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767Y1 - 콘크리트 빔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767Y1
KR200271767Y1 KR2020020001388U KR20020001388U KR200271767Y1 KR 200271767 Y1 KR200271767 Y1 KR 200271767Y1 KR 2020020001388 U KR2020020001388 U KR 2020020001388U KR 20020001388 U KR20020001388 U KR 20020001388U KR 200271767 Y1 KR200271767 Y1 KR 2002717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steel
beams
concrete beam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3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기
Original Assignee
김선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기 filed Critical 김선기
Priority to KR20200200013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76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7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76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에는 물론 스틸기둥을 갖는 건축물에서도 보로 사용 할 수 있는 콘크리트 빔에 관한 것으로 인접하는 다른 빔이나 스틸기둥과 견고하게 연결해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통상의 콘크리트 빔(10)의 양쪽 단부(12), (12')쪽에 각각 강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4), (14')의 한쪽(a), (a')이 노출되도록 연결부재(14), (14')의 다른쪽(b), (b')을 콘크리트 빔(10)내에 고정한 콘크리트 빔이다.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빔은 빔과 빔의 접합부 결합강도가 매우 크고 빔들에 작용하는 힘의 전달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구조적으로 안전성이 우수한 교량을 경제적으로 건설할 수 있고, 스틸기둥과도 견고하게 연결해 줄 수 있어서 스틸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모두 가진 건축물을 시공 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빔{CONCRETE BEAM}
본 고안은 콘크리트 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교량에는 물론 건축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콘크리트 빔은 포스트텐션(post-tension)즉, 시이드(sheath)를 두른 PC강선(Prestressed Concrete 鋼線)을 거푸집내에 배치하여 콘크리트를 받침대로 하여 잭으로 PC강선을 인장한 채로 콘크리트에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가해 만들어진 것으로서 종래의 콘크리트 빔은 콘크리트 빔과 콘크리트 빔의 연결수단이 없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건설교통부의 도로공사 표준도에서와 같이 교량에 적용 할 경우 교각(A)위에 콘크리트 빔(B)과 콘크리트 빔(B')을 올려놓고, 이들의 틈새에 단순히 채움콘크리트(C)를 타설 한 후 슬래브용 콘크리트(D)를 시공하여 콘크리트 빔(B), (B')과 슬래브를 합성시켜왔었기 때문에 콘크리트 빔들 연결부위의 구조적 강도를 강하게 시공 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하여서 콘크리트 빔의 길이를 길게 하는데 많은 제한을 받을 수 밖에 없었다.즉 교량을 건설함에 있어서 콘크리트 빔의 갯수와 교각의 갯수가 늘어남에 따라서 공사비가 많이 들었었고 공사기간도 길어질 수 밖에 없었다.
또 콘크리트 빔이 스틸 빔 보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압축력에 강하며, 진동이나 충격흡수성도 좋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자체적인 연결수단을 갖지 못한 것이어서 스틸기둥을 갖는 건축물의 빔으로 사용 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양쪽 단부에 돌출된 연결 부재를 갖게하여서 인접하는 다른 빔이나 스틸기둥과 견고하게 연결시킬수 있는 콘크리트 빔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빔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빔을 교량에 적용한 사용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빔을 건축물에 적용한 사용 상태도.
도 4 는 종래의 콘크리트 빔을 교량에 적용한 사용상태도.
본 고안은 도 1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상의 콘크리트 빔(10)의 양쪽단부(12), (12')쪽에 각각 강재(鋼材)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4), (14')의 한쪽(a), (a')이 노출되어 있고 연결부재(14),(14')의 다른 쪽(b), (b)은 콘크리트 빔(10)내에 고정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연결부재(14), (14')는 콘크리트 빔(10)을 제작할 때 그양쪽단부(12), (12')쪽으로 그 일부인 다른 쪽(b), (b')을 매입시킨 상태에서 거푸집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정한 것이다.
연결부재(14), (14')는 상,하부플랜지(flange)(16), (18)와 웹(web)(20)을 가진 "H"형 스틸 빔으로 해주는 것이 구조적 강도를 크게 해 줄 수 있으므로 좋으며, 더욱 좋게는 광폭 플랜지 빔(WIDE-FLANGE BEAM)으로 해주는 것이 연결강도를 더욱 크게 해 줄 수 있어서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빔(10)은 양쪽단부(12), (12')에 각각 강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4), (14')를 가지고 있으므로 도 2와 도 3에 예시한 바와 같이 교량은 물론 스틸기둥(E)을 갖는 건축물에도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빔(10)을 교량에 적용한 경우가 예시되어 있는데 인접하는 콘크리트 빔(10)과 콘크리트 빔(10')은 그들의 단부(12), (12')에 있는 연결부재(14)와 연결부재(14')에 연결판(20)들을 덧대고 이들에 형성시킨 구멍(22)을 통해서 볼트(24) 너트(26)와 같은 체결수단을 결합시켜 연결한 후 이들 접합부 주위에 콘크리트(28)를 타설 한 것이다.
이때 연결부재(14), (14')와 연결판(20)들은 용접이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빔(10)을 교량에 적용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빔(10)들의 양쪽단부쪽에 매입된 연결부재(14), (14')가 연결판(20)을 통해서볼트(24), 너트(26)로 또는 용접이음으로 연결되는 것이므로 콘크리트 빔(10)들의 접합부에서 각 콘크리트 빔(10)들의 자중이나 활하중(活荷重)과 같은 힘의 전달이 상기 연결부재(14), (14')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주고, 상기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모멘트와 전단력에 대하여 전체 또는 일부분을 받도록 해주어서 단위 콘크리트 빔(10)들을 연속화시켜 줄 수 있게되므로 교량을 건설할 때에 단위 콘크리트 빔(10)의 길이를 종래것보다 길게 해 줄 수도 있고 또 교각의 갯수 또한 감소시켜 줄 수도 있는 것이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하면서도 구조적으로 안전성이 우수한 교량을 건설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빔(10)을 , 스틸기둥(E)을 가진 건축물에 적용한 경우가 예시되어 있는데,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드 빔(10)은 양쪽단부쪽에 연결부재(14), (14')를 가진 것이므로 스틸기둥(E)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통상의 스틸 빔과의 연결용 형강(F)에, 상기 도 2에서 보인 교량의 경우처럼 연결판(20)들을 덧대고, 볼트(24), 너트(26)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연결하거나 용접이음 할 수도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빔(10)은 건축물에 적용할 경우에 현장에서 많은 비용과 공사기간이 요구되는 거푸집이나 동바리를 사용하지 않고 지상에서 제작한 후 통상의 스틸 빔처럼 크레인으로 운반하여 스틸기둥(E)에 연결해 줄 수 있는 것이므로 기둥은 스틸로 이루어지고 보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져서 스틸과 콘크리트의 장점을 모두 갖춘 건축물을 경제적으로 시공 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빔(10)은 양쪽단부(12), (12')쪽에 반매입형으로 고정된 강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4), (14')를 가진 것이어서 인접하는 다른 콘크리트 빔이나 스틸기둥과 견고하게 연결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조적으로안전성이 우수한 교량이나 건축물을 보다 저렴하고 신속하게 건설 할 수 있도록 해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

  1. 통상의 콘크리트 빔(10)의 양쪽 단부(12), (12')쪽에 각각 강재로 이루어진 연결부재(14), (14')의 한쪽(a), (a')이 노출되어 있고 연결부재(14), (14')의 다른쪽(b), (b')은 콘크리트 빔(10)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빔.
KR2020020001388U 2002-01-16 2002-01-16 콘크리트 빔 KR2002717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388U KR200271767Y1 (ko) 2002-01-16 2002-01-16 콘크리트 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388U KR200271767Y1 (ko) 2002-01-16 2002-01-16 콘크리트 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767Y1 true KR200271767Y1 (ko) 2002-04-10

Family

ID=7307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388U KR200271767Y1 (ko) 2002-01-16 2002-01-16 콘크리트 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7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67B1 (ko) 2007-04-13 2009-04-2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혼합구조교량의 접합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467B1 (ko) 2007-04-13 2009-04-22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혼합구조교량의 접합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0980B2 (ja) プレストレスト合成トラス桁及びその製造方法
US2948995A (en) Connections between reinforced, precast concrete structures and method of making same
JPH07166611A (ja) コンクリートエレメントおよびそのための接合装置
KR101440434B1 (ko) 강재거더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거더를 적용한 합성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방법으로 시공된 합성형 라멘교
KR20060046151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KR100527797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를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KR101200563B1 (ko) 콘크리트 크로스 빔을 이용하여 강 주형을 연결한 강 합성교량 및 시공방법
KR100274141B1 (ko) 분할공법에 의한 프리플렉스 합성빔의 제조방법
KR200271767Y1 (ko) 콘크리트 빔
JP2978903B1 (ja) 高架橋
JP5668252B2 (ja) 鋼上部工とコンクリート柱の結合構造
JP2740475B2 (ja) 梁と柱の接合構造
KR200279918Y1 (ko) 장스팬 프리캐스트 시스템의 기둥-보 접합구조
KR101293838B1 (ko) 응력전달길이 구간을 제거하는 프리텐션 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프리스트레스트 구조체 제작방법
KR102033052B1 (ko) Src 거더를 이용한 충전강관 트러스교의 지점부 시공방법
JP253816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扁平梁及びその架設工法
JP3931635B2 (ja) 複合箱桁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343344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造部材の施工法
KR200265456Y1 (ko) 교량 상판의 핑거조인트 이음새 구조
JP2922749B2 (ja) 箱桁橋
KR100555246B1 (ko) 허니컴 거더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JP2004092094A (ja) 2段主桁合成床版橋の構造
AU746805B2 (en) A structural element
KR101402620B1 (ko) 슬래브교용 하프피씨슬래브를 이용한 합성 슬래브형 라멘교의 시공방법
JP2659329B2 (ja) Pc構造物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