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426Y1 - 유수분리기 - Google Patents

유수분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426Y1
KR200242426Y1 KR20010014150U KR20010014150U KR200242426Y1 KR 200242426 Y1 KR200242426 Y1 KR 200242426Y1 KR 20010014150 U KR20010014150 U KR 20010014150U KR 20010014150 U KR20010014150 U KR 20010014150U KR 200242426 Y1 KR200242426 Y1 KR 2002424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raw water
filter
bub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100141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섭
구본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월드
Priority to KR200100141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426Y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010026374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0069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4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4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31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 B01D29/33Self-supporting filtering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5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29/5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 B01D29/5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in series connection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2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filt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름과 물이 혼합된 원수(原水)를 그 혼합상태나 혼합도에 관계없이 기름과 물로 완벽하게 분리하여 기름은 회수하고, 물은 배출하는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물과 기름이 혼합된 원수를 저수하지 않고 흐르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유수분리를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원수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밀도의 필터를 적용하므로써 유수분리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상태의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구(11), 수면상에 부유되는 기름층이 배출되는 기름배출구(12), 내부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13)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는 기름이 분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유로(14)가 형성된 통형의 분리조(10); 상기 분리조(10)의 수면상에 부상된 상태이면서 상기 기름배출구(12)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분리조(10)의 수면상에서 수거된 기름층을 기름배출구로 유도 배출되게 하는 스키머(20); 상기 분리조(10) 내의 배수유로(14) 상측에 설치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수단(30); 상기 원수유입구(11)와 기포발생수단(30) 사이에 설치되어 기름은 포집하고 물과 기포는 통과시키는 분리필터(40); 상기 배수유로(14)의 출구(14a)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분리필터(40)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배수구(51)를 갖는 수위조정조(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수분리기{oil separator}
본 고안은 기름과 물이 혼합된 원수(原水)를 그 혼합상태나 혼합도에 관계없이 기름과 물로 완벽하게 분리하여 기름은 회수하고, 물은 배출하는 유수분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름은 물에 용해되지 않으며, 비중차가 있어 쉽게 분리되는 것 같으면서도 실상은 완벽하게 분리하는 적절한 방법이 없다. 그 원인은 유속이 빠른 물에 기름이 섞일 경우, 수면에 퍼지는 것 외에 수 미크론에서 수 미리의 다양한 크기로 된 기름이 물 속에 부유(浮遊)하게 되어 쉽게 떠오르지 않는데 있으며, 따라서 필연적으로 한 가지 분리법만으로는 완벽한 분리가 불가능 했다. 그리고, 기름과 물이 혼합된 상황에서 대부분의 경우 매우 대량의 물에 섞이게 마련이고 그 만큼 대량의 원수(原水)를 처리해야하고, 또한 원수를 분리장치에 이송할 때 펌프 사용이 부득이한 바, 이때 대량의 부유 유적(油滴)이 생기는 어려움이 있다.
참고적으로, 물이 혼합된 원수에서 기름과 물을 각각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비중분리법, 필터분리법, 전기응집법(電氣凝集法) 폭기(曝氣)분리법 등이 있다.
먼저, 비중분리법은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고 기름이 물보다 가벼운 성질을 이용한 방법으로, 원수(原水)를 분리조(分離槽) 속에 정치(靜置)시키거나 여러개의유도판을 따라 서서히 흐르게 하고, 수면에 떠오른 기름을 오일 스키머(oil skimmer)로 포집하는 방법이며, 공장폐수 등에 섞인 기름의 분리에 널리 쓰여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비중분리법의 최대 난점은 물의 비중이 1(g/cc)인데 비해 기름의 비중이 평균 약 0.8(g/cc)로 그다지 큰 차가 없기 때문에 원수가 흐르는 상태에서는 작은 유적(油滴)은 쉽게 떠오르지 않아 상당히 큰 규모의 분리조 속에서 원수를 일시 정치(靜置)상태에 두거나 매우 천천히 흐르게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그 만큼 큰 규모의 장치(시설)가 필요하고, 또한 원수의 분리조 유입에는 펌프사용을 억제해야 한다. 또한 비중분리법으로는 수 미크론 크기의 미세 기름입자를 분리하기 어렵고, 한편으로 분리에 장시간이 소용되는 관계로 분리되는 기름은 그 사이 산화(酸化) 변질되어 재생에 적지 않은 비용이 소요된다.
또한, 필터분리법에는 코아레서(coaleser) 필터법과 중공사(中空絲) 필터법이 있는데, 코아레서 필터법은 원수속에 부유되는 미세 기름입자가 필터를 지나갈 때 조대화(粗大化)되고 수면위로 떠오르도록 하는 방법이며, 세척수의 기름 분리에 쓰여지고 있다. 중공사 필터법은 가운데에 공간을 가진 특수섬유를 필터로 싸서 기름을 걸러서 물만을 통과시키는 방법인 바, 중공사에 기름이 묻으면 필터기능이 상실되므로 주로 에멀션(emulsion)화 된 기름입자의 제거에 쓰여지고 있다.
그러나, 필터분리법의 최대 난점은 수 미크론 크기의 미세입자의 분리가 목적인 만큼 유입되는 원수의 양이 많거나 기름의 혼합도가 높으면 직접 처리가 곤란하여 1차로 비중분리할 필요가 있고, 또한 처리속도가 느린데다가 필터에 기름이묻게 되면 필터기능이 상실되므로 정기적으로 필터를 세척해야 하거나 비중분리법과의 병행을 요한다든지 그 용도에 제한을 받게 된다.
또한, 전기응집법(電氣凝集法)은 일반적으로 에멀션(emulsion)화 된 기름입자가 지니는 마이너스 전하(電荷)를 전기적으로 중화(中和)시켜 응집 부상시키는 방법인 바, 에멀션화 된 기름입자에만 유효한 방법으로서 필터분리법과 비슷한 난점을 가진다.
그리고, 폭기법은 폭기조 바닥에서 기포를 폭기함으로써 기포에 미세기름 입자를 부착시켜 떠오르게 하는 방법이다.
상기 폭기법은 이론적으로 가능할 것 같지만 출원인이 추실험(追實驗)한 바, 미세 기름입자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서는 그 만큼 미세한 기포를 대량으로 공급해 주어야 하는데, 이 미세 기포도 원수가 흐르고 있으면(기름입자 만큼은 아니더라도) 쉽게 떠오르지 않으므로 어느 정도 규모의 분리조와 분리시간이 필요하다. 다만 비중분리법이 미세 기름입자의 제거에는 별 실효가 없는 데 비해 폭기법은 그 효과를 볼 수 있다. 폭기법은 큰 덩어리의 기름입자로 부터 미세 입자까지 적절하게 분리해 주지만 비중분리법에 비해 장치규모나 분리시간 면에서는 기대만큼의 개선효과가 없어 아직까지 장치로서 구현이 안되고 있다.
이와 같이, 현재의 분리방법은 유입되는 원수의 양을 처리능력에 맞춰 제한하거나, 아니면 그에 맞춰 장치를 크게 할 필요가 있고, 또한 수면과 수중에 다양한 크기로 혼합되어 있는 기름을 한 공정으로는 처리하지 못하고 2 내지 3단계 처리를 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이 요망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물과 기름이 혼합된 원수를 저수하지 않고 흐르는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유수분리를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원수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밀도의 필터를 적용하므로써 유수분리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는 유수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구성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필터의 세부구성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분리필터의 배관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리필터의 밀도 결정용 시험구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분리조 11 : 원수유입구
12 : 기름배출구 13 : 배기구
14 : 배수유로 15 : 원수유도댐
20 : 스키머 30 : 기포발생수단
31 : 기포관 32 : 공기주입기
40 :분리필터 41 : 기포포집관
42 : 연결관 43 : 기포배출관
44 : 고밀도 필터 45 : 저밀도 필터
50 : 수위조정조 51 : 배수구
60 : 원수유입관 61 : 이물질 여과필터
70 : 시험기구 71 : 큰 유리관
72 : 작은 유리관 73, 74 : 철망
75 : 필터소재 76 : 시험용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수분리기는,
상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상태의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구, 수면상에 떠오르는 기름층이 배출되는 기름배출구, 내부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는 기름이 분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유로가 형성된 통형의 분리조; 상기 분리조의 수면상에 부상된 상태이면서 상기 기름배출구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분리조의 수면상에서 수거된 기름층을 기름배출구로 유도 배출되게 하는 스키머; 상기 분리조 내의 배수유로 상측에 설치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수단; 상기 원수유입구와 기포발생수단 사이에 설치되어 기름은 포집하고 물과 기포는 통과시키는 분리필터; 상기 배수유로의 출구에 연결 설치되며, 배수구가 분리필터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수위조정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리필터는 하부 개구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분리조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포를 수집하는 다수의 기포포집관; 상기 기포포집관의 하부에 기포포집관과 어긋나게 설치됨과 함께 기포포집관과 연결되어 기포포집관으로부터 유도되어온 기포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 개방형으로 된 다수의 기포배출관; 상기기포포집관과 기포배출관을 외주를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설치하므로써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고밀도 필터; 상기 고밀도 필터에 의해 구획된 상측 공간부에 충진된 저밀도 필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수유입구와 분리필터 사이에 횡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원수유도댐을 설치하여 원수유입구에서 배출되는 원수가 분리필터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우회하여 접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원수유입구에는 분리조의 외부로부터 원수유입관을 연결 설치하고, 이 원수유입관의 내부에는 원수에 포함된 고형이물을 여과하기 위한 이물질 여과필터가 설치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분리조의 하부에 설치된 다공형의 기포관; 상기 기포관의 외부 노출부에 설치되어 기포관으로 공기를 강제 주입해 주는 송풍기와 같은 공기주입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포발생수단은 이젝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수분리기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따르면, 본 고안의 유수분리기는 상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상태의 원수유입구(11), 수면상에 부유되는 기름층이 배출되는 기름배출구(12), 내부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13)가 가각 형성되며, 하부에는 기름이 분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유로(14)가 형성된 통형의 분리조(10)와; 상기 분리조(10)의 수면상에 부상된 상태이면서 상기 기름배출구(12)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분리조(10)의 수면상에 수거된 기름층을 기름배출구(12)로 유도되게 하는 스키머(20)와; 상기 분리조(10)내의 배수유로(14) 상측에 설치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수단(30)과; 상기 원수유입구(11)와 기포발생수단(30) 사이에 설치되어 기름은 포집하고 물과 기포는 통과시키는 분리필터(40)와; 상기 배수유로(14)의 출구(14a)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분리필터(40) 보다 상측에 배수구(51)가 위치하는 수위조정조(50)로 크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수유입구(11)에는 분리조(10)의 외부로 부터 원수유입관(60)을 연결 설치하고, 이 원수유입관(60)의 내부에는 원수에 포함된 고형이물을 여과하기 위한 이물질 여과필터(61)가 설치된다. 이 이물질 여과필터(61)는 원수가 분리조(10)로 유입되기 전에 비교적 큰 고형의 이물질을 여과하여 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스키머(20)는 수위에 따라 승강되므로 수위에 관계없이 부유된 기름을 회수할 수 있다. 때문에 기존에 분리조(10) 앞에 설치되었던 유량조정조(미도시)가 필요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필터(40)는 도 2a 내지 2b에서와 같이 하부 개구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분리조(10)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포를 수집하는 다수의 기포포집관(41)과; 상기 기포포집관(41)의 하부에 기포포집관과 어긋나게 설치됨과 함께 기포포집관과 연결되어 기포포집관으로부터 연결관(42)을 통해 유도되어온 기포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 개방형으로 된 다수의 기포배출관(43)과; 상기 기포포집관(41)과 기포배출관(43)의 외주에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설치하므로써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약 2~3mm 두께의 고밀도 필터(44)와; 상기 고밀도 필터(44)에 의해 구획된 상측 공간부에 충진된 저밀도 필터(45)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포포집관(41)과 기포배출관(43)은 고밀도 필터(44)가 흡수(吸水)된 상태에서는 기포를 통과시키지 않기 때문에 고밀도 필터(44)의 하부에 고인 공기를 기포포집관(41)을 통하여 기포배출관(43)으로 보내주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고밀도 필터(44)와 저밀도 필터(45)의 2중 필터 구조는 원수속에 수 미크론부터 수 십미크론 크기의 미세 기름입자가 부유하고 있을 경우에 필요한 구성이며, 만일 부유 기름입자의 크기가 이보다 클 경우에는 저밀도 필터(45)만으로도 충분하다.
또한, 상기 고밀도 필터(44)와 저밀도 필터(45)의 소재로는 금속섬유가 가장 적합한 바, 탄소섬유나 나이론 (발포)부직포 등을 쓸수도 있다, 필터밀도, 곧 다공구조의 크기는 기름의 종류(점도)에 따라 달리 할 필요가 있으므로 도 3과 같은 시험기구(70)를 이용하여 정한다. 이를 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큰 유리관(71)의 밑부분과, 이 큰 유리관(71)의 내경에 밀착되게 삽입되는 작은 유리관(72)의 밑부분에 각각 철망(73,74)을 고정하고, 큰 유리관(71)의 철망(73)상에 필터소재(75)를 담은후 작은 유리관(72)을 끼워놓고 필터소재(75)에 대상기름을 묻게 하고 물이 담겨 있는 시험용기(76)내에 침수시키면 부력으로 인해 유적(油滴)이 수면에 떠오르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 작은 유리관(72)을 서서히 눌러주면 필터소재의 다공구조가 작아지면서 부력과 필터의 보지력(保持力)이 균형을 이루게 되어 더 이상 필터에서 유적이 떨어져 나가지 않게 된다. 이때의 소재두께와 무게 및 유리관 내경에서 필터의 밀도를 구할 수 있다. 위 방법에서 구한 밀도를 고밀도 필터(44)의 밀도로 하고, 같은 수치의 30~40%를 저밀도 필터(45)의 밀도로 정한다.
그리고, 상기 원수유입구(11)와 분리필터(40)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비스듬한 판형의 원수유도댐(15)을 설치 또는 형성하여 원수유입구(11)로부터 유입되는 원수가 분리필터(4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우회(by pass)하여 접촉되게 하므로써, 수압에 의해 분리필터(40)의 조기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한편, 부상하는 기포가 이 유도판을 따라 한쪽으로 유도됨으로서 수면의 스키머를 요동시키는 일이 없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기포발생수단(30)은 분리조(10)의 하부에 설치된 다공형의 기포관(31)과; 상기 기포관(31)의 외부 노출부에 설치되어 기포관(31)으로 공기를 강제 주입해 주는 송풍기와 같은 공기주입기(32)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기포발생수단(30)으로서, 이젝터(ejector)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의 장치가 실현되는 유수분리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분자는 액체 상태에서 개개의 분자가 단독으로 있지 않고, 수 개의 분자가 하나의 덩어리를 이루고 움직인다. 이것은 분자 표면이 이론적으로 전기적으로 중성이지만, 실제로는 전하가 편재하고 있어 분자간에 서로를 잡아당기는 힘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분자나 이러한 분자 덩어리는 자기크기에 알맞은 다공구조를 만나면 그 속에 안주하는 성질이 있는 것 또한 잘 알려진 사실인 바, 기름의 경우 다공구조 속에 포착된 분자 덩어리는 그 점성때문에 다시 다른 분자 덩어리와 결합하는데, 본 고안은 이와 같은 기름의 성질을 이용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장치에서는 원수유입관(60) 및 원수유입구(11)를 경유하여 분리조(10)내로 유입된 원수 위에서 아래로 흐르게 되는데, 원수중 기름입자는 기포발생수단(30)으로부터 상승하는 기포에 밀려 분리필터(40)의 상대적으로 작은 다공구조에 접하게 되어 그 곳에 포착된다. 왜냐하면 기포는 수 미크론 이하의 매우 작은 포아(pore)로부터 수 백 미크론에 이루는 큰 포아로 이루어진 필터 다공구조중에서도 되도록 큰 포아를 통과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포아에 포착된 기름입자는 다른 기름입자를 만나면 서로 결합하여 점점 커지게 되는데 어느 정도 커지면 올라오는 기포로 인해 일부를 남긴 채 잘라져서 분리필터(40) 상층부쪽으로 이동하다가 결국에는 기포에 의해 필터에서 떨어져 나가 기포와 함께 분리조(10)의 수면으로 떠올라서 확실하게 분리되고, 한편 분리필터(40)의 다공구조에 잡힌 채 남은 뿌리(기름입자)는 다시 핵이 되어 다른 기름입자와 결합하는 과정을 되풀이 한다.
또한, 어느 정도 크기 이상의 유적은 분리필터(40)의 상부에서 기포를 만나 기포에 묻혀 함께 상승하므로 분리필터(40)에 부담이 가지 않으며, 물은 올라오는 기포나 다공구조에 묻혀있는 기름을 밀치고 내려가므로 원수의 체증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무엇보다 원수의 흐름이 위에서 아래로 향하고 있으므로 기포나 유적을 상승시키기 위한 별도 공간은 필요없다.
이 방법은 저밀도 필터(45)의 두께가 두꺼우면 매우 미세한 기름입자를 충분히 응집시켜준다. 그러나 장치의 크기나 효율성면에서 낭비적인 측면도 있으므로 저밀도 필터(45)의 두께는 최소화하고, 그 대신 저밀도 필터(45) 밑에 보다 밀도가 높은 고밀도 필터(44)를 두고 보완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고밀도 필터(44)는 통수성이 많이 떨어지지만 표면적을 넓혀주면 전체적인 유량은 유지되며, 또한 통수성능이 떨어지는 만큼 통과유속도 상당히 느리게 되므로 수 미크론 크기의 기름입자도 확실하게 포착해 준다. 다만 원수 유입량이 설계 상한치 보다 많아져 분리조(10)의 수위가 높아지면 유속도 그 만큼 빨라지므로 고밀도 필터(44)에 포착되어 있던 기름이 유적으로 떨어져 나가는 유적 크기는 수십 미크론 이상이므로, 아래서 폭기되는 기포에 쉽게 잡혀 상승하여 다시 고밀도 필터(44)에 묻게 되므로 이러한 경우에도 배수에 기름이 섞여나갈 염려는 없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서의 비중분리나 필터분리 및 폭기의 개념은 종래의 개념과 상당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고안의 분리조(10)에서는 기포와 함께 분리필터(40)에서 떨어져 나온 유적이 다시 분리필터(40)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기능과 원수가 일정압 이상에서 분리필터(40)를 통과하도록 수압을 유지해주는 기능 및 원수 유입량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유량조정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분리필터(40)는 일견 코아레서 필터와 유사해 보이지만, 코아레서 필터의 다공구조는 기름을 포착하지 않고 흐름에 대한 저항력으로만 기능해야 하므로, 그 다공구조는 그만큼 되도록 일정하게 상대적으로 고밀도로 제작되어야 하며, 다공구조에 기름이 포착되면 통수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정기적인 세척이 필요하다. 이에 반해 본 고안의 분리필터(40)는 수 미크론 이하의 미세 포아로부터 수백 미크론에 이르는 큰 포아가 혼재하되(그만큼 통수성이 좋음), 기름입자가 큰 포아만을 통과하면서 분리필터(40)를 벗어날 일이 없도록 분리필터 내부에도 기포를 폭기시켜서 이를 기름입자에 대한 저항으로 이용하는 것이며, 또한 코아레서 필터와 달리 미세 포아에서 기름입자를 포착하고 포착된 기름입자가 핵이 되어 다른 기름입자를 응집시키는 방식이므로 필터를 정기적으로 세척해 줄 필요가 없다.
폭기 또한 종래의 폭기 목적이 미세 기름입자의 포착에 있었지만, 본 고안에서는 시스템 전체에 기포를 공급하는데 있으며, 폭기조 안에서도 고밀도 필터(44)로부터 이탈한 상대적으로 큰 유적을 포착, 고밀도 필터(44)로 다시 운반하는데 있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분리필터(40)는 중간정도의 점도를 갖는 기름(기계유, 보일어유, 싱용유 등)을 분리대상으로 하고,W196×L328×H245mm 크기로 제작하여 실험한 결과, 시간당 3.2m3의 처리성능을 보였고, 에멀션(emulsion)화된 기름도 확실하게 분리해 주었다. 따라서 2×2×2m 안팍 크기의 장치라면 능히 시간당 30톤 이상의 유입량을 처리할 수 있는데, 이것은 처리능력에 비해 장치 크기가 획기적으로 작을 뿐 더러 분리처리를 한 과정으로 처리하므로 처리시간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첫 째, 중소규모의 공장에서는 시설부지 면적이나 비용문제 때문에 기름 제거처리 없이 공장폐수가 방류되어 왔으나, 본 고안의 장치는 설치면적이나 비용을 현저히 경감할 수 있어 기름 유출방지를 촉진시킨다.
둘 째, 수질관리규정에서 기름의 유출량도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추세인 바, 본 고안의 장치는 기존의 오폐수 처리시설에 간단히 추가 설치가 가능하다
세 째, 바다나 하천에 유출된 기름의 제거작업이 어려웠던 이유는 제거작업을 위해 양수하면 양수과정에서 대량의 미세 기름입자가 생겨 이를 효과적으로 처리 못하였고, 동시에 대량의 물도 함께 유입되므로 처리능력에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장치는 소형선박에도 탑재가 가능하며, 기름을 물과 함께 양수해도 분리처리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기름 제거작업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유출된 기름도 원상태대로 회수할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가 크다.

Claims (6)

  1. 상부에 물과 기름이 혼합된 상태의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유입구(11), 수면상에 부유되는 기름층이 배출되는 기름배출구(12), 내부공기가 배기되는 배기구(13)가 각각 형성되며, 하부에는 기름이 분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유로(14)가 형성된 통형의 분리조(10);
    상기 분리조(10)의 수면상에 부상된 상태이면서 상기 기름배출구(12)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분리조(10)의 수면상에서 수거된 기름층을 기름배출구로 유도 배출되게 하는 스키머(20);
    상기 분리조(10) 내의 배수유로(14) 상측에 설치되어 기포를 발생시키는 기포발생수단(30);
    상기 원수유입구(11)와 기포발생수단(30) 사이에 설치되어 기름은 포집하고 물과 기포는 통과시키는 분리필터(40);
    상기 배수유로(14)의 출구(14a)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분리필터(40) 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배수구(51)를 갖는 수위조정조(5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필터(40)는 하부 개구형의 파이프 형상으로 되어 분리조(10)의 하부에서 상승하는 기포를 수집하는 다수의 기포포집관(41);
    상기 기포포집관(41)의 하부에 기포포집관과 어긋나게 설치됨과 함께 기포포집관과 연결되어 기포포집관으로부터 유도되어온 기포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 개방형으로 된 다수의 기포배출관(43);
    상기 기포포집관(41)과 기포배출관(43)을 외주를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설치하므로써 지그재그 형상을 갖는 고밀도 필터(44);
    상기 고밀도 필터(44)에 의해 구획된 상측 공간부에 충진된 저밀도 필터(4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구(11)와 분리필터(40) 사이에 횡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원수유도댐(15)을 설치하여 원수유입구(11)에서 배출되는 원수가 분리필터(4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고 우회하여 접촉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4. 제1 항에 있어서,
    원수유입구(11)에는 분리조(10)의 외부로부터 원수유입관을 연결 설치하고, 이 원수유입관(60)의 내부에는 원수에 포함된 고형이물을 여과하기 위한 이물질 여과필터(61)가 설치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수단(30)은 분리조(10)의 하부에 설치된 다공형의 기포관(31);
    상기 기포관(31)의 외부 노출부에 설치되어 기포관으로 공기를 강제 주입해 주는 송풍기와 같은 공기주입기(3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수단(30)은 이젝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수분리기.
KR20010014150U 2001-05-15 2001-05-15 유수분리기 KR2002424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4150U KR200242426Y1 (ko) 2001-05-15 2001-05-15 유수분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14150U KR200242426Y1 (ko) 2001-05-15 2001-05-15 유수분리기
KR1020010026374A KR20010069844A (ko) 2001-05-15 2001-05-15 유수분리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6374A Division KR20010069844A (ko) 2001-05-15 2001-05-15 유수분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426Y1 true KR200242426Y1 (ko) 2001-10-15

Family

ID=71107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10014150U KR200242426Y1 (ko) 2001-05-15 2001-05-15 유수분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42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864B1 (ko) * 2009-03-25 2011-12-22 신우리 유수분리장치
KR200470924Y1 (ko) 2013-10-07 2014-01-27 주식회사서북환경산업 유수 분리장치
WO2020131623A1 (en) * 2018-12-21 2020-06-25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Flot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KR20210045249A (ko) * 2019-10-16 2021-04-26 박문희 유수분리장치
KR20210126467A (ko) 2020-04-10 2021-10-20 김성철 버킷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KR20210126466A (ko) 2020-04-10 2021-10-20 김성철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6864B1 (ko) * 2009-03-25 2011-12-22 신우리 유수분리장치
KR200470924Y1 (ko) 2013-10-07 2014-01-27 주식회사서북환경산업 유수 분리장치
WO2020131623A1 (en) * 2018-12-21 2020-06-25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Flot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US10987677B2 (en) 2018-12-21 2021-04-27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Flot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US11383250B2 (en) 2018-12-21 2022-07-12 Cameron International Corporation Flotation performance enhancement
KR20210045249A (ko) * 2019-10-16 2021-04-26 박문희 유수분리장치
KR102333210B1 (ko) 2019-10-16 2021-11-30 박문희 유수분리장치
KR20210126467A (ko) 2020-04-10 2021-10-20 김성철 버킷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KR20210126466A (ko) 2020-04-10 2021-10-20 김성철 컨베이어를 이용한 유수 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0931B1 (ko) 스크린과 섬유볼 여재의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100900714B1 (ko) 오염된 물을 정화시키는 장치
US4282097A (en) Dynamic oil surface coalescer
JP3640070B2 (ja) 油水分離除去装置
KR100605267B1 (ko) 우수처리장치
KR101874063B1 (ko) 스크린과 여재를 이용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JP5850793B2 (ja) 懸濁水のろ過装置及び方法
KR200242426Y1 (ko) 유수분리기
KR20010069844A (ko) 유수분리기
CN215462264U (zh) 一种全自动重力式隧道废水处理精滤机
KR100807192B1 (ko)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JP3640285B2 (ja) 凝集沈殿装置
JP4135341B2 (ja) 凝集沈殿方法並びに沈殿装置
KR101130569B1 (ko) 여과효율이 향상되는 비점오염물 제거장치
JP6779475B2 (ja) アオコ濃縮回収装置
CN211445299U (zh) 一体化污水处理撬
JP6496931B2 (ja) 加工液処理システム
KR20080017670A (ko) 중공사막을 이용한 우수처리장치
KR100568125B1 (ko) 수중 오염물의 분리 제거장치
JP3815615B2 (ja) 繊維ろ材を用いた高速ろ過装置
CN220546630U (zh) 一种针对轻污染水的快速过滤装置
JP3040062U (ja) 油水分離装置
CN214327319U (zh) 用于油水分离预处理的滤芯及组件和油水分离装置
CN214360560U (zh) 一种油水分离预处理滤芯组件及油水分离预处理装置
JP2766881B2 (ja) 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7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