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4218Y1 - 흄관부상방지구 - Google Patents
흄관부상방지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24218Y1 KR200224218Y1 KR2020000035730U KR20000035730U KR200224218Y1 KR 200224218 Y1 KR200224218 Y1 KR 200224218Y1 KR 2020000035730 U KR2020000035730 U KR 2020000035730U KR 20000035730 U KR20000035730 U KR 20000035730U KR 200224218 Y1 KR200224218 Y1 KR 20022421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me pipe
- fume
- fixing
- pipe
- concrete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흄관부상방지구에 관한 것으로, 복수개의 흄관(10)이 일렬로 연속배치되는 기초콘크리트에 한쌍의 고정브라켓(21,22)이 흄관의 양쪽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양단에 고정고리(31,32)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고정브라켓(21,22)의 상단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흄관(10)의 상부외주면을 감싸 흄관(10)을 지지고정하는 고정구(30)가 구비되어, 콘크리트보강작업시 부력으로 인해 흄관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접합부위의 단차로 인한 흄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력 및 장비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흄관을 설치하는 데에 사용되는 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흄관에 보강콘크리트의 타설시 흄관의 외벽을 잡아 고정시키는 흄관부상방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흄관은 지하에 일정깊이로 매설되어 하수를 배출시키는 하수도관으로, 통상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일정길이를 가진 복수개의 흄관이 서로 연속하여 맞대어져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흄관(110)은 일정깊이로 파진 토양에 형성된 기초콘크리트(140)의 위에 설치되는데, 흄관(110)이 사용가능한 쌓기고는 3-4미터로서 높은 쌓기 발생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흄관(110)의 외벽으로 콘크리트를 보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로 흄관(110)의 외벽을 감싸고 고정시키는 타설작업시 부력으로 인해 흄관(110)이 상승하게 되어 흄관(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콘크리트층의 두께가 얇아짐으로써 구조적으로 불안정하고, 흄관(110)의 유로경사가 일정하게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접합부위의 단차로 인해 흄관(110)이 쉽게 파손되어 수밀성이 저하되고, 유수의 흐름을 저해하여 토사가 퇴적되어 흄관(110)이 쉽게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으로 인해 시공시에 흄관(110)의 부상을 방지하는 대책으로 거푸집에 철선으로 결속하거나, 인력으로 상부를 눌러 콘크리트를 타설하기도 하고, 일괄시공을 하지 않고 단계시공을 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방안은 작업의 시공성과 정밀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장비사용으로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흄관의 외측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흄관을 고정시켜 흄관이 콘크리트에 의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는 흄관부상방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복수개의 흄관이 일렬로 연속배치되는 기초콘크리트에 한쌍의 고정브라켓이 흄관의 양쪽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양단에 고정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흄관의 상부외주면을 감싸 흄관을 지지고정하는 고정구가 구비된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흄관의 좌우측 하단으로 한쌍의 고정브라켓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구로 흄관의 상부외주면을 감싸며 고정구의 양단을 고정브라켓에 각각 연결고정함으로써 보강콘크리트 작업시에 흄관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흄관이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부상방지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흄관 21, 22, 21', 22' : 고정브라켓
23 : 상단절곡부 24 : 하단절곡부
30, 30' : 고정구 31, 32 : 고정고리
40 : 기초콘크리트 50 : 턴버클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흄관부상방지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한 본 고안은, 복수개의 흄관(10)이 일렬로 연속배치되는 기초콘크리트에 한쌍의 고정브라켓(21,22)이 흄관의 양쪽으로 각각 돌출형성되고, 양단에 고정고리(31,32)가 형성되어 상기 각각의 고정브라켓(21,22)의 상단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흄관(10)의 상부외주면을 감싸 흄관(10)을 지지고정하는 고정구(30)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의 구조로 된 본 고안의 특징은 한쌍의 고정브라켓(21,22)이 기초콘크리트(40)에 고정설치되고 그 고정브라켓(21,22)을 연결하는 고정구(30)가 구비된 것에 있는 바, 상기 흄관(10)의 좌우측 하단으로 한쌍의 고정브라켓(21,22)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고정구(30)로 흄관(10)의 상부외주면을 감싸며 고정구(30)의 양단을 고정브라켓(21,22)에 각각 연결고정함으로써 보강콘크리트 작업시에 흄관(10)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초콘크리트(40)는 일정깊이로 판 토양의 바닥에 타설되어 상부에 흄관(10)이 배치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흄관(10)을 설치할 때에는 지하에 매설하게 되므로 일정구간의 토양을 일정깊이로 파내고, 그 위에 콘크리트로 기초공사를 함으로써 흄관(10)이 일정한 유로경사를 가지고 연속해서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브라켓(21,22)은 하단이 절곡되어 하단절곡부(24)가 형성되고 그 하단절곡부(24)가 상기 기초콘크리트(40)에 매설되고, 고정브라켓(21,22)의 상단도 절곡되어 상기 고정구(30)의 선단이 연결결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각 고정브라켓(21,22)은 그 상단절곡부(23)로 고정구(30)가 결합되고, 하단절곡부(24)는 상기 기초콘크리트(40)에 매설되어 고정구(30)가 견고하게 지지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21,22)은 흄관(10)의 양쪽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고정구(30)로 흄관(10)의 상부를 감싸 지지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구(30)는 양단에 고정고리(31,32)가 형성되되, 일단의 고정고리(31)는 상기 일측 고정브라켓(21)의 상단절곡부(23)에 끼워져 결합되고, 타단의 고정고리(32)는 작업자가 고정구(30)의 선단을 구부려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구(30)의 일단의 고정고리(31)를 일측 고정브라켓(21)에 끼운후, 고정구(30)를 흄관(10)의 상부외주면으로 걸쳐 밀착시키고 고정구(30)의 타단을 반대편 고정구(30)의 상단절곡부(23)에 감아 고정결합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정구(30)로 흄관(10)을 하방으로 지지고정하고, 고정구(30)의 양단을 흄관(10)의 양쪽에 고정설치된 고정브라켓(21,22)에 고정결합하여 흄관(10)이 움직이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21',22') 중 일측 고정브라켓(22')과 고정구(30')는 턴버클(50)로 연결되어 그 턴버클(50)을 회전시킴으로써 흄관(10)을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턴버클(50)은 지지용 로프등을 잡아 당기거나 늦출 때 사용하는 연결구로, 양끝에 오른나사와 왼나사의 이음을 가지고 있어 중앙부분을 돌리면 양쪽 나사를 서로 가깝게 이동시키거나 멀어지게 하는 기구이다.
여기서, 상기 일측 고정브라켓(22')의 상단을 나사식으로 형성하는 한편 상기 고정구(30')의 일단을 턴버클(50)에 연결하여 오른나사와 왼나사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중앙부분을 돌려 상기 고정구(30')를 당겨 흄관(10)을 조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흄관부상방지구에 의하면, 콘크리트보강작업시 부력으로 인해 흄관이 부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흄관의 유로경사를 확보할 수 있고, 접합부위의 단차로 인한 흄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승방지를 위한 인력 및 장비사용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 복수개의 흄관(10)이 일렬로 연속배치되는 기초콘크리트(40)에 흄관의 양쪽으로 각각 돌출설치된 한쌍의 고정브라켓(21,22)과, 상기 흄관(10)의 상부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각각의 고정브라켓(21,22)의 상단에 연결되어 흄관(10)을 지지고정하는 고정구(30)로 이루어진 흄관부상방지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고정브라켓(21',22') 중 일측 고정브라켓(22')과 고정구(30')는 턴버클(50)로 연결되어 그 턴버클(50)을 회전시킴으로써 흄관(10)을 지지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흄관부상방지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5730U KR200224218Y1 (ko) | 2000-12-20 | 2000-12-20 | 흄관부상방지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35730U KR200224218Y1 (ko) | 2000-12-20 | 2000-12-20 | 흄관부상방지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24218Y1 true KR200224218Y1 (ko) | 2001-05-15 |
Family
ID=73054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35730U KR200224218Y1 (ko) | 2000-12-20 | 2000-12-20 | 흄관부상방지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24218Y1 (ko) |
-
2000
- 2000-12-20 KR KR2020000035730U patent/KR20022421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05419A (en) | Underground duct banks | |
US9091372B2 (en) | Pipe hanger assembly | |
WO2005017290A1 (en) | Street light foundation | |
CN113756342A (zh) | 有限密闭空间水下模板以及封模方法 | |
KR200407625Y1 (ko) |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 |
KR200224218Y1 (ko) | 흄관부상방지구 | |
KR100676680B1 (ko) |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설치구조 | |
JPH07269742A (ja) | 既設管渠の更生工法及びこの更生工法に使用する更生管支保材 | |
JP2008106569A (ja) | ロープ式補修足場および浮体式補修足場 | |
KR100676681B1 (ko) |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 |
KR20100062237A (ko) | 배수판 | |
KR200409783Y1 (ko) | 침하방지용 하수도관 지지장치 | |
KR200318113Y1 (ko) | 흄관용 받침부재 | |
US20180058610A1 (en) | Tubular Securing Device | |
JP3347866B2 (ja) | トンネルの歩床敷設方法 | |
JP2003113960A (ja) | 埋設管支持具 | |
KR200184230Y1 (ko) | 매설관 지지장치 | |
JPH02203302A (ja) | 光ケーブル布設工法 | |
JP4327026B2 (ja) |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 |
KR100753970B1 (ko) | 강선을 이용한 하중 분산형 연약지반용 지중 하수도 박스지지장치 | |
KR200255494Y1 (ko) | 콘크리트 받침틀을 이용한 하수관로 설치구조 | |
KR200312008Y1 (ko) | 재생 플라스틱을 이용한 사다리형 하수관로 부등침하 방지장치 | |
KR200332046Y1 (ko) | 가로등 중공기초 | |
KR200342265Y1 (ko) | 흄관 연결 구조물 | |
CN111244839A (zh) | 一种电气配管保护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601 |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