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3256Y1 -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 Google Patents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53256Y1 KR200253256Y1 KR2020010025131U KR20010025131U KR200253256Y1 KR 200253256 Y1 KR200253256 Y1 KR 200253256Y1 KR 2020010025131 U KR2020010025131 U KR 2020010025131U KR 20010025131 U KR20010025131 U KR 20010025131U KR 200253256 Y1 KR200253256 Y1 KR 20025325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moking chamber
- smoking
- smoke
- rotating
- cha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287828 Gallus gallu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9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1000272525 Anas platyrhynchos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3330 chicken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44000305267 Quercus macrolepis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1168 barbecu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517 fu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834 Paulownia toment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960 ketch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38 sa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닭, 오리, 칠면조, 족발 등과 같은 육류에 참나무 향을 입히면서 동시에 직화구이를 할 수 있는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내부에서 음식물이 조리되고, 음식물을 출입시킬 수 있는 도어(14, 16)가 설치된 훈연실(40); 상기 훈연실(40)을 가로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0); 상기 회전축(20)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되어 상기 훈연실(40) 내에서 회전 가능한 한쌍의 회전판(44, 46); 상기 각 회전판(44, 46)의 일면에 돌출형성되고, 중심에 걸림공(59)이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48); 양단이 마주보는 상기 걸림턱(48)의 걸림공(59)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44, 46)과 함께 회전하고, 음식물(54)이 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봉(49); 상기 훈연실(40) 내부중 하단에 돌출설치된 한쌍의 가스버너(50, 52); 및 상기 가스버너(50, 52)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훈연실(40) 내부로 연기를 공급하는 연통(54)과, 상기 연통(54)과 연결되어 연기를 발생시키는 훈연난로(3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닭, 오리, 칠면조, 족발 등과 같은 육류에 참나무 향을 침투시키면서 동시에 직화구이를 할 수 있는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닭을 조리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된다. 즉, 우선 대형 챔버(미도시) 등에게 수백마리에서 수천마리의 생닭을 집어넣고, 가스버너를 이용하여 열풍을 가한다. 이로서 단시간내에 수천마리의 찐닭을 생산해 낼 수 있다. 그 다음, 열풍에 의해 익혀진 닭을 별도의 훈제실(또는 훈제기기)에 집어넣고 참나무의 연기를 쬐이게 된다. 훈제난로는 참나무 등의 나무를 태움으로써 발생하는 연기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훈제된 닭이 완성되게 된다.
이러한 생산방법은 주로 공장단위에서 대량생산시에 사용되는 방법으로써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즉, 열풍으로 익힌 다음, 다시 많은 양의 닭을 일일이 꺼내 훈제실로 옮겨야 하므로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조리실과 훈제실을 별도로 설치하고 운영하여야 하므로 많은 설치공간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닭과 같은 육류를 하나의 챔버내에서 훈연시키고 직화구이를 할 수 있는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기기의 설치공간이 절약되는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내부에서 음식물이 조리되고, 음식물을 출입시킬 수 있는 도어(14, 16)가 설치된 훈연실(40); 상기 훈연실(40)을 가로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0); 상기 회전축(20)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되어 상기 훈연실(40) 내에서 회전 가능한 한쌍의 회전판(44, 46); 상기 각 회전판(44, 46)의 일면에 돌출형성되고, 중심에 걸림공(59)이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48); 양단이 마주보는 상기 걸림턱(48)의 걸림공(59)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44, 46)과 함께 회전하고, 음식물(54)이 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봉(49); 상기 훈연실(40) 내부중 하단에 돌출설치된 한쌍의 가스버너(50, 52); 및 상기 가스버너(50, 52)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훈연실(40) 내부로 연기를 공급하는 연통(54)과, 상기 연통(54)과 연결되어 연기를 발생시키는 훈연난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훈연실(40)은 상기 훈연실(40)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 및 상기 상기 배출구(12) 내부에 구비된 팬장치(12)을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봉(49)의 양단은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탈착을 위해 약간의 탄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훈연실(40)의 일측에 고정된 모터(28); 상기 모터(28)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기어(27); 상기 구동기어(27)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된 종동기어(24); 및 상기 구동기어(27)와 상기 종동기어(24) 사이에 연결된 벨트(26)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훈연실(40)의 바닥에는 조리중인 음식물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수거하기 위한 기름받이(42)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가능하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판의 정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판의 부분 확대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기름받이의 사시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 : 훈연기계, 12 : 배출구,
12, 16 : 도어, 18, 22 : 베어링,
20 : 회전축, 24 : 종동기어,
26 : 벨트, 27 : 구동기어,
28 : 모터, 30 : 훈연난로,
32 : 난로 도어, 33 : 힌지,
35 : 손잡이, 40 : 훈연실,
42 : 기름받이, 44, 46 : 회전판,
48 : 걸림턱, 49 : 회전봉,
50, 52 : 버너 54 : 연통,
55 : 통닭, 59 : 걸림공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 앞서, 훈제 및 훈연의 정의를 구별하도록 한다. 훈제란 참나무 등을 불완전 연소시켜 발생하는 검은 연기를 직접 닭등에 쪼여 변색시키고, 장기간 보존을 위한 처리를 말하는 것이고, 훈연이란 닭을 참나무의 연소연기에 약하게 또는 간접적으로 노출시켜 향을 침투시킬 뿐 변색이나 보존등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처리공정을 말한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닭을 훈제하는 것이 아니라 훈연시키면서 동시에 직화구이를 하여 바베큐 방식으로 조리할 수 있는 기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연기기(10)의 정면에는 내부를 개방할 수 있는 제 1 도어(14)와 제 2 도어(1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축(20)은 훈연기기(10)를 수평으로 관통하고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양단이 베어링(18, 22)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훈연기기(10)의 상단에는 내부의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우측에는 회전축(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종동기어(24)는 감속(최종 회전수는 약 5rpm 정도)을 위해 이빨수가 많고, 회전축(20)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구동기어(27)는 감속을 위해 이빨수가 적고, 정속회전이 가능한 약 2마력 정도의 모터(28)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란 종동기어(24)와 구동기어(27)는 벨트(26)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벨트(26)로는 일반적인 벨트 뿐만 아니라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타이밍 벨트, V-벨트와 같은 특수 벨트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전달하는 마력수에 따라 벨트의 갯수 및 종류를 적절히 조절할 수도 있다.
도 1에 예시된 구동수단외에도, 종동기어(24)와 구동기어(27)를 스프라켓으로 대체하고 벨트(26)를 체인으로 대체하여 구동시킬 수도 있으며, 벨트(26)를 생략한 채, 아이들기어(미도시) 또는 캠장치를 삽입하여 회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훈연기계(10)의 우측 하단에는 훈연난로(30)가 설치되어 있다. 훈연난로(30)는 도어(32)를 통해 공급되는 참나무를 연소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연기를 훈연기계(10)의 내부로 공급하는 장치이다.
제 1 도어(14)와 제 2 도어(16)는 여닫이 형식으로 개폐될 수 있도록 일측에 다수의 힌지(33)로 연결되어 있고, 정면에는 손잡이(35)와 잠금장치 등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훈연기계(10)의 외장은 약 0.8T의 철판 또는 스테인레스판으로 제작되고, 내부에는 단열재로 시공하여 보온효과를 높였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장치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훈연기계(10)의 내부에는 훈연실(40)이 구비되어 있다. 훈연실(40)의 내부에는 회전축(20)이 수평으로 관통하여 지나가고, 이 회전축(20)에는 소정 크기의 회전판(44, 46)이 서로 떨어진 채 고정되어 있다. 회전판(44, 46) 사이에는 탄성적으로 구부려서 탈착될 수 있는 회전봉(49)이 10개 가량 조립된다. 이러한 회전봉(49)은 양단이 90도씩 두번 절곡되어 있어서, 탄성구부림을 용이하게 하고, 회전판(44, 46)이 회전하더라도 자중에 의하여 항상 연직방향을 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회전봉(49)은 약 10마리 정도의 닭을 고정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고 있다. 도 2에서는 도면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회전봉(49)을 두개만 설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최대 10개까지 설치할 수 있다.
훈연실(40)의 상단에는 외부와 통해 있는 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구(12)의 내부에는 강제배기를 위하여 팬(13)이 설치되어 있다.
훈연실(40)의 하단에는 조리중인 닭들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받기위한 기름받이(4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기름받이(42)의 상세한 구성은 도 5의 설명에서하기로 한다.
그리고, 훈연실(40)의 하단 양쪽에는 한쌍의 가스버너(50, 52)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스버너(50, 52)는 별도의 가스시설(밸브, 가스탱크, 가스호스, 화력조절밸브 등)(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 가스버너(50, 52)의 갯수는 훈연실(40)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가스버너(52)의 일측에는 연통(54)이 구비되어 있다. 연통은 훈연난로(30)에서 발생한 연기를 훈연실(40) 내부로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판(44)의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회전판(44)은 중심에 축공(56)이 형성되어 회전축(20)이 관통하고, 회전축(2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키이홈(58)이 마련되어 있다.
회전판(44)의 일면에는 약 10개 가량의 걸림턱(48)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턱(40)은 중심에 대해 등각도로 배치되어 있고, 회전판(44)의 크기에 따라 최소 2개, 또는 10개 이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회전판의 부분 확대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48)의 중심에는 회전봉(49)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걸림공(59)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걸림공(59)에 회전봉(49)의 양단을 끼우기 위해서는 회전봉(49)을 탄성한도내에서 약간 구부린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기름받이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름받이(42)는 낙하하는 기름을 수집하기 위하여 중앙부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고, 훈연실(40)의 후방에 설치된 개방구(미도시)를 통해 훈연실(40) 외부로 서랍과 같이 노출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각의 회전봉(49) 마다 약 10마리 정도의 닭(55)을 끼우거나 매단다. 그 다음, 회전봉(49)을 탄성적으로 살짝 구부려 일단을 제 1 회전판(44)의 걸림턱(48)에 끼우고, 타단을 제 2 회전판(46)의 걸림턱에 끼워 설치한다. 이와 같은 작업을 회전판내의 모든 걸림턱에 대해 설치한다. 개시된 실시예에서 10개의 걸림턱(48)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훈연실내에는 10마리/회전봉 x 10개의 회전봉 = 100마리가 들어가게 된다.
그 다음, 훈연실(40)의 도어(14, 16)를 닫고, 제 1, 2 가스버너(50, 54)를 점화시켜 닭을 직화구이한다. 그 다음 순차적으로 또는 가스버너의 점화와 동시에 훈연난로(30)를 동작시킨다. 훈연난로(30)는 도어(32)를 통해 참나무(미도시)를 공급한 뒤, 점화시켜 연기가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발생된 연기는 연통(54)을 통해 훈연실(40)의 내부로 공급되어 내부를 가득 채우게 된다. 이 때, 매달린 닭(55)은 가스버너의 화염과 열기로 인해 직접 구워지면서, 표면에 참나무의 향이 스며들게 된다.
훈연실(40)의 내부에 연기가 지나치게 많을 경우, 가스버너가 꺼지거나 훈제의 염려가 있으므로 팬(13)을 회전시켜 연기의 일부를 배기시킨다.
통닭(55)이 조리되는 동안 모터(28)를 회전시킨다. 모터(28)의 회전력은 구동기어(27)와 벨트(26) 및 종동기어(24)를 통해 전달되면서 감속된 후, 회전축(20)을 회전시킨다. 회전축(20)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에 단단히 고정된 한쌍의 회전판(44, 46)이 함께 회전한다. 회전판(44, 46)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봉(49)이 공전하게 되고, 이때, 회전봉(49)은 자중에 의해 항상 아래로 쳐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바베큐된 닭(55)이 완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앞서 선택적으로 염지단계와 열탕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염지단계는 닭(55)을 양념(예를 들어, 마늘, 소금, 고추장, 케찹 등)에 재서 일정기간동안 유지함으로써 양념이 닭(55)의 표면에 스며들게 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염지단계를 통해 양념된 바베큐 닭고기를 조리할 수 있다.
열탕단계는 통닭의 안전성을 위해 멸균을 하는 단계이다. 멸균을 위해 고온의 열탕에 닭을 담궈서 일정시간동안 유지시킨다. 이러한 열탕단계는 닭을 익히는 것이 아니라 멸균시키는 것이므로 조리단계와는 시간과 온도에서 차이가 있다.
비록 고안에서는 통닭을 주 대상으로 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소고기, 돼지고기, 칠면조, 오리, 등의 조리에도 활용할 수 있고, 닭인 경우에도 통닭 뿐만 아니라 닭의 부위별(예를 들어, 다리살, 몸통, 닭갈비, 날개 등) 조리도 가능하다.
또한, 훈연을 위한 재료로써 참나무를 설명하였으나, 참나무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기호에 맞출수 있는 나무(예를 들어, 소나무, 오동나무 등) 또는 종래에 훈연공정에서 사용하였던 나무들로 대체 또는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에서 도시한 훈연기계(10)의 경우 외형치수는 가로길이가 약 2100mm,높이가 약 1700mm, 회전판(44)의 간격은 약 1800mm, 회전축(20)의 외경은 약 40mm, 구동기어(27)와 종동기어(24)의 축간거리는 약 600mm 정도이다. 회전축(20)은 약 5 rpm의 속도로 회전하고, 모터(28)는 약 2마력 정도이다. 그리고, 가스버너에 공급되는 가스는 LPG 또는 LNG 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에 의하면, 닭과 같은 육류를 하나의 챔버내에서 익히고 훈연시켜 바베큐 요리가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하나의 기계를 통해 직화구이 및 훈연을 실시함으로써 기기의 설치공간이 절약되는 장점이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5)
- 내부에서 음식물이 조리되고, 음식물을 출입시킬 수 있는 도어(14, 16)가 설치된 훈연실(40);상기 훈연실(40)을 가로로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축(20);상기 회전축(20)의 일단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수단;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되어 상기 훈연실(40) 내에서 회전 가능한 한 쌍의 회전판(44, 46);상기 각 회전판(44, 46)의 일면에 돌출형성되고, 중심에 걸림공(59)이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48);양단이 마주보는 상기 걸림턱(48)의 걸림공(59)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회전판(44, 46)과 함께 회전하고, 음식물(54)이 고정되는 복수의 회전봉(49);상기 훈연실(40) 내부중 하단에 돌출설치된 한 쌍의 가스버너(50, 52); 및상기 가스버너(50, 52) 부근에 설치되어 상기 훈연실(40) 내부로 연기를 공급하는 연통(54)과, 상기 연통(54)과 연결되어 연기를 발생시키는 훈연난로(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훈연실(40)은상기 훈연실(40)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2);및 상기 상기 배출구(12) 내부에 구비된 팬장치(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49)의 양단은 직각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상기 훈연실(40)의 일측에 고정된 모터(28);상기 모터(28)의 회전축에 연결된 구동기어(27);상기 구동기어(27)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상기 회전축(20)에 연결된 종동기어(24); 및상기 구동기어(27)와 상기 종동기어(24) 사이에 연결된 벨트(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훈연실(40)의 바닥에는 조리중인 음식물로부터 떨어지는 기름을 수거하기 위한 기름받이(42)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5131U KR200253256Y1 (ko) | 2001-08-20 | 2001-08-20 |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0025131U KR200253256Y1 (ko) | 2001-08-20 | 2001-08-20 |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49868A Division KR20030015985A (ko) | 2001-08-20 | 2001-08-20 |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53256Y1 true KR200253256Y1 (ko) | 2001-11-22 |
Family
ID=7308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10025131U Expired - Fee Related KR200253256Y1 (ko) | 2001-08-20 | 2001-08-20 |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53256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0675A (ko) | 2021-11-15 | 2023-05-23 | 이채환 | 훈연구이 장치 및 방법 |
KR102698123B1 (ko) | 2023-03-06 | 2024-08-22 | 임정운 | 고기의 가공장치 |
-
2001
- 2001-08-20 KR KR2020010025131U patent/KR200253256Y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0675A (ko) | 2021-11-15 | 2023-05-23 | 이채환 | 훈연구이 장치 및 방법 |
KR102698123B1 (ko) | 2023-03-06 | 2024-08-22 | 임정운 | 고기의 가공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172586C (en) | Roasting oven | |
US5373778A (en) | Roasting oven | |
WO1995020902A9 (en) | Roasting oven | |
KR101321528B1 (ko) | 고기 구이장치 | |
KR100923606B1 (ko) | 간접열을 이용한 구이장치 | |
KR101346628B1 (ko) | 고기 구이용 장치 | |
EP1411771B1 (en) | Roasting oven | |
KR100914173B1 (ko) | 회전 구이기 | |
KR100843323B1 (ko) | 회전식 바베큐 장치 | |
KR200253256Y1 (ko) |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 |
KR20030015985A (ko) | 훈연 및 직화구이 겸용 조리장치 | |
KR100903720B1 (ko) | 오리 통구이기 | |
KR101568760B1 (ko) | 훈연 바비큐 구이장치 | |
KR200394475Y1 (ko) |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 |
KR101689089B1 (ko) | 가마형 구이장치 | |
US20130139706A1 (en) | Mobile smoker oven | |
KR200166404Y1 (ko) | 고기 구이기 | |
KR101185789B1 (ko) | 요리용 화덕 | |
KR200254147Y1 (ko) | 자동회전식 고기 구이기 | |
KR20080006045U (ko) | 훈제 바베큐 제조장치 | |
KR101719242B1 (ko) | 회전식 구이장치 | |
KR200380751Y1 (ko) | 구이장치 | |
KR200214875Y1 (ko) | 육류 구이기 | |
KR200440549Y1 (ko) | 이중지붕을 구비한 바베큐장치 하우징 | |
KR200217706Y1 (ko) |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UA0107 | Dual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
Comment text: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10820 Patent event code: UA01011R07D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Patent event date: 20011025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U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821 |
|
U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U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