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9098Y1 -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 - Google Patents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9098Y1
KR200249098Y1 KR2020010019062U KR20010019062U KR200249098Y1 KR 200249098 Y1 KR200249098 Y1 KR 200249098Y1 KR 2020010019062 U KR2020010019062 U KR 2020010019062U KR 20010019062 U KR20010019062 U KR 20010019062U KR 200249098 Y1 KR200249098 Y1 KR 2002490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rail groove
coupled
frame
shock absorb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철
성수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콘스텍발명사무소
최광철
성수복
정운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콘스텍발명사무소, 최광철, 성수복, 정운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콘스텍발명사무소
Priority to KR2020010019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90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90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9098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타이어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의 폐타이어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므로 차량의 충돌사고에 의한 대형의 인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의 시설물에 있어서, 지하 차도의 입구 및 교각에 인접한 장소 등에 기초 콘크리트1을 타설하고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1에 앵커 볼트를 매설하며 상기의 앵커 볼트에 결합되어 기초 콘크리트1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의 레일 상부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2개 1조로 구성되는 한편, 레일과 결합되는 위치에 레일 홈부를 설치하고 몸체에 다수개의 관통공을 설치하며, 한쪽 측면에 형성된 사각 연결부를 가지는 레일홈틀; 상기의 레일홈틀에 폐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폐타이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한편, 중앙부에 관통공을 형성한 충격흡수 고무; 상기의 레일홈틀의 사각 연결부에 바퀴틀 연결대를 매개로하여 결합시켜 다수개의 구조를 연결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되, 하부에 구동 바퀴를 구비하고 상부에 바퀴틀 연결대와 체결핀으로 결합하는 이동식 바퀴틀; 상기의 레일홈틀과 충격흡수 고무를 관통하며, 상기의 레일홈틀, 폐타이어, 충격흡수 고무를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 볼트; 상기의 레일홈틀의 하부 관통공에 결합되며, 그 결합시 탄성력을 주기위해 스프링을 결합한 충격완화 볼트; 상기의 레일홈틀이 다수개 결합되는 제일 후방의 레일홈틀과 결합되며, 하부에 보강대를 형성하고 기초 콘크리트2에 결합하는 버팀대; 및 상기의 레일 상부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레일홈틀을 감싸되, 중간부에 다수개의 주름 고무를 결합한 특수 커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A shock-resistant apparatus of road using an abandoned tire}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폐타이어를 다수개 설치하고 상기의 폐타이어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의 충격을 흡수하므로 차량의 충돌사고에 의한 대형의 인명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에는 교량의 교각에 인접한 장소, 지하차도의 입구 및 도로의 곡선 구간 등에는 안전시설물이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한 도로의 안전시설물은주로 폐타이어, 플라스틱통 및 고무 펜더를 이용한 시설물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한 도로의 안전시설물은 상기의 시설물 이외에 철재를 이용한 안전시설물이 설치되기도 한다.
상기의 도로의 안전시설물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안전시설물을 제외한 시설물이 자동차 충돌시 1회 사용으로 파손되는 경우가 많아 새롭게 고안된 많은 안전시설물이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한 도로의 안전시설물은 설치비 및 제작 시공에 따른 많은 제약이 뒤따르는 관계로 폐타이어를 이용한 시설물이나 플라스틱통을 이용한 시설물이 주종을 이루는게 현재의 실정이라 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다른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교량의 교각 또는 교량에 인접한 장소에는 안전시설물을 설치하기 위해 콘크리트 기둥(22)이 설치되고, 상기의 콘크리트 기둥(22)에는 폐타이어(24)가 다수개 밀착되는 상태로 설치되며, 이때 상기의 콘크리트 기둥(22)은 차량과 충돌시 그 충격력을 견딜수 있도록 일정한 두께 이상으로 제작되어야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콘크리트 기둥(22)은 교각에 인접한 장소에 설치되거나 교량의 난간을 설치한 장소에 인접하여 주로 설치되는 타입을 말한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도로(20)에는 곡선 구간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6)에 그 도로면으로 폐타이어(24)가 체결구 또는 결속로프(28)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의 가이드 레일(26)에는 폐타이어(24)를 외주면이 밀착되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설치하기도 한다.
또한, 도 1과 도 2에서 설명하지 않는 도로에는 지하 차도 등과 같은 입구에 플라스틱 통이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또한 도로의 곡선 구간에는 고무 펜더 등을 이용하는 도로시설물이 설치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 구조는, 차량과 충돌시 그 충돌력이 직접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승객에게 전해지는 관계로 대형의 인명사고를 발생시키는 원인을 제공하는 등 안전시설물의 개념을 벗어난 것이 대부분이였고, 또한 폐타이어 통을 이용한 도로시설물은 차량과 충돌시 1회 사용으로 파손이 되어 막대한 안전시설물의 예산을 낭비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으며, 또한 상기한 폐타이어와 플라스틱 통을 이용한 도로시설물은 운전자나 승객들에게 도로의 미관을 해치는 흉물로 인식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도로시설물인 안전시설물에 대한 제작 및 시공이 간단하고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제작되는 관계로 시설물에 대한 설치비가 저렴하며, 종래의 안전시설물보다 안전하고 불량의 발생이 적으며, 차량과의 충돌시에도 타이어가 자바라식으로 접히는 관계로 충격을 완화시켜주므로 파손이 거의 없고 원상복구도 쉽게 이루어져 유지관리가 편리한 구조를 가지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의 시설물에 있어서, 지하 차도의 입구 및 교각에 인접한 장소 등에 기초 콘크리트1을 타설하고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1에 앵커 볼트를 매설하며 상기의 앵커 볼트에 결합되어 기초 콘크리트1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의 레일 상부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2개 1조로 구성되는 한편, 레일과 결합되는 위치에 레일 홈부를 설치하고 몸체에 다수개의 관통공을 설치하며, 한쪽 측면에 형성된 사각 연결부를 가지는 레일홈틀; 상기의 레일홈틀에 폐타이어를 고정시키기 위해 폐타이어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한편, 중앙부에 관통공을 형성한 충격흡수 고무; 상기의 레일홈틀의 사각 연결부에 바퀴틀 연결대를 매개로하여 결합시켜 다수개의 구조를 연결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되, 하부에 구동 바퀴를 구비하고 상부에 바퀴틀 연결대와 체결핀으로 결합하는 이동식 바퀴틀; 상기의 레일홈틀과 충격흡수 고무를 관통하며, 상기의 레일홈틀, 폐타이어, 충격흡수 고무를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 볼트; 상기의 레일홈틀의 하부 관통공에 결합되며, 그 결합시 탄성력을 주기위해 스프링을 결합한 충격완화 볼트; 상기의 레일홈틀이 다수개 결합되는 제일 후방의 레일홈틀과 결합되며, 하부에 보강대를 형성하고 기초 콘크리트2에 결합하는 버팀대; 및 상기의 레일 상부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레일홈틀을 감싸되, 중간부에 다수개의 주름 고무를 결합한 특수 커버로 구성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다른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에 사용되는 부재들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과 차량이 충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50 :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 52,54 : 기초 콘크리트1,2
56 : 앵커 볼트 58 : 레일
62 : 고정홈 64 : 레일홈틀
66,75,96,98 : 관통공 68 : 사각 연결부
69 : 레일홈부 70,100 : 고정볼트
72 : 폐타이어 74 : 충격흡수고무
76 : 스프링 78 : 충격완화 볼트
80 : 이동식 바퀴틀 82 : 구동 바퀴
84 : 체결핀 86 : 바퀴틀 연결대
88 : 버팀대 90 : 보강대
92 : 특수 커버 94 : 주름 고무
102 : 차량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레일(58)과 결합되는 레일홈틀(64)과, 상기의 레일홈틀(64)에 결합되는 이동식 바퀴틀(80)의 구동 바퀴(82)에 의해 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특수 커버(92)가 접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외부 충격에 자바라식으로 접히며, 특히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그 구조상 외부충격에 의한 후방밀림과 동시에 후방밀림의 원인이 제거되면 원상복구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크게 기초 콘크리트1,2(52)(54), 앵커 볼트(56), 레일(58), 레일홈틀(64), 폐타이어(72), 충격완화 볼트(78), 이동식 바퀴틀(80), 구동바퀴(82) 및 버팀대(88) 및 특수 커버(92)로 구성된다.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1(52)과 기초 콘크리트2(54)는 일반적으로 교각에 인접한 장소 또는 지하 차도의 입구에 설치가 가능하고,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1(52)에는 앵커 볼트(56)가 매설되며, 상기의 앵커 볼트(56)에는 그 직상부에 레일(58)이 결합된다.
상기의 레일(58)은 일반적인 구조를 가지는 레일 형태로 제작되는 한편, 상기의 레일(58)에는 레일홈틀(64)의 하부면과 결합이 용이한 레일 구조가 형성된다.
상기의 레일홈틀(64)은 평판형상으로 형성하여 2개가 한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의 레일홈틀(64)은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된 각각의 레일홈틀의 중앙에 고정 볼트(70)로 서로 체결하여 폐타이어(72)를 지지하고 상기의 레일홈틀(64)에는 그 측면에 사각 연결부(68)가 형성되어 이동식 바퀴틀(80)과 결합된다.
상기의 이동식 바퀴틀(80)은 접철식 구조로 형성되는데, 상기의 이동식 바퀴틀(80)에는 체결핀(84)에 의해 바퀴틀 연결대(86)가 결합되고, 이때 상기의 바퀴틀 연결대(86)는 레일홈틀(64)의 사각 연결부(68)에 체결되는 구조로, 상기의 레일홈틀(64)과 이동식 바퀴틀(80)은 그 사이에 바퀴틀 연결대(86)가 설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이다.
상기의 레일홈틀(64)은 그 하부에 레일(58)이 형성된 부분에 인접하여 외부의 충격에 의한 수축에 대향하는 구조로 충격완화 볼트(78)가 설치되며, 상기의 충격완화 볼트(78)는 각각의 레일홈틀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구조이다.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길이방향의 제일후방에 레일홈틀(64)과 고정되는 구조로 버팀대(88)가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의 레일홈틀(64)과 버팀대(88)는 고정 볼트(100)와 충격완화 볼트(78)로 중단부와 하단부가 각각 고정되어 결합된다.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다수개의 레일홈틀(64)이 결합된 그 외측을 특수 커버(92)로 마감시키는데, 이때 상기의 특수 커버(92)에는 그 사이사이에 주름 고무(94)가 형성되어 버팀대(88)측으로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이 밀릴때 그 충격을 완화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의 버팀대(88)는 기초 콘크리트1(52)을 설치한 깊이보다 더 깊게 매설시킨 기초 콘크리트2(54)에 매설되는데, 이때 상기의 버팀대(88)와 기초 콘크리트2(54)가 매설될 때 체결력이 강화되도록 보강대(90)가 버팀대(88)의 하부측면에 수평하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에 사용되는 부재들의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1에는 대략 'ㄴ'자 형태로 절곡된 앵커 볼트(56)가 다수개 매설되는데, 이때 상기의 앵커 볼트(56)는 레일(58)의 고정홈(62)을 관통하여 너트로 고정된다.
상기의 레일(58)과 결합되는 레일홈틀(64)에는 다수개의 관통공(66)이 형성되고, 상기의 레일홈틀(64)에는 그 측면에 사각 연결부(68)가 형성되며, 상기의 사각 연결부(68)에는 관통공(66)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의 레일홈틀(64)에는 하단부 중앙에 레일(58)과 결합될 수 있도록 레일홈부(69)가 형성된다.
상기의 레일홈틀(64)에는 상부에 관통공(66)이 1개가 형성되고, 하부에 관통공(66)이 2개가 형성되며, 상기의 사각 연결부(68)에도 관통공(66)이 2개가 형성되는 구조로서, 상기의 관통공(66)은 동일 번호를 사용한다.
상기의 레일홈틀(64)의 상부로 형성되는 관통공(66)에는 고정 볼트(70)가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의 고정 볼트(70)는 폐타이어(72)의 중앙에 충격흡수고무(74)가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즉, 상기의 폐타이어(72)에는 중앙의 관통부에 충격흡수고무(74)가 삽입되어 밀착되고 상기의 충격흡수고무(74)에는 그 중앙의관통공(75)에 고정 볼트(70)가 결합되어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레일홈틀(64)과 폐타이어(72)를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의 레일홈틀(64)에는 제일 하부에 위치한 2개의 관통공(66)에 충격완화 볼트(78)가 체결되는데, 이때 상기의 충격완화 볼트(78)에는 그 몸체에 스프링(76)이 결합된 상태로 2개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 레일홈틀(64)에 체결된다.
상기의 레일홈틀(64)의 사각 연결부(68)에는 이동식 바퀴틀(80)에 결합되는 바퀴틀 연결대(86)가 결합되고, 상기의 이동식 바퀴틀(80)에는 상단부에 바퀴틀 연결대(86)가 체결핀(84)으로 결합된다.
상기의 버팀대(88)에는 하측면에 보강대(90)가 하부 모서리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의 버팀대(88)에는 길이방향의 수직한 중앙부에 2개의 관통공(96)이 형성되며, 상기의 버팀대(88)에는 한쪽 측면에 레일홈틀(64)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밀착판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의 버팀대(88)와 고정되는 레일홈틀(64)은 버팀대(88)에 고정 볼트(70)와 충격완화 볼트(78)를 사용하여 고정시킨다.
상기의 특수 커버(92)는 그 사이에 다수개의 주름 고무(94)가 형성되고 상기의 특수 커버(92)에는 후단에 관통공(98)이 형성되어 버팀대(88)에 고정 볼트(100)로 결합된다.
이때 상기의 특수 커버(92)에는 주름 고무(94)가 체결시 고정 볼트(100)로 체결되는 방식을 사용한다.
상기의 고정홈(62)과 관통공(66)(75)(96)은 그 번호를 달리하여 사용하였지만 내용상 한쪽 측면에서 다른쪽 측면을 관통하는 홈을 말한다.
또한, 상기의 고정 볼트(70)와 충격완화 볼트(78)는 길이가 긴(長) 볼트를 말하고, 상기의 고정 볼트(100)는 길이가 짧은(短) 볼트를 말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과 차량이 충돌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로서,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차량(102)과 충돌시 레일(58)의 상부로 위치한 특수 커버(92)와 레일홈틀(64)이 후방으로 이동되고, 이때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제일 후방에 설치된 버팀대(88)까지 외부로 보이는 특수 커버(92)가 밀려가게 되고 상기의 외부 충격이 사라지면 이동식 바퀴틀(80)과 충격완화 볼트(78)에 체결된 스프링(76)에 의하여 전방으로 복귀하게 된다.
즉,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레일홈틀(64)의 내면에 고정된 폐타이어(72)가 레일(58)을 따라 이동하면서 차량(102)의 충격을 흡수하므로 대형 사고 및 인명 피해를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기존에 설치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시설물과는 상당히 다른 구성으로 설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내용을 간단히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종래와 같이 1회성을 가지거나 도로의 미관을 해치는 구조와는 다르게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고, 이로인해 초기투자비는 종래의 구조물에 비하여 과다하게 소요되지만 계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구조를 가지며, 또한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외부충격에 의하여 파손이 생기는 경우는 그 부분만을 해체하여 새롭게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둘째로,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폐타이어(72)를 특수 고무(92)의 내측에 보이지 않도록 설치하는 관계로 그 특수 커버(92)의 외측에 도로의 특성과 알맞은 도안과 색채를 가미할 수 있고 그로인해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에 대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셋째로,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레일홈틀(64)에 이동식 바퀴틀(80)과 바퀴틀 연결대(86)를 설치하여 외부충격에 대하여 접철되는 구조로 형성시켰고, 또한 상기의 레일홈틀(64)에는 하단중앙부에 충격완화 볼트(78)를 관통시켜 레일홈틀(64)의 하단부에 탄성력에 의한 복귀를 도모하고 있다.
넷째로,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레일(58)의 상부에 레일홈틀(64)을 결합하고 그 2개 1조로 구성되는 레일홈틀(64)의 내측면에 폐타이어(72)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그 구조를 강화하고 있어 작업자들은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을 설치시 1조로 이루어진 구조를 운반한 뒤 현장에서 이동식 바퀴틀(80)과 바퀴틀 연결대(86)를 결합시킬 수 있어 작업의 원활화를 도로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로,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레일홈틀(64)과 결합되는 폐타이어(72)의 종류가 일치된 상태로 사용되는 것이 그 구조물의 특성을 나타내는데 있어 가장 효과적이지만, 상기의 특수 커버(92)와 레일홈틀(64)의 길이 및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폐타이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50)은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폐타이어를 이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으로 대두되던 폐타이어를 환경친화적인 상태의 구조물로 전환하여 특수커버의 내측에 설치가 가능한 관계로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을 도로에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동 상태에 따른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은, 종래에 사용되던 구조물과는 완전히 차이를 가지도록 1회성의 문제점을 해결하였고, 또한 도로의 미관을 해치는 구조가 아니라 친환경적인 형태를 가지는 구조물로 전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은 외부충격에 의하여 파손이 생기는 경우는 그 부분만을 해체하여 하자가 없는 제품의 설치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은 폐타이어를 특수 고무의 내측에 보이지 않도록 설치하는 관계로 그 특수 고무의 외측에 도로의 특성과 알맞은 도안과 색채를 가미할 수 있어 종래와는 다른 미관을 향상시킨 구조물을 도로시설물로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은 레일홈틀에 이동식 바퀴틀과 바퀴틀 연결대를 설치하여 외부충격에 대하여 접철되는 구조가 가능하고, 상기의 레일홈틀에는 하단중앙부에 충격흡수형 볼트를 관통시켜 레일홈틀의 상,하단부가 복귀하는특성을 부여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도로시설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은 2개 1조로 구성되는 레일홈틀의 내측면에 폐타이어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다수개를 설치가 가능한 관계로 외부 충격에 대하여 강한 구조를 가지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들은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을 설치시 1조로 이루어진 구조를 운반한 뒤 현장에서 이동식 바퀴틀과 바퀴틀 연결대를 결합하여 특수 커버로 마감시키는 관계로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은 레일홈틀과 특수커버의 길이 및 높이를 조절하여 다양한 형태의 폐타이어를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로 사용할 수도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1)

  1.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의 시설물에 있어서,
    지하 차도의 입구 및 교각에 인접한 장소 등에 기초 콘크리트1(52)을 타설하고 상기의 기초 콘크리트1(52)에 앵커 볼트(56)를 매설하며 상기의 앵커 볼트(56)에 결합되어 기초 콘크리트1(52)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레일(58); 상기의 레일 상부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2개 1조로 구성되는 한편, 레일과 결합되는 위치에 레일 홈부(69)를 설치하고 몸체에 다수개의 관통공(66)을 설치하며, 한쪽 측면에 형성된 사각 연결부(68)를 가지는 레일홈틀(64); 상기의 레일홈틀(64)에 폐타이어(72)를 고정시키기 위해 폐타이어(72)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한편, 중앙부에 관통공(75)을 형성한 충격흡수 고무(74); 상기의 레일홈틀(64)의 사각 연결부(68)에 바퀴틀 연결대(86)를 매개로하여 결합시켜 다수개의 구조를 연결시키는 구조로 형성되되, 하부에 구동 바퀴(82)를 구비하고 상부에 바퀴틀 연결대(86)와 체결핀(84)으로 결합하는 이동식 바퀴틀(80); 상기의 레일홈틀(64)과 충격흡수 고무(74)를 관통하며, 상기의 레일홈틀(64), 폐타이어(72), 충격흡수 고무(74)를 일체로 고정하는 고정 볼트(70); 상기의 레일홈틀(64)의 하부 관통공(66)에 결합되며, 그 결합시 탄성력을 주기위해 스프링(76)을 결합한 충격완화 볼트(78); 상기의 레일홈틀(64)이 다수개 결합되는 제일 후방의 레일홈틀(64)과 결합되며, 하부에 보강대(90)를 형성하고 기초 콘크리트2(54)에 결합하는 버팀대(88); 및 상기의 레일(58) 상부에 형성되어 다수개의 레일홈틀(64)을 감싸되, 중간부에 다수개의 주름 고무(94)를 결합한 특수 커버(92)로 구성된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
KR2020010019062U 2001-06-25 2001-06-25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 Expired - Fee Related KR2002490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62U KR200249098Y1 (ko) 2001-06-25 2001-06-25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62U KR200249098Y1 (ko) 2001-06-25 2001-06-25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9098Y1 true KR200249098Y1 (ko) 2001-10-17

Family

ID=73066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062U Expired - Fee Related KR200249098Y1 (ko) 2001-06-25 2001-06-25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90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49B1 (ko) * 2010-07-08 2013-02-25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 안전 방호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449B1 (ko) * 2010-07-08 2013-02-25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 안전 방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7728B1 (ko) 가드레일
KR100885493B1 (ko) 도로 시설물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KR100872039B1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200249098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자동차 충격흡수형 도로시설물
KR20120001028U (ko) 높이 조절식 보강 가드레일
JP3831776B2 (ja) ガードレールの衝撃吸収構造体
KR200271364Y1 (ko) 교차로 진입도로의 차량 충돌 완충장치
KR200391835Y1 (ko) 복합형 차량 방호책
KR200422066Y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200283318Y1 (ko) 충격흡수형 피.이 주름블록을 이용한 도로용 가드레일
KR101137587B1 (ko) 비상회차 가드레일
KR200341898Y1 (ko) 가드레일
KR100711965B1 (ko) 충격흡수용 도로용 가드레일 설치구조
KR200467526Y1 (ko)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CN112695631A (zh) 一种大桥钢护栏及其施工方法
KR200252858Y1 (ko) 고무판과 슬립 파이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도로시설물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0274017Y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100467083B1 (ko) 충격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구조
KR100903214B1 (ko) 가드레일
KR200271607Y1 (ko) 우레탄 특수 스폰지 블록을 이용한 도로의 중앙 분리대충격흡수시설
CN222161039U (zh) 一种免翼墙过渡段护栏
KR100964549B1 (ko) 자동차도로용 운전자 위험 인식매트
KR200382801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완충용 중앙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10625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92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10626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905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