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3035Y1 -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3035Y1
KR200273035Y1 KR2020020000683U KR20020000683U KR200273035Y1 KR 200273035 Y1 KR200273035 Y1 KR 200273035Y1 KR 2020020000683 U KR2020020000683 U KR 2020020000683U KR 20020000683 U KR20020000683 U KR 20020000683U KR 200273035 Y1 KR200273035 Y1 KR 2002730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
outlet
power supply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6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인찬
Original Assignee
장인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인찬 filed Critical 장인찬
Priority to KR20200200006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30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30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3035Y1/ko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내 노트북, 조명등, 면도기 등 다양한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차량의 시거잭과 연결된 전원공급도선을 통해 차량내 각종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전기제품의 플러그 단자와 접속되어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장치 및 콘센트장치와 스위치도선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도선을 통해 콘센트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은 통해 본 고안은 차량 내 다수대의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원공급장치{Electric power supply equipment for cars}
본 고안은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시거잭과 전원공급도선으로 연결되어 노트북, 조명등, 면도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장치를 스위치장치를 이용하여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전원공급장치라 함은 차량 실내의 각종 전기제품 예를 들어 노트북, 조명등, 면도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차량의 전기장치는 알터네이터에 의하여 충전되는 배터리에서 전력이 공급되어지는 데, 모든 전기배선은 와이어링 하네스로 묶인 상태로 전기제품의 설치위치에까지 도달되어지며 커넥터에 의해 특히 차량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스피커, 라이트, 실내등 및 독서등, 계기등, 시가라이터 등의 전기제품과 연결된다.
전술한 커넥터는 소정의 전기제품으로부터 인출되는 배선과 전원으로부터 연결되는 배선단부에 연결된 상태하에서 서로 물려 결합되는 한 쌍의 것으로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 들어서는 부가적인 전기제품이 차량의 실내에 설치되는 것이 증가되고 있는 데, 이와 같이 부가 설치되는 전기장치에는 시가라이터에 결합되는 소정의 잭으로부터 분기되는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즉, 시가라이터의 콘센트부분에 알맞은 형상으로 만들어진 잭을 부가 설치되는 전기제품의 배선에 연결하여 상기한 잭을 시가라이터의 콘센트에 꽂아 전원으로부터 전력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콘센트는 차량의 특정 위치 예를 들어, 크래시 패드 등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없으며, 콘센트 자체의 온/오프를 직접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의 시거잭과 전원공급도선으로 연결되어 노트북, 조명등, 면도기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장치를 스위치장치를 이용하여 온/오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콘센트장치를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콘센트장치를 사용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콘센트장치에 다수개의 콘센트부를 구비하여 여러 대의 전기제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콘센트장치의 저면사시도.
도 3 은 도 1 의 콘센트장치 일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도 3 의 접속단자의 접속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원공급도선 100: 콘센트장치
102: 콘센트기판 110: 스위치도선
120-1,2,3,4: 콘센트부 122: 콘센트하우징
124: 하우징삽입공 126: 누름판회동공
130: 접속단자부 130a: 상측단자부
130b: 하측단자부 132a: 상측단자편
132b: 하측단자편 134: 스프링고정편
136: 탄성스프링 138: 스프링고정핀
140: 수직접속편 142: 단자고정홈
144: 핀고정돌기 146: 누름판연결편
148: 누름판 150: 접속보울트
200: 스위치장치 210: 스위치기판
212: 스위치장치하우징 220-1,2,3,4: 스위치부
222: 스위칭하우징 224: 스위치버튼
230: 저항 240: 발광다이오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본 고안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차량의 시거잭과 연결된 전원공급도선을 통해 차량내 각종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전기제품의 플러그 단자와 접속되어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장치 및 콘센트장치와 스위치도선으로 연결되어 전원공급도선을 통해 콘센트장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콘센트장치는 콘센트기판 및 콘센트기판에 설치됨과 더불어 전원공급도선과 스위치도선에 각각 연결되어 전기제품의 플러그단자와 스위치도선에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접속단자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에 전기제품의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는 하우징삽입구를 구비하는 단자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콘센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접속단자는 콘센트기판의 하측면에 'ㅜ'형으로 형성되어, 그 수직면의 단부에 전원공급도선과 스위치도선에 각각 접속되고 그 수평면에 수직상향으로 관통된 하측단자체결구를 구비하는 하측단자부, 콘센트기판상에 그 하부면은 관통된 상측단자체결구와 상부면에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단자삽입구와 그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핀고정돌기를 구비하는 상측단자편, 상측단자편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정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한편, 타단부가 핀고정돌기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핀고정돌기와 함께 플러그단자를 삽입고정하는 단자고정홈이 형성되고 그 타측방향으로는 돌출된 누름판연결편을 구비하는 수직접속편, 수직접속편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직접속편을 복원시키는 복원수단 및 누름판연결편의 단부에 설치되어 수직단자편이 일정범위 내에서 회동시키는 누름판으로 이루어진 상측단자부 및 하측단자체결공과 기판체결공과 상측단자체결공를 관통하여 하측단자부와 상측단자부를 콘센트기판에 고정설치함과 더불어 통전시키는 단자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콘센트장치의 저면사시도이며, 도 3 은 도 1 의 콘센트장치 일부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는 도 3 의 접속단자의 접속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전원공급장치는 크게 시거잭(1), 전원공급도선(10), 콘센트장치(100), 스위치도선(110) 및 스위치장치(200)로 이루어진다.
전원공급도선(10)은 시거잭(1)과 콘센트장치(100)를 연결하여 차량의 전원을 통전하는 도선으로서 내부에 플러스선과 마이너스선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스위치도선(110)은 상기한 콘센트장치(100)와 스위치장치(200)를 연결하는 도선으로서, 그 내부엔 후술한 콘센트부(120-1,2,3,4; 이하 간단히 '120'으로 한다)와 스위치부(220-1,2,3,4; 이하 간단히 '220'으로 한다)에 각각 연결되어 콘센트부(120)의 전원을 온/오프하도록 한다.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콘센트부(120)를 네 개의 쌍을 설치하고, 스위치부(220)를 네 개를 설치하여, 스위치도선(110)의 각 콘센트부(120)와 연결되는 네 개의 선을 연결하였다.
먼저, 콘센트장치(100)는 시거잭(1)을 통해 전원공급도선(10)으로 공급된 전원을 각종 전기제품 예를 들어 노트북 컴퓨터, 조명등, 면도기 등에 공급하는 장치로서, 콘센트기판(102)과 소정 갯수 바람직하게는 네개 쌍의 콘센트부(120)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콘센트부(120)는 상측단자부(130a)와 하측단자부(130b)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1300와 콘센트하우징(122)으로 크게 이루어진다.
먼저, 콘센트하우징(122)은 상기한 접속단자(130)의 상측단자부의 외관을 형성하고 이를 보호하는 것으로서, 그 상부에는 전기제품의 플러그단자(20)가 접속단자(130) 즉, 상측단자부(130a)와 접촉할 수 있도록 관통된 하우징삽입구(124)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콘센트하우징(102)이 상기한 콘센트기판(102)상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향으로 돌출한 하우징고정돌기(128)가 구비되는 데, 하우징고정돌기(128)는 그 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한 콘센트기판(102)에 설치된 하우징결합공(128a)에 삽입걸림됨으로서, 콘센트하우징(122)을 콘센트기판(102)에 설치한다. 또한, 콘센트하우징(122)의 측부엔 사각형 모양으로 관통되어 후술한 누름판(148)이 그 관통된 범위 즉, 상하측 방향의 범위 내에서 유동할 수 있는 누름판회동공(126)이 형성된다.
또한, 접속단자(1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콘센트기판(102)을 중심으로 상측단자부(130a)와 하측단자부(130b)로 나누어진다.
먼저, 상측단자부(130a)는 상측단자편(132a), 복원수단(133), 수직접속편(140) 및 누름판(148)으로 이루어진다.
상측단자편(132a)은 소정의 형상 바람직하게는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는 상기한 전기제품의 플러그단자(20)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공(124), 하부에는 후술한 접속보울트(150)가 삽입체결되는 상측단자체결공(104) 및 중부에는 'ㄷ'자형의 내측으로 돌출된 핀고정돌기(144)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상측단자부(130a)의 내측 하부에 설치되는 복원수단(133)은 후술한 누름판(148)에 의해 측면으로 유동하는 수직접속편(140)에 복원력을 작용하여 플러그단자(20)를 상측단자부(130a)의 핀고정돌기(144)와 후술한 단자고정홈(142) 사이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두 개의 스프링고정편(134)과 탄성스프링(136), 스프링고정핀(138)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스프링고정편(134)은 상측단자부(130a)의 하부에서 상향으로 두 개가 돌출하였으며, 탄성스프링(136)은 두 개의 스프링고정편(134) 사이에 설치되어 그 단부가 후술한 수직접속편(140)에 걸린다. 그리고, 스프링고정핀(138)은 상기한 스프링고정편(134)과 탄성스프링(136)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한 스프링고정편(134)에 탄성스프링(136)을 고정설치한다.
한편, 수직접속편(140)의 양단부는 스프링고정편(134)의 내측에 위치하는 데, 스프링고정핀(138)의 양단부가 탄성스프링(136)과 함께 관통하여 탄성스프링(136)의 일단이 수직접속편(140)에 걸리게 되므로, 상기한 수직접속편(140)이 회동할 경우에 탄성스프링(136)에 의해 수직접속편(140)에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마지막으로 수직접속편(140)은 '∩' 형태로 형성되어 그 양단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고정편(134)에 관통되는 한편, 상부는 상기한 핀고정돌기(144)와 대향되게 돌출성형되어 핀고정돌기(144)와 함께 플러그단자(20)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단자고정홈(142)이 형성되고, 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성형되어 후술한 누름판(148)과 연결되는 누름판연결부(146)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측단자부(130b)는 하측단자편(132b), 하측단자체결공(150a)으로 이루어지는 데, 하측단자편(132b)은 'ㅜ'형태로 형성되어 상측면이 콘센트기판(102)의 하측면과 부착되고, 하측단자체결공(150a)은 그 상부 즉, 지면과 수평인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그 하단부에는 도선접속부(132c)를 통해 전원공급도선(10)과 스위치도선(110)에 각각 접속된다.
한편, 접속보울트(150)는 상기한 하측단자체결공(150b), 기판체결공(104) 및 상측단자체결공(150a)을 통해 삽입체결되어 하측단자부(130b)와 상측단자부(130a)를 콘센트기판(102)을 사이에 두어 설치함과 더불어 서로 통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접속단자(130)에서의 통전은 상ㆍ하측단자부(130a,130b)와 결합된 접속보울트(15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속단자(130)가 플러그단자(20)와 접속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판(148)을 눌러 콘센트하우징(122)의 하우징삽입구(124)를 통해 플러그단자(20)를 삽입하면서 누름판(148)을 누른다. 누름판(148)이 눌려지게 되면 수직접속편(140)이 기울어지면서 핀고정돌기(144)와 단자고정홈(142)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고 그 사이에 플러그단자(20)가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수직접속편(140)의 하부에 설치된 복원수단(133)은 수직접속편(140)에 복원력을 작용하는 것이므로, 누름판(148)을 띄게 되면 수직접속편(140)이 복원되어 플러그단자(20)가 핀고정돌기(144)와 단자고정홈(142) 사이에 강하게 끼워지게 되므로, 플러그단자(20)를 접속단자(132)에 접속하여 통전함과 더불어 고정시키게 된다.
스위치장치(200)는 크게 스위치장치하우징(212), 스위치부(220), 저항(230) 및 발광다이오드(240)로 이루어진다.
스위치부(220)는 스위치기판(210)상에 설치된 스위치하우징(222), 스위치하우징(222)의 상부에 설치된 스위치버튼(224)으로 이루어져 상기한 스위치도선(110)을 통해 콘센트장치(100)의 콘센트부(12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저항(230)은 발광다이오드(240)에 인가되는 전압을 조정하여 과전류를 유도되지 않도록 하며, 발광다이오드(240)는 스위치부(220)가 온상태이면 전류가 흘러 발광함으로서 콘센트부(120)의 온/오프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은 전술한 바와 같은 시거잭(1), 콘센트장치(100) 및 스위치장치(200)의 전기적 연결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거잭(1)으로부터 연결된 전원공급도선(10)의 플러스선은 전술한 콘센트부(120)의 하측단자부(130b)의 하단부에 접속되어 스위치장치(200)의 스위치부(220)에 연결되고, 스위치부(220)에 연결된 스위치도선(110)은 콘센트장치(100)의 타측 콘센트부(120)의 하측단자부(130b)에 접속된다. 이러한 기술구성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콘센트장치에 설치되는 콘센트부의 숫자를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적당하게 할 수 있으며, 차량 내부에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콘센트장치를 운전자가 원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콘센트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다수개의 콘센트부를 구비하여 여러대의 전기제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차량의 시거잭과 연결된 전원공급도선을 통해 상기 차량내 각종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기제품의 플러그 단자와 접속되어 상기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콘센트장치; 및
    상기 콘센트장치와 스위치도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전원공급도선을 통해 상기 콘센트장치에 인가되는 상기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장치는
    콘센트기판; 및
    상기 콘센트기판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전원공급도선과 상기 스위치도선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전기제품의 플러그단자와 상기 전원공급도선 및 스위치도선에 접속되는 접속단자 및 상기 접속단자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부에 상기 전기제품의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는 하우징삽입구를 구비하는 단자하우징으로 이루어진 콘센트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콘센트기판 아래에 'ㅜ'형으로 형성되어, 그 하부에 상기 전원공급도선과 스위치도선이 각각 접속되고, 상부에 수직상향으로 관통된 하측단자체결공를 구비하는 하측단자부;
    상기 콘센트기판상에 설치되는 한편, 그 하부엔 관통된 상측단자체결공과 상부면에 상기 플러그단자가 삽입되도록 관통된 단자삽입공과 그 내부공간으로 돌출된 핀고정돌기를 구비하는 상측단자편, 상기 상측단자편의 내부에 설치되어 일정범위 내에서 유동하는 한편, 타단부가 상기 핀고정돌기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핀고정돌기와 함께 삽입된 상기 플러그단자를 고정하는 단자고정홈이 형성되고 그 타측방향으로는 돌출된 누름판연결편을 구비하는 수직접속편, 상기 수직접속편의 하부에 설치되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직접속편을 회동시키는 복원수단 및 상기 누름판연결편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단자편을 일정범위 내에서 회동시키는 누름판으로 이루어진 상측단자부; 및
    상기 하측단자체결공과 상기 기판체결공과 상기 상측단자체결공를 관통하여 상기 하측단자부와 상기 상측단자부를 상기 콘센트기판에 고정설치함과 더불어 통전시키는 단자보울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장치는
    상기 스위치도선과 연결된 스위치기판;
    상기 스위치기판에 설치되어 상기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스위치버튼을 구비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부에 의해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빛을 발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수단은
    상기 상측단자편의 하부에서 상향으로 돌출성형된 스프링고정편, 상기 스프링고정편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편, 타단이 상기 수직단자편에 걸리는 탄성스프링 및 상기 탄성스프링을 관통하여 상기 스프링고정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프링고정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단자편은 'ㄷ'자 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KR2020020000683U 2002-01-09 2002-01-09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KR2002730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683U KR200273035Y1 (ko) 2002-01-09 2002-01-09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683U KR200273035Y1 (ko) 2002-01-09 2002-01-09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1146A Division KR20030060441A (ko) 2002-01-09 2002-01-09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3035Y1 true KR200273035Y1 (ko) 2002-04-20

Family

ID=73115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683U KR200273035Y1 (ko) 2002-01-09 2002-01-09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30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95Y1 (ko) 2013-10-11 2014-08-06 (주)프리모 자동차의 시거잭 소켓 접속용 커넥터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895Y1 (ko) 2013-10-11 2014-08-06 (주)프리모 자동차의 시거잭 소켓 접속용 커넥터 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667B1 (ko) 접지형 콘센트장치
US7004595B1 (en) Illuminated electrical plug adapter
US6124716A (en) Circuit continuity test apparatus
KR870000207A (ko) 차량탑재기기의 전원접속장치와 차량의 탑재기기용 계합장치
US8961192B2 (en) Electrical connectors for use with printed circuit boards
KR101881107B1 (ko) 접지형 콘센트장치
TWI407928B (zh) 傢俱(三)
US20040166737A1 (en) Power distribution outlet with fuse
KR200273035Y1 (ko)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WO2021213201A1 (zh) 冰箱门体
JPH07111174A (ja) けい光ランプ用ソケット
KR20030060441A (ko) 차량용 전원공급장치
CN110040081A (zh) 用于车辆电气控制器的电源输入结构及车辆电气控制器
CN1636796B (zh) 在母线基座和印刷电路板之间的连接结构
GB2288287A (en) Electrical connector
CN101567523B (zh) 离子发生器
CN208401190U (zh) 电性插座
KR101850145B1 (ko) 결선 작업이 쉬운 모듈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위치 장치
US6200150B1 (en) Flat-cable-type connector having auxiliary structure to enhance clamping force
KR0152752B1 (ko) 링크용 커넥터
CN215336214U (zh) 一种调光器
CN220605152U (zh) 轨道插座的轨道
CN217306813U (zh) 一种基于多方向走线结构的电插板
CN217082465U (zh) 可调节的灯带接头
CN210979760U (zh) 一种灯具pcb板无线模块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