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9297A -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9297A
KR20020059297A KR1020020032932A KR20020032932A KR20020059297A KR 20020059297 A KR20020059297 A KR 20020059297A KR 1020020032932 A KR1020020032932 A KR 1020020032932A KR 20020032932 A KR20020032932 A KR 20020032932A KR 20020059297 A KR20020059297 A KR 20020059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onditioner
titanium oxide
housing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2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용주
Original Assignee
이광휘
신용주
이진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휘, 신용주, 이진규 filed Critical 이광휘
Priority to KR1020020032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59297A/ko
Publication of KR20020059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9297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5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chemica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4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sterilising med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설비 또는 공기조화기의 덕트상에 설치되어 고도의 탈취효과와 멸균작용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덕트설치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망을 친수성 재질로 개선하므로써 수용성 산화티탄의 코팅효율을 높여 산화티탄과 이에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탈취 및 멸균기능의 향상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산화티탄이 코팅된 여과망과 자외선램프를 하우징에 의해 패키지화 하므로써 기존 및 신규 공조설비의 덕트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는 전·후방에 공기유입구(12)와 공기배출구(14)가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개폐가능한 수납도어(18)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6)이 설치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AF)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되 상기 가이드레일(16)에 의해 지지되며, 면섬유에 의한 부직포 또는 면사와 합성섬유사에 의해 직조된 직조물의 표면에 수용성 산화티탄(24)이 코팅되어 이루어진 여과망(20); 및 상기 하우징(10)의 상·하 내벽면에 설치되며, 제어기(40)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점멸되면서 상기 여과망(2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30)로 구성되어; 공기조화기의 덕트(60)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Air cleaning device for air condit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설비 또는 공기조화기의 덕트상에 설치되어 고도의 탈취효과와 멸균작용이 가능한 공기조화기의 덕트설치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여과망을 친수성 재질로 개선하므로써 수용성 산화티탄의 코팅효율을 높여 산화티탄과 이에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탈취 및 멸균기능의 향상 및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산화티탄이 코팅된 여과망과 자외선램프를 하우징에 의해 패키지화 하므로써 기존 및 신규 공조설비의 덕트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에는 유입공기에 편승된 미세먼지, 세균, 냄새등을 제거하기 위한 공기정화필터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나, 필터의 구성요소 및 사용재질, 설치위치 등등의 변수에 따라 그 여과기능에 큰 차이를 보인다. 특히, 실내공기 및 실외공기에는 오염물질이 다양화되고, 미세먼지농도 및 세균보균수, 악취등이 증가되는 추세에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도 진보되고 있다.
최근에는 산화티탄(TiO2)을 이용한 방법이 주목받고 있는데, 산화티탄은 여기전자가 갖는 환원력보다 정공이 갖는 산화력이 대단히 세다. 정공의 에너지 위치는 전위로 나타내면 수소기준 전위로 약 +3V, 물의 산화전위가 약 1.2V, 수처리에 사용되는 염소, 오존이 각 1.36V, 2.07V 인것을 감안하면 산화력의 강도를 짐작할 수 있다. 산화티탄에서 생기는 에너지를 열에너지와 비교하면 350nM의 광자가 갖는 에너지는 섭씨 3500℃로 가열된 것과 같은 상태로 된다. 이러한 고온에서의 유기물질이 곧 산화되어 이산화탄소와 물로 전환된다. 광촉매반응은 이것을 상온에서 달성하는 것이다. 산화티탄은 광촉매작용에 의해 재료표면의 부착물질, 공기중의 물질, 수중의 물질을 살균, 항균, 분해, 방오, 소취, 포집할 수 있으며, 쿨러필터,유리, 타일, 외벽, 식품, 공장내벽, 금속제품, 수조, 해양오염정화, 건자재, 곰팡이 방지, 자외선 차단, 수질정화, 대기정화, 병원내 감염방지등 그 활용범위가 넓다.
공기조화기에서는 금속 및 합성수지재등의 모체(메쉬체, 비 메쉬체 포함) 표면에 액상의 산화티탄을 도포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금속 및 합성수지재는 분자배열의 치밀성 때문에 수용성 산화티탄의 코팅이 잘 되지 않으며, 코팅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유효면적에 대한 완전 코팅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정화 및 멸균등의 작용효과가 미미한 수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산화티탄이 코팅된 여과망과, 산화티탄의 광촉매 활성화를 위한 자외선램프를 공기유동로상에 설치하여 강력한 공기여과를 가능케 하는 공기조화기의 덕트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산화티탄이 코팅되는 여과망을 면섬유에 의한 부직포로 하거나 면사를 직조하여 구성하고, 그 표면에 수용성 산화티탄을 코팅하므로써 코팅의 효율성 및 성능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덕트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3목적은 여과망과 자외선램프를 케이스에 의해 패키지화 한 공기조화기의 덕트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제 4목적은 여과망을 친수성 재질로 한 경우, 기계적인 강도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합성섬유사를 혼용한 공기조화기의 덕트설치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장치의 설치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우징 12 : 공기유입구
14 : 공기배출구 16 : 가이드레일
18 : 수납도어 20 : 여과망
22 : 프레임 24 : 산화티탄
30 : 자외선램프 40 : 제어기
60 : 덕트
상기 제시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특징은, 전·후방에 공기유입구와 공기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개폐가능한 수납도어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에 의해 지지되며, 면섬유에 의한 부직포 또는 면사와 합성섬유사에 의해 직조된 직조물의 표면에 수용성 산화티탄이 코팅되어 이루어진 여과망; 및 상기 하우징의 상·하 내벽면에 설치되며, 제어기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점멸되면서 상기 여과망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로 구성되어; 공기조화기의 덕트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도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덕트를 갖는 건물용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산화티탄 및 자외선램프를 이용하여 공기에 편승 또는 포함된 냄새성분 및 세균, 먼지입자들을 소멸시키기 위한 것을 기본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이는 이미 공지기술에 속하기 때문에 산화티탄 및 자외선램프가 설치되는 공기정화장치의 구조적인 특징과, 제한된 면적내에서 산화티탄을 보다 효율적으로 코팅하므로써 공기정화기능의 향상을 기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하우징(10)과, 이 하우징(10)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AF)과 직각을 이루도록 하여 설치된 여과망(2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여과망(2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30) 및 이 자외선램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4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은 그 전방 및 후방이 개방되어 각각 공기유입구(12)와 공기배출구(14)를 형성하며, 그 내부의 상·하 내벽면상에는 상기 여과망(20)을 지지하기 위해 폭방향으로 가이드레일(16)이 복수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0)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개폐 가능한 수납도어(18)가 설치되어 하우징(10)에 내장된 여과망(20)의 인입 및 인출을 물론 유지보수를 위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통로역할이 가능토록 하였다.
상기 여과망(20)은 하우징(10)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AF)과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유동공기가 반드시 여과망(20)을 통하도록 하며, 이 여과망(20)은 섬유사를 직조하여 구성되므로 미세한 메쉬를 형성하므로써 그에 상응하는 여과기능이 자연적으로 수반되며 직조의 조밀도, 직조두께에 따라 여과기능의 정도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여과망(20)의 테두리는 프레임(22)에 의해 마감처리된다.
또한, 상기 여과망(20)의 섬유재로는 면사와 합성섬유사를 혼용하여 직조하거나 면섬유에 의한 부직포가 사용되며, 그 표면에는 수용성 산화티탄(24)이 코팅된다. 면사는 친수성 섬유재로서 액상의 산화티탄의 침투효율이 좋기 때문에 산화티탄의 코팅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 있듯이 산화티탄의 코팅정도와 공기정화효율은 비례하기 때문에 코팅효율의 향상은 살균 및 탈취성능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여과망(20)은 공기유동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정화효과를 중복 작용시켜 보다 높은 공기청정도를 얻을 수 있으며, 실내에서 요구되는 공기청정도의 수준에 따라 여과망(20) 및 자외선램프(30)의 설치간격 및 설치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램프(30)는 유로의 단면적, 자외선램프의 규격, 공기의 시간당 통과량등에 따라 적정수량을 조정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제어기(40)에 의해 필요한 만큼 구분 점멸이 가능토록 하였다.
이러한 공기정화장치는 패키지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의 공조설비 또는 신규 공조설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예컨데, 도 3과 같이 열교환기(50)의 전방 또는 후방의 덕트(60)간에 설치하거나 전방 및 후방에 동시에 설치할 수도 있다. 기존 시설된 공조설비의 경우 덕트(60)의 일부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에 상기 공기정화장치를 연결 설치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장치가 덕트간에 설치되는 것을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슬림화 할 경우 독립형 공기조화기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자외선램프와 산화티탄의 자외선여기 입자 분해기능을 이용한 살균 및 탈취기능을 하는 공기정화장치를 패키지화하여 기존설비 또는 신규설비의 공조장치의 덕트간에 설치하므로써 덕트 출구부 공기의 청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과,
여과망을 면사와 함성섬유사를 혼용하여 직조한 섬유그물망을 이용하므로써 수용성 산화티탄의 표면 도포효율을 높여 살균 및 탈취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면사만으로 직조하였을 경우 구조적인 취약을 보완하기 위해 합성섬유사를 혼용하거나 면섬유에 의한 부직포를 사용하므로써 기계적인 강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전·후방에 공기유입구(12)와 공기배출구(14)가 각각 형성되며, 일측면에는 개폐가능한 수납도어(18)가 설치되고, 내부에는 가이드레일(16)이 설치된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공기유동방향(AF)에 대해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되되 상기 가이드레일(16)에 의해 지지되며, 면섬유에 의한 부직포 또는 면사와 합성섬유사에 의해 직조된 직조물의 표면에 수용성 산화티탄(24)이 코팅되어 이루어진 여과망(20); 및 상기 하우징(10)의 상·하 내벽면에 설치되며, 제어기(40)에 의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점멸되면서 상기 여과망(2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램프(30)로 구성되어; 공기조화기의 덕트(60)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망(20)은 공기유동방향(AF)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
KR1020020032932A 2002-06-12 2002-06-12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 Ceased KR200200592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932A KR20020059297A (ko) 2002-06-12 2002-06-12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2932A KR20020059297A (ko) 2002-06-12 2002-06-12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9297A true KR20020059297A (ko) 2002-07-12

Family

ID=2772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2932A Ceased KR20020059297A (ko) 2002-06-12 2002-06-12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59297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4650A (zh) * 2016-03-29 2016-06-15 江苏深氧环保科技有限公司 中央空调回风口过滤机构
CN105771510A (zh) * 2016-03-29 2016-07-20 江苏深氧环保科技有限公司 吸顶机用滤芯
CN105797522A (zh) * 2016-03-29 2016-07-27 江苏深氧环保科技有限公司 挂壁机
KR20180119045A (ko)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제이케이골드 항균동망을 이용한 항균동 필터
CN109631218A (zh) * 2018-10-22 2019-04-16 皇家动力(武汉)有限公司 一种实验室用内循环式通风系统
CN111594930A (zh) * 2020-04-26 2020-08-28 廖晓航 一种用于风机盘管的杀毒除菌控制装置
KR20220105795A (ko) * 2021-01-21 2022-07-28 신우시스템 주식회사 실내공기 제균형 환기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2916A (ja) * 1982-06-18 1983-12-24 Kawasaki Heavy Ind Ltd デイ−ゼル機関における燃焼用空気供給装置
KR20010000790A (ko) * 2000-10-19 2001-01-05 김현채 항균기능을 갖는 필터가 구비된 공조기와 무기항균제의제조방법
KR20020008766A (ko) * 2000-07-24 2002-01-31 야마다 인더스트리 가부시키가이샤 배기가스의 정화처리장치
KR200276040Y1 (ko) * 2002-02-22 2002-05-18 주식회사 기가씨앤이 공기 살균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22916A (ja) * 1982-06-18 1983-12-24 Kawasaki Heavy Ind Ltd デイ−ゼル機関における燃焼用空気供給装置
KR20020008766A (ko) * 2000-07-24 2002-01-31 야마다 인더스트리 가부시키가이샤 배기가스의 정화처리장치
KR20010000790A (ko) * 2000-10-19 2001-01-05 김현채 항균기능을 갖는 필터가 구비된 공조기와 무기항균제의제조방법
KR200276040Y1 (ko) * 2002-02-22 2002-05-18 주식회사 기가씨앤이 공기 살균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4650A (zh) * 2016-03-29 2016-06-15 江苏深氧环保科技有限公司 中央空调回风口过滤机构
CN105771510A (zh) * 2016-03-29 2016-07-20 江苏深氧环保科技有限公司 吸顶机用滤芯
CN105797522A (zh) * 2016-03-29 2016-07-27 江苏深氧环保科技有限公司 挂壁机
KR20180119045A (ko) 2017-04-24 2018-11-01 주식회사 제이케이골드 항균동망을 이용한 항균동 필터
CN109631218A (zh) * 2018-10-22 2019-04-16 皇家动力(武汉)有限公司 一种实验室用内循环式通风系统
CN111594930A (zh) * 2020-04-26 2020-08-28 廖晓航 一种用于风机盘管的杀毒除菌控制装置
KR20220105795A (ko) * 2021-01-21 2022-07-28 신우시스템 주식회사 실내공기 제균형 환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88591B (zh) 送风型动态过滤、静态杀菌消毒空气净化系统
CN104114196B (zh) 用于对给定设施或装备进行消毒的移动式消毒装置和所述装置的使用方法
US7510470B2 (en) Safe rooms and other such spaces and air processing systems for such safe rooms and spaces
US20040166037A1 (en) Air filtration and treatment apparatus
KR101790129B1 (ko) 엘리베이터 스마트 공기살균기
US201202914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biological Organisms in Commercial Icemakers and Coolers
KR101870034B1 (ko) 주름형 광촉매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US20220194180A1 (en) Dual device for environments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of air and surfaces
KR20090005625U (ko) 무균실 출입용 항균장치
US20080031783A1 (en) Photocatalytic fabric
KR200451416Y1 (ko) 살균 탈취 기능을 가진 공기조화기
KR100776386B1 (ko) 나노복합 광촉매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KR20020059297A (ko) 공기조화기용 공기정화장치
CA2676654C (en) Air decontamination system
PL245400B1 (pl) Przepływowy oczyszczacz powietrza
JP3364708B2 (ja) 空調装置
KR200397471Y1 (ko) 전기집진필터와 유브이씨램프를 이용한 공기조화기
KR20080073472A (ko) 천정 매입형 공기 살균 정화기
CN212132743U (zh) 送风型动态过滤、静态杀菌消毒空气净化系统
KR100535940B1 (ko) 공기정화기
KR200340227Y1 (ko) 광촉매를 이용한 공기살균기
KR102484592B1 (ko) 인공지능을 활용한 공기정화장치 및 공기정화방법
JP4492152B2 (ja) 換気設備
KR100567670B1 (ko) 엘리베이터의 자외선 살균장치
SK289094B6 (sk) Ozónový sterilizátor s regeneráciou vzduch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2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405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410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0405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