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6730Y1 - 무빙스크린장치 - Google Patents

무빙스크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6730Y1
KR200206730Y1 KR2020000015863U KR20000015863U KR200206730Y1 KR 200206730 Y1 KR200206730 Y1 KR 200206730Y1 KR 2020000015863 U KR2020000015863 U KR 2020000015863U KR 20000015863 U KR20000015863 U KR 20000015863U KR 200206730 Y1 KR200206730 Y1 KR 200206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moving screen
moving
chain
lif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5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국기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국기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국기설
Priority to KR2020000015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6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6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673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0Rake classif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20Cleaning of moving articles, e.g. of moving webs or of objects on a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08B3/022Cleaning travell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2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fixed, or normally fixed, relative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18Cleaning devices comprising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5/00Lubricating, cleaning, or clearing devices
    • B65G45/10Cleaning devices
    • B65G45/22Cleaning devices comprising fluid appl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6Articles and 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 B65G2812/0267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8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 B65G2812/0269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the load-carriers being arranged above, between or beside the traction means and fixed or non-movably linked to the traction means for vertical or inclined conveyance
    • B65G2812/02752Elevators f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취수, 배수, 중계펌프장 등 각종 펌프장과 하수, 오수, 폐수처리장 등 각종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중에 포함된 여러가지 부유물 및 협잡물을 유입수와 분리하여 수로의 상부로 이동시켜 제거하기 위한 무빙 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주회전하는 무한궤도형의 체인에 체인의 링크 간격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스크린을 제작하여 체인에 조립, 설치하여 유입수에 포함된 부유물 및 협잡물이 유속에 의해 스크린 표면에 부착되면 체인을 구동하여 지 상부로 이동 시키며 수평부에서 스크린을 뒤로 뒤짚어 연속 운전 시키면 조대 협잡물은 자체 중량에 의해 밑으로 하락 제거되고, 스크린에 부착된 찌꺼기는 스크린의 뒷부분에서 세척수 분사와 스크린의 앞에서는 브러쉬를 장착하여 제거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무빙스크린 장치는 협잡물걸림부재; 상기 협잡물걸림부재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협잡물걸림부재의 양측면에 고정된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로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무빙스크린장치{Apparatus for moving screens}
본 고안은 취수, 배수, 중계펌프장 등 각종 펌프장과 하수, 오수, 폐수처리장 등 각종 스크린을 장착 유입수가 통과할 때 유속에 의해 처리장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중에 포함된 여러가지 부유물 및 협잡물을 유입수와 분리하여 수로의 상부로 이동시켜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속회전하는 무한궤도형 인양체인의 각각 체인링크플레이트에 상자형의 스크린을 장착 유입수가 통과할 때 유속에 의해 협잡물이 스크린에 부착되고, 이렇게 스크린에 의해 걸러진 협잡물을 인양체인에 연결된 구동모터를 구동하여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수로 상부로 이송 제거하는 무빙스크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각종 펌프장 및 각종 처리장의 유입수 중에는 각종 찌꺼기, 불순물, 부유물 및 각기 다른 크기와 종류의 협잡물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집중호우 및 홍수시에는 빗물과 함께 떠내려온 각종 협잡물이 취수펌프장의 취수구 및 배수펌프장의 유수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수에 섞여 유입되는 협잡물을 빨리 제거하지 않으면, 수로를 범람시키고, 각종 펌프장에서 펌프의 막힘 등 각종 문제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종래에는 이러한 협잡물을 유입수 중에서 확실하게 분리하기 위해서 격자형상의 스크린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렇게 스크린을 설치하여 협잡물을 유입수와 분리한 후, 분리된 협잡물은 신속하게 스크린에서 제거하여야 스크린의 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스크린에 의해 분리된 협잡물을 장시간 방치하거나 신속하게 제거하지 않으면, 이 걸러진 협잡물이 스크린에 점착되어 스크린이 막히게 되므로 수로중의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수로를 범람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사람이 직접 제거하거나,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중 사람이 직접 제거하는 수동 인력식 제거법은 사람이 수시로 스크린에 걸러진 협잡물의 양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는 한편, 제거 시기를 잘 맞추어야 하고, 수로가 넓고 깊을 때에는 인력제거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도구를 사용하는 협잡물제거는 보통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갈퀴로 걷어 올리는 방법이 보편적인데, 이러한 작업은 협잡물의 재질이 질기거나 무게가 무거우면 갈퀴로 제거하는 작업중에 스크린을 파손시키거나, 장치에 사용되는 구동모터나 여러가지 구동부품들을 파손시킨다. 다시 말하면, 가벼운 협잡물은 스크린의 상부에 걸려 있어 제거가 쉬우나, 무거운 협잡물은 스크린의 하부에 걸리게 되어 수중에서의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협잡물제거가 매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이러한 협잡물을 유입수 중에서 분리하기 위해서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0)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 주동스프로킷(12)과 인양 주축(62)에 장착된 구동 종동스프로킷(63)에 구동 체인(14)을 걸어 몸체 내부의 인양 주동스프로킷(64)에 동력을 전달한다. 이 인양 주축(62)에는 체인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테이크업 부재(80)를 구비하고 있다. 인양 주동스프로킷(64)과 인양 종동축(68)에 복수로 장착된 인양 종동스프로킷(66)은 양쪽으로 인양 체인(60)을 평행하게 걸어 회동한다. 이 평행하게 걸린 인양 체인(60)사이에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일주회전하는 레이크(50)가 소정간격으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유입수가 통과하는 협잡물제거장치의 양쪽 측벽사이에는 소정간격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된 스크린바(40)가 설치되어 있고, 다수의 고정 스크린바(40)사이로 레이크(50)가 통과하면서 고정된 스크린바(40)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게 된다. 제거된 협잡물은 협잡물제거장치의 뒷쪽에 마련된 협잡물박스(70)에 저장되었다가 제거된다.
이와 같은 협잡물제거장치는 유입수가 흘러 들어가는 입구의 양쪽측벽 사이에 소정간격으로 길게 형성된 다수의 고정된 스크린바(40)를 장착하고, 인양체인(60)사이에 장착된 레이크(50)가 고정스크린바(40)사이를 통과하면서 고정스크린바(40)에 걸린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제거한다.
따라서 종래의 협잡물 제거장치는 레이크(50)를 이송시켜 고정스크린바(40)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레이크(50)와 고정스크린바(40)의 간격에 의하여 협잡물의 크기가 정해질 수 밖에 없어 큰 협잡물을 제거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레이크(50)와 고정스크린바(40)와의 트러블에 의한 고장이 잦았다. 따라서 이러한 큰 협잡물은 인력으로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사람을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 뿐만아니라, 인력낭비는 물론이고 유지 관리가 매우 어렵웠다. 또한, 협잡물의 크기에 따른 스크린바의 크기와 형상 및 간격의 조정이 어렵기 때문에 작은 협잡물 제거는 거의 불가능하여 수질의 오염을 초래하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취수펌프장, 배수펌프장 및 각종 오폐수처리장등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중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주회전하는 인양체인의 링크마다 각각 상자형의 바 스크린을 장착하고, 유입수중에 포함된 협잡물을 유속에 의해 스크린 표면에 걸리게 하여, 이 스크린을 수면 밖으로 이송시켜, 걸린 협잡물은 스크린이 주축에 의해 뒤짚어진 형상으로 회전/이동하게 될때 스크린의 뒷부분에서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제거하고, 앞에서는 브러시로 제거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고정된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레이크 등 별도의 제거장치를 작동시켜 협잡물을 제거하던 장치에 비해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레이크 장치없이 스크린을 이송시켜 협잡물을 제거하므로 레이크에 의한 트러블이나 협잡물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으며, 협잡물의 제거가 곤란하고, 인력으로 제거하던 작업공정을 자동화 및 무인화함으로써 작업공정을 단순화시켜 효율을 증대 할 수 있다. 또한, 협잡물의 크기에 따라 스크린바의 크기와 형상 및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작은 협잡물도 제거할 수 있어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협잡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빙스크린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빙스크린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빙스크린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의 형상에 따라 설치각도를 변형한 실시예를 나타낸 무빙스크린장치의 측면도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이 체인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발췌도
도 6b는 도 6a에 따른 스크린과 체인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크린의 눈목 간격별 스크린 바의 모양과 체인과 고립된 평,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스크린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테이크 업 부재의 요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 몸체(body) 120 : 상부 케이스
122 : 배출슈트 124 : 점검창
130 : 가이드레일 140 : 협잡물박스
200 : 구동모터 202 : 구동 주동스프로킷
204 : 구동 종동스프로킷 206 : 구동 체인
210 : 인양 주동스프로킷 212 : 인양 주축
220 : 인양 종동스프로킷 222 : 인양 종동축
230 : 인양 테이크업스프로킷 232 : 인양 테이크업축
240 : 테이크업장치 242 : 너트
244 : 테이크업 스크루 246 : 테이크업 베어링부재
248 : 테이크업 가이드레일 250 : 레이크
252 : 협잡물끼임방지단 260 : 인양 체인
262 : 체인 로울러 268,277 : 틈새부재
269, 270 : 체결 구멍 272 : 체인 링크플레이트
274 : 스크린체결용 볼트 276 : 스크린체결용 너트
278 : 체인 연결 핀 300 : 상자형 스크린
301 : 스크린바 302 : 바닥 보조스크린
303 : 스크린 지지틀 310 : 백워싱배관
312 : 스프레이노즐 314 : 브러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유입수중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는 협잡물걸림부재; 상기 협잡물걸림부재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협잡물걸림부재의 양측면에 고정된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협잡물걸림부재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 중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빙스크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빙스크린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빙스크린장치의 측면도이다.본 고안의 유입수 중의 협잡물을 제거하는 무빙스크린장치는 협잡물걸림부재와 이송수단 및 회동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협잡물걸림부재는 유입수중의 협잡물을 걸러내는 상자형 스크린(300)으로 이루어지고, 이송수단은 인양체인(260)으로 이루어지며, 회동수단은 상자형 스크린(300)을 장착한 인양 체인(260)을 회동시키기 위하여 주축들(212, 222, 232)에 구비된 스프로킷들(210, 220, 230)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무빙스크린장치의 외형은 수로 내부에 설치되는 두개의 몸체(body)(110)와 이 몸체(110)의 상부에 부착된 직육면체 형상의 상부 케이스(120)로 형성된다. 이 상부 케이스(120)의 하면에는 협잡물이 배출되는 배출슈트(122)를 구비하고, 일측면에는 협잡물이 배출되는 것을 점검하기 위한 점검창(124)을 구비하며, 몸체(110)와 상부 케이스(120)의 내측벽에는 인양 체인(260)의 이탈과 처짐을 방지하는 가이드레일(130)을 소정구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120)의 상부에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200)가 장착되어 있고, 이 구동모터(200)의 회전축에는 구동 주동스프로킷(202)을 장착하고 있다. 이 구동 주동스프로킷(202)과 상부 케이스(120)의 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인양 주축(212)의 구동 종동스프로킷(204)은 수직으로 구동 체인(206)을 걸어 회동하게 된다. 또한, 인양 주축(212)에는 복수의 인양 주동스프로킷(210)을 소정간격으로 장착하고 있고, 이 인양 주축(212)과 동일선상으로 소정간격 떨어져 인양 테이크업축(23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크업축(232)에는 복수의 인양 주동스프로킷(210)과 동일 간격으로 복수의 인양 테이크업스프로킷(230)을 장착하고 있으며, 인양 체인(260)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테이크업장치(24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테이크업장치테이크업장치 도면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크업 베어링부재(246)에 형성된 테이크업 가이드레일(248)에 테이크업 스크루(244)를 삽입하고, 이 테이크업 스크루(244)에 너트(242)를 체결하여 너트(242)를 풀고, 조임으로써 테이크업 베어링부재(246)을 이동시켜 인양 체인(260)의 길이를 조절한다. 또한, 지면과 소정간격 떨어진 몸체(110)의 내측벽에는 인양 종동축(22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인양 종동축(222)에는 인양 종동스프로킷(220)이 장착되어 있다. 이 스프로킷들(210, 220, 230)상에는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한 상자형 스크린(300)을 장착한 인양 체인(260)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6a는 본 고안에 따른 상자형 스크린(300)이 인양 체인(26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발췌도이고, 도 6b는 도 6a에 따른 상자형 스크린(300)과 인양 체인(260)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상자형 스크린(300)은 앞뒤가 뚫린 사각형상의 스크린 지지틀(303)을 구비하고, 웨지(wedge)형상으로 길게 형성된 스크린 바(301)를 다수 구비하여, 이 스크린 바(301)를 스크린 지지틀(303)에 소정간격으로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인양 체인(260)이 스프로킷을 회전할 때 상자형 스크린(300)과 상자형 스크린(300)사이에는 각이 형성된다. 이 각에 의해 생성된 유격사이로 협잡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협잡물끼임방지단(25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협잡물끼임방지단(252)에는 직각으로 무겁고, 큰 협잡물을 제거하는 레이크(250)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자형 스크린(300)을 복수의 인양 체인(260)사이에 장착하기 위해 지지틀(303)의 양쪽 측면에는 체결 구멍(269)를 형성하고 있으며, 인양 체인(260)을 이루고 있는 체인 링크플레이트(272)의 내측에도 체결 구멍(270)을 형성하고 있다. 이 스크린 지지틀(303)과 인양 체인(260)의 체인 링크플레이트(272)사이에는 틈새 부재(268)를 구비하며, 안쪽으로 결합된 체인 링크플레이트(272)의 측면에는 틈새 부재(277)를 추가로 끼워 스크린체결용 볼트(274)와 스크린체결용 너트(276)로 체결함으로써 상자형 스크린(300)을 인양 체인(260)에 설치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체인 링크플레이트(272)는 체인 연결 핀(278)으로 결합되어 인양 체인(260)을 형성한다. 첨부 도면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 보조스크린(302)은 지면을 따라 유입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한쪽이 수중 지면에 각도를 형성하며 부착되고, 타측은 몸체(110)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또한, 상자형 스크린(300)에 걸려 이송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120)내부에는 인양 주축(212)과 소정간격 떨어져 세척수가 유입되는 H 형상의 백워싱배관(310)을 구비하고, 이 백 워싱 배관(310)에는 상자형 스크린(300)이 스프라켓 주위를 회전할 때 상자형 스크린(300)의 뒷면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 노즐(312)을 구비하며, 이 스프레이 노즐(312)로 제거되지 않은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인양 주축(212)하부와 상자형 스크린(300)이 이송되는 통로에 브러시(314)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무빙스크린장치의 조립구조 및 실시예를 첨부 도면들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상기 첨부 도면 도 2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는 구동모터(200)의 회전축에 장착된 구동 주동스프로킷(202)과 인양 주축(212)에 장착된 구동 종동스프로킷(204)을 구동 체인(206)으로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한다. 전달된 동력은 상부 케이스(120)내부의 인양 주축(212)에 장착되어 상자형 스크린(300)을 하강시키는 인양 주동스프로킷(210)과, 이 인양 주동스프로킷(210)이 장착된 인양 주축(212)과 동일선상으로 소정간격을 떨어져 형성된 테이크업축(232)에 장착되어 상자형 스크린(300)을 수평으로 이송시키는 인양 테이크업스프로킷(230) 및 몸체(110)의 내측면에 지면과 소정간격 떨어져 형성된 인양 종동축(222)에 장착되어 상자형 스크린(300)을 수면으로 방향전환시키는 인양 종동스프로킷(220)상에 걸려 일주회전하는 복수의 인양 체인(260)을 회동시킨다. 이 복수의 인양 체인(260)사이에는 각각의 체인 링크플레이트(272)마다 상자형 스크린(300)이 스크린체결용 볼트(274)와 스크린체결용 너트(276)로 장착되어 회전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자형 스크린(300)을 장착한 인양 체인(260)이 회동부재에 걸려 회전되는 것을 상세히 설명한다. 인양 체인(260)을 형성하고 있는 각각의 체인 링크플레이트(272)는 약간의 각을 형성하며 스프라켓을 회전하고, 이 체인 링크플레이트(272)와 결합된 상자형 스크린(300)도 다음 체인 링크플레이트(272)에 결합된 상자형 스크린(300)과 약간의 각을 형성하며 회전한다. 이때 이 각에 의해 생성된 상자형 스크린(300)과 상자형 스크린(300)사이의 유격은 협잡물의 끼임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협잡물끼임방지단(252)으로 가려지게 된다. 또한, 인양 체인(260)은 상자형 스크린(300)의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체인 로울러(262)의 크기가 큰 인양 체인(260)을 사용한다.
한편, 스크린 바(301)에 걸린 협잡물과 상자형 스크린(300)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어 소정간격 횡방향으로 형성된 레이크(250)에 걸린 큰 협잡물은 구동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스프로킷들(210, 220, 230)상의 인양 체인(260)을 회전시켜 인양 주축(212)의 상부로 이송된다. 이때 레이크(250)에 걸려 이송된 큰 협잡물은 인양 주동스프로킷(210)이 회전할 때 자중에 의해서 배출슈트(122)로 떨어지고, 스크린 바(301)에 걸린 협잡물은 세척수가 유입되는 백 워싱 배관(310)에 형성된 스프레이 노즐(312)로 상자형 스크린(300)의 뒷부분에서 세척수를 분사하여 제거하며, 세척수 분사에 의해 제거되지 않은 협잡물은 상부 케이스(120)내의 인양 주축(212)하부와 상자형 스크린(300)이 이송되는 통로에 형성된 브러시(314)로 제거된다.
또한, 바닥 보조스크린(302)에 의해 걸린 협잡물은 상자형 스크린(300)이 인양 종동스프로킷(220)을 회전할 때 상자형 스크린(300)에 형성된 레이크(250)에 의해 수로 상부로 이송된다. 이와 같은 협잡물제거과정은 상부 케이스(1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점검창(124)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으며, 제거된 협잡물은 상부 케이스(120)하면에 형성된 배출슈트(122)로 떨어져 협잡물박스(140)에 저장되었다가 협잡물을 처리하게 된다.
한편, 첨부 도면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로의 형태와 협잡물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스크린 바(301)의 형상을 웨지(wedge)바 또는 플랫바로 할 수 있으며, 크기 및 간격의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유입수중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는 자동으로 협잡물의 제거가 가능하여 무인화에 따른 인건비가 절감되고, 수질오염을 방지하여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기술요지 및 상기 실시예에 근거하여 다수의 변형된 실시예들을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음이 자명함으로, 언급하지 아니한 변형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취수펌프장, 배수펌프장 및 각종 오폐수처리장등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중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일주회전하는 인양체인의 링크플레이트마다 각각 상자형 스크린을 장착하고, 유입수중에 포함된 협잡물을 유속에 의해 스크린 바에 걸리게 하여, 이 상자형 스크린을 수로 상부로 이송시켜, 걸린 협잡물을 상자형 스크린의 뒷부분에서는 세척수를 분사하여 제거하고, 앞에서는 브러시들로 제거하는 무빙스크린 장치는 상자형 스크린을 이송시켜 협잡물을 제거하므로 협잡물의 제거가 곤란하고, 인력으로 제거하던 작업공정을 자동화 및 무인화함으로써 작업공정을 단순화시켜 효율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협잡물의 크기에 따라 스크린 바의 크기와 형상 및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작은 협잡물도 제거할 수 있어 수질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6)

  1. 유입수중에 포함된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에 있어서,
    협잡물걸림부재;
    상기 협잡물걸림부재를 이송하기 위하여 상기 협잡물걸림부재의 양측면에 고정된 이송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을 포함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유입구 바닥을 따라 유입되는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해 보조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을 긴축하기 위한 테이크업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걸림부재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스프레이노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걸림부재에 걸린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해 브러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걸림부재는 지지틀과, 상기 지지틀에 구비된 스크린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협잡물걸림부재는 소정간격으로 돌출된 레이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바는 웨지(wedge)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바는 플랫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수개의 스프로킷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수개의 풀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점검창을 형성한 상부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유입수가 흐르는 방향에 대해서 소정각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1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크업장치는 베어링부재와, 상기 베어링부재에 구비된 스크루 및 상기 스크루에 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무빙스크린장치.
KR2020000015863U 2000-06-03 2000-06-03 무빙스크린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200206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863U KR200206730Y1 (ko) 2000-06-03 2000-06-03 무빙스크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5863U KR200206730Y1 (ko) 2000-06-03 2000-06-03 무빙스크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4547A Division KR100366776B1 (ko) 2000-06-22 2000-06-22 무빙스크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6730Y1 true KR200206730Y1 (ko) 2000-12-15

Family

ID=73085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5863U Expired - Fee Related KR200206730Y1 (ko) 2000-06-03 2000-06-03 무빙스크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673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35B1 (ko) 2006-08-07 2006-11-10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소수력 발전기용 급수부의 부유물 걸름장치
KR101737273B1 (ko) * 2016-07-07 2017-05-29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조립식 비금속 무빙스크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35B1 (ko) 2006-08-07 2006-11-10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소수력 발전기용 급수부의 부유물 걸름장치
KR101737273B1 (ko) * 2016-07-07 2017-05-29 주식회사 창우엔바이로 조립식 비금속 무빙스크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8938B1 (ko) 3방향 스크린 장치
KR101767872B1 (ko) 모래 제거를 위한 버킷이 구비된 로터리 제진기
KR101893203B1 (ko) 스프링캡 내장형 레이크를 구비한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KR102123617B1 (ko) 엉킴 방지 및 협잡물 제거 효율이 개선된 일체형 무빙스크린
KR102221382B1 (ko) 각종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제진기
KR101254450B1 (ko) 대형 협잡물 제거용 스크린 제진기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100366776B1 (ko) 무빙스크린장치
KR100941622B1 (ko) 조립형 무빙스크린장치
KR200206730Y1 (ko) 무빙스크린장치
KR102003484B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2601272B1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1325471B1 (ko) 프레임 부착 롤러 타입의 회전망스크린 장치
KR101330187B1 (ko) 로터리 제진기
KR200400293Y1 (ko) 무빙스크린장치의 스크린박스
KR101976008B1 (ko) 수로형 협잡물 제거장치
US2778500A (en) Oil skimming device
KR200184703Y1 (ko) 조대 협잡물 제거장치
KR100384198B1 (ko) 협잡물 및 침사 제거장치
KR200262880Y1 (ko) 협잡물 제거장치
KR102481167B1 (ko) 삼방향종합물질제거기
CN113856896B (zh) 一种建筑垃圾再生骨料清理装置及其处理工艺
KR101737273B1 (ko) 조립식 비금속 무빙스크린장치
CN219723911U (zh) 一种环保淘洗清洗系统
KR102728625B1 (ko) 레이크 순환회전 부하절감 구조를 갖는 소비전력 절감형 링크식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20000603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UT0201 Request for technical evaluation

Patent event date: 20000812

Comment text: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Patent event code: UT02011R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004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1

Payment date: 20000605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05

Start annual number: 2

End annual number: 3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UT0701 Decision on maintenance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