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636Y1 -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636Y1
KR200182636Y1 KR2019990027940U KR19990027940U KR200182636Y1 KR 200182636 Y1 KR200182636 Y1 KR 200182636Y1 KR 2019990027940 U KR2019990027940 U KR 2019990027940U KR 19990027940 U KR19990027940 U KR 19990027940U KR 200182636 Y1 KR200182636 Y1 KR 2001826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vertical member
slab
wire mesh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9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병균
Original Assignee
임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병균 filed Critical 임병균
Priority to KR20199900279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6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6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6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1Devices or auxiliary means for setting-out or checking the configuration of new surfacing, e.g. templates, screed or reference line supports; Applications of apparatus for measu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surface configuration of existing surfacing, e.g. profilograph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4Patterns or templates; Jointing rulers
    • E04F21/05Supports for jointing ru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일방향 슬래브에서 뿐 아니라 양방향 슬래브에서도 슬래브의 춤과 상하부 철근망의 상호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본고안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슬래브 거푸집(100)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부재(20)와, 상기 바닥부(10)의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철망받침(30)과, 상기 하철망받침(30)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철망받침(30)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철망받침(40)과, 상기 상철망받침(40)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레벨표시부(50)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철망받침(40)과 동일한 높이에서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직각철근받침(60)을 추가로 포함한 것이다.

Description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A Level Spacer for the Reinforced Concrete Slab}
본고안은 철근콘크리트로서 시공되는 슬래브의 레벨과 철근들의 상호간격을 정확하게 맞추는 데 사용되는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로서 시공되는 슬래브의 춤을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과 그 슬래브의 내부에 매립되는 철근들의 상호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는 것은 건축물의 정밀도와 강도상의 문제에서 고품질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인이 된다.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는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춤과 철근들의 상호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보조도구로 사용되는 것이다.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소54-18013호에서 공개된 종래의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는 도1의 도시와 같이, 슬래브 거푸집(100)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바닥부(1)와, 상기 바닥부(1)의 상면 중앙에 하단이 고정되고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부재(2)와, 상기 바닥부(1)의 상부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에 고정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철망받침(3)과, 상기 하철망받침(3)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에 고정되어 상기 하철망받침(3)과 같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외측으로 연장되는 상철망받침(4)과, 상기 상철망받침(4)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레벨표시부(5)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는 하부철근망(200)을 받쳐주는 하철망받침(3)과 상부철근망(300)을 받쳐주는 상철망받침(4)이 같은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부철근망(200)을 구성하는 하주철근(210)과 하부철근(220) 및 상부철근망(300)을 구성하는 상주철근(310)과 상부철근(320)들의 상하위치가 동일한 경우에는 적합하나, 하부철근망(200)을 구성하는 하주철근(210)과 하부철근(220) 및 상부철근망(300)을 구성하는 상주철근(310)과 상부철근(320)들의 상하위치가 뒤바뀌는 경우에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하부철근망(200)을 구성하는 하주철근(210)과 하부철근(220) 및 상부철근망(300)을 구성하는 상주철근(310)과 상부철근(320)들의 상하위치가 동일한 경우는 캔틸레버 슬래브와 같이 휨모멘트가 단면의 하부에만 작용하는 일방향 슬래브에 해당되며, 하부철근망(200)을 구성하는 하주철근(210)과 하부철근(220) 및 상부철근망(300)을 구성하는 상주철근(310)과 상부철근(320)들의 상하위치가 뒤바뀌는 경우는 4변 고정 슬래브와 같이 휨모멘트가 위치에 따라서 하부 뿐 아니라 상부에도 작용하는 양방향 슬래브에 해당된다.
통상적인 건축물에는 일방향 슬래브보다는 양방향 슬래브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종래의 레벨 스페이서는 현실적으로 건축현장에서 자유롭게 사용되는 데에 중대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음을 분명히 알수 있다.
본고안의 목적은 일방향 슬래브에서 뿐 아니라 양방향 슬래브에서도 슬래브의 춤과 상하부 철근망의 상호 간격을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되는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고안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고안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일방향의 슬래브에 설치 사용된 상태 를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고안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양방향의 슬래브에 설치 사용된 상태 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닥부 11: 바닥돌기 20: 수직부재
21: 관통구멍 30: 하철망받침 40: 상철망받침
50: 레벨표시부 51: 문양 60: 직각철근받침
61: 밑받침부 62: 상받침부 63: 안내걸림부
63a: 외측경사면 63b: 하부 63c: 상부
64: 상걸림턱부 64a: 상면 64b: 하단부
65: 보강받침부 A: 하부수납공간 B: 상부수납공간
이하, 본고안의 기술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도 슬래브 거푸집(100)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부재(20)와, 상기 바닥부(10)의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철망받침(30)과, 상기 하철망받침(30)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철망받침(30)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철망받침(40)과, 상기 상철망받침(40)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레벨표시부(50)를 포함하는 점에서는 종래의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와 그 기술개념을 같이 한다.
단, 본고안은 상기 상철망받침(40)과 동일한 높이에서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직각철근받침(6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고안의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는 수직부재(20)에서 같은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철망받침(30)과 상철망받침(40) 뿐 아니라 상철망받침(40)과 동일한 높이에서 직각방향으로 돌출되는 직각철근받침(60)을 추가로 포함하므로, 하주철근(210)과 하부철근(220) 및 상주철근(310)과 상부철근(320)들의 상하위치가 동일한 경우 뿐 아니라, 하주철근(210)과 하부철근(220) 및 상주철근(310)과 상부철근(320)들의 상하위치가 뒤바뀌는 경우에도 사용에 지장이 없게 되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본고안의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는 일방향 슬래브 뿐 아니라 양방향 슬래브에도 사용에 지장이 없는 장점을 가진다.
이하, 본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해서 본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2에 도시되는 본고안의 대표적인 실시예도 슬래브 거푸집(100)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부재(20)와, 상기 바닥부(10)의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철망받침(30)과, 상기 하철망받침(30)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철망받침(30)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철망받침(40)과, 상기 상철망받침(40)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레벨표시부(50)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철망받침(40)와 동일한 높이에서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직각철근받침(60)을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 점에서 본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사상을 구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도 하주철근(210)과 하부철근(220) 및 상주철근(310)과 상부철근(320)들의 상하위치가 동일한 일방향 슬래브의 경우 뿐 아니라, 하주철근(210)과 하부철근(220) 및 상주철근(310)과 상부철근(320)들의 상하위치가 뒤바뀌는 양방향 슬래브의 경우에도 자유로운 사용이 가능한 작용효과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직각철근받침(60)은 도2의 도시와 같이, 그 상면이 외측에서 수직부재(20)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경사지도록 상기 수직부재(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밑받침부(61)와, 상기 밑받침부(61)의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받침부(62)와, 상기 상받침부(62)의 외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외측에서 수직부재 쪽으로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며 그 하단은 상받침부(62)의 아래로 그 상단은 상받침부(62)의 위로 연장되는 안내걸림부(63)와, 상기 안내걸림부(63)의 상단부에 외측에서 수직부재 쪽으로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상걸림턱부(64)로 구성되는 것이 예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직각철근받침(60)에서, 밑받침부(61)와 상받침부(62)의 사이에는 하부수납공간(A)이 형성되며, 상받침부(62)의 상부에는 상부수납공간(B)이 형성된다. 이때, 안내걸림부(63)의 외측경사면(63a)은 상부철근(320)이 밑받침부(61)의 위에 형성되는 하부수납공간(A)으로 수납될 때에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의 역할을, 상받침부(62)를 경계로 하여 하부(63b)는 하부수납공간(A)으로 수납된 상부철근(320)이 외부의 충격으로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하걸림턱의 역할을, 상부(63c)는 상주철근(310)의 외측경계면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걸림턱부(64)의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는 상면(64a)은 상주철근(310)이 상부수납공간(B)을 수납될 때에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의 역할을, 하단부(64b)는 상부수납공간(B)으로 수납된 상주철근(310)이 외부의 충격으로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상걸림턱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서 예시되는 직각철근받침(60)은 상철망받침(40)과 높이는 같으며 직각방향으로 수직부재(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밑받침부(61)의 위에 형성되는 상부철근용 하부수납공간(A)과, 상받침부(62)위에 형성되는 상주철근용 상부수납공간(B)이 동시에 형성되는 기술구성을 가진다.
여기에서, 상기 직각철근받침(60)은 그 밑받침부(61)의 하부를 떠받쳐주도록 상기 수직부재(20)의 측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보강받침부(65)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상기 직각철근받침(60)의 밑받침부(61)를 견고하게 지탱하여 주도록 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가 하주철근(210)과 하부철근(220) 및 상주철근(310)과 상부철근(320)들의 상하위치가 동일한 일방향 슬래브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3의 도시와 같이 상부철근망(300)의 상부철근(320)은 상철망받침(40)의 위에 놓여지며, 상기 상부철근(320)의 위에 직각으로 걸쳐지는 상주철근은 상기 상주철근용 상받침부(62)의 위에 놓여진다. 이때, 상걸림턱부(64)는 상주철근(310)이 상부수납공간(B)을 수납될 때에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의 역할과 상부수납공간(B)으로 수납된 상주철근(310)이 외부의 충격으로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가 하주철근(210)과 하부철근(220) 및 상주철근(310)과 상부철근(320)들의 상하위치가 뒤바뀐 양방향 슬래브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4의 도시와 같이 상부철근망(300)의 상부철근(320)은 직각철근받침(60)의 밑받침부(61)의 위에 놓여지며, 상주철근(310)은 상기 상부철근(320)의 위에서 직각방향으로 교차되어 놓여진다. 이때, 안내걸림부(63)는 상부철근(320)이 하부수납공간(A)으로 수납될 때에 안내하는 안내면으로서의 역할과 하부수납공간(A)으로수납된 상부철근(320)이 외부의 충격으로 다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으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의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에서 직각철근받침(60)은 일방향 슬래브 뿐 아니라 양방향 슬래브에서도 상부철근망(300)을 정확한 높이로 받쳐주면서도, 상부철근망(300)이 제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직부재(20)는 도2의 도시와 같이 적절한 간격마다 관통구멍(21)들이 뚫려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통구멍(21)들을 통해서 콘크리트가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본 실시예의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가 철근콘크리트 슬래브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매립되도록 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부(10)는 도2의 도시와 같이 4개의 바닥돌기(11)들이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하부로 동일한 길이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본 실시예의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가 슬래브용 거푸집의 상부에 스스로 지지되도록 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레벨표시부(50)는 도2의 도시와 같이 소정의 문양(51)을 가지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레벨표시부(50)가 작업자들의 눈에 잘 보여지도록 하여서 슬래브의 춤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타설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고안의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는 일방향 슬래브 뿐 아니라 양방향 슬래브에서도 상부철근망을 정확한 높이에서 받쳐주도록 할 뿐 아니라, 상부철근망이 제위치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7)

  1. 슬래브 거푸집(100)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바닥부(10)와, 상기 바닥부(10)의 상면에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수직부재(20)와, 상기 바닥부(10)의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하철망받침(30)과, 상기 하철망받침(30)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하철망받침(30)과 같은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철망받침(40)과, 상기 상철망받침(40)에서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0)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레벨표시부(50)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상철망받침(40)과 동일한 높이에서 직각되는 방향으로 상기 수직부재(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직각철근받침(6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철근받침(60)은 그 상면이 외측에서 수직부재(20)쪽으로 위에서 아래로 경사지도록 상기 수직부재(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밑받침부(61)와, 상기 밑받침부(61)의 상부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수직부재(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받침부(62)와, 상기 상받침부(62)의 외측단부에 일체로 연결되며 외측에서 수직부재 쪽으로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며 그 하단은 상받침부(62)의 아래로 그 상단은 상받침부(62)의 위로 연장되는 안내걸림부(63)와, 상기 안내걸림부(63)의 상단부에 외측에서 수직부재 쪽으로 비스듬한 경사면을 가지도록 일체로 연결되는 상걸림턱부(6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철근받침(60)은 상철망받침(40)과 높이는 같으며 직각방향으로 수직부재(2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밑받침부(61)의 위에 형성되는 상부철근용 하부수납공간(A)과, 상받침부(62)위에 형성되는 상주철근용 상부수납공간(B)이 동시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각철근받침(60)은 그 밑받침부(61)의 하부를 떠받쳐주도록 상기 수직부재(20)의 측면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보강받침부(65)를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재(20)는 적절한 간격마다 관통구멍(21)들이 뚫려져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10)는 4개의 바닥돌기(11)들이 상호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하부로 동일한 길이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는 하는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표시부(50)는 소정의 문양(51)을 가지도록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KR2019990027940U 1999-12-11 1999-12-11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KR2001826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940U KR200182636Y1 (ko) 1999-12-11 1999-12-11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940U KR200182636Y1 (ko) 1999-12-11 1999-12-11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636Y1 true KR200182636Y1 (ko) 2000-05-15

Family

ID=1960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940U KR200182636Y1 (ko) 1999-12-11 1999-12-11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63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272B1 (ko) * 2005-11-01 2007-04-19 병 균 임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KR101273721B1 (ko) 2010-05-28 2013-06-12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272B1 (ko) * 2005-11-01 2007-04-19 병 균 임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KR101273721B1 (ko) 2010-05-28 2013-06-12 중산하이픽스 주식회사 콘크리트 타설 높이 기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7777B2 (en) Devices for securing reinforcing bars within forms for concrete
US6560938B1 (en) Box lintel
CA2693890C (en) A block wall system
KR102138975B1 (ko) Pc벽체 시공중 자립을 위한 구조물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098570B1 (ko) 콘크리트 타설 높이의 안내가 가능한 철근 스페이서
KR200182636Y1 (ko)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KR100582866B1 (ko) 펜스 주주 지지 구조
KR200238498Y1 (ko) 보강망 장치
KR100709272B1 (ko) 슬래브용 레벨 스페이서
KR200262326Y1 (ko) 철근 결속용 스페이서
KR200203624Y1 (ko) 슬라브용 철근 스페이서
KR20100117486A (ko) 파일캡
KR200216939Y1 (ko) 콘크리트의 높이 확인용 레벨캡과 이를 구비한 철근 받침대
KR100914045B1 (ko) 철근받침대
JPS637646Y2 (ko)
JP2006138143A (ja) ブロック及びその固定方法
JP3459184B2 (ja) 型枠支持具
KR200204074Y1 (ko) 철근 받침대
KR102420049B1 (ko) 와이드보의 전도방지 구조를 갖는 기둥-보 접합부 구조
KR200200923Y1 (ko)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용 기준틀
KR200210972Y1 (ko) 철근 받침대
JP3057540U (ja) 作業足場
KR200231222Y1 (ko) 데크플레이트용 철근 간격 유지구
JP2960887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支持具
JP2779404B2 (ja) 基礎用鉄筋支持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