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8274A -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8274A
KR20010058274A KR1019990062505A KR19990062505A KR20010058274A KR 20010058274 A KR20010058274 A KR 20010058274A KR 1019990062505 A KR1019990062505 A KR 1019990062505A KR 19990062505 A KR19990062505 A KR 19990062505A KR 20010058274 A KR20010058274 A KR 200100582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teel sheet
piling
spring
tro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1845B1 (ko
Inventor
배두학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9-0062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1845B1/ko
Publication of KR20010058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8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1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18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2Piling, unpiling, unscra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21B39/04Lifting or lowering work for conveying purposes, e.g. tilting tables arranged immediately in front of or behind the p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14Guiding, positioning or align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을 대차상에 자동 파일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 단의 강판을 하나의 대차상에 파일링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판을 대차상에 자동 파일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레일상에서 이동가능한 대차상에 강판을 다단으로 적치할 수 있는 파레트 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레트 부에 적치된 강판의 모서리를 정돈시키기 위한 파일링 실린더를 파일링 기둥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장착하는 파일링 부를 구비하며, 상기 파레트 부와 파일링 부들은 대차상에서 강판의 폭에 따라서 폭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서 대차상에서 강판을 다단으로 적치하고 강판 모서리를 정돈하며, 원하는 위치로 다단의 파일링된 강판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APPARATUS FOR PILING STEEL PLATE AUTOMATICALLY}
본 발명은 강판을 대차상에 자동 파일링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상세히는 다수 단의 강판을 하나의 대차상에 파일링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요가들이 원하는 철판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대형 압연기를 이용하여 압연작업을 하게 되고, 이와 같은 대형 압연기를 이용하여 생산된 철판 혹은 강판들은 수요가의 요구에 따라서 절단되고, 출하시 트레일러등에 적재되어 운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제품출하 작업에서 종래에는 크레인을 이용하여 직접 트레일러등에 강판을 이동시켜 파일링하여야 하기 때문에 트레일러가 대기된 상태가 아니면, 강판등을 미리 출고시켜 대기할 수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트레일러에 강판을 파일링하는 과정에서 강판의 모서리를 정돈하여 파일링하는 기능을 갖지 못함으로서 이러한 강판의 모서리를 정돈하는 데에도 상당시간이 소요되어 작업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강판은 중량물이기 때문에 작업자가 강판 모서리를 일치시키는 작업중에 협착 재해등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다수 단의 강판을 하나의 대차상에 파일링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정돈된 상태의 강판들을 트레일러에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강판 자동 파일링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에 갖춰진 파레트를 이용하여 강판을 파일링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에 갖춰진 파레트를 이용하여 강판을 파일링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에 갖춰진 파일링 실린더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a)도는 평면도, b)도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에 갖춰진 파레트를 이용하여 강판을 파일링하는 상태를 도시한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에 갖춰진 파일링 실린??의 작동상태도로서,
a)도는 강판 모서리를 정돈하지 않은 상태,
b)도는 강판 모서리를 정돈한 상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a)도는 가장 하단의 파레트에 강판을 적재한 경우,
b)도는 두번째단의 파레트에 강판을 적재한 경우,
c)도는 세번째단의 파레트에 강판을 적재한 경우,
d)도는 모든 단의 파레트에 강판을 적재한 경우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레일 10..... 대차
14.... 프레임 20..... 파레트 부
23.... 파레트 기둥 25..... 파레트 암
30.... 스프링 텐션 암 32..... 스프링
34.... 스토퍼 50..... 파일링 부
52.... 파일링 기둥 54..... 파일링 실린더
60.... 스크류 잭 66..... 모터
72.... 폭 실린더 74..... 이동대
76.... 고정대 200.... 크레인
210... 마그네트 S..... 강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강판을 대차상에 자동 파일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레일상에서 이동가능한 대차상에 강판을 다단으로 적치할 수 있는 파레트 부를 형성하고, 상기 파레트 부에 적치된 강판의 모서리를 정돈시키기 위한 파일링 실린더를 파일링 기둥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장착하는 파일링 부를 구비하며, 상기 파레트 부와 파일링 부들은 대차상에서 강판의 폭에 따라서 폭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서 대차상에서 강판을 다단으로 적치하고 강판 모서리를 정돈하며, 원하는 위치로 다단의 파일링된 강판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1)는 도 1내지 도 3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5)상에서 이동가능한 대차(10)상에 강판(S)을 다단으로 적치할 수 있고, 적치된 강판(S)의 모서리를 정돈시키기 위한 파레트 부(20)와 파일링 부(50)를 구비하며, 상기 파레트 부(20)와 파일링 부(50)들은 대차(10)상에서 강판(S)의 폭에 따라서 폭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1)는 레일(5)상에서 이동가능한 다수의 휠(12)들을 갖는 대차(10)를 갖추고, 상기 대차(10)는 휠(12)상부에 프레임(14)이 위치되며, 상기 휠(12)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행부와 상기 주행부에 전기적인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들을 갖는다.
상기 대차(10)는 상기 휠(12)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행부가 프레임(14)의 하부에 주행 모터(16)를 갖추고, 상기 모터(16)의 회전축은 감속기(17)를 통하여 상기 휠(12)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대차(10)는 레일(5)상을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차(10)의 일측에는 상기 주행부에 전기적인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들을 갖는 바, 상기 구동부는 프레임(14)의 일측에 콘트롤 패널(19)을 갖추고, 그 일측에는 대차(10)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19a)가 장착되고, 상기 대차(10)의 휠(12) 회전수에 따라서 전기적인 신호를 송출하는 펄스 제너레이터(19b)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휠(12)의 일측에는 브레이크 시스템(미도시)이 장착되어 대차(10)의 주행정지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대차(10)는 레일(5)상에서 작업자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함은 물론 정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대차(10)의 프레임(14) 상부에서 프레임(14)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슬라이딩 레일(22)들이 장착되고, 그 상부에서 실린더(72)에 의하여 이동되는 이동대(74)와 상기 실린더(72)가 장착되는 고정대(76)를 구비한 받침부(70)를 갖는 바, 상기 받침부(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10) 프레임(14)의 폭방향으로 프레임(14) 상부에 장착된 다수개의 슬라이딩 레일(22)들을 갖추고, 상기 슬라이딩 레일(22)의 상부에는 이동대(74)가 각각 활주블럭(78a)과 클램프식 이동블럭(78b)에 의해서 연결되어 대차(10)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대(74)의 반대측에는 프레임(14)상에 고정대(76)가 위치되며, 상기 이동대(74)와 고정대(76) 사이에는 복수의 폭 실린더(72)가 장착되어 상기 이동대(74)를 좌우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받침부(70)는 상기 고정대(76)에 인접한 브라켓트(76a)에 폭 실린더(72)가 장착되고, 그 로드는 이동대(74)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이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22)에 이동대(74)를 연결시키는 활주 블럭(78a)과 클램프식 이동블럭(78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활주블럭(78a)은 슬라이딩 레일(22)상에 하부면이 지지된 구조를 갖지만, 상기 이동 블록(78b)은 슬라이딩 레일(22)의 중간 <>형 홈으로 대응되어 삽입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이동대(74)는 이와 같은 슬라이딩 레일(22)과 활주 블럭(78a)및 이동 블럭(78b)을 통하여 프레임(14)상에서 그 폭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받침부(70)의 이동대(74)와 고정대(76) 상부측으로 직립되는 다수개의 파레트 기둥(23)들을 갖추고, 상기 파레트 기둥(23)에는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파레트 암(25)들을 구비하여 강판(S)을 적치하는 파레트 부(20)를 포함한다.
상기 파레트 부(20)는 도 1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복수개가 1조를 이루어 상기 고정대(76)와 이동대(74)상에 직립으로 각각 다수 조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들 1조를 이루는 파레트 기둥(23)에는 각각 다수개의 파레트 암(25)들이 단을 이루어 장착된다. 예를 들면, 고정대(76)측에 장착된 1조의 파레트 기둥(23)에 대응하여 이동대(74)측에도 1조의 파레트 기둥(23)이 장착되고, 상기 1조를 이루는 파레트 기둥(23)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파레트 암(25)들이 다단으로 동일한 레벨로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파레트 암(25)들은 예를 들면 7단으로 상기 1조를 이루는 파레트 기둥(23)에서 고정대(76)와 이동대(74)사이에 돌출 장착된다.
상기 1조를 이루는 파레트 기둥(23)에 다단으로 장착되는 파레트 암(25)들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 기둥(23)에 그 후단부가 각각 힌지(25a)로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파레트 암(25)의 후단부는 파레트 기둥(23)의 후면측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된 스토퍼(27)에 의해서 지지되어 파레트 암(25)이 수평으로 펼쳐질 경우, 파레트 암(25)이 항상 정확하게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각각 구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파레트 암(25)의 일측에는 스프링 텐션 암(30)의 후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 텐션 암(30)은 그 선단이 개방단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중간부분에는 스프링(32)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32)의 상단은 도 4 및 도 7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파레트 기둥(23)의 상부측 파레트 암(25)의 중간부분에 서로 엇갈리는 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텐션 암(30)들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파레트 암(25)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지점에 근접하여 스토퍼(34)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상부측 스프링(32)에 의해서 선단부가 들리는 경우, 스프링 텐션 암(30)은 항상 일정한 각도로서 파레트 암(25)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파레트 암(25)들 중 각각의 파레트 기둥(23)의 최 상단의 것에는 도 9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텐션 암(30)이 장착되지 않고, 단지 스프링(32)에 의해서 파레트 기둥(23)의 상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각각의 파레트 기둥(23)의 최하단의 것에는 파레트 암(25)이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파레트 기둥(23)의 하단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상부측 파레트 암(25)들과 그 하부측 파레트 암(25)의 스프링 텐션 암(30)들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스프링(32)들은 상단의 것들로부터 하부측으로 향하여 스프링 탄성계수(K)가 점차 약하게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최상단의 스프링(32)은 그 탄성계수가 그 하부측의 것들보다 가장 강하고, 최하단의 스프링(32)은 스프링 탄성계수가 그 상부측의 것들 중에서 가장 약하다.
따라서, 상기 파레트 부(20)의 파레트 암(25)들은 그 상부에 강판(S)이 걸쳐지지 않을 경우에는 도 9의 a)도와 같이 상부측의 스프링(32)에 의해서 당겨져서 각각의 파레트 기둥(23)측으로 접혀진 구조를 갖는 것이다. 한편, 최 하단의 파레트 암(25)은 그것이 항상 수평을 유지하도록 파레트 기둥(23)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수평으로 유지되며 이에 연결된 스프링 텐션 암(30)은 상부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받침부(70)의 이동대(74) 상부측으로 직립되는 다수개의 파일링 기둥(52)들을 갖추고, 상기 파일링 기둥(52)에는 강판(S)의 모서리를 정돈하는 파일링 실린더(54)를 상하 승하강 가능하도록 장착한 파일링 부(50)를 갖는다.
상기 파일링 부(50)는 상기 파일링 기둥(52)들이 각각 나란하게 1조를 이루어 다수 조가 이동대(74)의 상부측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파일링 기둥(52)에는 그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승강대(56)가 상하 승강레일(58) 내에서 활주이동되고, 상기 승강대(56)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60)가 파일링 기둥(52)의 일측에 수직 위치되며, 상기 스크류(60)는 일측 파일링 기둥(52)의 상단에 위치된 모터(66)와 스크류 잭(62)에 연결되어 정,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60)는 승강대(56)의 일측에 나사 결합됨으로서 상기 모터(66)가 정,역회전되어 스크류 잭(62)을 통하여 스크류(60)가 정,역회전되면, 상기 스크류(60)에 나사결합된 승강대(56)가 승강레일(58)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승강대(56)에는 고정대(76)측으로 로드(54a) 선단에 밀대(68)를 구비한 파일링 실린더(54)가 다수개 각각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파일링 부(50)는 상기 승강대(56)상에서 파일링 실린더(54)가 승하강되며, 상기 파일링 실린더(54)의 로드(54a)가 전,후진되는 구조를 갖는다.
미설명 부호 (80)는 유압 시스템, (200)은 마그네트 크레인, (210)은 마그네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1)에 대한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운전실에서 상기 대차(10)의 위치를 설정하고 위치이동 신호를 내리면, 이는 레일(5)상에서 휠(12)이 회전하여 사전에 설정된 지령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은 대차(10)의 위치이동과 관련된 조업기술은 제철소에서는 일반화된대차(10) 위치제어 기술을 사용하게 되며, 따라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대차(10)의 주행시 구동 모터(16)의 작동으로 휠(12)이 회전되어 대차(10)가 주행되며, 운전실로부터의 지령에 의해서 이동대(74)가 프레임(14)의 상부에서 이동되어 적치할 강판(S)의 폭에 맞추어 조정된다.
이러한 경우, 고정대(76)의 브라켓트(76a)에 장착된 폭 실린더(72)의 로드가 전후진하여 슬라이딩 레일(22)상에서 이동대(74)를 활주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이동대(74)상에 장착된 파일링 기둥(52)과 파레트 기둥(23)들이 모두 사전에 정해진 위치로 강판(S)의 폭에 일치하도록 이동된다. 이와 같이 파일링 부(50)와 파레트 부(20)의 폭조정 작업을 완료한 다음에는 크레인(200)을 이용한 강판(S)의 적재작업이 이루어지며, 이하에서는 이를 도 9에 따라서 차례로 설명한다.
먼저, 9a)도에서 최하단의 수평으로 유지되는 파레트 암(25)의 상단에 강판(S)을 적재하게 되면, 강판(S)은 고정대(76)와 이동대(74)사이를 하강하면서, 최하단 파레트 암(25)의 스프링 텐션 암(30)을 하부측으로 누른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텐션 암(30)은 도 9b)와 같이 최하단 파레트 암(25)측으로 눌리어 수평으로 유지되고, 동시에 상부측 스프링(32)을 당기어 그 상부측 파레트 암(25)이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준다.
이는 도 9b)에서 점선으로 파레트 암(25)을 도시하였으며, 여기서 점선으로 도시한 이유는 해당 파레트 암(25)이 최하단의 파레트 암(25)이 위치된 파레트 기둥(23)이 아닌 인접한 1조를 이루는 파레트 기둥(23)에 장착된 것이기 때문에 점선으로 도시한 것이고, 그 상부측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것들은 모두 두 번째 파레트암(25)이 장착된 인접 파레트 기둥(23)에 장착된 것들이다.
이와 같이 최하단층에 강판(S)이 적재되면, 강판(S)의 상부측으로 두 번째 파레트 암(25)이 수평으로 펼쳐지며, 두 번째 스프링 텐션 암(30)은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두 번째 파레트 암(25)의 상부측으로 두 번째의 강판(S) 적치가 이루어지며, 이러한 경우에도 강판(S)이 두 번째 스프링 텐션 암(30)을 하부측으로 눌러서 수평으로 유지시키고 그 상부측으로 세 번째 파레트 암(25)을 수평으로 펼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가 도 9c)에 도시되어 있으며, 세 번째 파레트 암(25)의 상부측에도 세 번째의 스프링 텐션 암(30)이 경사진 상태로 펼쳐진다.
이와 같은 작동으로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7단에 걸친 강판(S) 적재작업이 각각의 파레트 암(25) 단마다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이 파레트 암(25)에 적치가 완료된 강판(S)들은 파일링 부(50)들을 통하여 강판(S) 모서리가 정돈될 수 있다. 이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링 기둥(52)상에서 상하로 승하강이 가능한 파일링 실린더(54)들이 작동하여 로드의 선단에 장착된 밀대(68)로서 강판(S)의 일측을 고정대(76)측으로 밀어 붙임으로서 강판(S)들은 그 모서리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지런하게 정돈되는 것이다.
이러한 파일링 작업은 파레트 암(25)의 각 단에 강판(S) 적치가 이루어질 때마다, 혹은 7단 모두에 걸쳐서 강판(S)의 적치가 완료된 후에 차례차례 강판(S) 모서리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그 작동시기를 어느 경우에 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강판(S)의 파일링 작업이 완료되면, 대차(10)를 이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고, 트레일러상에 강판(S)의 이송작업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강판(S)의 모서리들이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이므로 별도의 정돈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리고, 최 상단의 파레트 암(25)으로부터 강판(S)이 들리게 되면, 강판(S)이 제거된 파레트 암(25)은 그 상부측의 스프링(32)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파레트 기둥(23)측으로 회전되어 접히게 되고, 그 하단의 강판(S)들이 상부측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차례차례 최 상단의 강판(S)들로부터 트레일러측으로 강판(S)이송이 완료되면, 파레트 암(25)은 도 9a)와 같은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폭 실린더(72)에 의해서 이동대(74)의 이동 범위가 일정한 구조에 대하여, 즉 파일링 부(50)와 파레트 부(20)의 사이 폭이 대차(10)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동일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대(74)를 복수개로 형성하고, 각각의 이동대(74)마다 폭 실린더(72)들을 장착하며, 상기 폭 실린더(72)들의 변위량을 다르게 하여 대차(10)의 전방측 이동대(74)와 후방측 이동대(74)의 폭 조절 범위를 다르게 하면, 하나의 대차(10)에 서로 폭이 다른 강판(S)들을 적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하나의 이동대(74)와 고정대(76)사이에 장착되는 강판(S)들의 길이는 다른 이동대(74)와 고정대(76)가 위치되는 부분까지 연장되지 않는 소형의 것이 요구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서로 크기가 동일한 한 종류의 강판(S)들을 대차(10)상에 다단으로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크기가 다른 강판(S)들을 대차(10)상에 다단으로 나누어 적치하고 파일링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 단의 강판(S)을 하나의 대차(10)상에 파일링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정돈된 상태의 강판(S)들을 트레일러에 차례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안전사고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7)

  1. 강판(S)을 대차(10)상에 자동 파일링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레일(5)상에서 이동가능한 대차(10)상에 강판(S)을 다단으로 적치할 수 있는 파레트 부(20)를 형성하고, 상기 파레트 부(20)에 적치된 강판(S)의 모서리를 정돈시키기 위한 파일링 실린더(54)를 파일링 기둥(52)에 상하 이동가능하도록 장착하는 파일링 부(50)를 구비하며, 상기 파레트 부(20)와 파일링 부(50)들은 대차(10)상에서 강판(S)의 폭에 따라서 폭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서 대차(10)상에서 강판(S)을 다단으로 적치하고 강판(S) 모서리를 정돈하며, 원하는 위치로 다단의 파일링된 강판(S)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10)는 프레임(14) 상부에서 프레임(14)의 폭방향으로 다수의 슬라이딩 레일(22)들이 장착되고, 그 상부에서 실린더(72)에 의하여 이동되는 이동대(74)와 상기 실린더(72)가 장착되는 고정대(76)를 구비한 받침부(70)를 갖추며, 상기 받침부(70)는 슬라이딩 레일(22)의 상부에 이동대(74)가 각각 활주블럭(78a)과 클램프식 이동블럭(78b)에 의해서 연결되어 대차(10)의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이동대(74)의 반대측에는 프레임(14)상에 고정대(76)가 위치되며, 상기 이동대(74)와 고정대(76) 사이에는 복수의 폭 실린더(72)가 장착되어 상기 이동대(74)를 좌우 이동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70)는 상기 고정대(76)에 인접한 브라켓트(76a)에 폭 실린더(72)가 장착되고, 그 로드는 이동대(74)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딩 레일(22)에 이동대(74)를 연결시키는 활주 블럭(78a)은 슬라이딩 레일(22)상에 하부면이 지지된 구조를 갖추고, 이동 블록(78b)은 슬라이딩 레일(22)의 중간 <>형 홈으로 대응되어 삽입되는 구조를 갖춤으로서, 상기 이동대(74)는 슬라이딩 레일(22)과 활주 블럭(78a)및 이동 블럭(78b)을 통하여 프레임(14)상에서 그 폭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 부(20)는 서로 복수개가 1조를 이루어 상기 고정대(76)와 이동대(74)상에 직립으로 각각 다수 조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들 1조를 이루는 파레트 기둥(23)에는 각각 다수개의 파레트 암(25)들이 단을 이루어 장착되고, 상기 파레트 암(25)들은 파레트 기둥(23)에 그 후단부가 각각 힌지(25a)로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파레트 암(25)의 후단부는 파레트 기둥(23)의 후면측에 각각 수평으로 고정된 스토퍼(27)에 의해서 지지되어 파레트 암(25)이 수평으로 펼쳐질 경우, 파레트 암(25)이 항상 정확하게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각각 구성되는 한편, 상기 각각의 파레트 암(25)의 일측에는 스프링 텐션 암(30)의 후단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스프링 텐션 암(30)은 그 선단이 개방단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중간부분에는 스프링(32)의 하단이 연결되고, 상기 스프링(32)의 상단은 인접한 파레트 기둥(23)의 상부측 파레트 암(25)의 중간부분에 서로 엇갈리는 식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텐션 암(30)들은 파레트 암(25)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지점에 근접하여 스토퍼(34)가 형성됨으로서 항상 일정한 각도로서 파레트 암(25)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파레트 암(25)들중 각각의 파레트 기둥(23)의 최 상단의 것은 스프링(32)에 의해서 파레트 기둥(23)의 상단에 연결되고, 각각의 파레트 기둥(23)의 최하단의 것은 파레트 암(25)이 수평으로 유지되도록 파레트 기둥(23)의 하단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스프링(32)들은 상단의 것들로부터 하부측으로 향하여 스프링 탄성계수(K)가 점차 약하게 구성되어 최상단의 스프링(32)은 그 탄성계수가 그 하부측의 것들보다 가장 강하고, 최하단의 스프링(32)은 스프링 탄성계수가 그 상부측의 것들 중에서 가장 약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링 부(50)는 상기 파일링 기둥(52)들이 각각 나란하게 1조를 이루어 다수 조가 이동대(74)의 상부측에 장착되고, 상기 파일링 기둥(52)에는 그 사이에서 승하강하는 승강대(56)가 상하 승강레일(58) 내에서 활주이동되며, 상기 승강대(56)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60)가 파일링 기둥(52)의 일측에 수직 위치되고, 상기 스크류(60)는 일측 파일링 기둥(52)의 상단에 위치된 모터(66)와 스크류 잭(62)에 연결되어 정, 역회전이 이루어지고, 상기 스크류(60)는 승강대(56)의 일측에 나사 결합됨으로서 상기 모터(66)가 정,역회전되어 스크류 잭(62)을 통하여 스크류(60)가 정,역회전되면, 상기 스크류(60)에 나사결합된 승강대(56)가 승강레일(58)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파일링 실린더(54)의 로드(54a)가 전,후진되어 강판의 모서리를 정돈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KR10-1999-0062505A 1999-12-27 1999-12-27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KR1004318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505A KR100431845B1 (ko) 1999-12-27 1999-12-27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505A KR100431845B1 (ko) 1999-12-27 1999-12-27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8274A true KR20010058274A (ko) 2001-07-05
KR100431845B1 KR100431845B1 (ko) 2004-05-20

Family

ID=1963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505A KR100431845B1 (ko) 1999-12-27 1999-12-27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18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8945A (zh) * 2017-11-26 2018-02-27 瑞安市林垟通用机械厂 不间断送料机构和上吸式不间断送料放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4724A (en) * 1978-12-15 1980-06-26 Natl House Ind Co Ltd Plate article loading apparatus
JPS5841255B2 (ja) * 1980-11-28 1983-09-10 マツダ株式会社 積み重ねた薄板材の取出し検出方法
KR910000716Y1 (ko) * 1987-10-29 1991-0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의 보호 스위치 구동 장치
JPH0761594A (ja) * 1993-08-25 1995-03-07 Suzuki Motor Corp パネル状ワークの積み込み装置
KR0116552Y1 (ko) * 1994-04-15 1998-04-20 김주용 콤팩트디스크체인져의매거진강제취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38945A (zh) * 2017-11-26 2018-02-27 瑞安市林垟通用机械厂 不间断送料机构和上吸式不间断送料放料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1845B1 (ko) 200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2976B1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a pallet
US5700128A (en) Feeding or stacking device for slab-shaped workpieces
EP1695928A1 (en) Apparatus for handling sheet-like products in packs and as individual sheet-like products
US3833132A (en) Pallet loading apparatus
US4242024A (en) Apparatus for palletizing sheet material
CN113998199A (zh) 一种自动码垛机
US556711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alletizing work pieces
EP0652171B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Palettieren von Schlauchabschnitten aus Papier oder dgl.
KR100431845B1 (ko) 강판 자동 파일링 장치
CN212126804U (zh) 码垛分砖系统
US6543986B2 (en) Apparatus with upper displacement member for handling articles
CN118004642A (zh) 一种双立柱料箱高速码垛机
EP0499251B1 (de) Lagenkommissionierstapler mit zwei separat steuerbaren, höhenbeweglichen Lastträgern
CN114735495A (zh) 一种基于物联网的物流车装料设备
US3988822A (en) Pallet disassembling method and apparatus
CN212923805U (zh) 一种可调节高度的纸板堆垛装置
CN114055439A (zh) 一种卷材码垛机的翻转搬运装置
KR20030049091A (ko) 후판제품 다단 적재장치
CN218025307U (zh) 一种用于堆垛架拆堆垛的堆垛机
CN217024487U (zh) 一种仓储物流用堆垛机器人
JP4008269B2 (ja) インゴットの積上げ方法及びその装置
CN220997870U (zh) 一种堆垛机
CN115101321B (zh) 铁轭堆叠装置以及铁轭堆叠流水线
JPH0524656Y2 (ko)
KR970006548Y1 (ko) 후강판 적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91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109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9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31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404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405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405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