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2943A - Pulverizing device - Google Patents
Pulveriz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12943A KR20020012943A KR1020000046214A KR20000046214A KR20020012943A KR 20020012943 A KR20020012943 A KR 20020012943A KR 1020000046214 A KR1020000046214 A KR 1020000046214A KR 20000046214 A KR20000046214 A KR 20000046214A KR 20020012943 A KR20020012943 A KR 200200129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inding
- rotating shaft
- blade
- grinding chamber
- pulveriz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41000237536 Mytilus eduli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20638 muss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9366 Euphausi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16—Discharge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각류 또는 냉동된 고체상태의 것을 분쇄하기에 적합하고, 대상물의 분쇄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분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veriz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ulverizer suitable for pulverizing shellfish or frozen solid state, and configured to adjust the degree of pulverization of the object.
먼저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하는 분쇄기는, 일정한 고형상태의 것을 분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분쇄기의 용도는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면 낚시용 또는 조업용으로 사용되는 밑밥을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 홍합 또는 굴과 같이 딱딱한 껍질을 가지는 패각류를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냉동된 상태의 크릴 덩어리를 낚시용 밑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분쇄하는 경우에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수산물을 분쇄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지만, 실질적으로 본 발명의 분쇄기는, 고형의 대상물을 분쇄하는 분야에 있어서는 어떠한 분야에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First, the pulverizer mentioned in this specification means that the thing of a fixed solid state can be crushed. The use of such a grinder can be used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to grind undercuts used for fishing or fishing, and can be used to grind shellfish having a hard shell, such as mussels or oysters, to a suitable size. have. It can also be used to grind frozen krill chunks for use as fishing grounds. Of course, it can be used to grind such aquatic products, but in practice, the grind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y field in the field of grinding a solid object.
종래의 분쇄기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분쇄날을 가지고 있는 한쌍의 분쇄용 롤러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분쇄날을 구비하는 한쌍의 롤러 사이에 홍합 또는 굴 등을 투입하면, 분쇄하고자 하는 대상물은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분쇄되는 방식을 가지고 있었다.Conventional grinders generally use a pair of grinding rollers that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and have grinding blades. That is, when mussels or oysters are put between a pair of rollers having a grinding blade, the object to be crushed had a method of being pulverized while passing between the rollers.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분쇄기는 한쌍의 롤러를 동시에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모터를 이용할 때 동력전달계통의 기구가 복잡하게 구성될 뿐만 아니라, 분쇄물이 한쌍의 롤러 사이를 통과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분쇄력에 있어서도 한계를 드러내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pulverizer has to rotate a pair of rollers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mechanism of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is complicated when using a single motor, and the pulverization must pass between the pair of rollers. There was a drawback in exposing the limitations.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분쇄기는 분쇄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에 의하면, 한쌍의 분쇄용 롤러 사이를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분쇄작업이 완료되기 때문에, 원하는 정도의 분쇄물을 얻기 어렵다. 즉, 분쇄하고자 하는 대상물에 따라서, 거칠게 분쇄하고자 하는 경우와 또는 조밀한 상태로 분쇄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으나, 종래의 분쇄기에 의하면 항상 일정한 정도로 분쇄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지적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ulverizer as described above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not easy to control the degree of grin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since the grinding | pulverization operation | work is completed by passing between a pair of grinding rollers, it is difficult to obtain the grind | pulverized object of a desired grade. That is, depending on the object to be crushed, there is a case to be crushed roughly or in a dense state, but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crusher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always a crush to a certain degree.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단한 구조임과 동시에 충분한 분쇄력을 얻을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lverizer having a simpler structure and a sufficient pulverizing fo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쇄하고자 하는 대상물(예를 들면 홍합 또는 굴 등)의 분쇄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ind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degree of grinding of the object (for example, mussels or oysters) to be ground.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외관을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측면도.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분쇄날 부분의 측면 확대도.Figure 3 is an enlarged side view of the grinding blad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분쇄날 부분의 평면도.4 is a plan view of a grinding blade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 ..... 분쇄실 2a ..... 투입부2 ..... Grinding chamber 2a ..... Input section
2b ..... 고정날 4 ..... 회전축2b ..... Fixed blade 4 ..... Shaft
4a ..... 분쇄날 4b ..... 커버4a ..... grinding blade 4b ..... cover
M ..... 구동모터 Ms ..... 출력축M ..... drive motor Ms ..... output shaft
Ga ..... 구동기어 Gb ..... 종동기어Ga ..... Drive Gear Gb ..... Drive Gea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는, 분쇄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투입되는 투입부를 구비하는 분쇄실과; 상기 분쇄실의 내부에 설치되고, 그 외주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분쇄날을 가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과 일정한 간격을 가진 상태로 치합하도록 상기 분쇄실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고정날; 그리고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The gr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grinding chamber having an input unit into which the object to be crushed; A rotating shaft installed inside the grinding chamber and having a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dispos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fixed blade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nding chamber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rotating shaf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drive means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에 대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전달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달수단은, 기어를 이용한 동력전달장치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고, 벨트를 통한 동력전달도 가능하다.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rive means, it may be composed of a drive motor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power of the drive motor to the rotary shaft. Here, the transmission means may be implemented as a power transmission device using a gear, and power transmission through the belt is also possible.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분쇄실의 하측면에는 분쇄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성형되고,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lower side of the pulverization chamber is formed with an outlet for discharging the pulverized product, and further comprises a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의 사시도가, 그리고 도 2에는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는, 분쇄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부(2a)를 구비하는 분쇄실(2)과, 상기 분쇄실의 내부에서 회전하고, 회전분쇄날(4a)를 구비하는 회전축(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i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ulver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ulverization chamber 2 having an input part 2a for introducing a pulverization object, and a rotary pulverization blade 4a which rotates inside the pulverization chamber. It is comprised including the rotating shaft 4 shown.
상기 투입부(2a)는 분쇄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부분이고, 실질적으로 분쇄실(2)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2a)를 통하여 투입되는 분쇄물은, 분쇄실(2)로 낙하하게 될 것이다.The inlet 2a is a portion for injecting a pulverization object, and is substantially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pulverization chamber 2. Then, the pulverized product introduced through the input unit 2a will fall into the pulverization chamber 2.
상기 분쇄실(2)의 중심부분으로는 회전축(4)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4)의 외주면에는 분쇄날(4a)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분쇄날(4a)는, 회전하는 회전축(4)에 의하여 대상물(예를 들면 홍합, 굴 등)을 분쇄하기 위한 것으로, 도 3을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원주상으로 연장된 형태의 복수개로 성형된다.The rotating shaft 4 is provided in the center part of the said grinding chamber 2, and the grinding blade 4a is shape | molded b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aid rotating shaft 4. The grinding blade 4a is for grinding an object (for example, mussels, oysters, etc.) by the rotating shaft 4 to rotate.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It is molded into a plurality of.
그리고 도 4를 같이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분쇄날(4a)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분쇄날(4a)의 사이로는 고정날(2b)이 분쇄실(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And as can be seen referring to FIG. 4, the said grinding | pulverization blade 4a is comprised by the plurality which is arrange | positioned at regular intervals. A fixed blade 2b is provided inside the grinding chamber 2 between the plurality of grinding blades 4a.
상기 분쇄날(4a)과 고정날(2b)의 관계를 살펴보면, 분쇄날(4a)과 고정날(2b)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교호로 치합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투입되는 분쇄물은, 상기 분쇄날(4a)과 고정날(2b) 사이를 통과하면서 분쇄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분쇄형태는, 상기 분쇄실(2)의 내부에서 고정되어 있는 고정날(2b)과, 회전축(4)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분쇄날(4a)에 의하여 분쇄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회전하는 것은 회전축(4)과 관련된 분쇄날(4a)이기 때문에, 종래에 두개의 회전롤러 사이에서 분쇄되는 형태와는 상이한 것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상대적으로 그 구성도 보다 간단해짐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inding blade (4a) and the fixed blade (2b), the grinding blade (4a) and the fixed blade (2b) has a form of alternately engaging with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Therefore, the pulverized material introduced will be pulverized while passing between the pulverizing blade 4a and the fixed blade 2b. The grinding | pulverization form by this invention is understood that it is grind | pulverized by the fixed blade 2b fixed in the said grinding chamber 2, and the grinding blade 4a which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4, and rotates. That is, since the rotating is the grinding blade 4a associated with the rotating shaft 4, it can be seen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grinding type between the two rotary rollers, and thus, the configuration is relatively simpler. have.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각각의 분쇄날(4a) 사이에는, 분쇄실(2)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날(2b)이 서로 하나씩 교호로 치합하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적어도 일부분이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치합하면서, 그 사이에서 투입물이 분쇄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분쇄날(4a)과 고정날(2b) 사이에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분쇄날(4a)과 고정날(2b)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분쇄되는 분쇄물의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 예를 들어 분쇄날(4a)과 고정날(2b) 사이의 간격을 좁게 하면, 분쇄물은 더욱 작은 상태로 분쇄될 것이고, 그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하면 분쇄물은 상대적으로 큰 상태로 분쇄될 것이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fixed blades 2b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rinding chamber 2 are alternately engaged with each other between the grinding blades 4a, but such embodiments are show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That is, within the range configur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is engaged with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input can be crushed therebetween,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between the grinding blade 4a and the fixed blade 2b. . The distance between the grinding blade 4a and the fixed blade 2b determines the degree of the pulverized material that is substantially pulverized. For example, if the gap between the grinding blade 4a and the fixed blade 2b is narrowed, the grinding powder will be pulverized in a smaller state, and if the gap between them is widened, the grinding powder will be pulverized in a relatively large state. .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4)이 회전하면서 홍합 또는 굴 등과 같은 분쇄대상물을 분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회전축(4)을 회전시키기 위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rotating shaft 4 is configured to crush the grinding object such as mussels or oysters while rotating. Hereinafter, an embodiment for rotating the rotary shaft 4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4)은 분쇄날(4a)에 의한 분쇄동작이 수행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야 하는 구성요소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4)을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에 대해서는 많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ry shaft 4 is a component to be rotated so that the grinding operation by the grinding blade (4a) can be performed. And of course, a variety of embodiments are possible for the configuration that can rotate the rotary shaft (4).
예를 들면 상기 회전축(4)과 구동모터를 직결하여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회전축(4)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동모터를 사용하고, 구동모터와 회전축(4) 사이의 동력전달은 어떠한 동력전달장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당연하고, 예를 들면 기어열(gear train)에 의하여 동력전달, 풀리를 이용한 벨트에 의한 동력전달 등과 같은 여러가지 형태의 동력전달장치가 가능함은 물론이다.Fo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rotational power by directly connecting the rotary shaft 4 and the drive motor.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a drive motor is used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4, and the power transmission between the driving motor and the rotating shaft 4 can use any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example, in a gear train. As a result, various types of power transmission devices such as power transmission and power transmission by a belt using a pulley are possible.
그리고 전류의 공급에 의하여 회전하는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유압에 의하여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And it is also possible to rotate the rotating shaft using a hydraulic motor that generates a rotational power by the hydraulic pressure, without using a motor that rotates by the supply of current.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모터(M)의 출력축(Ms)에 결합된 구동기어(Ga)가, 종동기어(Gb)와 맞물려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종동기어(Gb)는, 상기 회전축(4)과 키이(K)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M)에서의 회전동력은 상기 회전축(4)에 전달되게 되어, 분쇄동작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drive gear Ga coupled to the output shaft Ms of the drive motor M is configured to rotate in engagement with the driven gear Gb. And the driven gear (Gb) is connected to rotate by the rotary shaft (4) and the key (K). Therefore, the rotational power in the drive motor (M) is to be transmitted to the rotating shaft (4), it will be possible to grind operation.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에서의 구동기어를 사용하지 않고, 외부의 동력원 또는 상기 구동모터에서의 회전력을 벨트구동에 의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종동기어(Gb) 대신에 풀리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not using the drive gear in the drive motor, and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in the external power source or the drive motor by the belt drive, a pulley should be used instead of the driven gear (Gb).
다음에는 도 3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분쇄기에 있어서, 분쇄의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Next, in the pulveriz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FIG. 3, the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degree of pulverization will be described.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쇄실(2)의 하면은, 커버(4b)에 의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버(4b)에 의하여 분쇄실(2)의 하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분쇄되는 분쇄물이 그 하방으로 떨어지게 하거나, 분쇄실 내부에 머물도록 제어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분쇄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As shown, the lower surface of the grinding chamber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cover 4b. The cover 4b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lower surface of the grinding chamber 2 by controlling the pulverized powder falling below or staying in the grinding chamber to substantially control the degree of grinding. This is the configuration that allows it.
상기 커버(4b)를 분리하여 분쇄실(2)의 하부를 개방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분쇄날(4a)과 고정날(2b)에 사이를 통과하면서 일정한 크기로 분쇄된 분쇄물이 바로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4b)를 닫은 상태로 분쇄기를 동작시키게 되면, 분쇄날(4a)과 고정날(2b) 사이를 통과하면서 일차적으로 분쇄된 분쇄물이 상기 커버(4b)의 상부에 머물게 되는데, 이 때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분쇄날(4a)는 커버(4b)의 상부에 있는 1차분쇄물을 다시 고정날(2b)와의 사이로 안내하면서 2차적으로 분쇄하게 된다. 이렇게 일정한 분쇄회수를 거치게 되면 보다 세밀한 상태로 분쇄되는 것은 당연하다.When the cover 4b is removed to open the lower part of the grinding chamber 2, as described above, the pulverized product pulverized to a predetermined size passes directly between the grinding blade 4a and the fixed blade 2b. To fall. When the grinder is operated with the cover 4b closed, the pulverized material that is primarily crushed while passing between the grinding blade 4a and the fixed blade 2b stay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4b. When the grinding blade (4a) is continuously rotating when the primary grinding material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4b) is guided again with the fixed blade (2b) is to be secondary grinding. It is natural to be crushed in a more detailed state after a constant crushing recovery.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4b)는 지면의 전면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빠지거나 장착되는 방식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커버(4b)는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분쇄실(2)의 하방에 성형되는 배출구(2c)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ver 4b is shown in a manner of being removed or mounted while sliding to the front of the ground, but the cover 4b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mbodiment, and the grinding chamber is Of course,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outlet 2c formed below (2) can be opened and closed.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분쇄날과, 분쇄실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고정날을 이용하여 홍합 또는 굴과 같은 패각류를 분쇄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understood that the basic technical idea is to grind shellfish such as mussels or oysters by using a grinding blade installed on one rotary shaft and a fixed blade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grinding chamber. Can b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many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하나의 회전축을 이용하여 대상물을 분쇄하는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함을 알 수 있다. 즉, 단일 회전축의 외주면에 설치되는 분쇄날과, 분쇄실의 내측면에 고정된 고정날이라는 상대적인 간단한 구성으로, 패각류 등을 손쉽게 분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분쇄실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커버의 구성에 의하여 대상물을 분쇄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장점도 기대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expected.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overall structure of crushing the object using a single rotating shaft is simple. That is, the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of the grinding blade is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ingle rotary shaft, and the fixed blad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grinding chamber, it is possible to easily crush shellfish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adjust the degree of grinding the object by the configuration of the cover to open and close the lower end of the grinding chamber is expected.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6214A KR100401212B1 (en) | 2000-08-09 | 2000-08-09 | Pulveriz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0-0046214A KR100401212B1 (en) | 2000-08-09 | 2000-08-09 | Pulverizing devic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00022698U Division KR200210710Y1 (en) | 2000-08-09 | 2000-08-09 | Pulveriz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12943A true KR20020012943A (en) | 2002-02-20 |
KR100401212B1 KR100401212B1 (en) | 2003-10-17 |
Family
ID=1968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0-0046214A KR100401212B1 (en) | 2000-08-09 | 2000-08-09 | Pulveriz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0121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92909B2 (en) | 2010-09-17 | 2016-07-19 | Young Ki Kim | Juicer having smoothie making function |
CN108748799A (en) * | 2018-06-19 | 2018-11-06 | 南京汇龙橡胶制品有限公司 | A kind of rubber pulverizing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1811Y1 (en) * | 2011-11-01 | 2012-08-07 | 김지태 | The container to adjust grinding |
WO2013009025A2 (en) * | 2011-07-08 | 2013-01-17 | Kim Ji Tae | Container for controlling grinding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26062A (en) * | 1975-08-20 | 1977-02-26 | Yagi Hiroyasu | Sceen setting device for crusher |
JPS554050Y2 (en) * | 1977-12-20 | 1980-01-30 | ||
KR950005474U (en) * | 1993-08-05 | 1995-03-20 | 유경열 | Toothbrush |
KR970005192U (en) * | 1995-07-05 | 1997-02-19 | Car Pocket Box |
-
2000
- 2000-08-09 KR KR10-2000-0046214A patent/KR10040121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392909B2 (en) | 2010-09-17 | 2016-07-19 | Young Ki Kim | Juicer having smoothie making function |
CN108748799A (en) * | 2018-06-19 | 2018-11-06 | 南京汇龙橡胶制品有限公司 | A kind of rubber pulveriz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01212B1 (en) | 2003-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01212B1 (en) | Pulverizing device | |
KR200210710Y1 (en) | Pulverizing device | |
KR20190073641A (en) | Meat grinders | |
KR101530421B1 (en) | Impeller for grain grinding device | |
KR200193202Y1 (en) | Cereal pulverator | |
KR100718486B1 (en) | A red peppers mill | |
KR200167512Y1 (en) | the crucher by making powdered red paper | |
KR200158704Y1 (en) | Crusher of red peppers | |
KR100209320B1 (en) | Crushing apparatus | |
KR200203924Y1 (en) | Cereal pulverator | |
KR102287258B1 (en) | Food waste disposer | |
KR200171106Y1 (en) | the crucher by making powdered red paper | |
KR100265695B1 (en) | Grinder with out-of-contacting rollers | |
KR200216304Y1 (en) | Oyster shells grind | |
KR970008348B1 (en) | Crusher for red pepper | |
KR20050024600A (en) | crusher | |
KR200219303Y1 (en) | pepper crusher | |
KR200219282Y1 (en) | A Grain Miller | |
KR0131515Y1 (en) | A crusher | |
KR101915508B1 (en) | Crush apparatus | |
KR200264712Y1 (en) | Grain Crusher | |
KR200252173Y1 (en) | A red pepper grinder | |
KR200328530Y1 (en) | crusher | |
KR900006093Y1 (en) | Crusher | |
KR200303094Y1 (en) | The pulverizing apparatus for cere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