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559Y1 - 단순부품고정용태핑너트구조 - Google Patents

단순부품고정용태핑너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559Y1
KR200141559Y1 KR2019940012019U KR19940012019U KR200141559Y1 KR 200141559 Y1 KR200141559 Y1 KR 200141559Y1 KR 2019940012019 U KR2019940012019 U KR 2019940012019U KR 19940012019 U KR19940012019 U KR 19940012019U KR 200141559 Y1 KR200141559 Y1 KR 200141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tapping
tapping nut
hole
arm re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0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676U (ko
Inventor
박동철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120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559Y1/ko
Publication of KR9500336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6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559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자동차에 장착되는 체결물의 체결용 태핑너트로서, 중앙 지지부의 일측면 상하 부위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부와, 이 삽입부에 대향하여 상기 지지부의 다른 일측면으로 태핑나사가 결합되는 구멍부를 구비하여 마련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의 측면부에 부착마련되어 상기 체결물에 마련된 체결구멍으로 삽입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태핑너트 구조를 마련하여, 작업자가 체결물의 체결위치를 손쉽게 찾을 수 있고 그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태핑너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순부품 고정용 태핑너트 구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태핑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A-A선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태핑너트를 사용된 결합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종래의 태핑너트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종래의 태핑너트가 사용된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지지부 1b : 고정부
1c : 구멍부 1d : 결합부
2b : 체결구멍 5 : 연결부재
[산업상 이용 분야]
본 고안은 단순부품 고정용 태핑너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핑너트가 사용되어 장착되는 장착물에 있어서 그 나사결합부위를 용이하게 형성할 뿐만 아니라 체결되는 장착물의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단순부품 고정용 태핑너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태핑 나사는 자동차 도어 내측이나 기타 자동차 실내에 부착되는 암 레스트의 내장물을 장착할 때에 사용하는 나사로서, 그 체결시에는 태핑너트가 더불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태핑너트(1)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지지부(1a)의 일측면에, 상하로 각기 소정의 각도를 두고 테이퍼진 각각의 고정부(1b)를 마련하고, 상기 지지부(1a)의 타 일측부에는 그 중심부로 구멍부(1c)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1d)를 이루어 그 구조를 마련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태핑너트(1)와 상기 태핑나사와의 결합의 일례로 제5도에 도시된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Arm Rest)의 부착방법을 들어 설명하면, 상기 아암 레스트(2)의 부착시에 우선, 상기 태핑너트(1)는 그 고정부(1b)가 상기 도어 인너패널(3)에 형성된 삽입구멍(3a)에 삽입됨으로써 고정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같이 상기 태핑너트(1)가 상기 도어 인너패널(3)에 고정되면, 그 다음으로 상기 아암 레스트(2)에 마련된 결합부위 즉, 상기 아암 레스트(2)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태핑나사(4)의 삽입홀(2a)과 이 삽입홀(2a)의 끝단부에 형성된 체결구멍(2b)을 상기 결합부(1d)가 상기 체결구멍(2b)에 밀착될 수 있도록 조정하여 상기 아암 레스트(2)를 상기 도어 인너패널(3)에 위치시킨 다음, 태핑나사(4)를 상기 삽입홀(2a) 및 체결구멍(2b)에 삽입하여 볼트결합함으로써 상기 아암 레스트(2)를 고정하게 된다.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
한편, 상기 태핑너트의 형상에는 상기 아암 레스트와 같은 체결물의 체결시 이 체결물에 연결되는 별다른 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바, 상기와 같은 결합과정에 있어서, 상기 태핑너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아암 레스트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그 장착 위치를 잡을 때에 상기 체결구멍과 상기 태핑너트의 구멍부를 정확히 맞추어야만 상기 태핑나사가 삽입되어 그 체결작업을 윈만히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런데, 상기한 아암 레스트의 고정위치 선정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한 느낌 내지는 상기 태핑나사를 상기 체결구멍 및 구멍부의 상호간에 일일이 맞추어 가며 행하여만 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불편함이 작업시 초래되고 있다.
또한, 태핑나사의 결합부와 아암 레스트의 구멍부가 완전밀착되지 않고 체결될 경우에는 그 사이에 이격공간이 형성되므로 이로 인해 아암 레스트의 체결력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에 체결되는 체결물의 체결시, 결합부위 상태를 용이하게 조성하여 체결작업을 수월하게 할뿐만 아니라 체결력 또한 강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태핑너트 구조를 제공하는데 수단 목적이 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단순부품 체결용 태핑너트 구조에 있어서, 중앙 지지부의 일측면 상하 부위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부와; 이 삽입부에 대향하여 상기 지지부의 다른 일측면으로 태핑나사가 결합되는 구멍부를 구비하여 마련되는 결합부와, 이 결합부의 측면부에 부착마련되어 상기 체결물에 마련된 체결구멍으로 삽입고정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순부품 고정용 태핑너트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한 연결부재는, 적어도 2분할된 반 파이프체 형상으로 상기 구멍부의 물레에 확장가능하도록 부착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태핑나사의 체결시 체결물의 결합부위와 밀착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그 외주면이 길이 방향으로 요철져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단순부품 고정용 태핑너트 구조는, 상기 아암 레스트와 같은 체결물을 자동차에 체결시 상기 연결부재로 인하여 그 체결위치를 손쉽게 작업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태핑너트가 자동차의 도어 인너패널과 같은 고정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아암 레스트를 체결하기 위하여 이 아암 레스트를 상기 도어 인너패널 쪽으로 밀착시키게 되면, 이때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아암 레스트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구멍으로 삽입되어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아암 레스트는 상기 연결부재로 지지되어 상기 도어 인너패널에 가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작업자는 따로이 상기 아암 레스트의 체결위치를 조정할 필요없이 태핑나사를 삽입시켜 수월한 고정작업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작업자가 상기 태핑나사를 죌때에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태핑나사의 조임력으로 인해 외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체결구멍에 밀착되므로 상기 아암 레스트의 체결력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한 도면과 더불어 본 고안에 의한 단순부품 고정용 태핑너트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태핑너트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도는 제1도A-A선의 단면도로서, 편의상 종래와 동일한 부분은 같은 부호를 사용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태핑너트(1)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중앙 지지부(1a)의 일측면에는 소정의 각도로 테이퍼진 고정부(1b)가 상하부위에 각기 부착마련되어 있으며, 다른 일측면에는 태핑나사(4)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부(1c)가 구비된 결합부(1d)가 마련되어 있다.
이때, 상기한 구멍부(1c)는 도면을 통해 알수 있는 것과 같이 상기 지지부(1a)까지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태핑너트(1)에는 체결물의 체결시 이 체결물 몸체로 삽입되는 연결부재(5)가 더불어 구비되어 있는데, 이 연결부재(5)는 제2도에서와 같이 그 단면이 반 파이프체인 형상으로 마련되어서 상기 결합부(1d)의 측면에 상기 구멍부(1d)의 윈주 둘레로 적어도 2분할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한 각각의 연결부재(5)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게 되며 외주면은 체결물의 체결부위에 밀착상태를 강화시키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요철이 져서 마련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5)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본 고안의 태핑너트(1)가 체결물의 체결시 일으키는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한 체결물은 편의상 전술한 바 있는 아암 레스트(2)를 그 예로 하기로 한다.
즉,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작업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상기 아암 레스트(2)를 부착하기 위하여 우선, 자동차 도어 인너패널(3)에 마련된 삽입구멍(3a)에 상기고정부(1b)를 삽입시켜 상기 태핑너트(1)를 고정 배치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아암 레스트(2)를 부착하기 위하여 이 아암 레스트(2)를 상기 도어 인너패널(3)에 밀착시키게 되면, 그 체결부위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5)가 상기 아암 레스트(2)에 마련된 체결구멍(2b) 속으로 삽입되어 그 내주면에 밀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아암 레스트(2)는 상기 도어 인너패널(3)에 가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바, 이때 작업자는 상기 아암 레스트(2)를 체결하기 위하여 그 체결부위 다시말해, 상기 체결구멍(2b)과 상기 구멍부(1c)를 일치하여 조정하는 작업을 따로이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와 같은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역시 상기 아암 레스트(2)에 마련된 삽입홀(2a)로 태핑나사(4)를 삽입시키고 이를 조여 주게 되면, 이 태핑나사(4)가 상기 태핑너트(1)와 볼트결합하게 됨으로써 이에 따라 상기 아암 레스트(2)의 체결작업은 끝마치게 된다.
한편, 작업자가 상기 태핑나사(4)를 체결할 때에 상기 연결부재(5)는 상기 태핑나사(4)의 조임력으로 인하여 외측으로 확장되어서 상기 체결구멍(2b)에 더욱 밀착하게 되고 더불어 요철진 형상이 이 밀착상태를 계속해서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하게 되므로, 상기 아암 레스트(2)의 체결력는 더욱 향상되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단순부품 고정용 태핑너트 구조는, 그 체결물의 체결시 체결부위로 삽입되어 작업자에게 체결위치를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연결부재가 마련됨으로써, 작업자는 이 연결부재로 인하여 체결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하여 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태핑너트는 종래에 비해 태핑나사와의 접촉면적이 신장되어 지지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부재가 체결시 체결부위에 밀착고정하게 됨으로써 이로 인해 체결물의 체결력을 상승시킬 수 있는 이점을 지니게 된다.

Claims (3)

  1. 자동차에 장착된 체결물의 체결용 태핑너트에 있어서, 중앙 지지부(1a)의 일측면 상하 부위에 각각 마련되는 고정부(1b)와, 이 삽입부(1b)에 대향하여 상기 지지부(1a)의 다른 일측면으로 태핑나사(4)가 결합되는 구멍부(1c)를 구비하여 마련되는 결합부(1d)와, 이 결합부(1d)의 측면부에 부착마련되어 상기 체결물에 마련된 체결구멍(2b)으로 삽입고정되는 연결부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순부품 고정용 태핑너트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부재(5)는 적어도 2분할된 반 파이프제 형상으로 상기 구멍부(1c) 둘레로 확장가능하게 부착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순부품 고정용 태핑너트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연결부재(5)는 태핑나사의 체결시 체결물의 결합부위와 밀착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해 그 외주면이 길이 방향으로 요철져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순부품용 태핑너트 구조.
KR2019940012019U 1994-05-28 1994-05-28 단순부품고정용태핑너트구조 Expired - Lifetime KR200141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019U KR200141559Y1 (ko) 1994-05-28 1994-05-28 단순부품고정용태핑너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019U KR200141559Y1 (ko) 1994-05-28 1994-05-28 단순부품고정용태핑너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676U KR950033676U (ko) 1995-12-16
KR200141559Y1 true KR200141559Y1 (ko) 1999-05-15

Family

ID=1938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019U Expired - Lifetime KR200141559Y1 (ko) 1994-05-28 1994-05-28 단순부품고정용태핑너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5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676U (ko) 199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16609C (en) Pushnut
EP0390751B1 (en) A device for fixing mechanical parts to the body of a motor vehicle
US7025344B2 (en) Rubber bearing, preferably a stabilizing bearing, and method for mounting this bearing
KR200141559Y1 (ko) 단순부품고정용태핑너트구조
JPH04316707A (ja) 3軸方向可変補正締結具
US7976065B2 (en) Steering column attachment assembly
JPH0743951Y2 (ja) 車両用バッテリの保持装置
JPH0530679U (ja) 配管用クランプの取付け構造
KR960006316Y1 (ko) 자동차의 크래쉬패드 체결구
KR0168029B1 (ko) 자동차의 엔진장착구조
KR0121422Y1 (ko) 지그를 이용한 자동차의 파이프 고정브라켓 위치 조절구조
KR0166310B1 (ko) 자동차 패널 체결용 볼트
JP2650531B2 (ja) 筒状ゴム部品の組付け方法
GB2114946A (en) Vehicle mudflap
KR100205897B1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램프
KR0126054Y1 (ko) 자동차용 엔진의 진동흡수장치
KR200147828Y1 (ko) 자동차의 판넬장착용 너트
KR200159174Y1 (ko) 스크류 체결력 증대장치
KR0117518Y1 (ko) 리어어퍼 패널용 서브지그
KR20250029452A (ko) 턴-너트 조립체
JP2001152674A (ja) 仮囲い用パネルの取付金具
KR960003556Y1 (ko) 자동차용 리어 언더 미러
KR100318235B1 (ko) 차량용 손잡이
KR0182497B1 (ko) 차량용 에어컨 파이프 고정구
KR100341502B1 (ko) 자동차의 쿼터 글래스 고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052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5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528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3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2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