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193Y1 - 하천 옹벽용 배수관 - Google Patents

하천 옹벽용 배수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193Y1
KR200270193Y1 KR2020010040221U KR20010040221U KR200270193Y1 KR 200270193 Y1 KR200270193 Y1 KR 200270193Y1 KR 2020010040221 U KR2020010040221 U KR 2020010040221U KR 20010040221 U KR20010040221 U KR 20010040221U KR 200270193 Y1 KR200270193 Y1 KR 2002701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tube
outer tube
drain pip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2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호
정명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삼안건설기술공사
Priority to KR20200100402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1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1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193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옹벽의 내측의 토양에 의한 배수관이 막히는 것이 방지되면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천 옹벽용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옹벽에 구비되어 상기 옹벽의 후방측의 지반에 흡수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구되는 외부관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이격되도록 내부관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관과 내부관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갖는 흡수관과; 상기 흡수관의 개구부쪽으로 상기 외부관과 내부관의 이격된 공간의 사이에 장착되어 스크루로 체결되고, 그 중앙에 중공부를 갖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하천 옹벽용 배수관을 제공함으로서, 옹벽의 내측의 토양의 수분흡수에 따른 수압과 토압에 의해 옹벽이 전도 및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옹벽의 전도 및 붕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하천 옹벽용 배수관{A drainpipe for river retaining wall}
본 고안은 옹벽의 내측의 토양의 배수를 원활히 하도록 옹벽에 구비되는 배수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옹벽의 내측의 토양에 의한 배수관이 막히는것이 방지되면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천 옹벽용 배수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토압력에 저항하여 토양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를 옹벽이라고 하고, 이 옹벽은 그 내측의 토양으로 물이 흡수되면 토압과 수압이 증가되고 그에 따라 옹벽이 전도 또는 붕괴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옹벽의 전도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옹벽을 관통하여 토양으로 다수개의 배수관을 매립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배수관은 원통형의 단순한 파이프로 형성되어 옹벽의 토양에 의해 배수관이 막혀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서, 옹벽의 토양의 수분흡수에 따른 수압 및 토압의 상승으로 옹벽이 전도되고 급기야는 옹벽이 붕괴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분이 배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도 및 붕괴되지 않을 정도의 내구성을 가지는 옹벽이라도, 겨울철에 기온의 하강에 의해 토양에 흡수된 물이 얼게 되면, 물의 부피의 증가에 따라 옹벽이 손쉽게 전도 및 붕괴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수관은 PVC재질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그 강도 및 내구성이 크지 못하여 토압이나 수압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배수관은 그 전후가 개구되어 있어, 후방측의 옹벽의 토양에 의해 배수관이 막히기도 하지만 전방측에 노출된 개구부에 외부의 토양이나 기타 이물질이 유입되어 배수관이 막히게 되고 그에 따라 옹벽의 토양의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옹벽의 내측의 토양에 의한 배수관이 막히는 것이 방지되면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천 옹벽용 배수관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관 자체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면서 수분의 용이한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천 옹벽용 배수관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관의 개구부의 원활한 수분의 배출이 이루어지면서 그 개구부가 외부의 토양이나 기타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하천 옹벽용 배수관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옹벽에 구비되어 상기 옹벽의 후방측의 지반에 흡수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구되는 외부관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관의 내부에 이격되도록 내부관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관과 내부관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갖는 흡수관과; 상기 흡수관의 개구부쪽으로 상기 외부관과 내부관의 이격된 공간의 사이에 장착되어 스크루로 체결되고, 그 중앙에 중공부를 갖는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수관은 상기 외부관의 내주면과 외부관의 외주면의 사이에 충진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은 상기 중공부에 메시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배수관
10 : 흡수관
11 : 외부관 12 : 내부관 13 : 통공
14 : 충진재
20 : 뚜껑
21 : 중공부 22 : 메시망
2 : 옹벽 3 : 토양 4 : 하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의 분해 사시도로 본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배수관(1)은 일측이 폐구되고 타측이 개구되는 원통형의 흡수관(10)에 그 개구부측으로 뚜껑(20)이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흡수관(10)은 외주면으로 다수개의 통공(13)이 형성되는 외부관(11)과 내부관(12)으로 구비되는데, 상기 외부관(11)의 내부로 이격된 공간을 가지도록 상기 내부관(12)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관(11)과 내부관(12)의 이격된 공간에 충진재(14)가 삽입 충진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뚜껑(20)은 상기 외부관(11)과 내부관(12)의 이격된 공간에 삽입되어 스크루에 의해 장착되고, 그 전면과 후면으로 중공부(21)가 형성되며, 상기 중공부(21)의 일측으로 메시망(22)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1)은 옹벽에 수평으로 장입되어 매립됨으로서 옹벽의 내측에 형성되는 토양의 물을 흡수하여 배출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흡수관(10)은 옹벽의 토양의 물을 충진재(14)로 유도하여 흡수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외부관(11)과 내부관(12)은 다수개의통공(13)에 의해 수분만이 관의 내부로 유입되고 토양은 관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흡수관(1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외부관(11)과 내부관(12)의 이격된 공간에 충진되는 충진재(14)는 상기 외부관(11)과 내부관(12)이 토압이나 수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아울러 상기 통공(13)으로 유입되는 물을 용이하게 빨아들여 상기 내부관(12)으로 모이게 함으로서, 옹벽의 토양의 수분을 원활히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충진재(14)는 그 재질로 대나무, 목재, 펄프 등의 천연물이나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 또는 유리, 도자기, 콘크리트 등의 무기물이나 염화비닐, 폴리에틸렌 등의 합성수지, 그밖에 흡수성이나 도수성이 있는 석유화학재질 등으로, 충진된 상태에서 투수성 및 흡수성이 있고 비교적 내구성을 가지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충진재(14)는 그 재활용성을 상실한 산업폐기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고 보는 것이다.
한편, 상기 뚜껑(20)은 상기 외부관(11)과 내부관(12)의 개구부의 이격된 공간에 장착되어 상기 충진재(14)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20)에 구비되는 메시망(22)은 상기 뚜껑(20)의 외측으로 외부의 토양이나 이물질이 상기 흡수관(10)으로 유입되어 흡수관(10)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흡수관(10)에 흡수되는 수분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의 결합 단면도를 살펴보면,
배수관(1)은 일측이 폐구되고 타측이 개구되는 원통형의 외부관(11)과 내부관(12)으로 구비되는 흡수관(10)에 그 개구부측으로 상기 외부관(11)과 내부관(12)의 이격된 공간에 뚜껑(20)이 스크루에 의해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 외부관(11)보다 내부관(12)이 그 직경에 있어서 다소 작게 구비되고, 그에 따라 상기 외부관(11)과 내부관(12)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형성되며, 이 이격된 공간에 충진재(14)를 삽입하여 충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관(11)의 내부에 상기 내부관(12)이 삽입되어 그 폐구부의 단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관(11)과 내부관(12)은 그 외주면에서 내주면으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통공(13)이 형성되고, 상기 뚜껑(20)은 그 중공부(21)로 메시망(22)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배수관(1)의 수분 흡수과정을 보면, 우선 상기 외부관(11)의 외측에 형성되는 옹벽의 토양에서 상기 통공(13)을 통해 물이 들어오는데, 이 물이 잘 흡수되도록 상기 충진재(14)가 물을 유도하고, 상기 충진재(14)에 흡수된 물은 상기 내부관(12)의 통공(13)을 통해서 상기 내부관(12)의 내측으로 모이게 되고, 이렇게 모인 물은 상기 내부관(12)을 통해 상기 뚜껑(20)측으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충진재(14)는 상기 흡수관(10)의 강도를 증강시키면서 상기 흡수관(10)에 유입되는 물을 용이하게 빨아들여 상기 내부관(12)에 모이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시망(22)은 상기 뚜껑(20)의 중공부(21)에 구비되어 상기 뚜껑(20)의 외측에서 상기 흡수관(10)쪽으로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막으면서, 상기 흡수관(10)의 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배수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살펴보면,
하천(4)의 옹벽(2)에 구비되는 배수관(1)은 그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구되는 원통형의 흡수관(10)에 그 개구부측으로 뚜껑(20)이 장착되어 구성되는데, 다수의 상기 배수관(1)이 옹벽(2)에 수평으로 매설되어 상기 옹벽(2)의 내측의 토양(3)에 흡수되는 물을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여러 가지의 환경요인에 의하여 상기 토양(3)에 물이 흡수되고, 그에 따라 상기 토양(3)에 물이 배출되지 않고 고이게 되면, 상기 토양(3)의 토압 및 수압을 증대시켜 상기 옹벽(2)이 전도되거나 붕괴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옹벽(2)의 전도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옹벽(2)에 다수의 배수관(1)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배수관(1)은 상기 토양(3)에 흡수된 물을 그 막힘이 없이 용이하게 배출시켜 물의 적체로 인한 토압 및 수압의 증대를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하천(4)은 그 수위의 변화가 매우 심하므로, 상기 하천(4)의 물 내부로 구비되는 상기 배수관(1)은 그 외측의 상기 뚜껑(20)으로 상기 하천(4)으로 유실된 흙이나 이물질이 유입되어 상기 배수관(1)이 막히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위해 상기 뚜껑(20)에 메시망(22)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메시망(22)에 의해 상기 배수관(1)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상기 배수관(1)을 막는 흙이나 이물질이 걸러지게 되고 그에 따라 그 유입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옹벽의 내측의 토양에 의한 배수관이 막히는 것이 방지되면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천 옹벽용 배수관을 제공함으로서, 옹벽의 내측의 토양의 수분흡수에 따른 수압과 토압에 의해 옹벽이 전도 및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옹벽의 전도 및 붕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배수관 자체의 내구성을 강화시키면서 수분의 용이한 흡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천 옹벽용 배수관을 제공함으로서, 토양의 수분흡수에 따른 수압 및 토압으로 배수관이 파손되어 토양에 의해 막히는 것이 방지되면서 배수관 주위의 토양의 수분을 원활히 흡수하여 배수관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배수관의 개구부의 원활한 수분의 배출이 이루어지면서 그 개구부가 외부의 토양이나 기타물질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하천 옹벽용 배수관을 제공함으로서, 외부로 노출되는 개구부를 통해 토양이나 기타물질이 유입되어 배수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여 배수관의 옹벽 내측의 토양에 대한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옹벽(2)에 구비되어 상기 옹벽(2)의 후방측의 토양(3)에 흡수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관에 있어서;
    일측이 개구되고 타측이 폐구되는 외부관(11)이 구비되고, 상기 외부관(11)의 내부에 이격되도록 내부관(12)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외부관(11)과 내부관(12)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통공(13)이 갖는 흡수관(10)과;
    상기 흡수관(10)의 개구부쪽으로 상기 외부관(11)과 내부관(12)의 이격된 공간의 사이에 장착되어 스크루로 체결되고, 그 중앙에 중공부(21)를 갖는 뚜껑(2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옹벽용 배수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관(10)은,
    상기 외부관(11)의 내주면과 외부관(11)의 외주면의 사이에 충진재(1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옹벽용 배수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20)은,
    상기 중공부(21)에 메시망(2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 옹벽용 배수관.
KR2020010040221U 2001-12-26 2001-12-26 하천 옹벽용 배수관 KR2002701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221U KR200270193Y1 (ko) 2001-12-26 2001-12-26 하천 옹벽용 배수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221U KR200270193Y1 (ko) 2001-12-26 2001-12-26 하천 옹벽용 배수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193Y1 true KR200270193Y1 (ko) 2002-03-28

Family

ID=73114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221U KR200270193Y1 (ko) 2001-12-26 2001-12-26 하천 옹벽용 배수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193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075B1 (ko) 2006-02-22 2006-05-29 주식회사 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기초 공사용 토류판의 구조
KR100755294B1 (ko) 2007-05-23 2007-09-05 김유진 배수 및 차수기능이 구비된 토류판
KR100814380B1 (ko) 2007-01-25 2008-03-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형 측구 배수구조
KR101793648B1 (ko) * 2015-07-24 2017-11-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옹벽 구조물용 지반보강 겸용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15888B1 (ko) * 2018-12-05 2019-08-29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및 그 방수방법
KR102445105B1 (ko) 2022-05-27 2022-09-20 (주)동진이엔시 옹벽용 배수 파이프
CN116876465A (zh) * 2023-09-07 2023-10-13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一体式排水管、排水系统及排水系统的施工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075B1 (ko) 2006-02-22 2006-05-29 주식회사 포스에이씨 종합감리 건축사사무소 공동 주택 기초 공사용 토류판의 구조
KR100814380B1 (ko) 2007-01-25 2008-03-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도형 측구 배수구조
KR100755294B1 (ko) 2007-05-23 2007-09-05 김유진 배수 및 차수기능이 구비된 토류판
KR101793648B1 (ko) * 2015-07-24 2017-11-2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옹벽 구조물용 지반보강 겸용 배수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15888B1 (ko) * 2018-12-05 2019-08-29 주식회사 대한이앤씨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구조 및 그 방수방법
KR102445105B1 (ko) 2022-05-27 2022-09-20 (주)동진이엔시 옹벽용 배수 파이프
CN116876465A (zh) * 2023-09-07 2023-10-13 华能澜沧江水电股份有限公司 一体式排水管、排水系统及排水系统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192B1 (ko) 우수를 지중에 침투 저장하는 침투 관정을 이용한 워터 포켓
KR200270193Y1 (ko) 하천 옹벽용 배수관
KR20090036931A (ko) 배수트랩
KR200383882Y1 (ko) 오수받이
EP3674493B1 (en) Gulley
KR100718722B1 (ko) 비탈면 배수시설
KR100976853B1 (ko) 집수정
CN207462815U (zh) 一种新型防堵塞雨水过滤装置
KR100552492B1 (ko) 오수받이 조립체
KR200262197Y1 (ko) 하수구트랩
JP5513021B2 (ja) 雨水貯留浸透システム
KR200439737Y1 (ko) 싱크대용 배수전
JP2005009279A (ja) 穴あきの排水側溝及び溜桝。
KR200399238Y1 (ko) 빗물배수용 우수전
KR20110005094U (ko) 집수정
KR200376677Y1 (ko) 역류악취방지용 하수구마개
KR100516777B1 (ko) 투수공을 갖는 집수통
KR200331356Y1 (ko) 우수 여과장치
KR200300280Y1 (ko) 배수조용 악취차단구
KR200330263Y1 (ko) 우수 저수장치
KR200239586Y1 (ko) 배수트랩
KR100662712B1 (ko) 악취발산 방지용 맨홀
CN212715252U (zh) 一种防溢水下水管道
KR200311699Y1 (ko) 도로 옹벽 구조물의 배수처리용 수직 유공관 설치구조
JPH0613870Y2 (ja) 雨水浸透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