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706Y1 -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 - Google Patents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706Y1
KR200217706Y1 KR2020000030656U KR20000030656U KR200217706Y1 KR 200217706 Y1 KR200217706 Y1 KR 200217706Y1 KR 2020000030656 U KR2020000030656 U KR 2020000030656U KR 20000030656 U KR20000030656 U KR 20000030656U KR 200217706 Y1 KR200217706 Y1 KR 2002177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ewer
nozzle
gas
casing
nozz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6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태
이경호
Original Assignee
김용태
이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태, 이경호 filed Critical 김용태
Priority to KR20200000306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7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7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706Y1/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꼬치를 회전시키면서 가스불로 굽는 회전꼬치구이기로서, 특히 복수개의 꼬치봉(20)을 일정한 간격으로 케이싱(10)에 배치하고 이들 꼬치봉(20)들을 체인-스프라켓 방식으로 모터로써 회전시키며, 상기 인접하는 1쌍의 꼬치봉(20)들 사이마다 측벽에 노즐(40a)이 형성된 노즐관(40)이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노즐관(40)의 일측노즐(40a)에 인접하여 점화구(44)가 설치되며, 상기 인접하는 1쌍의 노즐관(40)들은 연결관(41)으로 서로 연통되며, 상기 연결관(41)들은 솔레노이드 개폐밸브(42)를 통하여 가스공급관(43)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꼬치봉(20)은 회전구동수단(30)에 의해 회전하면서 측벽에 배치된 노즐관(40)의 노즐(40a)로부터 방사하는 열에 의해 골고루 익혀진다. 열원이 꼬치봉(20)의 측편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꼬치들이 익을 때 발생하는 기름이 열원에 직접 낙하하지 않아 기름연소에 의한 연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 Rotating rotiserie apparatus using a gas buner }
본 고안은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회전하는 여러개의 꼬치봉 사이마다 측편에 가스버너를 배치하여 꼬치를 측편 아래쪽에서 방사되는 화력으로써 구움으로써 고기구울 때 연기가 배출되지 않게 하는 꼬치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여러종류의 꼬치구이기가 알려져 있다. 그 중 숯불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구이기는 고기를 구울 때 고기에서 기름이 빠져 담백한 맛을 낼 수 있고, 또한 훈제되어 맛이 좋은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숯불을 미리 적당한 열기가 나게 준비하는 것이 번거로워 항상 화력을 제어하기 간편한 가스버너식 꼬치구이기가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가스버너식 꼬치구이기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72201호로 개시된 것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꼬치구이기는 가스불이 비정상적으로 꺼지는 경우에 가스공급을 차단하는 안전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안전상의 위험이 있고, 케이싱 내부의 연기나 가스를 외부로 강제송출하는 팬모터등과 같은 부수장치가 있어 장치가 복잡하고 원가가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가스버너식 꼬치구이기가 가진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꼬치를 구울 때 고기에서 낙하하는 기름에 의한 연기를 발생시키지 않고 강제송풍장치와 같은 부수장치가 필요없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가스버너식 꼬치구이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가 개방되고 측벽에 다수의 환기구가 형성되며 측벽 상부 가장자리에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복수개의 꼬치봉 걸이홈이 수평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꼬치봉 걸이홈이 형성된 위치마다 구비되고 각각은 회전가능하게 케이싱 측벽에 부착설치된 꼬치봉 홀더; 꼬치를 끼워서 지지하고, 한쪽 선단은 상기 꼬치봉 회전구에 끼워져 고정되고 다른 쪽 선단은 케이싱의 꼬치봉 걸이홈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다수개의 꼬치봉; 측벽에 다수개의 노즐이 형성되고 인접하는 상기 2개의 꼬치봉 사이마다 그 아래쪽에 꼬치봉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각각은 양단이 케이싱 측벽에 지지된 복수개의 노즐관; 인접하는 2개의 노즐관의 양단을 서로 연통시켜 가스공급탱크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를 상기 노즐관에 동시에 공급하는 연결관; 상기 복수개의 연결관마다 일측에 연결되어 각 연결관을 개방하거나 차단하는 복수개의 솔레노이드 개폐밸브; 상기 꼬치봉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은 화력이 꼬치봉의 고기의 측편에서 방사되므로 고기에서 낙하하는 기름에 의한 연기가 발생하지 않아서 실내에서 사용할 때 실내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고, 꼬치봉이 회전하여 고기가 골고루 익히게 되며, 필요에 따라 열원의 갯수를 조절하여 인원에 맞추어 작동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또 본 고안은 가스불이 부지중에 꺼지는 경우 가스공급을 차단하여 안전상의 위험을 제거하고, 케이싱에 별도의 환풍장치가 필요없어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꼬치구이기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꼬치구이기의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꼬치구이기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케이싱 12: 꼬치봉 걸이홈
14: 꼬치봉 홀더 20: 꼬치봉
21: 꽂이대 22: 손잡이
30: 회전구동수단 31: 구동모터
32: 구동스프라켓 33: 피동스프라켓
34: 체인 40: 노즐관
40a: 노즐 41: 연결관
42: 솔레노이드 개폐밸브 43: 가스공급관
44: 점화구 45: 점화스위치
46: 파이롯가스관 47: 착화감지센서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꼬치구이기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꼬치구이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케이싱(10)을 포함하고, 이 케이싱(10)의 한쪽 측벽 상단에는 3개의 꼬치봉 걸이홈(12)이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되고 다른 쪽 측벽에는 상기 꼬치봉 걸이홈(12)과 마주보는 위치마다 꼬치봉 홀더(14)가 베어링에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꼬치봉 홀더(14)는 꼬치봉(20)의 선단을 끼워 후술하는 회전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꼬치봉(20)을 회전시킨다.
꼬치봉(20)은 꼬치를 끼워 지지하는 서로 평행한 1쌍의 꽂이대(21)를 포함하고, 이들 꽂이대(21)는 뒤쪽 선단에서 서로 연결되어 손잡이(22)가 부착되어 있다. 각 꼬치봉(20)은 한쪽 선단이 상기 꼬치봉 홀더(14)에 끼워져 지지되고, 다른 쪽 선단은 케이싱(10)의 꼬치봉 걸이홈(12)에 끼워져 양단이 지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꼬치봉 홀더(14)들을 동시에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3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은 구동모터(31)와, 구동모터(31)의 회전축에 삽입설치된 구동스프라켓(32)과,상기 케이싱(10)의 측벽에 지지된 꼬치봉 홀더(14)의 회전축에 끼워져 고정되는 피동스프라켓(33)과, 상기 구동스프라켓(32)과 피동스프라켓(33)을 서로 연결하여 연동시키는 체인(34)를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1)를 회전시키면 체인(34)으로 서로 연결된 다수개의 피동스프라켓트(53)이 동시에 회전하면서 케이싱(10)의 측벽에 지지된 꼬치봉 홀더(14)을 동시에 회전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꼬치봉 홀더(14)에 끼워져 지지된 꼬치봉(20)들도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구동수단(30)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꼬치봉 홀더(14)들을 동시에 연동시킬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회전구동수단으로서 벨트 풀리식 수단,기어 맞물림식도 가능하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접하는 2개의 꼬치봉(20)들 사이마다 꼬치봉(20)보다 아래쪽에 노즐관(40)이 평행하게 배치되어 양단이 각각 케이싱(10)의 측벽에 지지된다. 상기 각 노즐관(40)들은 한쪽선단은 케이싱 측벽에 고정지지되어 막히고, 반대쪽 선단은 인접하는 다른 1개의 노즐관(40)의 선단과 연결관(41)으로 서로 연통되어 있다. 상기 각 노즐관(40)은 측벽에 가스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노즐(40a)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연결관(41)은 솔레노이드 개폐밸브(42)를 통하여 1개의 가스공급관(43)과 연결 된다. 따라서 가스탱크(도시안됨)로부터 공급되는 가스는 가스공급관(43)를 거쳐 각 개폐밸브(42)가 개방될 때 각 연결관(41)을 통하여 노즐관(40)으로 공급된다.
상기 케이싱(10)의 내측벽 일측에는 상기 2개의 노즐관(40) 사이마다 점화구(44)가 설치되어 노즐관(40)에서 분사되는 가스를 점화시킨다. 이 점화구(44)는 케이싱(10)의 상면 일측에 구비된 밸브개폐손잡이 겸용 점화스위치(45)의 작동에 의해 순간점화되어 노즐(40a)쪽으로 불꽃을 튀긴다.
그리고 상기 점화구(44)에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42)에서 분기된 파이롯가스관(46)의 선단이 배치된다. 이 파이롯가스관(46)은 상기 점화스위치(45)를 켤 때에 일시적으로 개방되어 점화에 필요한 소정 량의 가스만을 점화구(44)쪽으로 공급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상기 노즐관(40)에 인접하여 착화감지센서(47)가 설치된다. 이 착화감지센서(47)는 점화스위치(45)가 켜진 상태에서 노즐관(40)에 착화되지 않으면(즉 사용중에 노즐관의 불꽃이 꺼져 소정의 설정온도 이하로 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42)에 전기적 신호를 보내어 솔레노이드 개폐밸브(42)를 닫음으로써 노즐관(40)쪽으로 가스의 공급을 차단한다. 따라서 사용중에 의도하지 않게 노즐관(40)의 불꽃이 꺼지게 되면 그 노즐관(40)쪽으로 가스가 자동으로 공급차단되어 안전하다.
또 상기 케이싱(1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꼬치봉(20)의 손잡이(22)의 아래쪽 케이싱(10)에는 복수개의 구멍(11)을 일렬로 형성하여 노즐관(40)에서 케이싱(10)을 따라 열기가 전달되지 않게 차단하게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꼬치구이기는, 화력원이 꼬치봉의 측편 하단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기에서 배출되는 기름이 불위로 직접 떨어지지 않아 고기구울 때 그을음이나 연기를 발생시키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음으로써 실내에서도 바베큐 요리를 할 수 있다. 그리고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화력을 조절하기가 간편하다. 팬모터 및 팬과 같은 별도의 환풍장치가 불필요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 불이 의도하지 않게 꺼지게 되면 그 노즐관쪽으로 가스공급을 자동으로 차단하게 되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고기를 회전시키면서 굽게 되므로, 고기가 부분적으로 타지 않고 골고루 구워지게 된다.

Claims (1)

  1. 케이싱(10);
    조리하고자 하는 고기를 끼워서 지지하고, 한쪽 선단은 상기 케이싱(10)의 한쪽 측벽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꼬치봉 홀더(14)에 끼워져 지지되고, 다른 쪽 선단은 케이싱(10)의 다른 쪽 측벽에 상단이 개방된 꼬치봉 걸이홈(12)에 끼워져 양단이 지지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다수개의 꼬치봉(20);
    상기 인접하는 2개의 꼬치봉(20)들 사이마다 그 아래쪽에서 이들 꼬치봉(20)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측벽에 복수개의 노즐(40a)이 형성된 복수개의 노즐관(40);
    상기 인접하는 2개의 노즐관(40)의 한쪽 선단들을 서로 연통시키며, 아울러 가스공급관(43)과 연통된 연결관(41);
    상기 노즐관(40)의 노즐(40a)에 근접하게 상기 케이싱(10)의 일측 내측벽에 설치되어 점화스위치(45)의 작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불꽃을 일으켜 노즐관(40)의 가스를 점화시키는 점화구(44);
    상기 연결관(41)마다 설치되어 상기 점화스위치(45)에 작동에 의해 연결관(41)의 내부통로를 개방 또는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개폐밸브(42);
    상기 노즐관(40)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노즐관(40)의 부근온도가 소정의 설정값 이하일 때, 상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42)를 닫힘위치로 절환시키는 착화감지센서(47):
    상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42)에서 분기되어 선단이 상기 점화구(44)일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상기 점화스위치(45)가 작동시마다 소정량의 가스를 점화구(44)쪽으로 공급하는 파이롯가스관(46);
    상기 복수개의 꼬치봉(20)들마다 피동스프라켓(33)을 결합하고, 이들 피동스프라켓(33)들을 1개의 무한궤도형 체인(34)으로 연결하여 이들 스프라켓(34)들을 1개의 구동모터(31)의 구동스프라켓(32)로써 회전연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30)으로 이루어진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
KR2020000030656U 2000-11-02 2000-11-02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 KR2002177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656U KR200217706Y1 (ko) 2000-11-02 2000-11-02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656U KR200217706Y1 (ko) 2000-11-02 2000-11-02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706Y1 true KR200217706Y1 (ko) 2001-03-15

Family

ID=73091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656U KR200217706Y1 (ko) 2000-11-02 2000-11-02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70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138B1 (ko) * 2020-03-13 2021-01-22 주식회사 쿡메이트 회전형 구이기
KR102706364B1 (ko) * 2023-05-15 2024-09-11 김성태 일측 수평거치식 꼬치구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138B1 (ko) * 2020-03-13 2021-01-22 주식회사 쿡메이트 회전형 구이기
KR102706364B1 (ko) * 2023-05-15 2024-09-11 김성태 일측 수평거치식 꼬치구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8244A (en) Deep-fat frying apparatus
KR101010264B1 (ko) 구이용 조리기구
KR101852716B1 (ko) 사각 화구를 갖는 구이 화덕
JP2007533395A (ja) 上部に開閉式ドアが取り付けられたロースター
KR101132309B1 (ko) 구이용 로스터
KR101721805B1 (ko) 바베큐 요리가 가능한 구이 화덕
KR101497606B1 (ko) 비어 치킨 구이기
KR200217706Y1 (ko) 가스버너식 회전 꼬치구이기
KR101809322B1 (ko) 가스로 숯불을 달군상태에서 자연유지토록 하는 꼬치구이기
KR100364640B1 (ko) 가스겸용 회전식 꼬치구이기
KR20110105414A (ko) 숯불 구이기
KR100614684B1 (ko) 숯불 구이기
KR200166404Y1 (ko) 고기 구이기
KR20030027139A (ko) 바베큐 그릴
KR200157979Y1 (ko) 숯불바베큐기
KR200213359Y1 (ko) 숫불 고기구이장치
KR200380751Y1 (ko) 구이장치
KR102706364B1 (ko) 일측 수평거치식 꼬치구이 장치
KR101638089B1 (ko) 구이장치
KR200225626Y1 (ko) 숯불 고기구이기
KR100777782B1 (ko) 구이실을 갖는 하향연소식 연탄난로
KR980008142A (ko) 통닭 숯불구이장치
KR101292829B1 (ko) 간접 가열 방식의 숯 착화장치
KR200454115Y1 (ko) 오븐 겸용 직화 바비큐 구이기
KR200347705Y1 (ko) 황토를 이용한 고기구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1102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10110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11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1

Year of fee payment: 3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1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