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4050Y1 - 사무용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사무용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4050Y1
KR200174050Y1 KR2019970031206U KR19970031206U KR200174050Y1 KR 200174050 Y1 KR200174050 Y1 KR 200174050Y1 KR 2019970031206 U KR2019970031206 U KR 2019970031206U KR 19970031206 U KR19970031206 U KR 19970031206U KR 200174050 Y1 KR200174050 Y1 KR 200174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bracket
seat
coil spring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0490U (ko
Inventor
김명철
Original Assignee
김정곤
주식회사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곤, 주식회사대성 filed Critical 김정곤
Priority to KR2019970031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4050Y1/ko
Publication of KR9800004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04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4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40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screw-and-nut mechan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등받이가 시트와 일체화된 통상의 사무용 의자의 등받이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각도조절폭의 증대로 사용상의 편익향상 및 장치의 내구성 향상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즉 본 고안의 등받이각도조절장치(4)는 축핀(7)을 기점으로 각운동 가능케 연결된 시트브라켓(8)과 포스트브라켓(6) 상에 설치되는 고정볼트(9)에 개재되는 등받이(1) 복원기능을 가진 코일스프링을 스프링계수가 서로 상이한 코일스프링(11a,11b)으로 대체하되, 하나의 코일스프링(11a)은 시트브라켓(8)과 포스트브라켓(6) 상간에 탄력개재시키고, 또 하나의 코일스프링(11b)은 포스트브라켓(6)과 고정볼트(9)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너트(12) 상간에 탄력개재시켜 등받이(1)를 후측으로 밀 때는 하측의 코일스프링(11b)만 압축복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등받이(1)를 원위치시킬 때와 시트(2)를 전측으로 각도조절할 때는 상측의 코일스프링(11a)이 압축복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등받이(1) 각도조절시 가해지는 하중과 관성력을 완충할 수 있도록 하여 장치의 내구성을 높이며, 시트(2)를 전방 하측으로도 미폭 각운동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도 일층 배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사무용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본 고안은 시트(seat)와 등받이(the back of chair)가 일체화된 사무용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가 착좌한 상태에서 등받이를 등부위로 밀면 등받이가 후방으로 각도조절되는 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엄밀히 얘기하면 등받이와 시트가 일체화되어 있어 등받이와 시트가 동시에 각도조절되는 것이나, 본 고안에서는 이를 "등받이 각도조절장치"로 약칭하여 설명키로 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등받이(1)와 시트(2)가 일체화된 사무용 의자(3)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착좌시에 등받이(1)부에 사용자가 등부위를 연접시킨 후 후방으로 힘을 가하면 등받이(1)가 후방으로 소폭 각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장시간 착좌시에 경직된 허리근육 및 척추부위 등에 가해지는 피로를 경감할 수 있는 등 사용상의 편익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바, 기존의 이러한 기능을 가진 사무용 의자(3)의 등받이각도조절장치(4)는 하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높이조절기능 등을 가진 포스트(5) 상단부에 포스트브라켓(6)을 편심고정하고, 상기 포스트브라켓(6)의 중심부에는 축핀(7)으로 각운동될 수 있는 시트브라켓(8)을 연결하되, 상기 시트브라켓(8)은 시트(2)에 체결볼트 등으로 고정되며, 시트브라켓(8)의 일측 즉 포스트(5)가 위치하는 반대측에는 고정볼트(9)를 끼움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하되, 상기 고정볼트(9)의 선단이 포스트브라켓(6)상에 형성된 통공(10)을 경유토록 하고, 고정볼트(9)에 코일스프링(11)을 끼움개재시킨 후 조절너트(12)로 코일스프링(11)의 압축 폭을 나사조절 가능케 결합시키는바, 이러한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진 기존 사무용 의자(3)의 등받이각도조절장치(4)는 사용자가 시트(2)에 착좌후 등부위를 등받이(1)부에 밀접시켜 등받이(1)를 후방으로 밀게되면 등받이(1)와 일체화된 시트(2)가 축핀(7)을 기점으로 후방으로 각운동하게 되고, 이때 포스트브라켓(6)과 조절너트(12) 상간의 고정볼트(9)상에 개재된 코일스프링(11)이 압축되었다가 사용자가 등받이(1)를 밀고 있는 힘을 제거하면 코일스프링(11)의 복원탄성에 의해 등받이(1)는 원위치로 복원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등받이각도조절장치(4)는 등받이(1)와 시트(2)가 후방으로만 각운동 조절이 되도록 되어 있고, 시트(2)에 착좌한 사용자가 등받이(1)를 후방으로 각운동 시켰다가 전방으로 원위치시킬 때에는 회전관성과 사용자의 하중으로 인하여 시트(2)의 전측에 하중이 집중적으로 작용케 되는데 이때 시트(2)에 부가되는 하중은 시트브라켓(8)과 포스트브라켓(6)을 연결하는 축핀(7)부위로 집중케되어 과부하로 인한 시트브라켓(8) 및 포스트브라켓(6)의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포스트(5)와 포스트브라켓(6)상에 미치는 과부하로 인하여 이들의 용접연결부가 파손되는 경우도 빈번하여 의자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는 등 제품의 내구성 유지에 역조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등받이(1)와 일체화된 시트(2)는 수평상태에서 후방으로만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전방으로도 소폭 각운동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있으나 이러한 전방으로의 각도조절기능이 부재하여 사용상의 불편도 가중되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등받이가 시트와 일체화된 통상의 사무용 의자에 있어서, 등받이가 각도조절 작동시 각도조절수단에 미치는 과부하를 극소화시켜 장치의 내구성증대 및 작동상의 원활성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각도조절폭의 증대로 사용상의 편익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하게 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의자의 등받이각도조절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의자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발췌하여 일부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주요부호의 설명 □
1:등받이 2:시트
3:(사무용)의자 4:등받이각도조절장치
5:포스트 6:포스트브라켓
7:축핀 8:시트브라켓
9:고정볼트 10:통공
11:코일스프링 11a,11b:코일스프링
12:조절너트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적용된 사무용 의자(3)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측면도, 도 5,6은 본 고안의 요부 작용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구성과 동일구성부재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키로 한다.
등받이(1)와 시트(2)가 일체화되고, 상기 등받이(1)가 후방으로 각운동조절될 수 있도록 된 통상의 사무용 의자(3)에 있어서, 시트(2)의 저면부에 부착되는 시트브라켓(8)에 일단부가 고정결합되고, 상기 시트브라켓(8)과 축핀(7)으로 연결되며 포스트(5)의 상단 일측으로 편심되게 부착되는 포스트브라켓(6)상을 경유하는 통공(10)을 통하여 타단에서 조절너트(12)가 나사조절 가능케 결합되는 고정볼트(9)를 조립구성하되, 상기 고정볼트(9)의 시트브라켓(8)과 포스트브라켓(6) 상간의 경유부에는 스프링계수가 낮은 코일스프링(11a)을 끼움개재시키고, 포스트브라켓(6)과 조절너트(12) 상간의 고정볼트(9)상에는 스프링계수가 큰 코일스프링(11b)을 끼움개재토록 한다. 도면중에서 미설명부호 13은 의자의 다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사무용 의자(3)는 통상의 의자 사용방법과 동일한 사용방법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의자(3)에 사용자가 착좌 후 등받이(1) 부위를 등으로 후측으로 밀면 포스트브라켓(6)과 조절너트(12) 상간을 경유하는 고정볼트(9) 하측에 탄력개재된 코일스프링(11b)만 도 5와 같이 압축되면서 등받이(1)가 축핀(7)을 기점으로 후방으로 각운동조절이 이루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범위내에서 등받이(1)를 임의로 각운동시킬 수가 있으며, 등받이(1)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코일스프링(11b)의 복원탄성에 의해 등받이(1)는 축핀(7)을 기점으로 원위치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신체는 시트(2)의 전측방향으로 쏠리게되어 시트(2)가 거의 수평위치에 이를 때 사용자의 체중과 각운동시의 회전관성에 의해 시트(2)는 원위치 이상으로 각운동되려고 하는바, 이때 시트브라켓(8)과 포스트브라켓(6) 상간의 고정볼트(9) 상측에 개재된 코일스프링(11a)이 압축되면서 이러한 하중과 관성에 의한 원위치 이상의 각운동을 가능하게 하고, 코일스프링(11a)의 완충작용에 의해 시트브라켓(8), 포스트브라켓(6) 및 축핀(7) 등에 미치는 하중과 충격을 완충하게 되는 것이며, 사용자가 시트(2)의 전측에 치우친 착좌자세에서 정상적인 착좌상태로 전환하면 코일스프링(11a)의 복원탄성에 의해 시트(2)는 정상적인 수평상태로 전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사무용 의자(3)의 등받이각도조절장치(4)는 축핀(7)을 기점으로 각운동 가능케 연결된 시트브라켓(8)과 포스트브라켓(6) 상에 설치되는 고정볼트(9) 상에 개재되는 등받이(1) 복원용 코일스프링을 스프링계수가 서로 상이한 복수개의 코일스프링(11a,11b)으로 대체하되, 하나의 코일스프링(11a)은 시트브라켓(8)과 포스트브라켓(6) 상간에 탄력개재시키고, 또 하나의 코일스프링(11b)은 포스트브라켓(6)과 고정볼트(9)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조절너트(12) 상간에 탄력개재시켜 등받이(1)를 후방으로 밀 때는 하측의 코일스프링(11b)만 압축복원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등받이(1)를 원위치 시에 가해지는 하중과 관성력을 상측의 코일스프링(11a)이 보조완충토록 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시트(2)를 필요에 따라 전측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익을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1)

  1. 등받이(1)가 일체화된 시트(2) 저부에 고정되는 시트브라켓(8)과, 상기 시트브라켓(8)에 각운동 가능하게 축핀(7)으로 연결되며 포스트(5)의 상단에 고정되는 포스트브라켓(6), 상기 시트브라켓(8)과 포스트브라켓(6)상에 각운동 복원용 코일스프링을 일단이 시트브라켓(8)에 고정되고 포스트브라켓(6)상의 통공(10)을 경유하여 단부에 조절너트(12)가 결합되는 고정볼트(9)상에 탄력개재함에 있어서;
    상기 시트브라켓(8)과 포스트브라켓(6) 상간의 고정볼트(9)에는 스프링계수가 작은 코일스프링(11a)을 탄력개재하고, 상기 포스트브라켓(6)과 조절너트(12) 상간의 고정볼트(9)에는 스프링계수가 큰 코일스프링(11b)을 탄력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용 의자의 등받이각도조절장치.
KR2019970031206U 1997-11-03 1997-11-03 사무용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200174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206U KR200174050Y1 (ko) 1997-11-03 1997-11-03 사무용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206U KR200174050Y1 (ko) 1997-11-03 1997-11-03 사무용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490U KR980000490U (ko) 1998-03-30
KR200174050Y1 true KR200174050Y1 (ko) 2000-03-02

Family

ID=19513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206U KR200174050Y1 (ko) 1997-11-03 1997-11-03 사무용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405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46B1 (ko) * 2010-12-17 2012-04-06 박영호 의자 경사조절장치
KR20230032123A (ko) * 2021-08-30 2023-03-07 (주)테크노베이션 조절 볼트를 이용한 고정이 가능한 기립 보조 의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846B1 (ko) * 2010-12-17 2012-04-06 박영호 의자 경사조절장치
KR20230032123A (ko) * 2021-08-30 2023-03-07 (주)테크노베이션 조절 볼트를 이용한 고정이 가능한 기립 보조 의자
KR102588084B1 (ko) * 2021-08-30 2023-10-12 (주)테크노베이션 조절 볼트를 이용한 고정이 가능한 기립 보조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0490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9661B1 (en) Chair mechanism
US8177299B2 (en) Chair more comfortable when seated in optimum posture while reclining
US5238294A (en) Interlocking mechanism for supporting seat and seat back of chair
US6672669B2 (en) Swingable chair back with top pivot
JPH0146127B2 (ko)
JPH0547202B2 (ko)
US8167371B2 (en) Seat with dynamic seat back
EP2280626B1 (en) Chair with control system
WO2000051469A1 (en) Arrangement for beds and other reclining or seating furniture
US20050116519A1 (en) Mobile joint with several stable positions, suitable for use in furniture
KR200174050Y1 (ko) 사무용의자의 등받이 각도조절장치
KR100722991B1 (ko) 등받이가 밀착되는 의자
JP4181266B2 (ja) 椅子
CN210520531U (zh) 一种椅子
JP3778984B2 (ja) 椅子の座受支持機構
JPH1071043A (ja) 椅子座部の傾動調整機構
CA1316091C (en) Seating furniture
JP3622080B2 (ja) 重機操作用シート
KR102098952B1 (ko) 의자의 전후방향 틸팅 기구
KR102303651B1 (ko) 의자용 좌판의 국부 변동 구조
JPH0618534Y2 (ja) 椅子における緩衝力調節機構
KR200204484Y1 (ko) 의자
KR101133846B1 (ko) 의자 경사조절장치
KR200411864Y1 (ko) 의자용 허리 받침대
JP3528020B2 (ja) 椅子の座部傾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