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53761A - 잉크 젯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잉크 젯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53761A
KR20020053761A KR1020010085762A KR20010085762A KR20020053761A KR 20020053761 A KR20020053761 A KR 20020053761A KR 1020010085762 A KR1020010085762 A KR 1020010085762A KR 20010085762 A KR20010085762 A KR 20010085762A KR 20020053761 A KR20020053761 A KR 20020053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dispersible resin
water
resin particles
acryl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5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0006B1 (ko
Inventor
겐이찌 모리야
겐지 신조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20020053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3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0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00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02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characterised by structural details, e.g. multilayer materials
    • B41M5/506Intermediat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54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vinyl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72Polyesters;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50Recording sheets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used to improve ink, dye or pigment receptivity, e.g. for ink-jet or thermal dye transfer recording
    • B41M5/52Macromolecular coatings
    • B41M5/5263Macromolecular coating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B41M5/5281Polyurethanes or polyureas

Landscapes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Ink Jet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잉크 젯 기록 매체는 0 ℃ 이상의 최저 필름 형성 온도를 갖는 수분산성 수지 입자 B, 및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필름 형성 온도보다 높은 최저 필름 형성 온도 및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평균 입도보다 큰 평균 입도를 갖는 수분산성 수지 입자 A를 포함하는 다공질 수지층을 기재 상에 갖는다.

Description

잉크 젯 기록 매체 {Ink-Jet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잉크 젯 기록에 적합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잉크 젯 기록 방식은 정전 흡인, 압력 소자를 이용한 잉크의 기계적 진동 또는 변이, 가열로 인한 잉크의 버블링 등과 같은 다양한 잉크 토출 방법에 의해 잉크 방울을 토출시키고, 토출된 잉크의 전체 또는 일부를 종이 및 그 위에 잉크 수용층을 갖는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기록 매체 상에 침착시킴으로써 기록을 행한다. 잉크 젯 기록 방식은 저소음 발생, 고속 인자 및 다색 인자에의 적합성으로 인해 주목을 받고 발전하여, 인쇄기, 복사기, 워드 프로세서, 팩스, 플로터 및 다른 정보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게 되었다.
최근, 고성능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 및 스캐너가 저가로 공급되었으며, 개인용 컴퓨터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잉크 젯 방식에 의한 이들 화상형성 장치로 화상을 출력하는 기회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잉크 젯 인쇄 품질이 은염계 사진 또는 그라비야(gravure) 방식에 의한 다색 인쇄의 품질과 견줄만 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기록 속도의 증가, 인쇄 미세성의 증가, 풀칼라 인쇄 품질 향상 등과 같은 잉크 젯 기록 장치 및 기록 방식의 다양한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이에 대한 기록 매체 역시 고성능을 가질 것이 요구되고 있다. 기록 매체는 또한 광택 및 높은 내후성을 갖는 인자물을 수득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공개되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보 제59-22683호에는 상이한 최저 필름 형성 온도를 갖는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기재 표면에 코팅하고 건조시켜 표면에 크래킹을 갖는 필름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 높은 잉크 흡수성을 갖는 광택이 있는 인쇄지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59-222381호, 제6-55870호, 제7-237348호 및 제8-2090호에는 안료층 표면상에 수분산성 수지 입자로 구성된 층을 형성시키고, 상기 층을 열가소성 수지 입자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이하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기록 매체를 제조하고, 인자 후 표면층을 표면 필름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제조된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인쇄된 화상의 내수성 및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보 제8-99457호에는 잉크 정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결합제의 연속 표면 필름에 분산되어 있는 수성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층을 갖는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보 제62-280067호에는 50 ℃ 이상의 용융 온도를 갖는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보 제62-140878호에는 입상 수지 및 결합제로 주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제62-271785호에는 비염색성 입자 및 결합제로 주로 이루어진 층을 갖는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제62-140879호에는 열융착성/압융착성을 갖는 층을 갖는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출원 공보 제59-22683호에 개시된 인쇄 시이트는 그 표면 상에 형성된 미세한 크래킹으로 인해 충분한 내찰과성(耐擦過性)을 갖지 못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보 제59-222381호 등에 개시된 기록 매체는 Tg 미만의 온도에서의 열처리되므로 기재와 입자들간의 접착성이 충분하지 못하며, 수분산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표면층의 내찰과성이 낮기 때문에 긁히기 쉽고, 인쇄 후 투명성을 위해 가열시 균일한 표면 필름이 꾸준히 형성되지 않고, 높은 화질이 꾸준히 제공되지 않으므로 불리하다. 연속적인 결합제 표면 필름 내에 보유된 수성 수지 입자로 인해 높은 내찰과성을 갖는 일본 특허 출원 공보 제8-99457호에 개시된 기록 매체는 개시되어 있는 잉크 흡수성으로는 근래의 고속 인쇄에는 적합하지 못하다.
일본 특허 출원 공보 제62-280067호, 제62-140878호, 제62-271785호, 제62-140879호 등은 최근 요구되고 있는 기록면의 내찰과성, 화상의 선명함 및 높은 표면 광택의 사진화질 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의 기록 매체의 단점을 보완하고, 충분한 잉크 흡수성 및 높은 내찰과성을 갖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하기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해 성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0 ℃ 이상의 최저 필름 형성 온도를 갖는 수분산성 수지 입자 B, 및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필름 형성 온도보다 높은 최저 필름 형성 온도 및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평균 입도보다 큰 평균 입도를 갖는 수분산성 수지 입자 A를 포함하는 다공질 수지층을 기재 상에 갖는다.
도 1은 수분산성 수지의 입자들이 부분적으로 융착된 상태를 예시하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수분산성 수지 입자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는 필수 성분으로서 50 ℃ 이상의 최저 필름 형성 온도를 갖는 수분산성(water-dispersible) 수지 입자 A 및 0 ℃ 이상의 최저 필름 형성 온도를 갖는 수분산성 수지 입자 B를 포함하는 다공질 수지층을 갖는다. 적용된 잉크는 이 다공질 수지층에 침투하여 잉크 흡수성 기재 또는 다공질 잉크 수용층에 도달하여 그곳에 화상을 형성한다. 상기 특정 다공질 수지층은 본 발명의 기록 매체에 우수한 내찰과성 및 높은 잉크 흡수성을 제공한다.
다공질 수지층에 1종의 수분산성 수지 입자만 사용하면 수분산성 수지 입자들 간의 결합 강도가 약하여 기록 매체의 내찰과성이 낮아진다.
수분산성 수지 입자를 여러 종 사용하는 경우, 잉크 흡수성 및 내찰과성이 모두 뛰어난 다공질 수지층을 수득하기 위해 2종의 수분산성 수지 입자는 상이한최저 필름 형성 온도를 가져야 한다. 0 ℃ 미만의 최저 필름 형성 온도를 갖는 낮은 최저 필름 형성 온도의 수분산성 수지 입자는 수지층을 다공질로 할 수는 있지만, 잉크 흡수성을 낮게 할 것이다. 수분산성 수지 입자 B가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와 수분산성 수지 입자 B 사이의 결합 형성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필름을 형성할 수 있으나 충분한 세공을 형성하지는 못할 것으로 가정되나 그이유는 분명치 않다.
다공질 수지층의 더욱 바람직한 상태를 위해,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와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최저 필름 형성 온도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이상,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이상이다.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와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최저 필름 형성 온도 차이가 작으면, 수분산성 수지 입자들 간의 결합 강도가 약해져서 다공질층의 내찰과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높은 내찰과성과 높은 잉크 흡수성을 동시에 수득하기 위해 수분산성 수지 입자 A 및 수분산성 수지 입자 B는 혼합층에서 부분적으로 융착(融着)된다.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와 수분산성 수지 입자 B가 본 발명에서 부분적으로 융착된 상태를 도면에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수분산성 수지 입자 A 또는 B의 둘 이상의 인접한 수분산성 수지 입자들 (1)은 가열함으로써 비드형 상태 또는 아령형 상태로 융착된다. 융착된 수분산성 수지 입자들 (1)의 상태는 융착 영역 면적이 πr2/400 내지 πr2(여기서, r은 수분산성 수지 입자들 (1)의 평균 입경을 나타냄)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부분적으로 융착된 상태는 수분산성 수지 입자 A 및 수분산성 수지 입자 B가,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의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수분산성 수지 입자 B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에 대한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함량비가 낮을수록 수분산성 수지 입자들 간의 융착 정도가 낮아져 내찰과성이 낮아질 수 있다. 역으로,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에 대한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함량비가 커질수록, 수분산성 수지 입자들간의 융착 정도가 커져서 내찰과성이 향상될 수는 있으나 다공성이 낮아져 잉크의 흡수성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높은 내찰과성 및 높은 잉크 흡수성을 동시에 수득하기 위해 부분적으로 융착된 구조의 경우, 높은 최저 필름 형성 온도를 갖는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의 평균 입도는 낮은 최저 필름 형성 온도를 갖는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입도보다 크다.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의 평균 입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0.1 내지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8 ㎛이다.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평균 입도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3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2 ㎛이다.
수분산성 수지 입자 A 및 B에는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산, 스티렌-(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닐 아세테이트/(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 공중합체, 폴리(메트)아크릴아미드, (메트)아크릴아미드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비닐 에테르, 실리콘-아크릴 공중합체,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스테르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고도의 내찰과성과 잉크의 고흡수성을 동시에 얻기 위해서, 수분산성 수지 입자 A는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산,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및 에틸렌의 임의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변성물이 바람직하며,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및 스티렌-아크릴산의 2종 이상 성분의 임의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변성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수분산성 수지 입자 B는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산,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및 에틸렌의 임의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변성물이고, 아크릴산 또는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및 스티렌-아크릴산의 2종 이상 성분의 임의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변성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공질층의 이상적인 부분 융착 구조의 형성을 위해,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와 B의 바람직한 단량체 조합 (수분산성 수지 입자 A 성분의 단량체/수분산성 수지 B 성분의 단량체)으로는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산, 아크릴산/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및 스티렌-아크릴산/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이 있다.
더욱 바람직한 조합으로 수분산성 수지 입자 A 및 B의 몇몇 성분은 통상적으로 양 수지 모두에 사용된다. 이러한 조합 (수분산성 수지 입자 A 성분의 단량체/수분산성 수지 입자 B 성분의 단량체)에는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산,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및 스티렌-아크릴산/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이 있다.
유사하게 3종 이상 성분의 공중합체에서, 수분산성 수지 입자 A 및 B의 몇몇 성분은 통상적으로 양 수지 모두에 사용된다. 이러한 조합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의 단량체 성분/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단량체 성분)에는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스티렌-아크릴산,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및 스티렌-아크릴산/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이 포함된다.
아마도, 이는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와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혼합물에서 부분 융착 구조를 형성하는 동안 통상의 성분이 완전히 동일한 성분 또는 완전히상이한 성분의 조합과 비교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와 수분산성 수지 입자 B 사이에 적합한 융화성을 만들어 이상적인 부분 융착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인 것 같다. 따라서, 고도의 내찰과성 및 잉크의 고흡수성이 얻어진다.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와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부분 융착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감소되지 않는 한에서 결합제를 소량으로 혼입시킬 수 있다.
수분산성 수지 A 및 B의 입자는 초기에 상기한 다공질 구조를 형성한다. 인쇄후, 다공질 구조가 열 처리 또는 유사 처리에 의해 비공질 (투명한) 구조로 전환되어 인쇄부에 내후성 및 광택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시 잉크의 염료 또는 안료와 같이 다공질층에 남아 있는 염색 성분이 인자물의 광택성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와 수분산성 수지 입자 B 중 적어도 하나가 비염착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와 B 모두가 비염착성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공질 수지층은 고형분 함량이 10 내지 50 중량%로 조정된 수분산성 수지 입자 A 및 B의 액체 코팅 혼합물을 기재에 도포하고, 열처리하고, 이를 건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수분산성 수지 입자 A 및 B를 함유하는 액체 혼합물의 코팅양은 보통 2 내지 30 ㎛ 범위의 건조 두께를 형성하는 양으로, 인자 후의 처리에 의한 간섭색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표면에 광택을 주고 보호막으로 만족스럽게 작용하기에 충분해야 한다.
건조 필름 두께가 2 ㎛ 미만인 경우에 필름은 보호막으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못하고, 잉크 흡수성이 낮아서 이색 경계에서 잉크 번짐(feathering)을 일으킨다. 건조 필름 두께가 3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잉크가 다공질층에서 분산되어 이색 경계에서 잉크가 퍼지고(running) 색 밀도를 비균일하게 하지 않으면서 완전한 원형의 도트 모양을 얻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기재는 무목재지(wood-free paper), 중질지, 아트지, 본드지, 수지코팅지, 바리타(baryta)지 및 코팅지와 같은 종이;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디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및 폴리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플라스틱재 필름을 비롯한 투명 기재 또는 불투명 기재일 수 있다. 다공질 수지층이 열가소성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다공질층만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기재가 잉크 흡수성이 있는 종이거나 다공질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수용층은 다공질 수지층과 기재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에서 도포된 잉크는 다공질 수지층을 통과하여 잉크 수용층에 도달하고 그곳에서 화상이 형성된다.
잉크 수용층은 안료를 함유하고 다공질이다. 이에 유용한 안료로는 실리카, 탄산칼슘 및 알루미나 수화물이 포함된다. 염료 정착성 및 투명성 면에서 이들 중 알루미나 수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알루미나 수화물은 알루미나 알콕시드의 가수분해반응 및 나트륨 알루미네이트의 가수분해반응과 같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알루미나 수화물은섬모형, 침상형, 플레이트형, 방추형 등일 수 있고, 배향성이거나 비배향성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비배향성 알루미나 수화물을 사용함으로써 더 얇은 두께의 알루미나-수화물 함유 층으로도 잉크의 고흡수성을 얻을 수 있고 비딩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잉크 수용층의 배향은 잉크 수용층의 형성시 하기에 기재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두께 방향에서 잉크 수용층의 단면을 노출시켜 투과 회절 도표를 얻기 위하여 잉크 수용층의 단면 부분에 전자빔을 주사하였다. 배향 상태는 하기 식 1로 나타내는 회절 세기 변화 지수 δ를 사용하여 동심원 고리형 회절 상이 드러나는 것으로 확인된다. 회절 강도 변동치 δ가 5 %보다 크지 않은 경우에는 비배향성을 나타낸다.
δ= (I최대-I최소)/(I최대+I최소) ×100
여기서, I최대는 고리형 회절상의 최대 회절 강도를 나타내고, I최소는 최소 회절 강도를 나타낸다.
잉크 수용층에 비배향성 상태의 알루미나 수화물이 존재함으로써 시료의 단면 방향에 상관없이 회절 강도 변동치 δ는 5 %보다 크지 않게 나타난다. 배향성의 존재는 잉크 수용층의 두께 방향에서 연장되는 서로 수직인 임의의 2개의 단면의 회절상으로 판단된다.
회절 강도 변동치 δ는 특히 다음에 나타낸 방법에 의해 유도된다. 알루미나 수화물을 함유하는 층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인 필름 상에 형성된다. 700 ±100 Å의 단면 박편은 측정된 예와 같이 제조된다. 투과 전자 현미경 (모델 H-800, 히타치사(Hitachi, Ltd.))으로 알루미나 수화물층 단면의 전자 회절을 측정한다. 회절상의 회절 강도는 이미징 플레이트 (후지 포토 필름사(Fuji Photo Film Co.)에서 제조)로 옮겨지고 각 격자 평면의 회절상의 강도 분포가 측정된다. 회절 세기 변화 지수는 상기 식 1로부터 유도된다. 측정시 제한된 범위에서의 회절은 2000 Åφ의 크기이고, 단면의 상이한 위치에서 10개의 점을 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알루미나 수화물은 시판품이거나 그의 가공품일 수 있다. 알루미나는 투명성, 광택성 및 염료 정착성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고, 필름 형성시에 크래킹을 유발하지 않고 양호한 코팅 특성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시판품으로는 AS-2 및 AS-3 (상표명, 쇼꾸바이 가세이 가부시끼가이샤) 및 520 (상표명, 닛산 케미칼 인더스트리즈)이 있다.
무배향성 알루미나 수화물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콕시드의 가수분해-해교법에 의하거나, 또는 알루미늄 니트레이트와 나트륨 알루미네이트의 가수분해-해교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알루미나 수화물은 통상 입도가 1 ㎛ 이하인 미립자이며, 고분산성이므로 평활성 및 광택성이 양호한 기록 매체를 얻게 한다.
알루미나 수화물 결착용 결합제는 제한 없이 수용성 고분자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성 고분자에는 폴리비닐 알콜 및 그의 변형체; 전분 및 그의 변형체; 젤라틴 및 그의 변형체; 카제인 및 그의 변형체; 아라비아 고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와 같은 셀룰로스 유도체; SBR 라텍스, NBR 라텍스,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라텍스와 같은 공액 디엔계 공중합체 라텍스; 관능기 변성 중합체 라텍스;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라텍스와 같은 비닐계 공중합체 라텍스; 폴리비닐피롤리돈; 말레산 무수물 및 그의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있다. 이들 결합제는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알루미나 수화물 및 결합제는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30:1, 보다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25:1 범위의 중량비로 혼합한다. 결합제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에는 잉크 수용층의 기계적 강도가 불충분하여 크래킹이나 더스팅을 유발하는 반면, 결합제의 양이 상기 범위보다 많은 경우에는 공극 부피가 작아 잉크 흡수율을 저하시킨다.
하위층 형성용 코팅액은 알루미나 수화물 및 결합제 이외에 분산제, 증점제, pH 조절제, 윤활제, 유동성 변성제, 계면활성제, 소포제, 내수화제, 이형제, 형광 증백제, UV 흡수제 및 산화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함유할 수 있다.
알루미나 수화물은 염료 정착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10 g/m2이상의 양으로 기재에 도포한다. 잉크 흡수성이 없는 기재의 경우에는 알루미나 수화물을 30 내지 50 g/m2의 범위의 양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흡수성을 갖는 기재의 경우에는 알루미나 수화물을 20 내지 40 g/m2의 범위의 양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팅 건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알루미나 수화물 및 결합제는 필요한 경우 소성 처리를 할 수가 있다. 소성 처리에 의해 결합제의 가교 강도를 증가시켜 잉크 수용층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키며 알루미나 수화물층의 표면 광택성을 향상시킨다.
기재로서 종이를 사용하는 경우, 은염 사진에 필적할만한 상을 얻기 위해 섬유상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록이 수행되는 기지(base paper sheet)의 표면을 황산바륨으로 코팅시켜 400 초 이상의 베크(Bekk) 표면 평활도 및 87% 이상의 백색도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황산바륨은 평균 입도가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1.0 ㎛, 보다 바람직하게는 0.4 내지 0.8 ㎛의 범위이다. 상기한 입도 범위의 황산바륨을 사용함으로써 소정의 백색도, 광택도 및 잉크 흡수성을 얻을 수 있다.
황산바륨 결착용 결합제로서 황산바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6 내지 12 중량부의 젤라틴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황산바륨은 20 내지 40 g/m2의 코팅량으로 기재에 도포한다.
황산바륨 층의 평활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잉크 흡수성이 저하되기 쉽다. 따라서, 평활도는 600 초 이하가 바람직하고, 500 초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코팅액은 알루미나 수화물 및 결합제 이외에 분산제, 증점제, pH 조절제, 윤활제, 유동성 변성제, 계면활성제, 소포제, 내수화제, 이형제, 형광 증백제, UV 흡수제 및 산화방지제와 같은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는 경우, 상기한 조성물을 필요한 첨가제와 함께 물, 알콜, 다가 알콜 또는 적합한 유기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코팅액을 제조한다.
얻어진 코팅액을 롤 코팅법, 블레이드 코팅법, 에어 나이프 코팅법, 게이트 롤 코팅법, 바아 코팅법, 사이즈 프레스법, 분무 코팅법, 그라비야 코팅법 및 커텐 코팅법과 같은 코팅법에 의해 기재 표면에 도포한다. 그후, 도포된 코팅액을 열풍 건조기, 열 드럼 등에 의해 건조시켜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얻는다
잉크를 기록 매체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잉크에 가해지는 열에너지 작용에 의해 잉크 액적을 형성하는 잉크-젯 방식이 간편성, 고속 인쇄 및 인쇄 정확성 면에서 적합하다.
다공질층을 비다공질로 만들기 위해서는 열처리가 적합하다. 열처리는 내수성 및 내광성과 같은 내후성을 개선시켜 화상을 광택 있게 만들고 인자물을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한다.
열처리 온도는 수분산성 수지 입자의 최저 필름 형성 온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 범위는 다공도 감소 처리 후의 표면 특성 측면에서 수분산성 수지 입자의 종류에 따라 70 내지 18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처리 온도가 70 ℃ 미만인 경우에는 광택 뿐 아니라 보호막으로서의 성능이 충분치 않으며, 내수성이 불충분해진다. 열처리 온도가 180 ℃를 넘는 경우에는 기재를 변질시켜 인자물을 불만족스럽게 만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어떤식으로도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1>
기재로 다음과 같이 코팅지를 제조하였다. 황산바륨과 염화바륨을 반응시켜 얻어진 평균 입도 0.6 ㎛의 입상 황산바륨 100 중량부, 젤라틴 10 중량부, 폴리에틸렌 글리콜 3 중량부 및 크롬 명반 0.4 중량부를 혼합하여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이 코팅액을 기초 중량이 130 g/m2이고, 베크 평활도가 340 초인 기지에 도포하여 건조 두께 20 ㎛를 얻었다. 코팅된 기지를 슈퍼칼렌더 처리하여 표면 평활도가 400 초인 기재를 얻었다.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최저 필름 형성 온도: 130 ℃, 평균 입도: 0.75 ㎛) 100 중량부 및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모비닐(Movinyl) 752 (상표명), 훽스트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30 ℃, 평균 입도: 0.1 ㎛)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또다른 코팅액을 제조하고, 이 혼합액의 고형분을 30 %로 조정하였다. 코팅액을 상기 제조된 기재에 바아 코팅기로 도포하고, 60 ℃에서 10분 동안 건조하여 두께 약 20 ㎛의 다공질층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다공질층은 SEM에 의해 관찰하였으며,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기록 매체 상에, 하기 조성을 갖는 잉크를 잉크-젯 프린터 (BJC610JW (상표명), 캐논 가부시끼가이샤)로 화상 인쇄하였다. 기록 매체를 140 ℃에서 열처리하여 다공질층을 비다공질로 만들어 사진과 같은 화질을 갖는 인자물을 얻었다.
사용된 잉크:
염료 Y: C.I. 디렉트 옐로우 86
M: C.I. 에시드 레드 35
C: C.I. 디렉트 블루 199
M: C.I. 푸드 블랙 2
잉크 조성
염료3 부
글리세린7 부
티오글리콜7 부
물83 부
이 인자물을 블랙 화상의 농도, 광택도 및 내후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또한, 기록 매체를 내찰과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표 1에 결과를 제시한다.
(a) 화상 농도: 맥베드(MacBeth) 반사농도계 RD-918에 의해 측정하였다.
(b) 표면 광택도: JIS-P-8142에 기초하여 디지탈 변각 광택계 (수가 테스터 가부시끼가이샤에 의해 제작)에 의해 20°및 75°의 각에서 측정하였다.
(c) 내수성: 물 0.03 ㎖를 인자물 상에 떨어뜨렸다. 잉크 유동을 일으키지 않는 것은 "양호"로 평가하고, 잉크 유동을 일으키는 것은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d) 내찰과성: 700 g의 추를 기록 매체 상에 놓고 문질렀다. 긁히지 않은 것은 "양호"로 평가하였고, 약간 긁힌 것을 "보통"으로 평가하였고, 눈에 띄게 긁힌 것은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d) 잉크 흡수성: 황색과 적색의 경계부를 관찰하였다. 잉크 번짐이 없는 것은 "양호"로 평가하고, 잉크 번짐이 있는 것은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실시예 2>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대신에 아크릴산 변성 콜로이달 실리카 (모비닐 8030 (상표명), 훽스트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30 ℃, 평균 입도: 0.06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1에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3>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대신에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모비닐 630 (상표명), 훽스트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19 ℃, 평균 입도: 0.15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평가하였다. 표 1에 결과를 나타냈다.
<실시예 4>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양을 20 중량부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1에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5>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의 양을 5 중량부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1에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 1>
다공질 수지층의 수분산성 수지 입자로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최저 필름 형성 온도: 130 ℃, 평균 입도: 0.75 ㎛)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1에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기록 매체는 다공질층의 내찰과성은 불만족스러웠다. 기록 매체 표면에 인쇄하는 동안 많은 긁힌 자국이 발생하였다. 이 긁힌 자국은 비공질화 처리를 하였으나 없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2>
다공질 수지층의 수부산성 수지 입자로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니블란(VINYBLAN) 240 (상표명), 니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10 ℃, 평균 입도: 0.6 ㎛)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다공성이 낮았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1에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 3>
다공질 수지층의 수분산성 수지 입자로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니블란 240 (상표명), 니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10 ℃, 평균 입도: 0.6 ㎛) 100 중량부와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모비닐 756 (상표명), 훽스트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0 ℃ 미만, 평균 입도: 0.06 ㎛) 10 중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다공성이 낮았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1에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 4>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대신에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니블란 270 (상표명), 니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0 ℃, 평균 입도: 0.6 ㎛)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3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다공성이 매우 낮았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1에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 5>
다공질 수지층의 수분산성 수지 입자로서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모비닐 752 (상표명), 훽스트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30 ℃, 평균 입도: 0.1 ㎛) 100 중량부와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모비닐 756 (상표명), 훽스트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0 ℃ 미만, 평균 입도: 0.06 ㎛) 10 중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수득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다공성이 매우 낮았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1에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6>
(알루미나 수화물의 제조예)
본 발명에서 사용된 알루미나 수화물은 하기한 절차로 제조하였다. 팔산화알루미늄을 미국 특허 제4,242,271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합성하고, 가수분해하여 알루미나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이 알루미나 슬러리를 물로 희석하여 알루미나 수화물 고형분을 5 중량% 함량으로 하고, 10시간 동안 80 ℃에서 숙성시켰다. 이러한 콜로이달 졸을 분무 건조하여 알루미나 수화물을 수득하였다. 이 알루미나 수화물을 탈이온수에 혼합하여 분산시켰다. 질산을 첨가하여 혼합물의 pH를 10으로 조정하였다. 이 혼합물을 5시간 동안 숙성시켜 콜로이달 졸을 수득하였다. 이 콜리이달 졸을 탈염하고 아세트산을 첨가함으로써 분해하였다. 건조에 의해 이 콜로이달 졸로부터 수득한 알루미나 수화물을 X-선 회절 측정하여, 유사 뵈마이트 구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투과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이 유사 뵈마이트가 방추형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수득한 알루미나 수화물의 콜로이달 졸을 15 중량%로 농축했다. 한편, 폴리비닐 알콜 (PVA117 (상표명), 쿠라레이 코포레이션)을 탈이온수에 용해하여 10 중량%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들 두 용액을 고형분 물질비 10:1 (중량비)로 혼합하고, 교반하여 액체 분산액을 수득하였다.
이 액체 분산액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다이-코팅함으로써 도포하여 유사 뵈마이트를 함유하는 다공질 잉크 수용층을 형성하였다. 다공질 잉크 수용층의 두께는 약 40 ㎛였다.
이 잉크 수용층의 단면을 투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방추형 형태의 유사 뵈마이트는 비배향된 상태로 포함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상기 층의 회절 강도 변동치 δ는 1.0 %였다.
이와 같이 수득한 잉크 수용층 상에 실시예 1과 동일한 다공질 수지층을 형성하여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수득하였다. 생성된 다공질 수지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7>
실시예 6의 다공질 수지층을 실시예 2와 동일한 다공질 수지층으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였다. 표 2에 그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8>
실시예 6의 다공질 수지층을 실시예 3과 동일한 다공질 수지층으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였다. 표 2에 그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9>
실시예 6의 다공질 수지층을 실시예 4와 동일한 다공질 수지층으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였다. 표 2에 그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0>
실시예 6의 다공질 수지층을 실시예 5와 동일한 다공질 수지층으로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였다. 표 2에 그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1>
실시예 1과 동일한 기재 상에 실시예 6과 동일한 잉크 수용층을 제공하고, 이 잉크 수용층 상에 실시예 3과 동일한 다공질 수지층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였다. 표 2에 그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 6>
다공질 수지층의 수분산성 수지 입자로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 (최저 필름 형성 온도: 130 ℃, 평균 입도: 0.75 ㎛)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2에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기록 매체는 다공질층의 내찰과성은 불만족스러웠다. 기록 매체 표면에 인쇄하는 동안 많은 긁힌 자국이 발생하였다. 긁힌 자국은 비공질화 처리를 하였으나 없어지지 않았다.
<비교예 7>
다공질 수지층의 수분산성 수지 입자로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니블란 240 (상표명), 니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10 ℃, 평균 입도: 0.6 ㎛)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다공성은 낮았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2에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 8>
다공질 수지층의 수분산성 수지 입자로서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비니블란 240 (상표명), 니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10 ℃, 평균 입도: 0.6 ㎛) 100 중량부와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모비닐 756 (상표명), 훽스트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0 ℃ 미만, 평균 입도: 0.06 ㎛) 10 중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음을 확인했으나, 다공성은 낮았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2에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 9>
비교예 8의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대신에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비니블란 270 (상표명), 니씬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0 ℃, 평균 입도: 0.6 ㎛)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8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다공성은 매우 낮았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2에 결과를 나타낸다.
<비교예 10>
다공질 수지층의 수분산성 수지 입자로서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모비닐 752 (상표명), 훽스트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30 ℃, 평균 입도: 0.1 ㎛) 100 중량부와 스티렌-아크릴레이트 에스테르 공중합체 (모비닐 756 (상표명), 훽스트 고세이 가부시끼가이샤; 최저 필름 형성 온도: 0 ℃ 미만, 평균 입도: 0.06 ㎛) 10 중량부의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식으로 기록 매체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다공질층을 SEM으로 관찰하여, 수분산성 수지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다공성은 매우 낮았다.
상기 기록 매체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자물을 제조하여 평가하였다. 표 2에 결과를 나타낸다.
혼합비 화상밀도블랙 광택도 내수성 내찰과성 잉크흡수성황색/적색경계부
20° 75°
실시예
1 100/10 1.91 64 94 양호 양호 양호
2 100/10 1.87 54 94 양호 양호 양호
3 100/10 1.93 62 93 양호 양호 양호
4 100/20 1.98 68 90 양호 양호 양호
5 100/5 1.92 66 93 양호 양호 양호
비교예
1 100/0 1.90 56 95 양호 불량 양호
2 100/0 1.72 49 92 양호 보통 불량
3 100/10 1.92 47 90 양호 양호 불량
4 100/10 1.90 47 90 양호 양호 불량
5 100/10 1.92 50 90 양호 양호 불량
혼합비 화상밀도블랙 광택도 내수성 내찰과성 잉크흡수성황색/적색경계부
20° 75°
실시예
6 100/10 1.91 79 94 양호 양호 양호
7 100/10 1.87 60 94 양호 양호 양호
8 100/10 1.93 75 93 양호 양호 양호
9 100/20 1.98 68 90 양호 양호 양호
10 100/5 1.92 77 93 양호 양호 양호
11 100/10 1.93 65 93 양호 양호 양호
비교예
6 100/0 1.90 46 95 양호 불량 양호
7 100/0 1.72 39 92 양호 보통 불량
8 100/10 1.92 35 90 양호 양호 불량
9 100/10 1.90 35 90 양호 양호 불량
10 100/10 1.92 40 90 양호 양호 불량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잉크 흡수성 및 내찰과성이 뛰어난 신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Claims (14)

  1. 0 ℃ 이상의 최저 필름 형성 온도를 갖는 수분산성 수지 입자 B, 및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필름 형성 온도보다 높은 최저 필름 형성 온도 및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평균 입도보다 큰 평균 입도를 갖는 수분산성 수지 입자 A를 포함하는 다공질 수지층을 기재 상에 갖는 잉크 젯 기록 매체.
  2.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의 입자 및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입자가 부분적으로 융착되어 있는 잉크 젯 기록 매체.
  3.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와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최저 필름 형성 온도의 차이가 50 ℃ 이상인 잉크 젯 기록 매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필름 형성 온도의 차이가 60 ℃ 이상인 잉크 젯 기록 매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저 필름 형성 온도의 차이가 70 ℃ 이상인 잉크 젯 기록 매체.
  6.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수지 입자 A의 평균 입도가 0.1 내지 10 ㎛인 잉크 젯 기록 매체.
  7.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수지 입자 B의 평균 입도가 0.01 내지 0.3 ㎛인 잉크 젯 기록 매체.
  8.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수지 입자 A가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산,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변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잉크 젯 기록 매체.
  9.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수지 입자 A가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및 스티렌-아크릴산의 2종 이상 성분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변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잉크 젯 기록 매체.
  10.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수지 입자 B가 비닐 클로라이드, 비닐 아세테이트, 아크릴산,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및 에틸렌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변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잉크 젯 기록 매체.
  11. 제1항에 있어서, 수분산성 수지 입자 B가 아크릴산, 비닐 클로라이드-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클로라이드-아크릴산, 비닐 아세테이트-아크릴산 및 스티렌-아크릴산의 2종 이상 성분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변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잉크 젯 기록 매체.
  12. 제1항에 있어서, 기재가 기지(base paper sheet) 표면 상에 황산바륨층을 갖는 것인 잉크 젯 기록 매체.
  13. 제1항에 있어서, 잉크 수용층이 다공질 수지층 및 기재 사이에 제공되어 있는 잉크 젯 기록 매체.
  14. 제1항에 있어서, 잉크 수용층이 기재의 양면 상에 제공되어 있는 잉크 젯 기록 매체.
KR10-2001-0085762A 2000-12-27 2001-12-27 잉크 젯 기록 매체 KR100450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397890 2000-12-27
JP2000397891 2000-12-27
JP2000397890 2000-12-27
JPJP-P-2000-00397891 2000-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3761A true KR20020053761A (ko) 2002-07-05
KR100450006B1 KR100450006B1 (ko) 2004-09-24

Family

ID=2660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5762A KR100450006B1 (ko) 2000-12-27 2001-12-27 잉크 젯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730375B2 (ko)
EP (1) EP1219458B1 (ko)
KR (1) KR100450006B1 (ko)
CN (1) CN1193898C (ko)
AT (1) ATE261822T1 (ko)
DE (1) DE6010234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18057B1 (en) * 2002-11-07 2006-04-05 Eastman Kodak Company Ink jet recording element and printing method
JP4752183B2 (ja) * 2003-06-02 2011-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セット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4856885B2 (ja) * 2004-03-16 2012-01-1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組成物、液体組成物とインクのセット及び画像記録方法
CN1930253B (zh) * 2004-03-16 2013-04-10 佳能株式会社 喷墨油墨和喷墨记录方法
JP4356572B2 (ja) * 2004-09-17 2009-11-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US20070092668A1 (en) * 2005-10-25 2007-04-26 Isp Investments Inc. Inkjet-receptive article
US8124791B2 (en) 2007-03-29 2012-02-28 Canon Kabushiki Kaisha Active energy ray curable liquid composition and liquid cartridge
US8158746B2 (en) * 2007-03-29 2012-04-17 Canon Kabushiki Kaisha Active energy ray curable liquid composition and liquid cartridge
US7758934B2 (en) 2007-07-13 2010-07-20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Dual mode ink jet paper
JP5474410B2 (ja) * 2008-06-10 2014-04-16 株式会社ダイセル 多孔質層を有する積層体、及びそれを用いた機能性積層体
JP2011241384A (ja) 2010-04-22 2011-12-01 Canon Inc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の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液体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EP2586620B1 (en) * 2011-10-28 2014-06-18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US10065412B2 (en) 2015-06-19 2018-09-04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7849A (en) 1979-11-06 1982-03-02 Mitsubishi Paper Mills, Ltd. Process for producing high-gloss coated paper
JPS5922683A (ja) * 1982-07-28 1984-02-04 Dynic Corp 光沢のある印刷用シ−ト材料の製造法
JPS59222381A (ja) 1983-05-31 1984-12-14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エツト用記録媒体
US4785313A (en) 1985-12-16 1988-11-15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and image formation process using the same
JPS62140878A (ja) 1985-12-16 1987-06-24 Canon Inc 被記録材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方法
JPS62140879A (ja) 1985-12-16 1987-06-24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被記録材
JPS62271785A (ja) 1986-05-21 1987-11-26 Canon Inc 被記録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記録方法
JPS62280067A (ja) 1986-05-30 1987-12-04 Canon Inc 被記録材
JPH03199484A (ja) * 1989-12-28 1991-08-30 Mitsui Toatsu Chem Inc 塗料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塗工してなるキャストコート紙
EP0575644B1 (de) 1992-06-20 1995-12-06 Celfa AG Aufzeichnungsträger zur Aufnahme von farbgebenden Stoffen
JP3315515B2 (ja) 1994-01-07 2002-08-19 旭硝子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物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用記録シート
JP3200319B2 (ja) 1994-02-24 2001-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DE69516744T2 (de) 1994-02-24 2000-10-05 Canon K.K., Tokio/Tokyo Druckmedium, dessen Herstellungsverfahren und Tintenstrahldruckverfahren unter Verwendung desselben
JP3443940B2 (ja) 1994-06-21 2003-09-08 旭硝子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型カードの製造方法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型カード用記録媒体
JP3109960B2 (ja) 1994-07-18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CN1081555C (zh) 1994-08-25 2002-03-27 佳能株式会社 记录介质及相关打印品
JP3591969B2 (ja) 1995-03-15 2004-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H09169159A (ja) 1995-07-21 1997-06-30 Canon Inc 記録媒体、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及び印字物
MY129788A (en) * 1996-01-25 2007-04-30 Innovia Films Ltd Printable film.
JP3559679B2 (ja) 1996-07-18 2004-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媒体及びこれ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3209109B2 (ja) * 1996-08-27 2001-09-17 王子製紙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シート
ATE228439T1 (de) 1997-02-18 2002-12-15 Canon Kk Aufzeichnungsmaterial,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tintenstrahlgedruckten bildern unter verwendung dieses materials
EP0858906B1 (en) 1997-02-18 2002-06-05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medium and ink-jet recording process using the recording medium
JP3136121B2 (ja) * 1997-06-26 2001-02-19 株式会社巴川製紙所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シート
JP2000071633A (ja) * 1998-06-16 2000-03-07 Oji Paper Co Ltd 溶融転写型インク受像シ―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103177A (ja) * 1998-09-28 2000-04-11 Oji Paper Co Ltd 溶融熱転写用インク受像シート
JP2000203155A (ja) * 1999-01-18 2000-07-25 Toray Ind Inc インクジェット用受容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19458A3 (en) 2002-10-16
DE60102346D1 (de) 2004-04-22
CN1362333A (zh) 2002-08-07
EP1219458B1 (en) 2004-03-17
CN1193898C (zh) 2005-03-23
KR100450006B1 (ko) 2004-09-24
DE60102346T2 (de) 2005-02-10
US6730375B2 (en) 2004-05-04
EP1219458A2 (en) 2002-07-03
US20020136868A1 (en) 2002-09-26
ATE261822T1 (de) 200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4020A (en) Recording medium and ink-jet recording process using the recording medium
US7244478B2 (en) Recording medium having ink-receiving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50006B1 (ko) 잉크 젯 기록 매체
US6200670B1 (en) Recording medium and recording method for using the same
EP1040934A2 (en) Recording medium for ink jet printer
US6945646B2 (en) Recording medium
JP4298100B2 (ja) 被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6696118B2 (en) Recording medium and image forming method utilizing the same
EP1080938B1 (en) Ink-jet recording medium containing alumina hydrate,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0190629A (ja) 被記録媒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画像形成方法
JP200134141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体
JP3895574B2 (ja) インクジェット被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50429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材料の製造方法
JP3935260B2 (ja) 記録媒体、およびこの記録媒体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3950688B2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媒体
JP4095192B2 (ja) 被記録媒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93480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3869928B2 (ja) 記録媒体、及びこの記録媒体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4009523A (ja) インクジェット被記録媒体
JP200508848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の製造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1246841A (ja) 被記録媒体、その製造方法及び画像形成方法
JP2000079755A (ja) 被記録媒体、およびこの被記録媒体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JPH09156204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0508848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の製造方法、インクジェット記録媒体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23004683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媒体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