역에의해 잡아당겨지므로 어느정도 이면측 상에 부풀어 오르도록 되지만, 스티치의 행 수는 얕은 오목부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에서보다 돌출부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에서 더 많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부가 부풀어오르는 양이 얕은 오목부가 부풀어오르는 양보다 더 크다. 또한, 깊은 오목부는 플레인 스티치로 짜여지고, 따라서 평평하게 유지된다. 그 결과, 이면측(내측표면) 상의 편물구조는, 돌출부, 깊은 오목부 및 얕은 오목부의 물결 형태가 확실히 형성되고, 돌출부, 깊은 오목부 및 얕은 오목부 사이의 관계가 유지되도록 되고, 그 결과 상술한 효과가 확실히 나타나도록 된다. 돌출부 또는 얕은 오목부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이 턱스티치 또는 턱스티치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턱스티치가 돌출의 형성을 더 강화하게 된다.
플로트 스티치의 팽창사 (extending yarn) 는 다른 스티치를 구성하는 실보다 더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돌출의 형성을 강화하고 지지한다.
이너웨어가 착용된 경우, 각각의 깊은 오목부의 외측표면 측이 거의 타원형으로 팽창하고, 각각의 얕은 오목부의 외측표면 측은 거의 사각형으로 팽창하도록 이너웨어가 짜여진다. 따라서, 타원형이 외형상으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종래의 이너웨어로는 달성될 수 없었던 매력적이고 품위있는 디자인을 가지는 이너웨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거들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롱 스팻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탱크톱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수영복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5는 비착용시에 있어서의 본 고안의 이너웨어 편직물의 전면측(외측 표면)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도 6은 착용시에 있어서의 본 고안의 이너웨어 편직물의 전면측(외측 표면)을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도 7은 비착용시에 있어서의 본 고안의 이너웨어 편직물의 이면측(내측표면)의 오목부 및 돌출부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도 8은 도 7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착용시에 있어서의 본 고안의 이너웨어 편직물의 이면측(내측표면)의 오목부 및 돌출부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이너웨어의 편물구조의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비착용시에 있어서의 본 고안의 이너웨어의 편물구조의 전면측(외측표면)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12는 비착용시에 있어서의 본 고안의 이너웨어의 편물구조의 이면측(내측표면)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13은 착용시에 있어서의 본 고안의 이너웨어의 편물구조의 전면측(외측표면)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14는 착용시에 있어서의 본 고안의 이너웨어의 편물구조의 이면측(내측표면)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도 15는 본 고안의 이너웨어의 편물구조의 제1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고안의 이너웨어의 편물구조의 제2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본 고안의 이너웨어의 편물구조의 제3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은 본 고안의 이너웨어의 편물구조의 제4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9는 종래의 거들을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
도 20은 종래의 돌출부의 일부가 팽창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및
도 21은 종래의 돌출부의 일부가 팽창되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참조번호(1)는 거들의 주몸체를 나타낸다. 이 거들의주몸체의 좌측 및 우측은 원형편에 의해 각각이 짜여져 있고, 이들 내부의 각 가장자리를 서로 봉재함으로써 결합하여 하나의 거들을 형성하고 있다.
이 거들에 따르면, 고탄성의 판형 탄성밸트(2)는 거들 주몸체(1)의 상부 개구의 외주주변으로 측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이 거들은 착용자의 엉덩이와 허리를 감싸는 하부 팬티 옷감(3), 착용자의 사타구니를 감싸는 탄력있게 봉합된 섬유의 사타구니 옷감(4), 및 착용자의 허벅다리를 감싸는 허벅다리 옷감(5)을 더 포함하고 있다.
폴리아미드, 폴리우라탄 등의 탄성 사조와 코튼사 등이 거들 주몸체(1)에 사용된다. 돌출부(6) 및 서로 상이한 구조의 오목부(7,8)는 도 1에 나타낸 거들 주몸체의 허벅다리 옷감(5)과 하부 팬티 옷감(3)의 내측표면상에서 원주방향으로, 교대로 짜여진(도 8 참조) 깊은 오목부(7)와 얕은 오목부(8)를 포함하는 오목부에 의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대로 짜여진다. 게다가, 편물구조의 전면측(외측표면)은 돌출부(6), 깊은 오목부(7), 돌출부(6) 및 얕은 오목부(8)에 대응하는 부분들이 도 5에 나타낸 순서대로 교대로 짜여진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깊은 오목부(7)는 플레인 스티치로 짜여지고, 각 돌출부(6)는 1행 20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1: 제2 플로트 스티치 영역)과, 3행 20열 플레인 스티치 영역(R2)이 교대로 배열되는 구조로 되고, 각각의 얕은 오목부(8)는 2행 2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3: 제1 플로트 스티치 영역)과, 2행 2열 플레인 스티치 영역(R4)이 메트릭스로 배열된다.
도 10에 있어서의 편물구조는 설명을 위해 전개하여 나타내었지만, 실제로는, 각 돌출부(6)에 있어서, 각 플레인 스티치 영역(R2)은, 각 1행 20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1)의 루프(61)에 의해 1열속으로 당겨져 있는 20열의 양만큼 이면측으로 팽창하고, 각 얕은 오목부(8)에 있어서, 각 플레인 스티치 영역(R4)은, 각 2행 2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3)의 루프(81)에 의해 1열속으로 당겨져 있는 2열의 양만큼 이면측으로 팽창한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물구조의 이면측(내측표면)은 돌출부(6), 깊은 오목부(7), 돌출부(6) 및 얕은 오목부(8)가 이 순서대로 교대로 짜여지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물구조의 전면측(외측표면)은, 돌출부(6), 깊은 오목부(7), 돌출부(6) 및 얕은 오목부(8)에 대응하는 부분이 이 순서대로 교대로 짜여지게 된다.
게다가, 거들을 착용하였을 때, 도 6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물구조의 전면측에 있어서, 각 돌출부(6)의 외측표면 측은 형태가 심하게 변하지 않고, 각각의 깊은 오목부(7) 외측표면측이 팽창하여 대략 타원형으로 변화한다. 각각의 얕은 오목부(8)의 외측표면측은 팽창하여 대략 사각형으로 변화한다. 또한, 도 9 및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편물구조의 이면측(내측표면)에 있어서, 돌출부의 형태는 심하게 변화하지 않고, 깊은 오목부(7)가 팽창하여 대략 타원형으로 변화하고, 얕은 오목부(8)는 팽창하여 사각형으로 변화한다.
깊은 오목부(7)가 상기한 바와 같이 형태가 변하는 이유는, 1행 20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1) 각각의 루프(61)에 의해 20열이 1열속으로 당겨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돌출부(6)가 팽창할 수 없는 반면, 깊은 오목부(7)는 플레인 스티치와 편성됨에 따라 자유롭게 팽창할 수 있고, 따라서 팽창하지 않는 돌출부(6)에 의해억제되면서, 돌출부(6)에 의해 4측 모두에서 둘러쌓여진 각각의 깊은 오목부(7)가 팽창하여 형태를 변화하고, 각각의 깊은 오목부(7)의 형태가 대략 타원형으로 된다.
또한, 얕은 오목부(8)가 상기한 바와 같이 형태가 변하는 이유는, 돌출부(6)가 팽창하지 않는 반면, 2행 2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3)과 2행 2열 플레인 스티치 영역(R4)이 메트릭스로 배열된 편물구조를 보유하는 각각의 얕은 오목부(8)가 사각형을 유지하면서 팽창하고 변화함에 따라, 팽창할 수 없는 돌출부(6)에 의해 억제되면서 돌출부(6)에 의해 4측에서 둘러싸여 있는 얕은 오목부(8)가 팽창하고 형태를 변화하여, 각각의 얕은 오목부(8)의 형태가 대략 사각형으로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니트된 거들을 착용하였을 때, 복부와 엉덩이 사이의 내측표면과, 허벅다리 주변의 내측표면상에 형성된 돌출부(6)가 착용자 신체중 해당하는 부분에 대항하여 밀착하게 되어, 지압과 같은 작용을 하고, 착용자의 피부를 자극하여, 결과적으로 혈액순환을 증진하고, 착용자의 신진대사를 전반적으로 향상시킨다.
이는 건강의 향상에 상당히 기여를 하고, 또한 본 고안에서만의 뛰어난 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 거들을 착용하였을 때, 도 6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들의 외측표면상에서, 각각의 깊은 오목부(7)의 외측표면측의 사각과 같은 형태가 측방향으로 크게 팽창하여 외관상으로 두드러지는 타원형으로 되어, 결과적으로, 종래의 거들에서는 획득할 수 없었던 매력적이고 품위있는 거들을 획득할 수 있고, 따라서여성용 이너웨어로서 적합하다.
한편, 거들의 내측표면에서,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이 측방향으로 길게 되어 있는 돌출부(6), 깊은 오목부(7), 및 얕은 오목부(8)에 의해 조여지고, 착용자가 움직일 때마다 반복되는 이러한 조임효과에 의해,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이 자연적으로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깊은 오목부(7)와 얕은 오목부(8) 사이의 깊이 차이에 따라 조임력이 변화하고, 결과적으로 피하지방을 감소하는 효과가 더욱 커진다. 게다가, 거들을 착용하였을 때,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이 돌출부에 의해 눌려져서 얕은 오목부(8)와 깊은 오목부(8)내로 이동하지만, 얕은 오목부(8)가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으로 채워지더라도, 깊은 오목부에 있어서,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의 층 위에 공기 층이 남아 있는 상태가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거들은 향상된 통풍성과 완화된 압박느낌을 보유하고, 따라서 상쾌하고 기분좋은 착용감을 획득할 수 있다. 게다가, 공기가 깊은 오목부(7)와, 얕은 오목부(8)내로 들어가서 보온효과가 발생하고, 따라서 거들을 보온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1 실시예는 허벅다리까지 감싸는 거들에 관한 것이지만, 이 실시예는 허벅다리 아래로부터 발목까지 감싸는 롱 스팻(11)에 관한 것으로, 전면측과 이면측 양측의 내측표면상의 오목부와 돌출부가 허리로부터 발목에 이르기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탄성사의 재료를 포함하는 기본적인 니트방법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짜여진 롱 스팻(11)을 착용하였을 때, 상기 제 1실시예와 같은 효과 이외에도, 발목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깊은 오목부(7)의 외측표면측의 타원형상이 비스듬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고, 또한 다리상에 맞사지 작용이 나타나고, 이는 다리의 부풀음이나 피로 등을 완화시켜준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는 몸체의 하반부에 착용하는 이너웨어에 관한 것이지만, 본 실시예는 몸체의 상반부에 착용하는 탱크톱에 본 고안을 적용한 예에 관한 것이다. 오목부와 돌출부는 탱크톱(21)의 전면과 배면 양측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짜여진 탱크톱(21)을 착용하였을 때, 상기 제1 실시예의 효과 이외에도, 어깨와 등을 마사지하는 작용이 얻어지고, 따라서 어깨의 피로를 풀어준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1 및 제2 실시예는 몸체의 하반신에 착용하는 이너웨어에 관한 것이고, 제3 실시예는 몸체의 상반신에 착용하는 이너웨어에 관한 것이지만, 이 실시예는 몸체의 하반신과 상반신 양쪽에 착용하는 수영복(31)에 본 고안을 적용한 예에 관한 것이다. 오목부와 돌출부는 수영복(31)의 전면과 배면 양측의 내측표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짜여진 수영복(31)을 착용하였을 때, 상기 제1 실시예와 제3 실시예에서의 효과등이 발생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편직구조의 각종 패턴을 도 15에서 도 1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제1 변형예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106)는 1행 20열 플로트 스태치 영역(R11: 제2 플로트 스태치 영역)과 3행 20열 플레인 스티치 영역(R12)이 교대로 배열되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제2 플로트 스티치 영역(R11)에 있어서, 터크 스티치(161)(162,163,164, 또는 165)는 모든 열(161에서 165의 터크 스티치 그룹)에 형성된다. 얕은 오목부(108)는 2행 2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13: 제1 플로트 스티치 영역), 2행 2열 플레인 스티치 영역(R14), 및 2행 2열 터크 스티치 영역(R15)들이 일정한 순서로 배열되도록 형성된다. 깊은 오목부(107)는 플레인 스티치에 의해 형성된다.
도 10에 나타낸 배열과 동일하게, 도 15의 편직구조를 설명을 위하여 전개하여 나타내었지만, 실제로는, 돌출부(106)에 대응하는 부위는 교대로 배열된 플레인 스티치 영역(R12)과 플로트 스티치 영역(R11)을 포함하고, 편직구조의 이면측(내측표면)은, 각각의 1행 20열에 형성된 루프(166)에 의해서 1열속으로 당겨져 있는 20열에 상당하는 양만큼, 각각의 3행 20열 플레인 스테치 영역(R12)이 팽창하도록 된다. 게다가, 돌출부(106)의 각각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R11)은 터크 시티치 그룹(161~165)에 의해 각각의 4열에 터크됨에 따라, 편물재료가 팽창하더라도 소정 높이를 유지한다.
즉, 20열 플로트 스티치와 20열 플레인 스티치를, 각 플로트 스티치 영역(R11)의 각각의 4열에 형성된 터크 스티치와 결합하여 교대로 짜서 돌출부(106) 구성하면 적당한 높이로 돌출부(106)을 유지할 수 있다. 소수의 터크 스티치가 각각의 4열에 형성되기 때문에, 짜는 동안에 원형편직기의 재봉조작으로인한 부담이 없다.
얕은 오목부(108)는, 각각의 플레인 스티치 영역(R14)에 상당하는 편직 구조의 이면측(내측)이, 각각의 2행 2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13)에 형성된 두개의 루프(81)에 의해 1열 속으로 당겨져 있는 2열에 상당하는 양만큼 팽창하도록 구성된다. 얕은 오목부(108)는, 각각의 2행 2열 터크 스티치 영역(R15)이 플로트 스티치 영역(R13) 및 플레인 스티치 영역(R14)과 일정방향, 일정순서로 인접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편물재료가 팽창하더라도 얕은 오목부(108)는 터크 스티치(182)의 존재로 인하여 그 소정의 깊이를 확실하게 유지한다.
얕은 오목부(108)는 2행 2열 플레인 스티치 영역(R14)과 2행 2열로 터크된 터크 스티치 영역(R15)을 매트릭스로 배열하거나, 2행 2열 플레인 스티치 영역(R14)와 2열 2행 플로트 스티치 영역(R13)을 행렬로 배열하여 만들어질 수도 있다. 플로트 스티치 영역(R13), 플레인 스티치 영역(R14), 및 터크 스티치 영역(R15)이 일정한 순서로 서로 인접되는 도 15에 도시된 편물구조와 유사한 방식으로 편직물이 팽창되더라도, 이들 변경된 배열은 얕은 오목부(108)를 확실하게 소정의 깊이로 만든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의 제 1변형예에 따르면, 편물구조의 이면측(내측)은, 돌출부(106), 깊은 오목부(107), 돌출부(106), 및 얕은 오목부(108)에 대응하는 부분이 이러한 순서로 교대로 배열되게 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물구조의 전면측(외측)은, 돌출부(106), 깊은 오목부(107), 돌출부(106), 및 얕은 오목부(108)에 대응하는 부분이 이러한 순서로 교대로 배열되게 된다.
도 6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변형예로서 편성된 거들이 착용되면, 거들의 외측표면은, 각각의 돌출부(106)가 항상 불변하도록 유지하면서, 각각의 깊은 오목부(107)의 외측표면측이 대략 사각형으로 팽창되고, 각각의 얕은 오목부(108)의 외측표면측이 대략 타원형으로 팽창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
도 9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들 편물구조의 이면측(내측)은, 각각의 돌출부(106)가 항상 불변하도록 유지하면서, 각각의 깊은 오목부(107)의 내측표면측이 대략 타원형으로 팽창되고, 각각의 얕은 오목부(108)의 내측표면측이 대략 사각형으로 팽창되는 방식으로 변형된다.
깊은 오목부(107)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하는 이유는, 플로트 스티치 영역(R11)이 터크 스티치 그룹(161~165)에 의해 터그되는 결합으로, 각각의 1열 20행 플로트 스티치 영역(R11)의 루프(66)에 의해 20행이 1행으로 당겨지도록 그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돌출부(106)가 팽창될 수 없기 때문이다. 한편, 깊은 오목부(107)는 플레인 스티치로 편성되므로 자유롭게 팽창될 수 있어서, 돌출부(106)에 의해 모든 4면상에서 각각 둘러싸이는 깊은 오목부(107)는, 팽창될 수 없는 돌출부(106)에 의해 억제되면서 형태를 팽창하고 변화하여, 각각의 깊은 오목부(107)의 형태는 대략 타원형으로 된다.
또한, 얕은 오목부(108)가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로 변하는 이유는, 돌출부(106)는 팽창될 수 없는 반면, 얕은 오목부(108) 각각은 2행 2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13), 2행 2열 플레인 스티치 영역(R14), 및 2행 2열 터크 스티치영역(R15)이 인접하는 방식으로 배열되는 편물구조를 보유하여, 사각형태를 유지하면서 팽창 및 변화하고, 돌출부(106)에 의해 모든 4면상에 둘러쌓인 얕은 오목부(108)는, 팽창할 수 없는 돌출부(106)에 의해 억제되면서 형태를 팽창시키고 변화시키어, 각각의 얕은 오목부(108)의 형태가 대략 사각형으로 되기 때문이다.
제 1변형예로서 편성된 거들이 착용되면, 복부(belly)와 엉덩이(buttock) 사이의 내측표면과 착용자 신체의 이들 부분에 대해 꼭 맞는 허벅지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106)는, 지압(finger-pressure)과 같은 작용과 착용자의 피부를 자극하게 하고, 그 결과, 혈액과 림프의 순환을 촉진하고 착용자 신체의 신진대사를 전체적으로 향상시킨다. 그러므로, 건강 증진에 상당한 기여를 하고, 또한, 다음의 본 고안에 대한 우수한 효과가 나타난다.
도 6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들이 착용되면, 거들의 외측표면상에, 각각의 깊은 오목부(107)의 외측표면측의 대략 사각형 형태가 횡방향으로 크게 팽창하여 대략 타원형으로 되어, 외관상 두드러지게 되어, 종래의 거들에서 얻을 수 없는 매력적이고 품위있는 거들이 얻어지게 되어, 여성의 이너웨어으로서 적합한 거들이 된다.
한편, 거들의 내측표면상에서,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은 돌출부(106), 깊은 오목부(107), 및 얕은 오목부(108)에 의해 횡방향으로 조어지고, 이러한 조임작용은 착용자가 움직일 때 마다 반복되어,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이 자연스럽게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조임력은 깊은 오목부(107)와 앝은 오목부(108) 사이의 깊이 차이에따라 변화하여, 그 결과, 피하지방을 감소시키는데 더 큰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거들이 입혀지면, 돌출부(106)에 의해 당겨지는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이 얕은 오목부(106)와 깊은 오목부(107) 내부로 이동되지만, 얕은 오목부(108)가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으로 채워지더라도, 깊은 오목부(107)에 있어서, 공기층이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의 층 위에 유지되어, 거들의 호흡성을 개선시키고 압박감을 덜어주어, 산뜻함과 좋은 착용감이 얻어진다. 또한, 방한효과를 내기 위해 공기가 깊은 오목부(107)와 얕은 오목부(108) 내로 도입되어 거들이 보온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편물구조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의류의 편직물의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 및 오목부는, 서로 다른 편물구조를 가지는 돌출부(106)와 오목부가 교대로 형성되고, 각각의 오목부가 깊은 오목부(107) 및 얕은 오목부(108) 사이에 개재된 돌출부(106)과 함께 교대로 형성된 깊은 오목부(107) 및 얕은 오목부(108)를 포함하도록 된다. 그러나, 편직물의 변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 방향으로 정렬된 돌출부(206B)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203)과 돌출부(206B)가 교대하여 형성되도록 인어웨어의 편직물의 내측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5에 도시된 배열과 유사하게, 도 16의 편물구조는 설명을 위해서 전개하여 나타내었다. 각각의 돌출부(206B)는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과 플레인 스티치 영역(R22)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1행 16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과 3행 16열 플레인 스티치 영역(R22)을 포함하는 편물구조의 단위로서 4행 및 16열을 각각 가지고 있는 편물 세그먼트(R20)는, 행 방향으로 나란히 정렬되어 있다. 즉, 일련의 편물 세그먼트(R20)는 행 방향(횡방향)으로 똑바로 정렬된다.
편물구조의 이면측(내측)은, 각각의 플레인 스티치 영역(R22)이 각각의 1행 16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의 루프(245)에 의해 당겨지는 16열에 대응하는 양 만큼 불룩해지도록 된다. 그러므로, 돌출부(206B)는, 돌출부 각각의 리브(rib)가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고 플레인 스티치 영역(203)이 돌출부(206B) 중 인접하는 것들 사이에 개재되면서, 행 방향으로 똑바로 정렬된다. 접어박은 터크 스티치는 돌출부(206B)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에 각각 4열(즉, 참조부호 241부터 244인 터크 스티치 그룹)로 형성된다.
이런 식으로, 각각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의 각각의 4열에 형성된 터크 스티치를 16열 플로트 스티치 및 16열 플레인 스티치와 결합함으로써 각각의 돌출부(206B)를 형성하면, 돌출부(206B)가 환상 편성기의 편성 중의 봉재 작동으로 인한 부담으로부터 자유롭게 되기 때문에, 돌출부(206B)를 충분한 높이로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편물구조의 제 2 변형예의 편직물로 만들어진 의류는 다음의 효과를 가진다. 돌출부(206B) 중 인접하는 것들 사이에 개재된 플레인 스티치 영역(203)이 착용자가 그녀의 신체를 움직일 때마다 팽창되기 때문에, 각각의 돌출부(206B)에 가해지는 장력이 줄어든다. 이러한 구조로, 편직물은 바람직한 높이를 확실하게 유지하는 각각의 돌출부(206B)와 함께 팽창된다.
그러므로, 플레인 스티치 영역(203)에 대응하는 일련의 돌출부(206B) 및 오목부는 마사지 작용을 확실하게 제공하고, 그 결과, 일련의 돌출부 및 오목부에 의해 팽창한 형태의 패턴이 그 외관에 형성되어, 매혹적이고 세련된 디자인의 의류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편물구조의 제 3변형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 방향으로 파상형태 또는 굽이치는 형태으로 정렬된 돌출부(106C)는 의류의 편직물의 내측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부(206C)는, 돌출부(206C)가 돌출부(206C) 중 인접한 것들 사이에 개재된 플레인 스티치 영역(203')과 함께 굽이치는 형태로 행 방향으로 정렬되는 방식으로, 특정 수의 열에 의해 열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동된다.
도 10,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배열과 유사하게, 도 17의 편물구조는 설명하기 위하여 전개한 상태로 나타내었다. 각각의 돌출부(206C)에 대응하는 부분은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과 플레인 스티치 영역(R22')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편물 세그먼트(R20')가 특정 수의 열에 의해 열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동되는 방식으로, 1행 16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 및 3행 16열 플레인 스티치 영역(R22')을 포함하는 편물구조의 단위로서 4행 및 16열을 각각 포함하는 편물 세그먼트(R20')가 행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즉, 일련의 편성 단위(R20')는 행 방향으로 굽이치는 형태로 정렬된다.
편물구조의 이면측(내측)은, 각각의 플레인 스티치 영역(R22')이 각각의 1행 16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의 루프(245')에 의해 1열 내로 당겨지는 16열에 대응하는 양 만큼 부풀어지도록 된다. 그러므로, 돌출부(206C)는, 돌출부 각각의 리브가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고 플레인 스티치 영역(203')이 돌출부(206C) 중 인접하는 것들 사이에 개재되면서, 행 방향으로 똑바로 정렬된다. 접어박은 터크 스티치는 돌출부(206C)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에 각각 4열(즉, 참조부호 241'부터 244'의 접어박은 터크 스티치 그룹)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도 16에 도시된 편성구조와 유사하게, 플레인 스티치 영역(203')에 대응하는 일련의 돌출부(206C) 및 오목부는 마사지 작용을 확실하게 제공하고, 그 결과, 일련의 돌출부 및 오목부에 의해 부풀린 형태의 패턴이 그 외관에 형성되어, 매혹적이고 세련된 디자인의 의류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도 18을 참조하여 편물구조의 제 4변형예를 설명한다. 행 방향으로 정렬된 돌출부(206d)는, 플레인 스티치(203") 및 돌출부(206D)가 교대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의류의 편직물의 내측표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0, 도 15,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배열과 유사하게, 도 18의 편물구조는 설명의 목적으로 펼쳐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돌출부(206D)에 대응하는 부분은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과 플레인 스티치 영역(R22")을 포함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1행 16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과 3행 16열 플레인 스티치 영역(R22")을 포함하는 편물구조의 단위로서 4행 및 16열을 각각 가지는 편물 세그먼트는, 편물 세그먼트(R20")가 특정 수의 열에 의해 열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이동되는 방식으로 행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된다. 즉, 일련의 편물 세그먼트(R20")는 행 방향(횡방향)으로 똑바로 정렬된다.
편물구조의 이면측(내측)은, 각각의 플레인 스티치 영역(R22")이 각각의 1행 16열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의 루프(245")에 의해 1열 내로 당겨지는 16열에 대응하는 양 만큼 부풀어지도록 된다. 그러므로, 돌출부(206D)는, 돌출부 각각의 리브가 소정의 높이로 유지되고 플레인 스티치 영역(203")이 돌출부(206D) 중 인접하는 것들 사이에 개재되면서, 행 방향으로 똑바로 정렬된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예에 있어서, 하나의 터크 스티치(241")는 돌출부(206D)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에 형성된다. 제 4변형예에서, 터크 스티치(241")는 루프(245")를 형성하기 위해 뒤이은 열에 존재하는 사조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플로트 스티치 영역(R21")에서 중간열 또는 상부열상에 사조에 의해 터크 스티치이 형성된다고 평가될 수도 있다.
플레인 스티치 영역(203")에 대응하는 일련의 돌출부(206D) 및 오목부는 마사지 작용을 확실하게 제공하고, 그 결과, 일련의 돌출부 및 오목부에 의해 부풀린 형태의 패턴이 그 외관에 형성되어, 매혹적이고 세련된 디자인의 의류를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편직물 전체는 동일한 편물재료로 짜여진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편물 구조의 제 1변형의 플로트 스티치에서 루프(166)에 대한 편물재료는, 플로트 스티치 영역(R11)의 루프(166)에서 발휘되는 인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른 부분에 사용되는 것보다 더 강한 강도를 갖는다. 또한 루프(61)(166,245, 245', 245")의 경우, 단일사 대신 이중사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제 4변형의 구성에 있어서, 루프(245")는 연성사(soft yarn)에 의해 구성될 수 있고, 터크 스티치(241")는 경성사(hard yarn)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연성사와 경성사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에서 단일사로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R13)에 제공되는 두 개의 루프(81)에도 동일한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변형을 (161~165), (241~244), (241"~244") 및 (241"), (181), (182)의 터크 그룹에도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복부를 더 강하게 압박하도록 거들이나 롱 스패츠의 전면의 복부 부를 V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더욱이, 상술한 설명에서, 실시예는 동일한 소재의 실을 사용하여 짜여진 편직물을 예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루프(61)(166, 245, 245' 245")의 견인강도(pulling strength)를 강화하기 위하여, 플로트 스티치 영역(R1)(R11, R21, R21', R21")의 루프(61)(166, 245, 245', 245")를 형성하는 확장사를 다른 스티치를 구성하는 실보다 높은 강도를 갖는 실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루프(61)(166, 245, 245' 245")와 같은 다른 루프를 추가하여 이중 루프를 짤 수 있다. 이는 또한 각각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R3)(R13)의 두 개의 루프(81)(181)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이 유지되고, 또 고안의 핵심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디자인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이너웨어는 착용자의 신체에 꼭 맞아야 하는 부분에 이너웨어의 내측표면에 대해 교대로 되어 있는 상이한 편직구조를 갖는 돌출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는 탄성 편직물로 구성된다. 오목부는 깊은 오목부와얕은 오목부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과 플로트 스티치 영역이 교대로 배열된 편물구조로 된다.
상기 이너웨어를 착용할 경우, 착용자의 신체가 이너웨어의 내측표면 상의 돌출부와 오목부를 움직일 때마다, 착용자의 피부가 자극되어 마사지 효과를 발생시키고,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혈액순환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이 돌출부에 의해 조여지고, 착용자의 신체가 움직일 때마다, 깊은 오목부와 얕은 오목부가 상기 조임작용을 반복하기 때문에,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이 자연스럽게 감소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조르는 힘은 깊은 오목부와 얕은 오목부 사이의 깊이의 차이에 따라 변화하여 더 뛰어난 피하지방의 감소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이, 이너웨어를 입었을 때, 돌출부가 얕은 오목부와 깊은 오목부로 이동함에 따라 군살 및/또는 피하지방이 밀리게 되고, 군살의 살 및/또는 피하지방이 얕은 오목부를 채우는 경우에도, 깊은 오목부는 공기층이 군살의 살 및/또는 피하지방 층 위에 남아 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본원고안에 의한 이너웨어는 향상된 호흡성을 갖고, 압박감을 격감시킬 수 있어 양호한 착용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깊은 오목부와 얕은 오목부로 들어온 공기가 보온효과를 형성하므로 본 고안에 의한 이너웨어는 보온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깊은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플레인 스티치로 짜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얕은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과 플로트 스티치 영역이 매트릭스로 배열된 편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얕은 오목부는 바람직하게는플래인 스티치 영역과 플로트 스티치 영역, 그리고 터크 스티치 영역이 매트릭스로 배열된 편물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과 제 2플로트 스티치 영역이 교대로 배열되고, 스티치의 열 수는 얕은 오목부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보다 돌출부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이 더 크도록 설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 깊은 오목부, 및 얕은 오목부의 파상형태는 돌출부, 깊은 오목부 및 얕은 오목부 사이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편물 구조의 반대쪽(내측 표면) 상에 확실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술한 효과를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다.
이너웨어를 착용하였을 때, 각각의 깊은 오목부의 외측표면은 대략 타원형으로 확장되고, 각각의 얕은 오목부는 대략 사각형으로 팽창되도록 이너웨어를 짤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웨어를 착용했을 때, 타원형이 외관에서 두드러지게 되어 매력적이고, 품위있는 디자인이 되므로 종래의 이너웨어에서 달성하지 못한 이상적인 여성용 이너웨어가 될 수 있다.
돌출부의 플로트 스티치 영역은 복수의 플로트 스티치와 하나 이상의 스터크 스티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터크 스티치를 형성하고, 터크 스티치는 소정 수의 플로트 스티치마다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크 스티치는 플로트 스티치와 플레인 스티치의 결합에 의해 돌출부의 형성을 강화하고 지지한다.
또한, 제 2플로트 스티치의 팽창사는 다른 스티치를 이루는 실보다 더 강한 강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플로트 스티치와 플레인 스티치의 결합에 의해돌출부의 형성을 강화하고 지지한다.
본 출원은 일본 특허출원 2001-60323, 2001-115763, 2001-155544에 근거한 것으로, 이들 특허출원의 내용은 참고문헌으로서 본 명세서의 일부가 된다.

Claims (8)

  1. 착용자의 신체에 꼭 맞아야 하는 위치에 이너웨어의 내측표면에 대해 교대로 서로 다른 편직구조를 갖는 돌출부와 오목부를 포함하는 탄성 편직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깊은 오목부와 얕은 오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깊은 오목부는 플레인 스티치로 짜여지고, 상기 얕은 오목부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과 제 1플로트스티치 영역이 매트릭스로 배열된 편물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과 제 2플로트 스티치 영역이 교대로 배열된 편물구조로 형성되고, 스티치의 열 수는 제 1 플로트 스티치 영역보다 제 2플로트 스티치 영역이 더 크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깊은 오목부는 프레인 스티치로 짜여지고, 상기 얕은 오목부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 제 1플로트 스티치 영역 및 터크 스티치 영역이 매트릭스로 배열된 편물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과 제 2플로트 스티치 영역이 교대로 배열된 편물 구조로 이루어지며, 스티치의 열 수는 제 1플로트 스티치 영역보다 제 2플로트 스티치 영역의 스티치 열 수가 더 크도록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5. 제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제 2플로트 스티치 영역은 복수개의 플로트 스티치와 하나 이상의 터크 스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플레인 스티치 영역과 플로트 스티치 영역이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플로트 스티치 영역은 복수개의 플로트 스티치와 하나 이상의 터크 스티치를 포함하는 편물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트 스티치 영역은 소정 수의 플로트 스티치마다 복수의 터크 스티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플레인 스티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너웨어.
KR2020020006401U 2001-03-05 2002-03-05 이너웨어 KR20028396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60323 2001-03-05
JPJP-P-2001-00060323 2001-03-05
JPJP-P-2001-00115763 2001-04-13
JP2001115763A JP3209738B1 (ja) 2001-03-05 2001-04-13 インナーウェア
JP2001155544A JP3215401B1 (ja) 2001-03-05 2001-05-24 被 服
JPJP-P-2001-00155544 2001-05-24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661A Division KR100423673B1 (ko) 2001-03-05 2002-03-05 이너웨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960Y1 true KR200283960Y1 (ko) 2002-07-31

Family

ID=2734616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401U KR200283960Y1 (ko) 2001-03-05 2002-03-05 이너웨어
KR10-2002-0011661A KR100423673B1 (ko) 2001-03-05 2002-03-05 이너웨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661A KR100423673B1 (ko) 2001-03-05 2002-03-05 이너웨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241286B1 (ko)
KR (2) KR200283960Y1 (ko)
CN (2) CN1219926C (ko)
TW (1) TW5271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73770A1 (en) * 2002-10-18 2004-05-04 Ann Dora A bodice for therapeutic use
JP4353765B2 (ja) * 2003-10-10 2009-10-28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突起部を有する筒状編地。
ITTV20050100A1 (it) * 2005-07-11 2007-01-12 Manifattura Prato Di Tosini D Indumento anticellulite ad azione combinata termica e meccanica.
JP4943693B2 (ja) * 2005-11-10 2012-05-30 グンゼ株式会社 端末編組織および該端末編組織を備えた衣類
KR100870962B1 (ko) * 2006-12-04 2008-12-01 우승균 편성지 및 이너웨어
KR100771556B1 (ko) * 2006-12-04 2007-10-30 우승균 편성지
DE202008014202U1 (de) 2008-10-24 2009-01-15 X-Technology Swiss Gmbh Kompressionskleidung
DE102012004150A1 (de) * 2012-02-28 2013-08-29 Bauerfeind Ag Maschenware mit unterschiedlichen Zonen im Kraft-Dehnungsverhalten
CN102613715A (zh) * 2012-04-01 2012-08-01 北京兰超服饰科技发展有限公司 粗糙贴肤面料在塑身衣上的应用
DE102012216180A1 (de) 2012-09-12 2014-03-13 Falke Kgaa Beinbekleidungsstück
ITBA20120054A1 (it) * 2012-09-14 2014-03-15 Ruggiero Defente Jeans linfostimolante
JP6012817B1 (ja) * 2015-06-05 2016-10-25 美津濃株式会社 水着
US10271580B2 (en) * 2015-09-14 2019-04-30 Nike, Inc. Apparel item configured for reduced cling perception
DE102015119654A1 (de) * 2015-11-13 2017-05-18 Falke Kgaa Bekleidungsstück
DE102016119052A1 (de) * 2016-10-07 2018-04-12 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Rwth) Aachen Verfahren zum Stricken eines dreidimensionalen Gestricks
US11760054B2 (en) * 2018-05-09 2023-09-19 Nike, Inc. Knitted component with thermal properties
CN110699838B (zh) * 2019-09-02 2023-01-06 李志文 一种袜子的立体纹理织造方法
GB2619561B (en) * 2022-06-10 2024-07-31 Coria Skin Tech Limited Compression garment
GB2624697A (en) * 2022-11-28 2024-05-29 Prevayl Innovations Ltd Garm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8566A (en) * 1955-05-17 1956-03-20 Carter William Co Puckered knit fabric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S58122883U (ja) * 1982-02-09 1983-08-20 リンナイ株式会社 熱交換器
US4522044A (en) * 1984-02-21 1985-06-11 Kayser-Roth Hosiery, Inc. Ankle and arch support sock
US4678693A (en) * 1986-01-29 1987-07-07 J. E. Morgan Knitting Mills, Inc. Insulating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GB2172019B (en) * 1986-04-30 1988-11-09 Courtaulds Clothing Ltd Knitted fabric
KR920005929A (ko) * 1990-09-18 1992-04-27 원인호 맛사지 겸용 향내발생 지압 양말
KR920008731Y1 (ko) * 1990-11-17 1992-12-17 김연환 여성용 팬티
FR2756299B1 (fr) * 1996-11-27 1999-01-22 Dim Sa Mi-bas relaxant
JP3603533B2 (ja) * 1997-04-23 2004-12-22 東レ株式会社 水着用編地および水着
KR19990004904U (ko) * 1997-07-07 1999-02-05 박장호 건강 양말
IT1295328B1 (it) * 1997-10-14 1999-05-04 Calzificio Pinelli Srl Corpino di calza-maglia,sostanzialmente la parte costituente la mutanda,realizzato da una maglia a punto trattenuto tale da conferire
FR2796967A1 (fr) * 1999-07-29 2001-02-02 Breilly Sa Chaussette tricotee a effet relax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56422A (zh) 2002-07-03
CN1219926C (zh) 2005-09-21
KR20020071480A (ko) 2002-09-12
KR100423673B1 (ko) 2004-03-18
EP1241286B1 (en) 2003-05-02
EP1241286A1 (en) 2002-09-18
TW527169B (en) 2003-04-11
CN2525106Y (zh) 200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3960Y1 (ko) 이너웨어
CN108697536B (zh) 筒状绷带
CN103255559B (zh) 线圈尺寸受控的针织产品
CN103281921B (zh) 小腿用护具
CN108720111B (zh) 牛仔服和其他紧身衣物及其形成方法
WO2008069522A1 (en) A knitting and inner wear
US20240008563A1 (en) Legwear item for massaging and compressing
TW201929706A (zh) 下半身衣料
JP4520781B2 (ja) 衣料
JP2006225800A (ja) 靴下
KR100585982B1 (ko) 파운데이션 언더웨어
JP3889773B2 (ja) 弾性編み生地及び該弾性編み生地を用いた下着
JP3215401B1 (ja) 被 服
JP3209738B1 (ja) インナーウェア
JP2008038259A (ja) 衣類
KR100485945B1 (ko) 미끄럼방지 조직포의 편성방법
CN208864597U (zh) 一种预防及矫正o型腿一次织造成型针织裤
KR100474855B1 (ko) 경편지를 사용한 신축성을 갖는 의류
TWI252738B (en) Underwear
JP2003013341A (ja) 弾性編み生地およびこれを用いた弾性下着
JP2001336001A (ja) アンダーガーメント
JP2004232112A (ja) インナーウエア
KR200433791Y1 (ko) 굴곡진 내부표면을 갖는 조끼
JP4328695B2 (ja) インナー・ウェア
CN2676658Y (zh) 珍珠蛋白抗菌功能束身内衣套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