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33678A -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 Google Patents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33678A
KR20020033678A KR1020020011183A KR20020011183A KR20020033678A KR 20020033678 A KR20020033678 A KR 20020033678A KR 1020020011183 A KR1020020011183 A KR 1020020011183A KR 20020011183 A KR20020011183 A KR 20020011183A KR 20020033678 A KR20020033678 A KR 20020033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tower
elevator
apartment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구
Original Assignee
김낙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구 filed Critical 김낙구
Priority to KR1020020011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33678A/ko
Publication of KR2002003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3678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코아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탑상형의 공동주택을 배열하여 코아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동주택의 미려한 입면 계획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위의 경관과 잘 조화되는 환경 친화적인 공동주택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은 내부에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대향되게 구성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코아 주변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탑상형 공동주택이 상호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복도에 의해 코아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The apartment made form a core joint ownership for tower type}
본 발명은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코아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탑상형의 공동주택을 배열하여 코아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동주택의 미려한 입면 계획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각 세대의 사생활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한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의 주택정책은 지금까지 1가구 1주택의 주거안정이라는 명제 아래 신규주택의 공급확대에 비중을 두어 양적 팽창을 거듭해 왔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처럼 신규주택의 공급확대에 비중을 두어 양적 팽창을 거듭해 오는 과정에서 도심은 수많은 고층의 공동주택(아파트 등)이 들어서게 되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고층의 공동주택은 국토의 면적이 작은 우리 나라와 같은 경우 도시의 지가 상승에 따른 최대 용적율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가장 알맞은 대안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의 지가 상승에 따른 최대 용적율의 확보라는 대명제 아래 가장 알맞은 대안이라 제시되어 건설되던 공동주택은 도시의 이곳 저곳에 무계획하에서 우후죽순 건설됨에 따라 도시의 미관과 환경을 해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다음은 종래의 주류를 이루는 공동주택을 보인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판상형 공동주택의 현관 전실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판상형 공동주택(10)은 전체적인 형태에 있어 일자형의 판상형으로 이루어져 엘리베이터(22)와 계단(24)이 복도(26)를 사이에 두고 대향 설치되는 구조의 현관 전실(20)을 두 세대(30, 30a)가 공유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판상형 공동주택(10)은 두 세대(30, 30a) 사이에 공유하는 면적의 현관 전실(20)이 구성되는데, 이러한 현관 전실(20)은 두 세대(30,30a)의 사이에 엘리베이터(22)가 구성되고, 엘리베이터(22)의 대향되는 방향에 계단(24)이 구성되며, 엘리베이터(22)와 계단 사이에 각 세대의 현관(32, 32a)으로 연결되는 복도(26)가 구성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와 같은 구조의 현관 전실을 공유하는 공동주택은 엘리베이터나 계단으로 출입하여 복도를 통해 각 세대의 현관으로 드나드는 형태의 구조이므로 각 세대 사이에 사생활이 보장되는 구조가 아님을 알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판상형 구조의 공동주택은 획일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은 물론, 외관이 단순한 판상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주위의 경관이나 환경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이웃하는 동의 공동주택 구조물이 장벽처럼 작용하여 주변 공동주택 구조물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공동주택 단지 내 환경은 물론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코아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탑상형의 공동주택을 배열하여 코아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동주택의 미려한 입면 계획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위의 경관과 잘 조화되는 환경 친화적인 공동주택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한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구조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아를 중심으로 한 방사형 구조의 탑상 공동주택을 배열한 구조를 통해 미려한 입면 계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 세대를 독립시켜 사생활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 세대의 조망권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코아를 중심으로 한 방사형 구조의 공동주택을 배열한 구조를 통해 코아의 공유면적을 최소화하여 계획 세대수 또는 각 세대의 전용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들 이외에 코아의 공유 부분 일측을 발코니로 구성하여 옥외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코아를 중심으로 한 방사형 구조의 탑상 공동주택을 배열한 구조를 통해 단순한 공동주택의 외관으로부터 탈피하여 획일적인 배치 형태에 변화를 줄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판상형 공동주택의 현관 전실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공동주택 건축물 110. 코아
110a. 발코니 110b. 방화문
112. 엘리베이터 114. 계단
116, 격벽 116a. 비상구
118a,엘리베이터승강장 118b, 복도
120, 120a, 120b. 공동주택 122, 122a, 122b. 세대
124, 124a, 124b. 현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은 내부에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대향되게 구성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코아 주변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탑상형 공동주택이 상호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연결복도에 의해 코아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코아는 동심원의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공동주택은 동심원 구조의 코아 주변에 세개 또는 네개가 적정각도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코아 주변의 배치되는 공동주택의 배치간격은 120°또는 90°가 바람직하나, 단지 및 주변여건에 따라 배치간격은 자유로운 간격을 가져도 무방하다.
전술한 엘리베이터는 코아 중심으로부터 이웃하는 두 공동주택 사이에 편향된 방향의 코아 내측에 구성되고, 계단은 코아 중심으로부터 엘리베이터와 대향되는 부분으로 편향된 코아 내측에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계단은 반원형태로 이루어진 격벽에 의해 폐쇄되어지되 엘리베이터와 대향되는 격벽의 수평면 일단부 적소에 비상구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엘리베이터와 계단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승강장이 구성되고 양 끝단이 이웃하는 두 공동주택 각각은 복도로 연결되며, 엘리베이터승강장의 일측 끝으로부터 타측 공동주택의 복도로는 코아의 내주면을 따라 코어의 형태와 동일한 복도가 구성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공동주택이 고층이어서 비상용 엘리베이터의 설치대상 공동주택일 경우 엘리베이터승강장을 차단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승강장 양측의 복도 입구에는 방화문이 더 구비되어 비상용엘리베이터 승강장 구조가 되게한다.
또한 코아의 외형은 원형에서 다각형 형태로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구조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구조물을 보인 평면도이다.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구조물(100)은 중심에 엘리베이터(112)와 계단(114)이 구성된 코아(110)가 다층 구조로 구성되고, 엘리베이터(112)와 계단(114)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승강장(118a)이 형성되며, 코아(110)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탑상형 공동주택(120, 120a, 120b)이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각 세대(122, 122a, 122b)의 현관(124, 124a, 124b)이 복도(118b)에 의해 코아(110)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구조물(100)은 도 2 에서와 같이 코아(110)를 중심으로 세 개의 탑상형 공동주택(120, 120a, 120b)이 적정 각도의 방사형 형태로 배치되는 구조를 이루고, 각 탑상형 공동주택(120, 120a, 120b)의 세대(122, 122a, 122b)는 복도(118b)를 통해 코아(110)와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코아 공유구조의 방사형 탑상 공동주택 구조물(100)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의 탑상형 공동주택(120, 120a, 120b)의 구조에 국한되지 않고, 네 개의 탑상형 공동주택(도시하지 않음)이 코아(110)를 중심으로 90°의 동일 간격 또는 선택된 간격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도 있다. 다만, 코아(110)의 주위에 네 개의 탑상형 공동주택이 배치된 구조는 세 개의 탑상형 공동주택(120, 120a, 120b)이 배치된 구조에 비해 이웃하는 구조물이 가깝기 때문에 사생활에 대한 보장성이 저감될 뿐만 아니라, 조망권 또한 저감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코아(110)의 주위에 네 개의 탑상형 공동주택이 배치된 구조 역시 주위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어 공동주택 단지 내 미관을 미려하게 한다는 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구조물(1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코아(110)는 방사형의 동일 또는 선택된 간격이면서 상호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탑상형 공동주택(120, 120a, 120b)의 중심에 위치되어 각 층의 세대가 공유하는 구조물로, 이 코아(110)는 동심원의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엘리베이터(112)와 계단(114)이 구성되고 엘리베이터(112)와 계단(114)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승강장(118a)이 구성된 구조이다.
전술한 엘리베이터(112)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아(110) 중심으로부터 이웃하는 두 공동주택(120, 120a) 사이에 편향된 방향의 코아(110) 내측에 구성된다. 물론, 엘리베이터(112)는 두 공동주택(120a, 120b 또는 120b, 120) 사이에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이처럼 엘리베이터(112)는 공동주택 건축물(100)의 방향성이나 단지의 구성에 따라 엘리베이터(112)의 위치를 조정하여 설계할 수 있다.
한편, 계단(114)은 코아(110) 중심으로부터 엘리베이터(112)와 대향되는 부분으로 편향된 코아 내측에 구성된다. 즉, 엘리베이터(112)의 위치가 두 공동주택(120, 120a) 사이에 위치되면 계단(114)은 코아(110)의 중심으로부터 나머지 하나의 공동주택(120b) 방향으로 편향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112)의 위치가 두 공동주택(120a, 120b 또는 120b, 120) 사이에 위치될 경우에 계단(114)은 엘리베이터(112)와 대향 구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른 나머지 하나의 공동주택(120 또는 120a)으로 편향되어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계단(114)은 반원형태로 이루어진 격벽(116)에 의해 폐쇄되어지되 엘리베이터(112)와 대향되는 격벽(116)의 수평면 일단부 적소에 비상구(116a)가 구비된다. 즉, 계단(114)으로부터 비상구(116a)를 열고 나오면 엘리베이터(112)의 대향면으로 나올 수 있도록 비상구(116a) 역시 엘리베이터(112)와 대향되는 격벽(116)의 수평면 상에 구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엘리베이터(112)와 계단(114) 사이에는 엘리베이터승강장(118a)이 구성되고 이 엘리베이터승강장(118a)의 양 끝단이 이웃하는 두 공동주택(120, 120a) 각각의 복도(118b)와 연결되며, 엘리베이터승강장(118a)의 일측 끝으로부터 타측 공동주택(120b)의 복도(118b)로는 코아(110)의 내주면을 코아(110)의 형태에 따라 복도(118b)가 구성되어 연결된다.
즉, 코아(110) 내의 복도(118b) 구조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112)와 계단(114) 사이에 구성된 엘리베이터승강장(118a) 양측에 이웃하는 두 공동주택(120, 120a 또는 120a, 120b 또는 120b, 120)의 세대(124, 124a 또는 124a, 124b 또는 124b, 124)를 연결하는 엘리베이터승강장(118a)양측 끝단으로부터 코아(110)의 내주면을 따라 나머지의 공동주택(120b 또는 120 또는 120a)의 세대(124b 또는 124 또는 124a)로 연결되는 복도(118b)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한편,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두 공동주택(120, 120a)이 엘리베이터승강장(118a)에서 복도(118b)를 통해 연결되고, 엘리베이터승강장(118a)의 일측 끝단{공동주택(120a)}으로부터 나머지 하나의 공동주택(120b)으로 복도(118b)가 연결된 구조의 공동주택 구조물(100)에서 엘리베이터승강장(118a)의 타측 끝단{공동주택(120)}으로부터 나머지 하나의 공동주택(120b)에 이르는 부분에는 발코니(110a)가 구성되어 각 세대(122, 122a, 122b)가 공동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복도(118b)에 설치되는 발코니(110a)는 설계에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위치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은 발코니(110a)의 위치는 엘리베이터(112)와 계단(114)의 설계 구성에 따라 그 위치가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공동 주택 건축물(100)은 비상용엘리베이터 설치대상공동주택(120, 120a, 120b)일 경우 엘리베이터승강장(118a)의 양측과 복도(118b) 사이에는 방화문(110b)이 더 구비되어 화재 발생시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비상용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구성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아 공유구조의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100)은 단순하고 획일적인 공동주택 구조를 탈피하여 도시의 미관을 미려하게 함은 물론, 각 세대(122, 122a, 122b) 간의 사생활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코아의 주변에 방사형으로 탑상형의 공동주택을 배열하여 코아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공동주택의 미려한 입면 계획이 가능하도록 하여 주위의 경관과 잘 조화되는 환경 친화적인 공동주택을 조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코아를 중심으로 한 방사형 구조의 탑상 공동주택을 배열한 구조를 통해 미려한 입면 계획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 세대를 독립시켜 사생활이 보장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각 세대의 조망권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코아를 중심으로 한 방사형 구조의 공동주택을 배열한 구조를 통해 코아의 공유면적을 최소화하여 계획 세대수 또는 각 세대의 전용면적을 늘릴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효과들 이외에 코아의 공유 부분 일측을 발코니로 구성하여 옥외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코아를 중심으로 한 방사형 구조의 탑상 공동주택을 배열한 구조를 통해 단순한 공동주택의 외관으로부터 탈피하여 획일적인 배치 형태에변화를 줄 수 있도록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Claims (7)

  1. 공동주택 건축물을 조성함에 있어서,
    내부에 엘리베이터와 계단이 대향되게 구성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코아 주변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탑상형 공동주택이 상호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복도에 의해 상기 코아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는 동심원의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주택은 상기 동심원 구조의 코아 주변에 세 개가 적정각도의 간격의 방사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코아 중심으로부터 이웃하는 두 공동주택 사이에 편향된 방향의 상기 코아 내측에 구성되고, 상기 계단은 상기 코아 중심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와 대향되는 부분으로 편향된 상기 코아 내측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은 반원형태로 이루어진 격벽에 의해 폐쇄되어지되 상기 엘리베이터와 대향되는 상기 격벽의 수평면 일단부 적소에 비상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와 계단 사이에는 엘리베이터 승강장이 구성되어 양 끝단이 상기 이웃하는 두 공동주택 각각의 복도와 연결되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의 일측 끝으로부터 타측 공동주택의 복도로는 상기 코아의 내주면을 따라 복도가 구성되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도의 사이에는 각 공동주택에 간섭되지 않도록 일측 또는 타측에 선택적으로 발코니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KR1020020011183A 2002-03-02 2002-03-02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KR200200336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183A KR20020033678A (ko) 2002-03-02 2002-03-02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183A KR20020033678A (ko) 2002-03-02 2002-03-02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3678A true KR20020033678A (ko) 2002-05-07

Family

ID=19719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183A KR20020033678A (ko) 2002-03-02 2002-03-02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3367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616A (ko) * 2002-05-30 2003-12-06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3가구 1코어형 아파트
CN104141395A (zh) * 2014-07-24 2014-11-12 深圳华森建筑与工程设计顾问有限公司 竖向交错布置公共平台的高层建筑
CN104141394A (zh) * 2014-07-24 2014-11-12 深圳华森建筑与工程设计顾问有限公司 高层建筑
CN111206796A (zh) * 2018-11-21 2020-05-29 周子华 一种一梯多户高层复式住宅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1730U (ko) * 1978-06-14 1979-12-22
JPS6263770A (ja) * 1985-09-17 1987-03-20 鹿島建設株式会社 高層集合住宅
JPH0344205A (ja) * 1989-07-12 1991-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レントミラー回路
JPH06129135A (ja) * 1992-06-01 1994-05-10 Shimizu Corp 建築物の構造
JPH09195535A (ja) * 1996-01-24 1997-07-29 Fujita Corp 移動建築物
JPH1046842A (ja) * 1996-07-31 1998-02-17 Maeda Corp 集合住宅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81730U (ko) * 1978-06-14 1979-12-22
JPS6263770A (ja) * 1985-09-17 1987-03-20 鹿島建設株式会社 高層集合住宅
JPH0344205A (ja) * 1989-07-12 1991-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レントミラー回路
JPH06129135A (ja) * 1992-06-01 1994-05-10 Shimizu Corp 建築物の構造
JPH09195535A (ja) * 1996-01-24 1997-07-29 Fujita Corp 移動建築物
JPH1046842A (ja) * 1996-07-31 1998-02-17 Maeda Corp 集合住宅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2616A (ko) * 2002-05-30 2003-12-06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3가구 1코어형 아파트
CN104141395A (zh) * 2014-07-24 2014-11-12 深圳华森建筑与工程设计顾问有限公司 竖向交错布置公共平台的高层建筑
CN104141394A (zh) * 2014-07-24 2014-11-12 深圳华森建筑与工程设计顾问有限公司 高层建筑
CN111206796A (zh) * 2018-11-21 2020-05-29 周子华 一种一梯多户高层复式住宅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3067B2 (en) Multi-level apartment building
WO2007079655A1 (fr) Residence avec jardin
JP6473382B2 (ja) 集合住宅
KR20020033678A (ko) 코아 공유구조의 탑상형 공동주택 건축물
CN101736917A (zh) 设有室外楼梯的建筑
JP2907201B1 (ja) 中・高層の共同住宅
CN201144526Y (zh) 多楼层建筑物
KR20210020643A (ko) 개별 모듈주택을 이용한 공동주택
JP4597545B2 (ja) 重層長屋住宅
JPH04285268A (ja) 多層建築物
JPH0127217B2 (ko)
KR200427840Y1 (ko) 넓은 공용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JP2004250876A (ja) 集合住宅
CN101294449A (zh) 多楼层建筑物
KR100746765B1 (ko) 넓은 공용홀을 구비하는 공동주택
JP4966369B2 (ja) 集合住宅
JP2004346705A (ja) 建物ユニット及びこの建物ユニットを用いた集合住宅
JP2555526B2 (ja) スキップ通路型中高層集合住宅の構造
JP2007092429A (ja) 吹抜け付き建物
JP2004162499A (ja) 屋外吹き抜け空間を有する長屋建住宅
JP2002147039A (ja) 集合住宅
GB2547050A (en) Modular building
JP3142164U (ja) 集合住宅
JP2001295481A (ja) 開放型住宅
JP2002097804A (ja) 立体駐車場付建築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