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336A - 항암효과를 가지는 부추추출물 및 항암 활성성분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항암효과를 가지는 부추추출물 및 항암 활성성분의 추출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86336A KR20020086336A KR1020020051975A KR20020051975A KR20020086336A KR 20020086336 A KR20020086336 A KR 20020086336A KR 1020020051975 A KR1020020051975 A KR 1020020051975A KR 20020051975 A KR20020051975 A KR 20020051975A KR 20020086336 A KR20020086336 A KR 2002008633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ek
- cancer
- extract
- juice
- cancer cell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5000005254 Allium ampeloprasum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6
- 240000006108 Allium ampeloprasum Species 0.000 title claims 8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title abstract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8
- XEKOWRVHYACXOJ-UHFFFAOYSA-N acetic acid ethyl ester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3960 organic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4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2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2024 ethyl acetate extrac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0000002840 Allium cepa Species 0.000 abstract 4
- 235000010167 Allium cepa var aggregatum Nutrition 0.000 abstract 4
- 229940093499 ethyl acetate Drugs 0.000 abstract 1
- 235000019439 ethyl acetate Nutrition 0.000 abstract 1
- 244000189804 Allium por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8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6010038389 Ren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01000007270 liver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01000010982 kidney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6 antineoplas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790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963 growth medi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50 stock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002 MTT assa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34 MTT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42 antagnost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557 ant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5 bi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2823 cell divi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512 chem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231 colorect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588 toxic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331 toxic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40100198 ALKYLATING AGENTS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567 Allium tuber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338 Allium tuberos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673 Asth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85 Bone Marro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187 Breast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342 Cervix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90 Chinese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9866 Drug resistanc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73069 Hepat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7 Hormo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80 Li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DBMJMQXJHONAFJ-UHFFFAOYSA-M Sodium laurylsulphate Chemical compound [Na+].CCCCCCCCCCCCOS([O-])(=O)=O DBMJMQXJHONAF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68 alky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7 angiogenesis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69 angiogenesis inhibitor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605 anti-dot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5 anti-thromb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9 antido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566 cancer vaccin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cancer vaccine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881 cervical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5 chlorophyl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897 colon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4994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17 death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8286 diarrh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21 disti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51 drug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6585 gastric adeno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415 gene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556 horm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169 immun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45 natur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14626 natural product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4707 nucleic acid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3 nucle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59 radio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174 renal carcino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71 reti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0044 secondary metabolite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486 side effec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560 therapeutic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56 to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untreated material, e.g. fruit juice or sap obtained from fresh 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5—Extraction with lipophilic solvents, e.g. Hexane or petrol ether
Abstract
본 발명은 부추 착즙액과 부추 착즙액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관한 것으로 간암 세포인 SK-Hep-1, Hep-3과 구강상피암 세포인 SCC-15, 신장암 세포인 A-498, 대장암 세포인 WiDr, 위암 세포인 MKN-45 등 여러 종류의 암세포에 대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특징지워지며, 본 추출물과 추출물의 유효성분들은 항암제 및 항암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환경의 악화와 노년인구의 증가로 세계 암 발생률이 매년 5%이상 증가하고 있으며, 1997년 암을 원인으로 한 사망자가 600만 명으로 세계 사망률의 12%에 달했다. 국내에서도 매년 10만 명의 암환자가 새롭게 발생하고 5만 여명이 매년 사망하고 있으며, 암환자 증가율도 10%에 이르고 있다. 1999년 국립암센터의 통계에 따르면 환자는 12만 명으로서 남자는 위암(24%), 간암(16%), 폐암(16%), 대장암(10%)의 순서이며, 여자는 위암(16%), 자궁경부암(12%), 유방암(15%), 대장암(10%)의 순서로 암 환자가 발생했다.
이러한 암의 치료를 위해서는 외과적 수술요법, 화학요법, 생물요법, 방사선요법 등이 이용되고 있다. 화학요법은 흔히 말하는 약물요법으로서 핵산 알킬화제, 대사 길항제, 천연물, 호르몬제 등의 합성된 화학물질을 이용한 것이며, 생물요법은 우리 몸이 원래 가지고 있는 면역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증진시켜 암세포의 활동력을 약화시킴으로써 암의 진행을 막는 것으로서, 사이토카인, 면역요법제, 유전자 치료제, 암백신, 신생혈관형성 억제제 등이 있다. 현재까지는 이러한 방법들을 단독 혹은 병용하여 치료에 응용하고 있으나 부작용, 약제내성, 재발 등으로 완벽한 치료법이 없는 상태이다.
지금까지 항암제 연구는 암세포처럼 세포분열이 왕성한 조직에 대한 세포독성을 근거로 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세포분열이 빠른 피부, 점막, 골수 같은 정상조직 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내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항암제 개발을 위해서는 암세포에만 특이적으로 작용하고 정상세포에 대해서는 독성이 적은 항암 활성물질의 탐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 식물과 미생물 등에서 추출한 항암물질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이 미생물의 2차 대사산물이거나 생약재에서 추출된 물질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항암물질의 독성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미생물이나 생약 식물보다는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흔히 섭취하고 있고, 수세기 동안 그 안정성이 입증된 식용작물을 이용한다면 그 안정성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우리가 흔히 섭취하고 있는 식용작물 중에서 항암 효과가 있는 작물을 탐색하던 중 부추 추출물이 강력한 항암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부추(Allium tuberosumRottler)는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부추는 영양학적으로 단백질, 지방, 당질, 회분, 비타민 A, 철분 등의 함량이 높으며, 양질의 식이 섬유소원이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부추가 강장제, 건위제, 해독제, 화상 치료제로 쓰였고 중국 약물 사전에 의하면 부추가 통증, 설사를 멈추게 하며 해독, 천식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뿐만 아니라 부추는 항혈전효과와-carotene, chlorophyll, 비타민 C 등에 의한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부추는 마늘과 유사한 함황 작물로서 마늘의 생리활성물질에 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으나 부추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특히 항암효능과 관련된 연구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부추 추출물이 간암세포, 위암세포, 대장암세포, 신장암세포, 구강암세포 등을 사멸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강력한 항암물질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항암효과를 가지는 부추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각종 암세포에 대한 부추 추출물의 농도별 세포성장 억제효과를 MTT assay 방법으로 조사한 사진이다.
본 발명은 부추 착즙액과 부추 착즙액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항암효과에 관한 것으로 간암 세포주인 SK-Hep-1, Hep-3과 구강상피암 세포인 SCC-15, 신장암세포인 A-498, 대장암 세포인 WiDr, 위암 세포인 MKN-45 등 여러 종류의 암세포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유발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특징지워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부추를 수세하여 자연 탈수 시킨 후 마쇄하고 압착 여과하여 부추 착즙액을 얻은 후 이 착즙액을 다시 원심분리하여 부유물질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0.45 ㎛ 여과필터로 여과하여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무균상태의 부추 착즙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정으로 제조된 부추 착즙액의 유기용매 추출분획을 감압증류하여 얻은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부추 유기용매 추출물을 제공한다. 이 때 유기용매로는 에틸아세테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암세포 성장 억제효과
암세포에 대한 부추 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세포를 well당 5 ×103cells/180㎕의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 후 부추 추출물을 20㎕씩 첨가하여 37℃, 5% CO2incubator에서 96시간 배양하였다. 96시간 배양 후, 5㎎/㎖의 MTT용액을 각 well에 5㎕씩 첨가하여 37℃, 5% CO2incubator에서 4시간 배양하고 20% SDS solution 50㎕를 처리하여 24시간동안 발색을 유도시킨 후 ELISA microplate reader(ELx800:Bio-tec, USA)를 이용하여 540nm에서 발색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세포독성도는 다음의 식에 의하여 계산하였고, 각 세포별 배양배지는 표 1.에 나타내었다.
Cell Line | KCLB No. | Histopathology | Culture Media |
A498 | 30044 | Kidney carcinoma | DMEM+10%FBS |
SK-Hep-1 | 30052 | Liver adenocarcinoma | DMEM+10%FBS |
WiDr | 10218 | Colon adenocarcinoma | DMEM+10%FBS |
MKN-45 | 80103 | Stomach adenocarcinoma | RPMI1640+10%FBS |
각종 암세포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효과를 조사한 결과 표 2.에서와 같이 원액에서 모든 암세포에 대해 84%이상의 세포성장 저해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암 세포인 A498은 86.9%, 간암 세포인 SK-Hep-1은 88.9%, 대장암 세포인 WiDr은 89.9% 그리고 위암 세포인 MKN-45는 83.5%의 세포 독성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대장암 및 위암세포의 경우 원액을 10배희석하여도 세포 독성도가 각각 80.3%와 82.6%로 나타나 이 두 세포에 대해서는 아주 강한 세포성장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 A498(신장암) | SK-Hep1(간암) | WiDr(대장암) | MKN-45(위암) |
원액 | 86.9 | 88.9 | 89.9 | 83.5 |
10배 희석액 | 33.3 | 45.0 | 80.3 | 82.6 |
100배 희석액 | 3.0 | 10.7 | 0 | 12.7 |
본 발명의 부추 착즙액과 부추 유기용매 추출물은 신장암, 간암, 대장암, 위암 등 여러 종류의 암세포에 대해 강한 독성을 나타내므로 항암제 및 항암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 물질은 우리가 흔히 섭취하고 있는 일상 식용작물에서 추출된 물질이므로 그 안정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Claims (5)
- 부추를 마쇄하고 여과하여 얻은 항암효과를 가지는 부추 착즙액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과정에 더하여 다시 유기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항암효과를 가지는 부추 추출물
- 제 2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유기용매로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출물
- 부추 착즙액 및 부추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이용한 항암효과를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 부추 착즙액 및 부추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이용한 항암효과를 가지는 기능성 식품 및 식품 첨가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51975A KR20020086336A (ko) | 2002-08-30 | 2002-08-30 | 항암효과를 가지는 부추추출물 및 항암 활성성분의 추출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20051975A KR20020086336A (ko) | 2002-08-30 | 2002-08-30 | 항암효과를 가지는 부추추출물 및 항암 활성성분의 추출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86336A true KR20020086336A (ko) | 2002-11-18 |
Family
ID=2772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51975A KR20020086336A (ko) | 2002-08-30 | 2002-08-30 | 항암효과를 가지는 부추추출물 및 항암 활성성분의 추출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008633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8765B1 (ko) * | 2008-02-27 | 2011-03-07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부추에서 추출한 항암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추출 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7474A (ko) * | 2000-02-02 | 2001-08-20 | 손남율 | 항바이러스제 및 항암제 |
KR20020015244A (ko) * | 2000-08-21 | 2002-02-27 | 이승원 | 항암성 건강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KR20020023014A (ko) * | 2000-09-22 | 2002-03-28 | 이승원 | 항암성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030094595A (ko) * | 2002-06-07 | 2003-12-18 | 임선 | 항암제 조성물 |
-
2002
- 2002-08-30 KR KR1020020051975A patent/KR2002008633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7474A (ko) * | 2000-02-02 | 2001-08-20 | 손남율 | 항바이러스제 및 항암제 |
KR20020015244A (ko) * | 2000-08-21 | 2002-02-27 | 이승원 | 항암성 건강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KR20020023014A (ko) * | 2000-09-22 | 2002-03-28 | 이승원 | 항암성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20030094595A (ko) * | 2002-06-07 | 2003-12-18 | 임선 | 항암제 조성물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J Altern Complement Med. 2001 Oct;7(5):517-22 *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and Nutrition. 1999 03:33-37 * |
Report 1998.10.31. *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18765B1 (ko) * | 2008-02-27 | 2011-03-07 |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 부추에서 추출한 항암 효과를 갖는 조성물 및 추출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33600B1 (ko) | 항비만효과를 갖는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비만 조성물 | |
JP6909511B2 (ja) | カキを用いた機能性発酵物を含む骨健康の改善用組成物 | |
US20200000867A1 (en) | Composition for inhibiting and preventing myopathy, containing bean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 |
KR101686420B1 (ko) | 장수풍뎅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류마티스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2011136969A (ja) | セツレンカ抽出物、飲食品組成物および基礎化粧品組成物 | |
KR20020086336A (ko) | 항암효과를 가지는 부추추출물 및 항암 활성성분의 추출방법 | |
KR20110042927A (ko) | 망고 과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암 조성물 | |
Shafri et al. | In vitro cytotoxic activity of Ferula assafoetida on osteosarcoma cell line (HOS CRL) | |
KR20190006286A (ko) |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 또는 비만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 |
JP6886188B2 (ja) | 白血病細胞増殖抑制用組成物 | |
KR101894156B1 (ko) | 더덕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 |
KR101398737B1 (ko) | 아카시아속 나무 껍질 유래물을 함유하는 종양의 예방 및/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796924B1 (ko) |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기능 개선용 조성물 | |
JP2008247797A (ja) | 成人t細胞性白血病の予防剤、治療剤、及びその医薬品組成物 | |
KR102087189B1 (ko) | 무궁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 펩티드 저해용 조성물 | |
KR20040098839A (ko) | 비수리 추출물 및 그 용도 | |
KR101760691B1 (ko) | 췌장선암 예방용 건강기능성 식품 | |
JP5016200B2 (ja) | アカシア属樹皮由来物を含有する腫瘍の予防及び/又は治療用組成物 | |
JP2003252780A (ja) | アポトーシス誘導剤 | |
Naman et al. | ANTI-ANAEMIC POTENTIAL OF METHANOLIC LEAF EXTRACT OF MUCUNA PRURIENS ON PHENYLHYDRAZINE (PHZ) INDUCED ANAEMIC ALBINO WISTAR RATS | |
KR101775218B1 (ko) | 수염가래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결핵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 |
KR20100007377A (ko) | 바디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 |
KR20160036825A (ko) | 종양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성 식품 | |
KR101704681B1 (ko) | 호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의 기생충 감염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10076771A (ko) | 괭생이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