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669Y1 -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 - Google Patents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669Y1
KR200230669Y1 KR2020010001721U KR20010001721U KR200230669Y1 KR 200230669 Y1 KR200230669 Y1 KR 200230669Y1 KR 2020010001721 U KR2020010001721 U KR 2020010001721U KR 20010001721 U KR20010001721 U KR 20010001721U KR 200230669 Y1 KR200230669 Y1 KR 2002306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crt
base
bent
fix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7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효섭
Original Assignee
심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효섭 filed Critical 심효섭
Priority to KR20200100017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66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6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669Y1/ko

Link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면서도 제작단가가 매우 저렴할 뿐만 아니라 브라운관 베이스를 다단계로 조여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여 작업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브라운관의 베이스가 회로기판유닛의 접속단자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와 접속단자의 접속부를 체결하는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막대형상의 금속판을 링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것으로써, 일단부에 일측으로 직각되게 절곡형성되고, 절곡부에 관통형성되는 조립공을 갖는 제 1손잡이부와; 양측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간격져서 톱니형상을 갖고 측방으로 돌출형성되고, 각각의 후단부측에 상기 제 1손잡이부의 조립공 연부와 조립되도록 절개형성되는 걸림홈을 갖는 다수개의 체결톱니와, 탄성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장공을 갖고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조립공과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와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져서 ㄷ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직각되게 절곡형성되는 제 2손잡이부와; 중간부 일측단부에 ㄷ자 형상으로 절취형성되고, 체결시 체결부위에 형성된 조립돌기와 조립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홈을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A clamp for the base of braun tybe}
본 고안은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면서도 제작단가가 매우 저렴할 뿐만 아니라 브라운관 베이스를 다단계로 조여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여 작업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의 후단부측에는 베이스가 장착되고, 상기 베이스는 회로기판유닛의 접속단자와 조립하여 접속시키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접속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접속부의 튜브 외주면을 고정링을 사용하여 조여줌으로써 브라운관 베이스와 회로긴판유닛의 접속단자의 탈거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a)은 파지부재(b)와, 복수개의 체결부재(c)(d)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재(b)는 막대형상의 금속판을 원호형상으로 절곡형성시킨 것으로써 양단부에 각각 힌지공(b1)(b2)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체결부재(c)(d)중 체결부재(c)는 막대형상의 금속편을 사다리꼴형상으로 절곡시킨 것으로써 일단부에는 힌지공(c1)이 관통형성되고, 타단부에는 상기 파지부재(b)의 힌지공(b1)과 힌지결합되도록 링형상으로 절곡형성된 힌지편(c2)을 일체로 갖고 있으며, 상기 체결부재(d)는 막대형상의 금속판을 원호형상으로 절곡시킨 것으로써 일단부에는 상기 파지부재(b)의 힌지공(b2)과 힌지결합되는 힌지편(d1)이 링형상으로 절곡형성되어 있고, 중간부에는 상기 체결부재(c)의 힌지공(b1)과 조립되는 힌지편(d2)이 절개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정링(a)은 파지부재(b)를 브라운관의 베이스와 회로기판유닛의 접속단자가 접속되었을 때 플러그의 외주면을 감싸는 튜브의 외주면상에 배치시킨 후 상기 체결부재(d)의 내주면이 파지부재(b)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체결부재(d)를 회동시키면 상기 체결부재(c)도 체결부재(d)와 연동하여 동일방향으로 회동되며 힌지결합된 파지부재(b)의 단부를 잡아당긴 상태로 체결부재(d)와 함께 고정되게 되어 브라운과 베이스와 회로기판 접속단자와의 접속상태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게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a)은 부품점수가 많아 각각의 부품을 각기 제작한 후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조립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사용시 체결상태가 단일로 되어 있어 체결력을 조절할 수 없어 작업성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면서도 제작단가가 매우 저렴할 뿐만 아니라 브라운관 베이스를 다단계로 조여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여 작업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브라운관 플러그용 고정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브라운관의 베이스가 회로기판 유닛의 접속단자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와 접속단자의 접속부를 체결하는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막대형상의 금속판을 링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것으로써, 일단부에 일측으로 직각되게 절곡형성되고, 절곡부에 관통형성되는 조립공을 갖는 제 1손잡이부와; 양측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간격져서 톱니형상을 갖고 측방으로 돌출형성되고, 각각의 후단부측에 상기 제 1손잡이부의 조립공 연부와 조립되도록 절개형성되는 걸림홈을 갖는 다수개의 체결톱니와, 탄성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장공을 갖고,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조립공과 체결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와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져서 ㄷ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직각되게 절곡형성되는 제 2손잡이부와; 중간부 일측단부에 ㄷ자 형상으로 절취형성되고, 체결시 체결부위에 형성된 조립돌기와 조립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홈을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배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좌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우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저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고정링 11: 제 1손잡이부
12: 조립공 13: 체결부
14: 체결톱니 15: 걸림홈
16: 장공 17: 제 2손잡이부
18: 회전방지홈 20: 브라운관 베이스
21: 회로기판유닛 22: 튜브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좌측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우측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10)은 막대형상의 금속판을 링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것으로써, 제 1손잡이부(11)와, 체결부(13)와, 제 2손잡이부(17)와, 회전방지홈(18)을 일체로 갖는다.
상기 제 1손잡이부(11)는 상기 고정링(10)의 일단부에 일측으로 직각되게 절곡형성되는데 조립공(12)을 구비한다.
상기 조립공(12)은 상기 체결부(13)가 조립되도록 상기 제 1손잡이부(11)의 절곡부에 관통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3)는 다수개의 체결톱니(14)과 장공(16)을 갖고 상기 고정링(10)의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다수개의 체결톱니(14)는 상기 체결부(13)의 양측단부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간격져서 톱니형상을 갖고 측방으로 돌출형성되고, 각각의 후단부측에 상기 제 1손잡이부(11)의 조립공(12) 연부와 조립되도록 절개형성되는 걸림홈(15)을 구비하며, 상기 장공(16)은 상기 체결부(13)가 탄성력을 갖도록 체결부(13)의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된다.
상기 제 2손잡이부(17)는 상기 체결부(13)와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져서 ㄷ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직각되게 절곡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홈(18)은 상기 고정링(10)의 체결시 체결부위에 형성된 조립돌기(표시되지 않음)와 조립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링(10)의 중간부 일측단부에 ㄷ자 형상으로 절취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10)은 먼저 고정링(10)을 접속부의 튜브(22) 외주면에 배치시킨 후 상기 제 1 및 제 2손잡이부(11)(17)를 엄지와 검지손가락으로 잡고 상호 대향되에 누르면 상기 체결부(13)가 상기 조립공(12)을 통과하면서 체결부(13)의 양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톱니(14)의 전단부가 상기 조립공(12)의 일면 연부에 걸리게되는데 이때 제 1 및 제 2손잡이부(11)(17)의 누름력을 증가시키면 상기 체결부(13)의 양측단부가 상기 장공(16)에 의해 탄성력을 갖게되어 내향으로 수축됨으로 조립공(12)의 일면 양측 연부에 걸린 체결톱니(14)는 용이하게 조립공(12)을 통과하면 지속적으로 제 1 및 제 2손잡이부(11)(17)을 상호 대향되게 누르면 체결부(13)?? 양측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체결톱니(14)는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순차적으로 조립공(12)을 통과하게되며, 작업자가 적당한 시점에 제 1 및 제 2손잡이부(11)(17)를 놓으면 해당되는 체결톱니(14)가 제 1손잡이부(11)의 조립공(12)에 걸리는 동시에 해당 체결톱니(14)의 걸림홈(15)이 상기 조립공(12)의 양측 연부와 조립되게됨으로 고정링(10)이 작업자가 셋팅한 체결력으로 플러그를 파지하고, 상기 걸림홈(15)와 조립공(12)의 연부가 조립되어 있어 외부충격 등에도 체결상태가 풀려지지 않고, 파지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와 같은 체결상태에서 만약 체결된 체결톱니(14) 이후에도 체결톱니(15)가 남아 있다면 상기 제 1 및 제 2손잡이부(11)(17)을 손가락으로 대향되게 누르는 것만으로 더욱 강하게 플러그(20)를 조여 고정시킬 수 있을 것이고, 상기 걸림홈(15)과 조립공(12)의 연부와의 조립상태를 해제하면서 체결부(13)의 양측단부를 손가락으로 잡고 누르면 상기 장공(16)이 내향으로 찌그러지면서 상기 걸림홈(15)과 조립공(12)의 연부의 조립이 해제됨은 물론 상기 체결톱니(14)가 조립공(12)을 빠져 나올 수 있게됨으로 이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12)를 역방향으로 잡아당기는 것만으로 고정링(10)을 체결부위로부터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고정링(10)은 단품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1회의 프레스 공정만으로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어 제작단가가 매우 저렴할 뿐만 아니라 별로의 조립공정 없이 바로 사용이 가능함으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술한 방법으로 간단하게 체결력을 조절하면서 간단하게 브라운관 베이스(20)와 회로기판유닛(21)의 접속상태를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면서도 제작단가가 매우 저렴할 뿐만 아니라 브라운관 베이스를 다단계로 조여 고정시킬 수 있어 작업성이 매우 우수하여 작업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브라운관의 베이스가 회로기판 유닛의 접속단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와 접속단의 접속부를 체결하는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10)은 막대형상의 금속판을 링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것으로써, 일단부에 일측으로 직각되게 절곡형성되고, 절곡부에 관통형성되는 조립공(12)을 갖는 제 1손잡이부(11)와; 양측단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간격져서 톱니형상을 갖고 측방으로 돌출형성되고, 각각의 후단부측에 상기 제 1손잡이부(11)의 조립공(12) 연부와 조립되도록 절개형성되는 걸림홈(15)을 갖는 다수개의 체결톱니(14)와, 탄성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형성되는 장공(16)을 갖고, 타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조립공(12)과 체결되는 체결부(13)와; 상기 체결부(13)와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져서 ㄷ자 형상으로 절개되어 직각되게 절곡형성되는 제 2손잡이부(17)와; 중간부 일측단부에 ㄷ자 형상으로 절취형성되고, 체결시 체결부위에 형성된 조립돌기와 조립되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홈(19)을 일체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
KR2020010001721U 2001-01-20 2001-01-20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 KR2002306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721U KR200230669Y1 (ko) 2001-01-20 2001-01-20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721U KR200230669Y1 (ko) 2001-01-20 2001-01-20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0669Y1 true KR200230669Y1 (ko) 2001-07-19

Family

ID=73095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721U KR200230669Y1 (ko) 2001-01-20 2001-01-20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66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5553B1 (ko) 밴드 클램프
US5383796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train relief means
KR200230669Y1 (ko)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
KR200230668Y1 (ko) 브라운관 베이스용 고정링
JP2003168878A (ja) スナップ構造
JP2001280566A (ja) ホースクランプ
US4429944A (en) Battery post clamp
JP2970565B2 (ja) 導波管接続フランジ
JPH01275991A (ja) 管継手
CN112536753A (zh) 多尺寸扳手及其转换装置
JP3417029B2 (ja) 配管用クリップ装置
JPH06343216A (ja) ケーブルラック
JPH033838B2 (ko)
JP2746055B2 (ja) ケーブルラック
JPH0451989Y2 (ko)
US3020514A (en) Wire connector clamp
KR200224016Y1 (ko) 설비구조용 프로파일의 조립구조
KR200257855Y1 (ko) 체결밴드
KR860003332Y1 (ko) 네크 스크류용 호울더 및 소켓장치
JP2002031119A (ja) ナット
KR910001352Y1 (ko) 플럭의 전선 고정장치
KR950003997B1 (ko) 가구용 판넬 결합장치
KR920003288Y1 (ko) 음극선관의 프레임 인너실드 조립체
JPH0224618Y2 (ko)
KR19980046743U (ko) 호스 고정용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