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547Y1 -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 - Google Patents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547Y1
KR200261547Y1 KR2020010030110U KR20010030110U KR200261547Y1 KR 200261547 Y1 KR200261547 Y1 KR 200261547Y1 KR 2020010030110 U KR2020010030110 U KR 2020010030110U KR 20010030110 U KR20010030110 U KR 20010030110U KR 200261547 Y1 KR200261547 Y1 KR 2002615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us
bus duct
side walls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1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백
Original Assignee
(주) 미래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미래기전 filed Critical (주) 미래기전
Priority to KR20200100301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5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5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547Y1/ko

Links

Landscapes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존의 케이블형태의 송전선을 대신하여 제안되고 있는 평판형태의 송전수단인 버스의 지지 및 보호를 위한 버스덕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부 및 하부가 개폐 가능토록 하여 배선로의 이상유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A bus-duct having a openable part}
본 고안은 기존의 케이블형태의 송전선을 대신하여 제안되고 있는 평판형태의 송전수단인 버스의 지지 및 보호를 위한 버스덕트에 관한 것이며, 특히 상부가 개폐가능토록 하여 배선로의 이상유무를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는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는 전기를 전송하는 대부분의 송전수단이 원형단면의 케이블형태의 전선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케이블형태의 전선은 대형빌딩이나, 대형플랜트에 있어서, 그 송전용량을 커버하기가 쉽지 않으며, 시설내의 각각의 분지부에서의 연결 및 접속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바(Bar) 형태의 송전수단이 제안되어 그 효과가 입증되었으며,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은 얇은 바 형태의 버스(이하 버스라 한다)를 이용하여 송전선로를 구축하는 예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버스의 지지 및 보호를 위해서는 보호외함인 버스덕트가 필요하게 되며, 이는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패널(1)과 우측패널(2)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는 구성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버스덕트는 외향으로 돌출된 중앙측벽(5)과, 상기 중앙측벽(5)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상부측벽(6) 및 하부측벽(7)과, 상기 상부측벽(6)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상판부(8)와, 상기 하부측벽(7)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하판부(9)로 구성되며, 상기 좌측패널(1)과 우측패널(2)의 각각의 상부·하부측벽(6,7)이 서로 접하여 고정볼트(3)로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스덕트는 좌우로 분할된 2개의 개체로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스덕트는 좌측패널(1)과 우측패널(2)이 상부와 측면 및 하부를 모두 일체로 형성하게 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버스선로에 이상이 발생시 이를 확인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을 갖고있다.
즉, 종래의 버스덕트는 소정부의 선로에 이상이 발생시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버스덕트 전체를 해체하여야만 버스(60)의 확인이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버스덕트는 철판으로 제작된 것이며, 그 길이가 긴 것은 3m에 달하여 그 해체작업이 대단히 번거로워 유지보수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버스덕트 내의 일부 버스의 교체작업 역시 상기와 마찬가지로 덕트 전체를 분해하고 다시 체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갖고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스덕트는 상판부(8) 및 하판부(9)가 좌측패널(1)과 우측패널(2)이 접하는 중앙부에서만 절곡된 채 지지되고 있으므로 수직하중이나 수직응력이 발생시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는 쉽게 밴딩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고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버스덕트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내부 버스의 확인이 용이한 버스덕트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부응력에 강하여 밴딩이 쉽게 발생하지 않는 버스덕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은 버스덕트의 상부 또는 하부만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본 고안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종래의 버스덕트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종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5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종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버스를 내설한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좌측패널 2: 우측패널
3: 고정볼트 5: 중앙측벽
6: 상부측벽 7: 하부측벽
8: 상판부 9: 하판부
10: 접속단자 보호판 20: 상부패널
21,31: 중앙평탄부 22,22`32,32`: 측벽
23,23`,33,33`: 가장자리부 30: 하부패널
40: 측면패널 50: 보강재
51: 보강재 고정볼트
본 고안은 상부 또는 하부만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여 유지 및 보수작업성을 향상시킨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사시도(접속단자 보호판이 체결된 상태의 모습)이고, 도4는 그 평면도이며, 도5는 그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그 내부에 내설되는 판상의 송전용의 버스를 보호하기 위한 버스덕트에 있어서;
좌우측의 2개의 측면패널(40)과, 상기 측면패널(40)의 상부에 보수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착탈가능토록 체결되는 상부패널(20)과, 상기 측면패널(40)의 하부에 착탈가능토록 체결되는 하부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6은 본 고안의 중앙부를 절단한 종단면도이며 도7은 내부에 버스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패널(20)은 내부에 설치되는 송전용 버스(60)의 폭에 상당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중앙 평탄부(21)와, 상기 중앙 평탄부(21)의 양단에서 수직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측면패널(40)과 접촉하여 체결되게되는 양쪽의 측벽(22,22`)과, 상기 양쪽의 측벽(22)의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다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가장자리부(23,23`)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패널(30)은 내부에 설치되는 송전용 버스의 폭에 상당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중앙 평탄부(31)와, 상기 중앙 평탄부(31)의 양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측면패널(40)과 접촉하여 체결되게되는 양쪽의 측벽(32,32`)과, 상기 양쪽의 측벽(32,32`)의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다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가장자리부(33,33`)로 형성된다.
즉, 본 고안은 상부와 하부의 패널이 양쪽의 측면패널로 부터 독립적으로 분리 가능하여 내부의 버스의 상태를 확인하기 쉽도록 구성한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의 길이는 설치위치에 따라서 더 길거나 짧게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양쪽 단부에는 접속단자가 되는 버스의 단부를 보호하기 위한 접속단자보호판(10)을 체결하게 되며, 상기 접속단자보호판(10)은 종래의 공지된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상부패널(20)의 양쪽의 측벽(22,22`) 사이 및 상기 하부패널(30)의 양쪽의 측벽(32,32`) 사이에 상기 양쪽의 측벽(22,22`,32,32`)의 밴딩을 방지하는 보강재(5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50)는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그 내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보강재 고정볼트(51)에 의해 측벽(22,22`,32,32`)과 측면패널(40)을 서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측벽(22,22`,32,32`)의 밴딩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송전라인에 이상이 생겼을 경우 버스덕트 내부의 버스의 상태를 확인하여야 한다. 이때 본 고안은 상부패널(20) 또는 하부패널(30)만을 분리하고 내부의 버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버스의 교체를 행할 수 있게되어 작업이 대단히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상부패널(20) 및 하부패널(30)은 측벽(22,32) 사이에 보강재가 지지되고 가장자리부(23,33)가 중앙평탄부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소폭으로 형성되어 수직응력을 받는 부분의 길이가 짧으므로 상대적으로 외력에 의한 밴딩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버스덕트의 상부 또는 하부만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하여 배선로에 이상 발생시나 예비 점검시 상부 또는 하부패널만을 손쉽게 개방하여 내부의 버스를 확인 또는 교체할 수 있으므로 송전라인의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하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버스덕트의 상부패널과 하부패널은 외력에 대하여 매우 큰 저항력을 갖게되는 구조이므로 변형이 쉽게 발생하지 않으므로 내구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그 내부에 내설되는 판상의 송전용의 버스를 보호하기 위한 버스덕트에 있어서;
    좌우측의 2개의 측면패널(40)과, 상기 측면패널(40)의 상부에 보수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착탈가능토록 체결되는 상부패널(20)과, 상기 측면패널(40)의 하부에 착탈가능토록 체결되는 하부패널(3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20)은 내부에 설치되는 송전용 버스의 폭에 상당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중앙평탄부(21)와, 상기 중앙평탄부(21)의 양단에서 수직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측면패널(40)과 접촉하여 체결되게되는 양쪽의 측벽(22,22`)과, 상기 양쪽의 측벽(22)의 상단에서 바깥쪽으로 다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가장자리부(23,23`)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패널(30)은 내부에 설치되는 송전용 버스의 폭에 상당하는 폭으로 형성되는 중앙평탄부(31)와, 상기 중앙평탄부(31)의 양단에서 수직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어 상기 측면패널(40)과 접촉하여 체결되게되는 양쪽의 측벽(32,32`)과, 상기 양쪽의 측벽(32,32`)의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다시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가장자리부(33,33`)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20)의 양쪽의 측벽(22,22`) 사이 및 상기 하부패널(30)의 양쪽의 측벽(32,3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양쪽의 측벽(22,22`,32,32`)의 밴딩을 방지하는 보강재(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50)는 중공의 파이프로 형성되어 상기 그 내부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보강재 고정볼트에 의해 측벽(22,22`,32,32`)과 측면패널(40)을 서로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측벽(22,22`,32,32`)의 밴딩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
KR2020010030110U 2001-09-29 2001-09-29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 KR2002615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10U KR200261547Y1 (ko) 2001-09-29 2001-09-29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110U KR200261547Y1 (ko) 2001-09-29 2001-09-29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547Y1 true KR200261547Y1 (ko) 2002-01-24

Family

ID=7308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110U KR200261547Y1 (ko) 2001-09-29 2001-09-29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5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4287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a raised floor grid system
WO2002042098A2 (en) Low profile optical cable exit trough
US20060233355A1 (en) Fiber to the home demarcation enclosure
KR200261547Y1 (ko) 상하 개폐형 버스덕트
WO2016129800A1 (ko) 원터치 고정형 격자철선을 이용한 철근 일체형 합성구조
JP6763985B2 (ja) 屋根の配線構造
KR200396733Y1 (ko) 케이블 트레이
US6667681B1 (en) Network protector fuse housing
US8040665B2 (en) Modular compact secondary substation
KR100811055B1 (ko) 방수형 부스 덕트 및 부스 덕트 시스템
KR20120004130U (ko) 케이블 트레이의 분기 장치
RU211300U1 (ru) Гибридная кабель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KR100786376B1 (ko) 전기배선 안전덮개 설치구조
CN214673461U (zh) 一种顶部出线结构及机房配电柜
CN221543791U (zh) 一种电梯门机用防水结构
KR102617477B1 (ko)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CN210781875U (zh) 门板组件及机房空调
KR200390068Y1 (ko) 케이블 보호관
CN212435284U (zh) 一种油烟监测设备的箱体
CA2309090A1 (en) Transformer tank with detachable cabinet interface
KR200403532Y1 (ko) 케이블 보호관
CN219247379U (zh) 一种用于废气处理系统线路保护装置
CN219420174U (zh) 一种方便安装的防水电缆桥架
CN219067588U (zh) 一种配电箱箱门
CN214626177U (zh) 一种户外电缆桥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