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1019Y1 - 연삭숫돌의 드레싱 치구 - Google Patents
연삭숫돌의 드레싱 치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71019Y1 KR200171019Y1 KR2019960007862U KR19960007862U KR200171019Y1 KR 200171019 Y1 KR200171019 Y1 KR 200171019Y1 KR 2019960007862 U KR2019960007862 U KR 2019960007862U KR 19960007862 U KR19960007862 U KR 19960007862U KR 200171019 Y1 KR200171019 Y1 KR 20017101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essing
- dresser
- jig
- grinding
- grinding whe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12—Dressing tools; Holder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3/00—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 B24B53/04—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of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s on abrasive tools or wheels
- B24B53/047—Devices or means for dressing or conditioning abrasive surfaces of cylindrical or conical surfaces on abrasive tools or wheels equipped with one or more diamo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삭숫돌의 드레싱(dressing) 치구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다이아몬드 드레서(12)를 이용한 드레싱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따라서 숙련공이라 하더라도 전술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 및 일정깊이로 드레싱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형상이나 정밀한 형상의 공작물을 가공할 경우 연삭숫돌(10)의 가공면을 경사지게 만들거나 단턱을 형성시켜 연삭숫돌의 치형을 변형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때에도 다이아몬드 드레서(12)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경우에는 다이아몬드 드레서(12)를 고정시킬 치구가 필요하며, 종래에도 이러한 목적으로 치구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경우에는 다수의 드레싱과 또한 거친면의 황삭, 가는면의 정삭으로 구분하여 드레싱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치구를 1개로서 황삭용 드레서와 정삭용 드레서를 번갈아 끼우는 형식이 대부분인바, 드레싱작업시 황삭용 드레서와 정삭용 드레서의 탈착이 불편하고 이에 따라 드레싱 작업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제2도 내지 제4도에서와 같이 황삭드레서(30) 및 정삭드레서(26)가 모두 장착된 드레싱치구(32)를 만능연삭기의 테이블(34)에 장착시켜 사용자가 상기 드레싱치구(32)의 이동 및 고정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황삭 및 정삭드레싱을 수행하고 정밀한 드레싱을 수행하여 가공물을 정밀히 가공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연삭숫돌의 드레싱(dressing) 치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황삭용 드레서와 정삭용 드레서가 모두 장착된 드레싱치구를 만능연삭기의 테이블 위에 장착시켜 사용자가 테이블의 이동범위 및 고정을 제어하여 드레싱치구의 위치를 제어하고, 이로 인해 연삭숫돌의 황삭 및 정삭 드레싱이 순차적으로 수행됨으로써, 작업자에게 편리함 및 드레싱의 정밀함을 제공하여 공작물을 더욱 정밀하게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연삭숫돌의 드레싱치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 연삭가공은 절삭가공에 비해 칩이 매우 작고 다듬질면이 매끈하여 가공정밀도가 높을 뿐만아니라 연삭입자의 경도가 높으므로 경화강과 같이 다른 공구로는 가공할 수 없는 것이라도 가공할 수 있다.
이러한 연삭가공은 연삭숫돌을 고속으로 회전시켜 가공물을 가공하며, 상기 연삭숫돌은 연삭입자를 결합체로 굳혀서 여러 가지 형상을 만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삭숫돌은 연삭입자와 결합체 및 그 사이의 공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삭입자가 연삭숫돌의 주위에 미세하게 돌출되어 있어 연삭숫돌은 마치 밀링커터의 절인을 작게하여 수없이 나열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연삭에서는 이 미세한 각 연삭입자의 절삭날이 밀링커터의 날과 같은 작용을 하여 가공물에서 미세한 칩을 깍아내는 것이다.
또한, 연삭공구에 있어서도 절삭공구와 마찬가지로 상기 칩이 공구의 수명에 큰 영향을 미치며, 연삭공구가 절삭성이 저하되는 데에는 크게 날무딤과 눈메움이 있다.
여기서, 날무딤은 연삭입자의 절삭날이 둥글게 둔화된 경우을 말하고, 눈메움은 절삭날을 칩이 덮어싸서 절삭성이 저하되는 경우를 말한다.
그런데, 연삭숫돌은 절삭날의 자생작용이 있으므로 절삭공구와 같은 재연마작업을 할 필요는 없으나, 연삭숫돌의 절삭깊이가 너무 작을 때에는 절삭성이 나쁜 연삭입자가 표면에 그대로 남아 있거나 숫돌표면에 칩이 막혀 숫돌은 자생작용을 하지 않고 절삭성을 잃은채로 남아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연삭입자 및 칩등을 제거하고 예리한 절삭날을 지닌 연삭입자를 표면에 노출시켜 절삭성을 회복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작업을 드레싱이라 한다.
예시도면 제1도는 드레싱작업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일반적으로 연삭숫돌(10)의 날교정 및 형상을 교정하는데에는 다이아몬드 드레서(12)가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다이아몬드 드레서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은 강체의 자루에 1개의 다이아몬드가 장착된 드레서(12)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다이아몬드의 원뿔형상의 첨단이 예리할 때에는 날교정작업이 제대로 되나 어느 정도이상 마모되면 드레싱의 압력이 높아져 열의 발생이 많으므로 연삭숫돌(10)의 연삭입자가 예리한 절삭날을 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다이아몬드 드레서(12)는 되도록 마모되지 않도록 작업해야 하며, 만일 마모되면 다이아몬드가 닿는 위치를 변경하여 항상 예리한 인선으로 드레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연삭숫돌(10)에 다이아몬드 드레서(12)를 댈때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약간의 경사를 주어 첨단의 마모를 방지하여야 하며, 또한 이때 다이아몬드에 주는 절삭깊이가 크면 다이아몬드의 마모가 쉬우므로 약 0.02mm 이하의 절삭깊이를 유지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삭숫돌(10)의 날을 세우는 데에는 다이몬드 드레서(12)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다이아몬드 드레서(12)를 이용한 드레싱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따라서 숙련공이라 하더라도 전술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 및 일정깊이로 드레싱하기에는 불편한 점이 뒤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복잡한 형상이나 정밀한 형상의 공작물을 가공할 경우 연삭숫돌(10)의 가공면을 경사지게 만들거나 단턱을 형성시켜 연삭숫돌의 치형을 변형시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때에도 다이아몬드 드레서(12)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 경우에는 다이아몬드 드레서(12)를 고정시킬 치구가 필요하며, 종래에도 이러한 목적으로 치구가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경우에는 다수의 드레싱과 또한 거친면의 황삭, 가는면의 정삭으로 구분하여 드레싱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치구는 1개로서 황삭용 드레서와 정삭용 드레서를 번갈아 끼우는 형식이 대부분인바, 드레싱작업이 황삭용 드레서와 정삭용 드레서의 탈착이 불편하고 이에 따라 드레싱 작업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황삭용 드레서와 정삭용 드레서가 모두 장착된 드레싱치구를 만능연삭기의 테이블 위에 장착시켜 사용자가 테이블의 이송범위 및 고정을 제어하여 드레싱치구의 위치를 제어하고, 이로 인해 연삭숫돌의 황삭 및 정삭 드레싱을 순차적으로 수행하게 하여 작업자에게 편리함 및 드레싱의 정밀함을 제공할뿐더러 상기 드레서는 치구에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다이아몬드 첨단의 급마모등을 방지하는 연삭숫돌의 드레싱치구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 드레싱작업의 일례를 나타낸 개요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의 정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삭숫돌 12 : 다이아몬드 드레서
14 : 지지대 16 : 중앙고정대
18,18′ : 측부고정대 20 : 안착홈
22 : 고정홈 26 : 정삭용 드레서
28 : 보울트 30 : 황삭용 드레서
32 : 드레싱치구 34 : 테이블
36 : 콘트롤박스 38 : 구동수단
40 : 회동대 42 : 브러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지지대(14) 및 상기 지지대(14)에 일체로 성형된 중앙고정대(16)와 측부고정대(18)(18′), 상기 중앙고정대(16)의 양측과 측부고정대(18)(18')에 각각 내측 상방으로 경사진 안착홈(20)과 상기 안착홈(20)의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어서 관통된 고정홈(22), 상기 측부고정대(18) 및 중앙고정대(16)의 안착홈(20)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홈(22)에 보울트(28)에 의해 취부되는 정삭용 드레서(26), 상기 측부고정대(18′) 및 중앙고정대(16)의 안착홈(20)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홈(22)에 보울트(28)에 의해 취부되는 황삭용 드레서(30)로 구성된 것이다.
예시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가 만능연삭기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예시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확대도이며, 예시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의 정면도이고, 예시도면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32)는 만능연삭기의 테이블(34) 위에 장착된다.
만능연삭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콘트롤박스(36)를 제어하여 테이블(34)이 이동됨으로써 얻고자 하는 가공물의 절삭깊이나 형상등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만능연삭기에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32)를 장착함으로써 연삭숫돌(10)의 드레싱시 드레싱의 절삭깊이를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고, 또한, 공작물을 정밀가공하기 위한 연삭숫돌(10)의 치형변형시 다이아몬드 드레서는 드레싱치구(32)에 고정되고 드레싱치구(32)는 테이블(34)에 고정되며 테이블(34)은 사용자가 그 이동을 제어할 수 있음에 따라 연삿숫돌(10)을 보다 정밀히 드레싱할 수 있으며, 정밀히 드레싱된 연삭숫돌(10)로 가공물을 가공함으로써 가공물 역시 정밀히 가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32)가 만능연삭기에 장착되기 위하여 테이블(34) 상면에 구동수단(38)이 설치되고 구동수단(38)의 구동축에 회동대(40) 및 브러시(42)가 형성되며 상기 회동대(40) 위에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32)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38)은 콘트롤박스(36)에 의해 제어되며 평시에는 회동대(40)가 테이블(34)에 밀착되어 있고, 드레싱작업시 구동수단(38)에 의해 회동대(40)가 회동하여 테이블(34)에 상방으로 고정되며 브러시(42)는 드레싱작업시 숫돌입자가 날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치구(3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과 이동이 테이블(34)을 따라 이동되므로, 상기 드레싱치구(32)에 황삭용 드레서(30)와 정삭용 드레서(26)를 모두 장착시킴으로써, 황삭과 정삭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상기 황삭용 드레서(30) 및 정삭용 드레서(26)는 상기 드레싱치구(32)의 내측 상방으로 경사지게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드레서를 이용해 연삭숫돌(10)의 양면을 가공하거나 일면을 가공해 상기 연삭숫돌(10)의 형상을 가공물에 알맞게 변형시키거나, 양측의 드레서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해 공작물을 가공하는 연삭숫돌의 측면을 드레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드레싱칭구(32)는 상기 황삭용 드레서(30) 및 정삭용 드레서(26)가 장착될 수 있도록 지지대(14) 위에 중앙고정대(16)를 중심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측부에 측부고정대(18)(18′)가 상기 지지대(14)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즉, 중앙고정대(16)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황삭용 드레싱치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정삭용 드레싱치구가 형성된 것이며, 각각의 고정대에 장착되는 드레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드레서 첨단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장착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드레싱치구(32)에 드레서를 일정하게 경사를 두어 고정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경사를 제한하는 것을 원칙적으로 방지시켜 잘못된 드레서의 경사제어로 인한 드레서의 손상을 방지시킨 것이다.
상기 다이아몬드 드레서의 경사는 실험적으로 정하여진 것이며, 상기 드레서가 드레싱치구(32)에 장착되기 위하여 상기 경사로 형성된 안착홈(20)과 드레서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22)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22)은 안착홈(20)의 일측을 관통하여 드레싱치구(32)의 일면에 형성되어 있으며 내주에는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레서를 안착홈(20)에 안착시키고 상기 고정홈(22)에 보울트(28)를 결합시켜 드레서의 일측면에 압박을 가함으로서 상기 드레서를 드레싱치구(32)에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위와같이, 사용자는 테이블(34)의 이동을 통해 드레싱치구(32)의 이동을 제어하고 또한 드레싱횟수 및 시간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드레싱목적에 맞게 황삭 및 절삭드레싱을 순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황삭용드레서(30) 및 정삭용드레서(26)가 모두 장착된 드레싱치구(32)를 만능연삭기의 테이블(34)에 장착시켜 사용자가 상기 드레싱치구(32)의 이동 및 고정을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황삭 및 정삭드레싱을 수행하고 정밀한 드레싱을 수행하여 그 결과 가공물을 정밀히 가공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 지지대(14) 및 상기 지지대(14)에 일체로 성형된 중앙고정대(16)와 측부고정대(18)(18′), 상기 중앙고정대(16)의 양측과 측부고정대(18)(18')에 각각 내측 상방으로 경사진 안착홈(20)과 상기 안착홈(20)의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되어서 관통된 고정홈(22), 상기 측부고정대(18) 및 중앙고정대(16)의 안착홈(20)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홈(22)에 보울트(28)에 의해 취부되는 정삭용 드레서(26), 상기 측부고정대(18′) 및 중앙고정대(16)의 안착홈(20)에 안착되고 상기 고정홈(22)에 보울트(28)에 의해 취부되는 황삭용 드레서(30)로 구성된 연삭숫돌의 드레싱치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07862U KR200171019Y1 (ko) | 1996-04-12 | 1996-04-12 | 연삭숫돌의 드레싱 치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07862U KR200171019Y1 (ko) | 1996-04-12 | 1996-04-12 | 연삭숫돌의 드레싱 치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57178U KR970057178U (ko) | 1997-11-10 |
KR200171019Y1 true KR200171019Y1 (ko) | 2000-04-01 |
Family
ID=19453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07862U KR200171019Y1 (ko) | 1996-04-12 | 1996-04-12 | 연삭숫돌의 드레싱 치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171019Y1 (ko) |
-
1996
- 1996-04-12 KR KR2019960007862U patent/KR20017101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57178U (ko) | 1997-11-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944587A (en) | Cutting edge rounding method | |
KR100206640B1 (ko) | 절삭 블레이드를 연마하는 방법 | |
JP2018511488A (ja) | 溝を有する工作物を研削する方法および研削機 | |
US5551908A (en) | Centerless grinder and wheel truing device therefor | |
KR100917140B1 (ko) | 절삭 블레이드를 연삭하는 방법 | |
US2607173A (en) | Grinding method | |
US6561879B2 (en) | Conditioning device for grinding wheels | |
JP2660512B2 (ja) | メタルボンド砥石の機上放電ツルーイング方法 | |
JP5039957B2 (ja) | 内面研削装置用砥石および内面研削方法 | |
KR200171019Y1 (ko) | 연삭숫돌의 드레싱 치구 | |
JP3071640B2 (ja) | 工作物の深穴内面研削方法 | |
JPH11254277A (ja) | 内面研削装置 | |
JP2003291069A (ja) | 研削盤用の砥石及びこの砥石を使用する研削方法 | |
JPS61146471A (ja) | ドレツシング装置 | |
KR101101838B1 (ko) | 공작기계의 스핀들 테이퍼 연삭장치 | |
JP4090153B2 (ja) | 円筒状工作物の外周面研削装置および研削方法 | |
JPH01271173A (ja) | Nc工具研削盤の砥石整形方法と装置 | |
KR20000009932U (ko) | 연삭기의 보조마그네틱 테이블 경사각 조정장치 | |
JPH08323618A (ja) | 複合研削砥石によるダイヤモンド砥石の高精度・高能率ツルーイング及びドレッシング法 | |
JP2006123133A (ja) | ツルーイング方法 | |
JP3127493B2 (ja) | 砥石の修正方法 | |
JPS6263055A (ja) | 平面研削加工法 | |
JPH01205908A (ja) | 転削工具 | |
JPH07121508B2 (ja) | 研削砥石の整形方法 | |
JPH0866869A (ja) | セグメント砥石ユニ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