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906Y1 -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2906Y1 KR200202906Y1 KR2020000016873U KR20000016873U KR200202906Y1 KR 200202906 Y1 KR200202906 Y1 KR 200202906Y1 KR 2020000016873 U KR2020000016873 U KR 2020000016873U KR 20000016873 U KR20000016873 U KR 20000016873U KR 200202906 Y1 KR200202906 Y1 KR 2002029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crete
- conveyor
- crushed
- crushed material
- crush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1
- 239000003923 scrap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782 bulky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87343 Acacia implex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Abstract
본 고안은 재생자갈의 품질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제3파쇄기에서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이 설정된 약 35㎜ 이상일 경우에 제2스크린에서 리턴컨베이어를 통해 제5컨베이어로 리턴되어 다시 제3파쇄기를 거치게 함으로서 재생자갈의 규격을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건축구조물들이 노후되거나 기타 필요조건에 의하여 철거할 경우에 콘크리트, 고철, 토사, 목재, 각종 쓰레기 등의 각종 건설폐기물들이 발생된다.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과 함께 건설폐기물의 자원을 재활용하지 못하여 경제적으로 많은 손실을 가져온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건설폐기물을 재활용하는 장치들이 개발되어 환경 오염을 줄이고 재생골재를 생산함으로서 자원을 재활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피가 큰 각종 쓰레기와 길이가 긴 철근 등을 포크레인이 제거한 후 남은 건설폐기물을 공급하는 제1호퍼(50)와;
상기 제1호퍼(50)와 연결되어 건설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52)를 통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고철, 나무, 각종쓰레기를 제거하고 제2호퍼(54)를 통해 투입된 콘크리트블록을 약 200㎜ 이하의 콘크리트파쇄물로 파쇄하는 제1파쇄기(56)와;
상기 제1파쇄기(56)와 연결되어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58)에서 콘크리트블록을 파쇄하면서 나온 고철류를 마그네트(60)가 선별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58)와 연결되어 콘크리트파쇄물을 약 100㎜ 이하로 파쇄하는 제2파쇄기(62)와;
상기 제2파쇄기(62)와 연결되어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제3컨베이어(64)에서 콘크리트블록을 파쇄하면서 나온 고철류를 마그네트(66)가 선별하고 또한 각종 쓰레기를 제거하여 상기 제3컨베이어(64)와 연결되어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약 25㎜ 이하의 콘트리트파쇄물과 토사를 걸러내어 제4컨베이어(68)를 매개로 배출하고 약 25㎜-70㎜ 콘트리트파쇄물 및 약 70㎜-100㎜ 콘크리트파쇄물을 제5,6컨베이어(70)(72)로 이송하는 제1스크린(74)과;
상기 제5,6컨베이어(70)(72)로 이송되는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쓰레기를 불어내는 송풍기(76) 및 이 송풍기(76)를 거친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고철류를 최종 제거하는 마그네트(78)를 포함하는 제7컨베이어(80)와;
상기 제7컨베이어(80)를 통해 이송되는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가벼운 쓰레기를 걸러내는 수조(82) 및 상기 수조(82)와 연결되어 최종 고철류 및 쓰레기를 걸러내는 제8컨베이어(84)로부터 이송된 콘트리트파쇄물을 약 35㎜ 이하로 파쇄하는 제3파쇄기(86)와;
상기 제3파쇄기(86)로부터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은 제9컨베이어(88)를 거쳐 이송되어 약 15㎜ 이하의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제10컨베이어(90)를 통해 이송시켜 재생모래(100)로 생산하고, 약 15㎜-35㎜의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제 11컨베이어(92)를 통해 이송시켜 재생자갈(200)을 생산하는 제2스크린(94)으로 구성된다.
도면부호 중 설명부호 96은 건설폐기물에 있어 토사를 선별 처리하는 토사선별스크린을 도시한 것으로,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 토사의 양이 많을 경우에 필요에 따라 설치 가동되는 것이고, 설명부호 98은 컨베이어들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건설폐기물중에서 부피가 큰 각종 쓰레기와 길이가 긴 철근 등을 먼저 포크레인 등의 장비로 선별하여 선별된 건설폐기물을 제1호퍼(50)로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호퍼(50)로 공급된 건설폐기물은 이와 연결된 제1컨베이어(52)로 이송된다. 이때 작업자가 건설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고철류 및 나무, 각종 쓰레기를 제거한다.
다음 상기와 같이 1차로 고철류 및 나무, 각종 쓰레기가 제거된 건설폐기물이 제2호퍼(54)를 통해 제1파쇄기(56)로 투입되어 이 제1파쇄기(56)는 건설폐기물에 있어 콘크리트블록을 약 200㎜ 이하로 파쇄시켜 제2컨베이어(58)로 공급시킨다.
제2컨베이어(58)에는 마그네트(60)가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블록을 파쇄하면서 나오는 고철류를 1차로 제거하게 된다.
제2컨베이어(58)로 이송되는 콘크리트파쇄물은 제2파쇄기(62)로 투입되어 이 제2파쇄기(62)에서 다시 약 100㎜ 이하로 파쇄된다.
상기 제2파쇄기(62)에서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은 제3컨베이어(64)로 이송되어 마트네트(66)에 의하여 고철류를 2차로 제거하고 작업자가 각종 쓰레기를 제거하고 70㎜ 스크린과 25㎜ 스크린이 설치된 제1스크린(74)으로 이송되어 1차로 콘크리트파쇄물이 선별된다.
즉, 약 25㎜ 이하의 콘크리트파쇄물과 토사를 25㎜ 스크린에서 걸러내어 제4컨베이어(68)를 통해 토사(300)로 배출하고, 25㎜ 스크린에서 약 25㎜-70㎜ 콘크리트파쇄물과, 70㎜ 스크린에서 약 70㎜-100㎜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제5,6컨베이어(70)(72)로 이송시킨다.
상기 제5,6컨베이어(70)(72)로 이송되는 콘크리트파쇄물은 송풍기(76)를 통해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먼지 등을 불어낸 다음 제7컨베이어(80)로 이송되고 이 제7컨베이어(80)에 설치된 마그네트(78)에 의하여 3차로 고철류를 최종 제거시킨다.
상기 제7컨베이어(80)를 통해 이송되는 콘크리트파쇄물은 수조(82)를 거치면서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되어 있는 비교적 가벼운 나무 등의 쓰레기를 걸러내고 제8컨베이어(84)로 이송되고 이 제8컨베이어(84)에서 최종적으로 작업자가 고철류 및 기타 각종 쓰레기를 제거한다.
상기 제8컨베이어(84)로 이송되는 콘크리트파쇄물은 제3파쇄기(86)로 투입되어 약 35㎜ 이하로 최종 파쇄된다.
상기 제3파쇄기(86)로부터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은 제9컨베이어(88)를 거쳐 이송되고 제2스크린(94)으로 투입되어 약 15㎜ 이하의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제10컨베이어(90)를 통해 이송시켜 재생모래(100)로 생산하고, 약 15㎜-35㎜의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제11컨베이어(92)를 통해 이송시켜 재생자갈(200)을 생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제3파쇄기(86)가 콘크리트파쇄물을 약 35㎜ 이하로 파쇄하도록 세팅되어 있으나, 미처 파쇄되지 않은 콘크리트파쇄물이 생산되게 된다. 이에 따라 재생자갈(200)에는 35㎜ 이상되는 콘크리트파쇄물이 섞기게 되어 재생자갈(200)의 품질을 저하시켰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상기 재생자갈의 품질을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제3파쇄기에서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이 설정된 약 35㎜ 이상일 경우에 제2스크린에서 리턴컨베이어를 통해 제5컨베이어로 리턴되어 다시 제3파쇄기를 거치게 함으로서 재생자갈의 규격을 균일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부피가 큰 각종 쓰레기와 길이가 긴 철근 등을 포크레인이 제거한 후 남은 건설폐기물을 공급하는 제1호퍼(50)와;
상기 제1호퍼(50)와 연결되어 건설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52)를 통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고철, 나무, 각종쓰레기를 제거하고 제2호퍼(54)를 통해 투입된 콘크리트블록을 약 200㎜ 이하의 콘크리트파쇄물로 파쇄하는 제1파쇄기(56)와;
상기 제1파쇄기(56)와 연결되어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58)에서 콘크리트블록을 파쇄하면서 나온 고철류를 마그네트(60)가 선별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58)와 연결되어 콘크리트파쇄물을 약 100㎜ 이하로 파쇄하는 제2파쇄기(62)와;
상기 제2파쇄기(62)와 연결되어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제3컨베이어(64)에서 콘크리트블록을 파쇄하면서 나온 고철류를 마그네트(66)가 선별하고 또한 각종 쓰레기를 제거하여 상기 제3컨베이어(64)와 연결되어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약 25㎜ 이하의 콘트리트파쇄물과 토사를 걸러내어 제4컨베이어(68)를 매개로 배출하고 약 25㎜-70㎜ 콘트리트파쇄물 및 약 70㎜-100㎜ 콘크리트파쇄물을 제5,6컨베이어(70)(72)로 이송하는 제1스크린(74)과;
상기 제5,6컨베이어(70)(72)로 이송되는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쓰레기를 불어내는 송풍기(76) 및 이 송풍기(76)를 거친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고철류를 최종 제거하는 마그네트(78)를 포함하는 제7컨베이어(80)와;
상기 제7컨베이어(80)를 통해 이송되는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가벼운 쓰레기를 걸러내는 수조(82) 및 상기 수조(82)와 연결되어 최종 고철류 및 쓰레기를 걸러내는 제8컨베이어(84)로부터 이송된 콘트리트파쇄물을 약 35㎜ 이하로 파쇄하는 제3파쇄기(86)와;
상기 제3파쇄기(86)로부터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은 제9컨베이어(88)를 거쳐 이송되어 약 15㎜ 이하의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제10컨베이어(90)를 통해 이송시켜 재생모래(100)로 생산하고, 약 15㎜-35㎜의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제 11컨베이어(92)를 통해 이송시켜 재생자갈(200)을 생산하는 제2스크린(94)으로 구성된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로서,
상기 제3파쇄기(86)에서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이 설정된 35㎜ 이상일 경우에 제2스크린(92)에서 리턴되어 제3파쇄기(86)로 다시 파쇄되도록 상기 제2스크린 (92)과 제5컨베이어(70) 사이에 리턴컨베이어(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턴컨베이어 56 : 제1파쇄기
62 : 제2파쇄기 74 : 제1스크린
86 : 제3파쇄기 94 : 제2스크린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부피가 큰 각종 쓰레기와 길이가 긴 철근 등을 포크레인이 제거한 후 남은 건설폐기물을 공급하는 제1호퍼(50)와;
상기 제1호퍼(50)와 연결되어 건설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52)를 통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고철, 나무, 각종쓰레기를 제거하고 제2호퍼(54)를 통해 투입된 콘크리트블록을 약 200㎜ 이하의 콘크리트파쇄물로 파쇄하는 제1파쇄기(56)와;
상기 제1파쇄기(56)와 연결되어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58)에서 콘크리트블록을 파쇄하면서 나온 고철류를 마그네트(60)가 선별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58)와 연결되어 콘크리트파쇄물을 약 100㎜ 이하로 파쇄하는 제2파쇄기(62)와;
상기 제2파쇄기(62)와 연결되어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제3컨베이어(64)에서 콘크리트블록을 파쇄하면서 나온 고철류를 마그네트(66)가 선별하고 또한 각종 쓰레기를 제거하여 상기 제3컨베이어(64)와 연결되어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약 25㎜ 이하의 콘트리트파쇄물과 토사를 걸러내어 제4컨베이어(68)를 매개로 배출하고 약 25㎜-70㎜ 콘트리트파쇄물 및 약 70㎜-100㎜ 콘크리트파쇄물을 제5,6컨베이어(70)(72)로 이송하는 제1스크린(74)과;
상기 제5,6컨베이어(70)(72)로 이송되는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쓰레기를 불어내는 송풍기(76) 및 이 송풍기(76)를 거친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고철류를 최종 제거하는 마그네트(78)를 포함하는 제7컨베이어(80)와;
상기 제7컨베이어(80)를 통해 이송되는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가벼운 쓰레기를 걸러내는 수조(82) 및 상기 수조(82)와 연결되어 최종 고철류 및 쓰레기를 걸러내는 제8컨베이어(84)로부터 이송된 콘트리트파쇄물을 약 35㎜ 이하로 파쇄하는 제3파쇄기(86)와;
상기 제3파쇄기(86)로부터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은 제9컨베이어(88)를 거쳐 이송되어 약 15㎜ 이하의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제10컨베이어(90)를 통해 이송시켜 재생모래(100)로 생산하고, 약 15㎜-35㎜의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제 11컨베이어(92)를 통해 이송시켜 재생자갈(200)을 생산하는 제2스크린(94)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파쇄기(86)에서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이 설정된 35㎜ 이상일 경우에 제2스크린(92)에서 리턴되어 제3파쇄기(86)로 다시 파쇄되도록 상기 제2스크린 (92)과 제5컨베이어(70) 사이에 리턴컨베이어(1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제1,2,3파쇄기(56)(62)(86)와 제1,2스크린(74)(92)의 구성이 동일하여 이에 대한 설명은 종래 기술의 설명으로 대신하고 생략한다.
본 고안의 특징적 효과는, 상기 제2스크린(92)에서 제3파쇄기(86)로부터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의 규격이 약 35㎜ 이상일 경우에 상기 제2스크린(92)에서 리턴컨베이어(10)를 통해 제5컨베이어(70)로 리턴되어 송풍기(76)를 거쳐 제7,8컨베이어(80)(84)로 통해 제3파쇄기(86)로 투입되어 재 파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재생자갈(200)의 품질을 종래에 비하여 균일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건설폐기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콘크리트파쇄물을 최종 파쇄하는 제3파쇄기에서 재생골재의 규격으로 미처 파쇄되지 않은 콘크리트파쇄물을 리턴컨베이어를 통해 리턴시켜 제3파쇄기에서 다시 파쇄시킴으로서 품질이 균일한 재생자갈을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 부피가 큰 각종 쓰레기와 길이가 긴 철근 등을 포크레인이 제거한 후 남은 건설폐기물을 공급하는 제1호퍼(50)와;상기 제1호퍼(50)와 연결되어 건설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52)를 통해 건설폐기물에 포함된 고철, 나무, 각종쓰레기를 제거하고 제2호퍼(54)를 통해 투입된 콘크리트블록을 약 200㎜ 이하의 콘크리트파쇄물로 파쇄하는 제1파쇄기(56)와;상기 제1파쇄기(56)와 연결되어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58)에서 콘크리트블록을 파쇄하면서 나온 고철류를 마그네트(60)가 선별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58)와 연결되어 콘크리트파쇄물을 약 100㎜ 이하로 파쇄하는 제2파쇄기(62)와;상기 제2파쇄기(62)와 연결되어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제3컨베이어(64)에서 콘크리트블록을 파쇄하면서 나온 고철류를 마그네트(66)가 선별하고 또한 각종 쓰레기를 제거하여 상기 제3컨베이어(64)와 연결되어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약 25㎜ 이하의 콘트리트파쇄물과 토사를 걸러내어 제4컨베이어(68)를 매개로 배출하고 약 25㎜-70㎜ 콘트리트파쇄물 및 약 70㎜-100㎜ 콘크리트파쇄물을 제5,6컨베이어(70)(72)로 이송하는 제1스크린(74)과;상기 제5,6컨베이어(70)(72)로 이송되는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쓰레기를 불어내는 송풍기(76) 및 이 송풍기(76)를 거친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고철류를 최종 제거하는 마그네트(78)를 포함하는 제7컨베이어(80)와;상기 제7컨베이어(80)를 통해 이송되는 콘크리트파쇄물에 포함된 가벼운 쓰레기를 걸러내는 수조(82) 및 상기 수조(82)와 연결되어 최종 고철류 및 쓰레기를 걸러내는 제8컨베이어(84)로부터 이송된 콘트리트파쇄물을 약 35㎜ 이하로 파쇄하는 제3파쇄기(86)와;상기 제3파쇄기(86)로부터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은 제9컨베이어(88)를 거쳐 이송되어 약 15㎜ 이하의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제10컨베이어(90)를 통해 이송시켜 재생모래(100)로 생산하고, 약 15㎜-35㎜의 콘크리트파쇄물을 선별하여 제 11컨베이어(92)를 통해 이송시켜 재생자갈(200)을 생산하는 제2스크린(94)으로 구성된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로서,상기 제3파쇄기(86)에서 파쇄된 콘크리트파쇄물이 설정된 35㎜ 이상일 경우에 제2스크린(92)에서 리턴되어 제3파쇄기(86)로 다시 파쇄되도록 상기 제2스크린 (92)과 제5컨베이어(70) 사이에 리턴컨베이어(1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6873U KR200202906Y1 (ko) | 2000-06-14 | 2000-06-14 |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00016873U KR200202906Y1 (ko) | 2000-06-14 | 2000-06-14 |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2906Y1 true KR200202906Y1 (ko) | 2000-11-15 |
Family
ID=19660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16873U KR200202906Y1 (ko) | 2000-06-14 | 2000-06-14 |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2906Y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8183B1 (ko) * | 2001-08-03 | 2004-11-26 | 주식회사 신텍 | 재건축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
KR100488476B1 (ko) * | 2002-04-01 | 2005-05-11 | 삼성환경산업 주식회사 | 건설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 |
KR100743358B1 (ko) | 2006-09-27 | 2007-07-26 | 성원이엔티 주식회사 | 재생골재제조장치용 이물질 선별 및 수거방법 |
CN109967494A (zh) * | 2019-03-28 | 2019-07-05 | 宜兴华都琥珀环保机械制造有限公司 | 一种处理建筑垃圾的工艺方法及系统 |
-
2000
- 2000-06-14 KR KR2020000016873U patent/KR20020290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8183B1 (ko) * | 2001-08-03 | 2004-11-26 | 주식회사 신텍 | 재건축 폐기물의 현장처리 방법과 그 장치 |
KR100488476B1 (ko) * | 2002-04-01 | 2005-05-11 | 삼성환경산업 주식회사 | 건설 폐기물의 파쇄 및 선별장치 |
KR100743358B1 (ko) | 2006-09-27 | 2007-07-26 | 성원이엔티 주식회사 | 재생골재제조장치용 이물질 선별 및 수거방법 |
CN109967494A (zh) * | 2019-03-28 | 2019-07-05 | 宜兴华都琥珀环保机械制造有限公司 | 一种处理建筑垃圾的工艺方法及系统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77280B1 (ko) | 습식 공정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장치 | |
KR200202906Y1 (ko) |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 |
KR19990017560A (ko) | 건축 폐기물의 재활용 처리공정 | |
KR100660142B1 (ko) |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0461074B1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재활용 골재 생산 장치 | |
KR100500135B1 (ko) | 폐 콘크리트 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 |
CN110937835A (zh) | 一种垃圾焚烧炉渣资源化利用的方法 | |
KR100467868B1 (ko) |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 |
KR100506369B1 (ko)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 |
KR100595006B1 (ko) |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 |
KR0152297B1 (ko) |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 |
JPH1110129A (ja) | 埋め戻し材用砂の製造方法 | |
KR20030078844A (ko) | 건설 폐기물 처리장치 | |
KR20030043867A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습식 재생 부순모래 제조장치 | |
KR100481161B1 (ko) | 파분쇄에 의한 재생모래의 제조장치 | |
KR20040104058A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양질의 골재 생산장치 및 방법 | |
KR100467419B1 (ko) | 폐기물의 고도 처리방법 | |
KR20040002813A (ko) |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 |
KR200363038Y1 (ko) | 토사와 이물질 선별용 건설폐기물 처리장치 | |
KR20050073963A (ko) | 건설폐기물의 폐아스콘 분리방법과 그 처리장치 | |
KR100518918B1 (ko) |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 |
KR20010069240A (ko) | 다중 원심분리기를 이용한 건설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 | |
KR100549295B1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쇄석 생산장치 및 방법 | |
KR200222025Y1 (ko) |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393650B1 (ko) | 쓰레기 처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J204 |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 ||
J301 | Trial decision |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910 Effective date: 20020930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
|
J2X2 |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
Free format text: APPEAL BEFORE THE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
|
J302 |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21108 Effective date: 20030829 |
|
J303 |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
Free format text: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920 Effective date: 20040722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