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1644A - 주화수납기 - Google Patents

주화수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1644A
KR20010031644A KR1020007004697A KR20007004697A KR20010031644A KR 20010031644 A KR20010031644 A KR 20010031644A KR 1020007004697 A KR1020007004697 A KR 1020007004697A KR 20007004697 A KR20007004697 A KR 20007004697A KR 20010031644 A KR20010031644 A KR 20010031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sensor
path
value
sensor outp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4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드데니스
Original Assignee
할라스 말콤 벨
코인 콘트롤즈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GB9723223.5A external-priority patent/GB9723223D0/en
Priority claimed from GBGB9804982.8A external-priority patent/GB9804982D0/en
Application filed by 할라스 말콤 벨, 코인 콘트롤즈 엘티디 filed Critical 할라스 말콤 벨
Publication of KR20010031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164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8Testing the magnetic or electric propert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2Testing the dimensions, e.g. thickness, diameter; Testing the de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주화수납기는, 시변센서출력들(x1(a), x2(a), x2(f), x3(a), x4(a))을 다른 영역들의 함수로서 생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주화(8)가 지나갈 때 주화면의 개개의 다른 영역들을 감지하기에 충분히 작은 센서코일유닛들(C1, C2, C3, C4)을 구비한다. 시변센서출력들은 반복적으로 샘플링된다. 마이크로제어기(11)는 시변센서출력들의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설정된 기준에 적합한 때, 예를 들면 피크값에 도달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하여 샘플값들 모니터하며, 피크값들을 포함하는 시변센서출력의 값을 EEPROM(12)에 저장된 대응하는 값들과 비교하여 주화의 수용여부를 결정한다.

Description

주화수납기{Coin acceptor}
다른 화폐단위금액들의 주화들간을 구분하는 주화수납기들은 잘 알려져 있으며, 한 예는 영국특허출원공개 제2,169,429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주화수납기는, 코일들이 검사받는 주화의 재료 및 금속 함량을 표시하는 주화매개변수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주화들에 대한 일련의 유도검사들을 수행하는 감지부를, 주화들이 통과하게 하는 주화런다운(rundown)경로를 구비한다. 주화매개변수신호들은 디지털주화매개변수데이터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디지털화되고, 디지털화된 데이터는 마이크로제어기에 의해 저장된 주화데이터와 비교되어 검사된 주화를 수용할 것인 지의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주화가 수용할 만한 것이라면 마이크로제어기는 수용게이트를 동작시켜 그 주화가 수용경로(accept path)로 향하도록 하고, 그렇지 않다면 수용게이트는 동작하지 않고 주화는 거절경로(reject path)로 향하게 된다.
주화감지부는, 주화의 한쪽면에서만 또는 양쪽면 모두에서, 주화감지부를 통과하는 검사받는 주화와 개별적인 유도결합들을 형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른 주파수들로 전류가 통하게 될 것이고 다른 사이즈들로 될 것인 복수개의 다른 코일들을 구비한다. 지금까지 사용된 코일들은, 유도결합이 주화 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주요부분 위에 와전류들(eddy currents)을 생성하는 주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단면적을 가지고 있으며, 그 결과로 감지된 매개변수들은 주화의 복수개의 다른 매개변수들, 예를 들면 주화의 금속함량, 두께 및 표면패턴의 평균화를 야기한다.
상대적으로 큰 감지코일들에 의해 생성되는 평균화효과는 어떤 환경들에서는 결점들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다른 재료들 예를 들면 하나의 금속 또는 금속합금보다 많은 다른 재료들로 된 영역들을 구비하도록 주화들을 주조하자는 대중적인기(popularity)가 증가하고, 어떤 화폐단위금액들의 주화들은 제1합금의 어떤 영역이 제2의 다른 합금의 환형영역에 의해 둘러싸이는 형태로 만들어진다(이하 ″바이멧(bimet)″주화라 함). 다른 영역들은 수납기의 감지코일들에 대해 다른 유도특성들을 나타내나 비교적 큰 면적의 코일들은 두 금속영역들의 영향을 평균화시키고, 그 결과로 어떤 바이멧주화들은 다른 화폐단위금액들의 주화들 및 가짜들, 예를 들면 중앙에 구멍이 있는 와셔(washer)들로부터 만족스럽게 구분될 수 없다.
다른 예는 미국특허번호 제4,995,497호(타무라전기제작회사)에서, 경로를 따라 정렬된 코일들에는 검사받는 주화의 다른 특성들을 검출하도록 전류가 통하게 하는 것으로 기술되어 있다. 두 개의 다른 특성들인 주화의 재료 및 주화두께는 코일들로 유도된 신호들의 값들의 피크들을 검출함으로써 검출되고, 주화직경은 주화경로를 따라 이격된 코일들의 두 출력들에서의 크로스오버(crossover)를 검출함으로써 검출된다. 피크들 및 크로스오버들은 메모리내의 진짜 주화들을 위한 데이터와 비교된다. 직경측정을 위해 필요한 코일들의 정렬된 성질은 주화의 감지를 제한하고 두 가지 금속으로 된 주화들에 대해 곤란한 문제들을 발생시킨다.
PCT국제출원공개번호 WO93/22747(마르스주식회사(Mars Inc))은, 다중금속주화들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주화수납기로서 각각이 주화경로에 본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된 다중금속주화의 직경보다 실질적으로 작은 폭의 두 개의 자기센서들을 사용하는 주화수납기를 개시한다. 이 자기센서들은 전기브릿지회로에 연결되며 센서들의 출력들간의 차이는 다중금속주화들 및 가짜들을 식별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은 주화수납기에 관한 것으로, 다른 화폐단위금액(denomination)들의 주화들을 확인하기 위한 다중주화수납기에 대해 특별하나 유일한 적용이 아닌 주화수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그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는 예를 통하여 설명될 것이며, 첨부된 도면들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수납기의 제1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2는 도 1에 보여진 주화수납기의 전기회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3은 도 1의 라인 A-A'을 따라 취해진 주화수납기의 개략적인 부분단면도,
도 4a는 도 3에 보여진 코일들 중 하나의 확대단면도,
도 4b는 도 4a에 보여진 코일의 앞면을 도시하며,
도 5는 도 1에 보여진 코일들, 코일드라이브 및 인터페이스회로들을 개략도,
도 6은 주화가 센서코일들을 지나가게 이동할 때 주화매개변수신호들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7은 주화가 코일들을 지나갈 때 취해진 주화매개변수신호들의 샘플들의 연속하는 앙상블들에 대해 마이크로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단계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
도 8은 주화매개변수신호 x1(a)에서 피크의 발생을 결정하기 위해 마이크로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루틴을 도시하며,
도 9는 주화매개변수신호들인 x1(a) 및 x2(a)의 값들에서 크로스오버의 발생을 결정하기 위해 마이크로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루틴을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주화수납기의 제2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11은 도 10에 보여진 주화수납기의 전기회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도 12는 도 10에 보여진 코일들과 코일드라이브 및 인터페이스회로의 개략도,
도 13은 주화가 도 10에 보여진 센서코일들을 지나가게 이동할 때 주화매개변수신호들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 지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14는 도 13에 보여진 그래프의 확대부, 그리고
도 15는 주화가 도 10의 감지부를 통해 이동할 때 마이크로제어기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단계들을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록도.
본 발명에 따르면, 주화경로에 횡단하게 배열된 작은 코일들을 사용하며, 이 코일들의 출력들을 모니터링하여, 센서출력들의 적어도 하나의 샘플값들의 특성들로 적어도 하나의 기설정된 기준을 탐색한 다음, 주화의 수용여부(acceptability)를 결정하기 위하여 센서출력들과 대응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주화의 특성들에 관련하여 훨씬 더 많은 정밀한 세부정보(fine detail)들을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 잘 인식될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본 발명은, 주화들을 위한 경로, 이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주화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코일들로서, 센서들은 이것들을 지나가게 이동하는 주화의 표면의 개개의 다른 영역들을 감지하도록 주화경로를 횡단하게 연장하는 배열(array)로 배치되고, 시변(time varying)센서출력들을 각각 다른 영역들의 함수로서 발생하는 복수개의 센서코일들, 센서들을 지나가는 주화의 통과 동안에 생성된 센서출력들의 값들을 반복적으로 샘플링하는 샘플링수단; 및 샘플값들을 연속적으로 모니터하여 센서출력들 중의 적어도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에 일치하는 때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샘플된 센서출력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대응하는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주화의 수용여부를 결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센서코일들의 배열은 주화경로를 횡단하는 하나 이상의 라인들로 정렬된 코일조립체들을 구비할 것이다. 그것들은 주화경로의 대향측들 상에 또는 일 측 상에만 존재할 것이다.
코일조립체들은 바람직하게는 주화를 마주하는 72㎟보다 적은 면적을 갖는다.
센서코일유닛들은 각각이 발진기회로에 결합될 것이고 샘플링수단은 주화가 센서코일유닛을 지나갈 때 발진기회로의 발진특성, 이를테면 주파수 또는 진폭 또는 이것들 둘 다를 샘플링하게 동작될 것이다.
제어수단은 센서출력들 중의 하나가 기설정된 기준에 일치할 때 발생하는 센서출력들의 샘플값들의 앙상블(ensemble)을 선택하고, 선택된 샘플값들을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다르게는, 제어수단은 센서출력들이 개개의 기설정된 기준에 일치할 때를 결정하고 그 때의 값들을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도록 구성될 것이다.
기설정된 기준은 주요 또는 국소화된 최대 또는 최소와 같은 센서출력들의 값의 불연속성(discontinuity)을 주화의 통과 동안에 발생하는 센서출력의 값으로 포함할 것이다. 기설정된 기준은 또한 센서들 중의 하나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샘플값이 센서들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샘플값과 기설정된 값관계를 형성하는 때에 발생할 것이다. 이 값관계는 센서들 중의 하나로부터의 연속하는 샘플들의 값들과 그 센서들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의 대응하는 샘플값들의 크로스오버을 포함하거나, 또는 센서들로부터의 샘플값들의 상대적인 변화율의 함수일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주화식별방법을 구비하며, 이 방법은 시변센서출력들을 각각 다른 영역들의 함수로서 생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주화경로를 횡단하게 연장하는 배열에서 센서코일들을 지나가게 이동하는 주화의 표면의 개개의 다른 영역들을 감지하기 위하여 이격된 복수개의 센서코일들로 경로를 따른 주화의 통과를 감지하는 단계, 센서들을 지나가는 주화의 통과 동안에 센서출력들의 값들을 반복적으로 샘플링하는 단계, 및 샘플출력들을 연속적으로 모니터하여 센서출력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설정된 기준에 일치하는 때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샘플된 센서출력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대응하는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주화의 수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주화수납기의 제1실시예를, 바이멧주화들, 예를 들면 새로운 유러주화세트와 새로운 바이멧 £2.00주화를 포함한 새로운 UK주화를 포함한, 다른 화폐단위금액들의 복수개의 주화들을 확인할 수 있는 다중주화수납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할 것이다.
주화수납기의 물리적인 레이아웃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보여진다. 주화수납기는 검사받는 주화들이 입구(3)로부터 주화감지부(4)를 통해 모서리를 따라 통과한 다음 게이트(5)로 떨어지는 런다운경로(2)를 가지는 본체(1)를 구비한다. 검사는 주화감지부(4)를 통과하는 각 주화에 대해 수행된다. 검사의 결과가 진짜 동전이 존재함을 나타낸다면, 게이트(5)는 주화가 수용경로(6)로 갈 수 있도록 열려지고, 그렇지 않다면 게이트는 닫혀진 상태로 남게되고 주화는 거절경로(7)로 나가게 된다. 주화수납기를 통과하는 주화(8)를 위한 주화경로는 점선(9)으로 개략적으로 보여진다.
주화감지부(4)는 점선으로 보여진 네 개의 주화감지코일유닛들(C1a,b, C2, C3a,b 및 C4)을 구비하며, 이 주화감지코일유닛들은 주화와 유도결합을 생성하도록 전류가 통하게 된다. 또한, 코일유닛(CC)은 게이트(5) 하류의 수용경로(6)에 제공되어, 받아들여질 만한 것으로 결정되었던 주화가 실제로 수용경로(6)로 통과되었는지를 검출하기 위하여 크레디트센서로서 역할을 한다.
코일들에는 도 2에 보여진 코일드라이브 및 인터페이스회로(10)에 의해 다른 주파수들로 전류가 통하게 된다. 와전류들은 검사받는 주화에 코일유닛들에 의해 유도된다. 세 개의 코일들 및 주화간의 다른 유도결합들은 주화를 실질적으로 유일하게 특징짓는다. 코일드라이브 및 인터페이스회로(10)는 주화 및 코일유닛들(C1, C2, C3 및 C4)간의 다른 유도결합들의 함수로서 네 개의 대응하는 주화매개변수데이터신호들(x1, x2, x3, x4)을 생성한다. 대응하는 신호(xC)는 코일유닛(CC)을 위해 생성된다.
주화신빙성(authenticity)을 결정하기 위하여, 검사받는 주화에 의해 생성되는 네 개의 매개변수신호들(x1, x2, x3및 x4)은 EEPROM(12) 형태의 메모리에 결합된 마이크로제어기(11)에 공급된다. 마이크로제어기(11)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방식으로 검사받는 주화로부터 이끌어낸 주화매개변수신호들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EEPROM(12)에 유지된 대응하는 저장된 값들과 비교한다. 저장된 값들은 상위값한계 및 하위값한계를 갖는 윈도우에 의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처리된 데이터가 특정한 화폐단위금액의 진짜 주화에 관련된 대응하는 윈도우들 내에 있다면, 그 주화는 받아들여질 수 있는 것으로 표시되고, 그렇지 않다면 거절될 것이다. 받아들여질 만 하다면, 신호는 라인(13)을 통해 게이트드라이버(14)에 제공되며, 이 게이트드라이버는 주화가 수용경로(6)로 가는 것을 허락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1에 보여진 게이트(5)를 작동시킨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게이트(5)는 열려지지 않고 주화는 거절경로(7)로 가게된다.
마이크로제어기(11)는, 주화수납기가 특정한 통화세트(currency set)중의 하나보다 많은 주화들을 수용 또는 거절할 수 있도록, 처리된 데이터를 다른 화폐단위금액들의 주화들에 적합한 복수개의 다른 세트들의 동작윈도우데이터와 비교한다. 주화가 받아들여진다면, 수용경로(6)를 따른 주화의 통과는 후수용(post acceptance)크레디트센서 코일유닛(CC)에 의해 검출되고, 코일드라이브 및 인터페이스회로(10)는 대응하는 데이터(XC)를 마이크로제어기(11)에 넘겨주고, 마이크로제어기는 수용된 주화에 속한 화폐금액(monetary credit)량을 표시하는 출력을 라인(15)으로 제공한다.
센서코일들의 구성을 지금부터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화수납기는 기존의 방식으로 수납기본체(1) 상의 샤프트에 힌지결합된 주화출입구(coin door, 16)를 갖는다. 주화런다운경로(2)는, 도 3에 보다 상세히 보여진 것처럼, 주화출입구(16)의 내벽(18) 및 수납기본체(1)의 벽(19) 사이에 제공된다. 런다운경로(2)는 주화출입구(16) 상에 경사진 립(lip, 20)을 포함하고, 주화는 이 경사진 립의 낮은 쪽으로 모서리를 따라 흘러 떨어져 센서코일유닛들(C1, C2, C3 및 C4)을 지나간다. 주화(8)는 도 3의 런다운경로(2)의 립(20) 상에 보여진다. 주화는 실제로는 벽들(18, 19)중의 하나에 기댈 것임에도 불구하고 도식적으로는 똑바로 선 상태로 보여진다. 이 기술에서 알려진 것처럼, 주화출입구(16)는 도 1 및 3에 보여진 닫혀진 위치로 스프링으로 치우쳐져 있으나 끼인(jammed) 주화를 방출하여 그것이 거절경로(7)로 떨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주화가 끼인 경우에는 본체(1)로부터 바깥쪽으로 힌지식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주화수납기의 개선된 작동특성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 1에 보인 주화(8)는 바이멧주화로서 도시되며 이 예에서는 새로운 £2.00주화를 포함한다. 이 주화는 제1중심백동코어영역(21)과, 이 영역을 둘러싸며 여기서는 76%의 Cu, 4%의 Ni 및 20%의 Zn을 포함하는, 청동으로 언급된 합금으로 된 제2원형영역 또는 링(22)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분명히 나타낸 것처럼 바이멧주화들의 검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3을 참조하면, 코일유닛(C1a,b)은 수납기본체(1)의 벽(19)의 안쪽 및 주화출입구(16)의 벽(18)에 설치된 한 쌍의 코일조립체들(C1a, C1b)을 포함한다. 코일조립체들(C1a, C1b)은 검사받는 바이멧주화(8)의 청동링(22)과 선택적으로 유도결합을 형성하도록, 즉 주화의 중심백동코어영역(21)과 현저한 유도결합을 갖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4에 보다 상세히 보인 것처럼, 코일조립체들(C1a, C1b)의 각각은 플라스틱재료의 대체로 실린더형인 보빈(23)을 포함하고, 보빈상에는 코일권선(24)이 형성된다. 보빈(23)은 소결된 페라이트재료로 만들어진 이른바 반포트(half pot)코어(25)에 압입끼워맞춤(push fit)된다. 반포트코어(25)는 사용된 페라이트재료의 량을 줄이기 위해 관통홀을 지니도록 형성된 중심에 위치한 실린더형 요크(26), 및 둘레에 위치하며 동심원형태인 실린더형 지지플랜지(27)를 구비한다.
보빈의 사용에 대한 다른 대안으로서, 코일권선(24)은 미도시된 보빈 둘레에 감겨지고 이 권선은 그것의 절연제를 녹이도록 가열되어, 냉각되는 동안에 자가지지코일이 형성되고 그런 다음에 미도시된 보빈으로부터 제거되고 반포트코어(25)에 압입끼워맞춤된다.
반포트코어(25)의 지지플랜지(27)는 벽의 대응하는 요부에 압입끼워맞춤되고, 따라서 코일조립체(C1a)의 지지플랜지(27)는 벽(19)의 실린더형 요부(28)에 압입끼워맞춤되고 코일조립체(C1b)의 지지플랜지(27)는 벽(18)의 대응하는 요부(29)에 압입끼워맞춤된다. 이 예에서, 코일권선(24)의 외경(d1)은 7.3㎜이다. 코일(24)의 내경(d2)은 그것의 보빈(23)과 함께 2.78㎜이고, 요크(26)를 관통하는 홀의 직경은 2㎜이다. 이 예에서의 코일조립체들(C1a,b)의 면들(30)은 6.24㎜만큼 이격된다. 코일들(24)은 2.78㎜의 축방향 길이를 갖는다. 반포트코어들(25)의 외경(d3)은 9㎜이고 따라서 각 코일유닛, 즉 그 끝이 검사받는 주화에 마주하는 각 코일유닛의 끝면(30)의 면적(A)은 63.62㎟이다. 코일조립체들(C1a,b)의 코일권선(24)은 전기적으로 직렬로 연결된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코일조립체들(C1a,b)은 검사받는 주화(8)의 반대쪽들에서 공통축상에 배치된 코일들(24)을 지니게 배치된다.
솔레노이드코일 설계의 기술에서 잘 알려진 것처럼, 일반적으로 실린더형인 코일의 자기장은 코일축을 따라 집중되고, 따라서, 코일조립체들(C1a,b)의 각각의 경우, 자기장은 주로 반포트코어(25)의 페라이트요크(26)에 집중되고, 코일 둘레의 자속(flux)은, 이 자속이 요크(26)에 등을 맞대는 주변 재료를 통과하는 면(30)의 영역을 제외하면, 주변의 페라이트플랜지(27)에 의해 코일 주위의 루프로 주로 통하게 된다. 따라서, 주화들의 통과에 대한 코일조립체들(C1a,b)의 민감도는 주로 요크들(26) 사이를 지나가는 주화 영역으로 제한된다. 코일조립체들(C1a,b)은 주화런다운경로(2)에 가까이 인접하게 위치되고, 코일들은 주화 및 코일들간의 유도결합이 제1안쪽영역(21)과 현저한 결합을 발생하지 않으며 주화(8)의 제2바깥쪽영역(22)으로만 실질적으로 제한되도록 하는 치수(d3)를 갖는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반포트코어들(25)은 요크들(26)이 주화(8)의 바깥쪽링(22)과 정렬되는 구성으로 되도록 하기 위하여 주화런다운경로(20) 아래에서 연장된다.
지금 코일유닛들(C2, C3 및 C4)을 고려하면, 이것들은 도 4에 보여진 코일조립체(C1a)와 동일한 코일조립체들로 만들어진다. 코일유닛들(C1~C4)은 도 1에 보인 것 같은 라인(31)을 따라 주화의 경로(2)를 횡단하게 연장되는 배열로 설치된다. 이 예에서, 라인(31)은 경로(2)에 직교하게 연장되고, 주화경로를 횡단하는 다른 구성들이 사용될 수 있고 더 일반적이기는 하지만 코일유닛들을 한 라인에 배치되게 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여, 코일(C1a,b)과 같이 주화를 마주하는 코일조립체의 면적(A)을, 주화영역들이 감지하려는 개개의 유도특성들을 지니는 것을 허용하는 72㎟보다 작게 만듦으로써 개선된 식별을 달성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바로 그 또는 각각의 코일(C)은 원형일 필요는 없다. 사실,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감겨진 코일들로부터 이점들이 얻어질 수 있다. 센서들의 횡단배열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세 개의 코일유닛들을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코일유닛(C2)은 주화가 주화감지부(4)를 통과할 때 주화의 현(chord)을 교차하도록 코일조립체(C1a,b) 위쪽에 설치된다. 주화가 코일유닛(C2)을 굴러지나갈 때 유도결합이 먼저 주화의 바깥쪽링(22)으로 형성되며, 그런 다음 안쪽영역(21)으로 형성되고, 그런 이후에 다시 바깥쪽링(22)으로 형성되어질 것이라는 사실은 이해되어질 것이다. 코일유닛(C2)은 단일의 코일조립체를 포함하고 따라서 코일유닛(C2)은 주화의 특성들을 오직 한 쪽으로부터만 검출한다.
코일유닛(C3a,b)은 코일조립체들(C1a,b)과 비슷한 방식으로 주화경로의 반대쪽들에 설치된 한 쌍의 코일조립체들(C3a, C3b)을 포함한다. 코일유닛(C3a,b)은 코일유닛(C2)의 위쪽에 설치되고 따라서 그것의 다른 현모양의 위치에서 주화에 민감하게 된다.
코일유닛(C4)은 코일유닛(C3a,b) 위쪽 위치에 설치되는, 도 4에 보인 것 같은 코일조립채들 중의 단일한 하나를 포함한다.
따라서 코일유닛들(C1-C4)로부터의 출력들이 주화의 직경, 재료특성, 두께, 바이멧주화인지의 여부 및 복수개의 다른 인자들을 포함한 주화의 특성들에 의존할 것이고, 코일유닛들은 코일들을 지나가는 검사받는 주화의 개개의 개별 영역들의 특성들에 응답할 것임이 잘 이해될 것이다.
도 5는 코일유닛들이 도 1에 보여진 코일드라이브 및 인터페이스회로(10)에 어떻게 연결되는 지를 도시한다. 코일유닛(C1)을 살펴보면, 코일조립체들(C1a, C1b)은 커패시터(C)와 함께 반전증폭기(A1)의 피드백루프에 직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이 회로는 발진기로서 동작하고, 그 출력은 코일조립체(C1a, C1b)에 의해 표현되는 인덕턴스에 의존하는 진폭 및 주파수를 갖는다. 주화가 코일조립체들(C1a, C1b) 사이를 지나가면, 유도결합이 주화 및 코일조립체들 사이에서 발생하고, 그 결과 증폭기의 피드백경로의 인덕턴스는 변화하여, 일시적으로 발진기의 진폭 및 주파수 둘 다를 변화시킨다.
그 진폭은 코일유닛(C1)을 위한 포락선검출기(E1)에 의해 검출되고, 그 포락선의 진폭은, 주화가 코일유닛(C1)을 지나갈 때 일련의 연속하는 디지털샘플값들 x1(a)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D1)에 의하여 코일조립체들(C1a, C1b) 사이를 지나갈 때 연속적으로 샘플링된다.
코일유닛(C2)은 반전증폭기(A2)의 피드백루프에 연결되고 대응하는 디지털주화매개변수신호 x2(a)는 포락선검출기(E2) 및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D2)에 의하여 발생된다.
게다가, 발진기(A2)의 주파수편이는 주화가 코일유닛(C2)을 지나갈 때 검출된다. 주파수검출기(F)는 발진기(A2)의 그 순간적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그 출력은, 주화매개변수출력신호 x2(f)를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D2')에 의해 연속적으로 샘플링되고 디지털화된다.
코일유닛(C3a,b)은 반전증폭기(A3)의 피드백루프에 연결되고, 코일조립체들 (C3a, C3b)은 직렬로 연결된다. 포락선검출기(E3) 및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D3)는 출력디지털매개변수신호를 생성하고 이 신호는 주화가 코일조립체들(C3a, C3b) 사이를 지나갈 때 생성된 진폭편이의 일련의 디지털샘플들을 포함한다.
코일유닛(C4)은 증폭기(A4)의 피드백루프에 연결되고 포락선검출기(E4)는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D4)와 함께 진폭편차신호 x4(a)를 생성한다.
실례를 목적으로 개개의 A/D변환기들(D1-D4)이 보여지나, 발진기회로들의 출력들은 회로의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단일한 A/D변환기로 다중화될 수 있음이 잘 인식될 것이다.
도 6은 주화가 주화감지부(4)를 통과할 때 주화매개변수신호들(x)이 시간과 함께 변화함을 도시한다. 도 6에 보여진 개개의 곡선들의 모양이 검사받는 주화의 특성들에 의존하고 이 곡선들은 주화의 화폐단위금액을 위한 개개의 ″기호(signatures)″를 나타낸다. 감지코일들(C1-C4)을 지나친 주화의 통과는 진폭의 일반적인 감소를 야기하나, A/D변환기들(D1-D4)은 도 6에 보인 그래프들을 생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신호반전을 만들어낸다.
도 5에 보여진 아날로그-디지털변환기들(D1-D4)은 샘플값들의 앙상블(At)을 시간(Dt)만큼 이격된 연속하는 샘플주기들로 생성되어지는 연속하는 앙상블들로 생성한다. 따라서, 앙상블(At)은 시간 t에 다음의 수학식과 같이 취해진다
도 6이 시간 t에 동시에 일어나는 개개의 앙상블값들을 도시하지만, 실제로는, 앙상블을 만드는 개개의 샘플값들(x)은 유한한 기간 하에서 취해질 것이고, 이는 Dt보다는 현저히 짧다.
도 2에 보인 것처럼, 마이크로제어기(11)는 연속하는 앙상블들(At)을 만드는 주화매개변수신호들(x)의 연속하는 값들을 수신한다. 도 7에 보인 것처럼, 마이크로제어기(11)는 연속하는 앙상블들(Ak Ak+n)을 연속하는 앙상블값들(32)의 연속적인 스택(running stack)으로 모은다.
스택에서의 결과적인 앙상블데이터는, 주화매개변수신호들(x)의 적어도 하나의 값이 샘플값들에서의 피크값의 발생과 같은 기설정된 기준에 적합할 때 또는 센서들 중의 하나로부터의 샘플값이 이 센서들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의 대응하는 샘플값들과 기설정된 값관계를 형성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하여 단계 S1에서 처리된다. 이 값관계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처럼, 그래프들에서의 크로스오버, 또는 문턱에 도달 또는 문턱을 넘음에 의해 구성되어질 것이다. 기설정된 기준을 구비한 데이터의 앙상블(A)은 단계 S2에서 저장된다.
단계 S3에서, 개개의 주화매개변수데이터값들(x1(a), x2(a), x2(f), x3(a) 및 x4(a))은 EEPROM(도 1의 12)에 유지된 대응하는 저장된 값들과 비교된다. 저장된 값들은 각각이 상한 및 하한을 지닌 윈도우들(W = w1a, w2a, w2f, w3a, w4a)에 의하여 유지되어, 주화에서 주화로의 미소한 변화들을 수용하게 된다. 사실, 일련의 다른 세트들의 주화윈도우들(W)이 다른 주화화폐단위금액들에 대응하게 EEPROM(12)에 저장되고, 단계 S2의 결과들은 주화가 수용가능한 화폐단위금액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단계 S3에서 저장된 세트들의 모두와 비교된다.
주화가 수용가능한 것으로 결정된다면, 단계 S4에서 도 2에 보여진 출력들(13, 15)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주화의 화폐단위금액 및 그 수용여부를 표시하는 출력, 또는 주화가 거절되어야 함을 표시하는 출력이 생성된다.
주화매개변수신호 x1(a)에서의 피크가 단계 S1 동안에 검출되어질 수 있는 방식은 도 8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 처리는 단계 S1.10에서 시작한다. 단계 S1.11에서, 매개변수(p)는 영으로 설정된다. 단계 S1.12에서, 연속하는 주화매개변수샘플들 x1(a)은 k = p-1, p 및 p+1를 위해 3개의 연속하는 데이터앙승블들(Ak)로부터 선택된다.
단계 S1.13에서, x1(a)의 3개의 연속하는 값들은 서로 비교된다. 중간값이 앞선(preceding)값 및 뒤에(exceeding)값보다 더 크다면, 이는 피크가 발생했음을 표시한다. 따라서, 부등식 형태의 다음 수학식이 점검된다.
이 검사가 맞다면, x1(a)p의 특정 값은 피크값을 표시한다. 검사부등식인 수학식 2가 맞지 않다면, 매개변수(p)는 단계 S1.14에서 증가되고 처리는 x1(a)에서의 피크를 찾는 시도에서 데이터앙상블들 중의 연속하는 것들을 통해 소사(sweep)하도록 반복된다.
피크가 발견되는 경우, 전체 데이터앙상블(Ak)은, k = p의 특정한 값을 위해, 스택으로부터 가져와진다. 이는 x1(a)에서 발생하는 주화매개변수신호들의 데이터앙상블이다.
단계 S2.10에서, 패치된 데이터앙상블은 일시적으로 저장되고, 단계 S3.10에서 저장된 데이터앙상블들로부터의 개개의 주화매개변수신호들, 즉 x1(a), x2(a), x2(f), x3(a) 및 x4(a)는 EEPROM(12)에 저장된 대응하는 윈도우들과 개별적으로 비교되어 주화가 주화수납기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특정한 화폐단위금액인지가 결정된다. 이전에 설명된 것처럼, 이 처리는 관련된 저장된 윈도우들을 EEPROM에 갖는 복수개의 다른 주화화폐단위금액들에 대해 반복된다.
도 9는 크로스오버가 도 6에 보여진 x1(a) 및 x2(a)의 그래프들에서 발생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한 루틴을 도시한다. 크로스오버가 발생하는 경우, 크로스오버의 발생에 관련된 데이터앙상블은 EEPROM(12)에 저장된 윈도우데이터와 비교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단계 S1.20에서 루틴은 시작되고, 매개변수(p)는 단계 S1.21에서 영으로 설정된다. 그 후 x1(a) 및 x2(a)의 값들은, 매개변수(p)에 의해 선택된 앙상블들, 즉 k = p 및 p+1을 위한 2개의 연속하는 데이터앙상블들(Ak)을 위해 스택(31)으로부터 가져와진다.
그 후, 단계 S1.23에서, 가져와진 데이터값들은 크로스오버가 가져와진 데이터에 대해 발생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음의 부등식 형태의 수학식에 따라 비교된다.
이러한 검사들이 도 6에 보여진 x1(a) 및 x2(a)를 위한 그래프들이 서로 크로스오버하는 지를 결정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크로스오버가 발견되지 않는 경우에는, 매개변수(p)는 단계 S1.24에서 증가되고 처리는 도 7에 보여진 데이터앙상블들(Ak)의 스택(31)에서의 다음의 연속하는 값들의 세트에 대해 반복된다.
그러나, 크로스오버가 검출된다면, 크로스오버가 일어나는 k=p의 특정한 값을 지닌 앙상블(Ak)은 스택(31)으로부터 가져와지고 단계 S2.20에서 저장된다.
그 후, 단계 S3.20에서, 단계 S2.20에서 저장된 개개의 값들은, 주화신빙성 및 화폐단위금액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전에 설명된 것처럼, EEPROM(12)에 유지된 대응하는 윈도우들과 비교된다.
발명의 설명된 예는 주화의 특성들에 관해 훨씬 더 많은 정밀한 세부정보가 코일유닛들(C1-C4)의 횡단 배열을 사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주화에 비해 작은 사이즈의 코일조립체들은 주화의 개개의 현 형태의 영역들의 특성들이 도 6에서 개개의 그래프들에 의해 보여진 것처럼 개별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6의 그래프들은 바이멧주화로부터 이끌어낸 출력들을 보여준다. 지금까지는, 주화의 표면영역의 적어도 주요부분 위에서 평균화된 결과를 생성하는 더 큰 직경의 센서코일들이 사용되었던 경우, 바이멧주화와 중심홀을 지닌 대응하는 와셔를 구분하는 것이 어려웠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주화수납기의 설명된 실시예는, 그러한 바이멧주화 및 대응하는 와셔를 쉽사리 구분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x2(a)의 경우 출력은 특정한 화폐단위금액이 진짜 바이멧주화에 응답하여 대체로 돔(dome)모양으로 된 형상을 채용한다. 그러나, 중심홀을 지닌 부정한 와셔가 주화수납기를 통해 지나간다면, 중심에 ″움푹한 곳(dip)″을 지닌 자취(trace, 33)가 생성된다. 주화의 전체 표면의 효과를 평균화했던 종래기술의 주화수납기로는, 평균화효과에 기인하여, 진짜 주화 및 와셔간을 구분하는 것이 어려웠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앙상블(Ax)을 결정하도록 피크진폭 x1(a)이 결정된다면, 앙상블(Ax)에서의 매개변수 x2(a)의 대응하는 값은 진짜 바이멧주화 및 중심홀을 지닌 대응하는 와셔에 대해 실질적으로 다른 값들 즉, 값들(34 및 35)을 각각 채용한다. 따라서, 진짜 바이멧을 위해 EEPROM(12)에 저장된 윈도우데이터는 부정한 와셔를 위해 생성된 데이터와 실질적으로 달라서, 그러한 가짜들을 쉽사리 검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앙상블(Ax)을 선택함으로써, 훨씬 더 많은 정밀한 세부정보가 지금까지보다는 더 잘 분석될 수 있다.
데이터에서의 다른 기준들이 특정한 주화화폐단위금액을 유일하게 특징짓는 앙상블들을 찾기 위한 초기검사로 결정될 수 있다. 어떤 주화들의 경우, 앙상블(Ax)을 선택하는데 사용된 기준은 주화매개변수신호들(x) 중의 하나가 EEPROM(12)에 저장된 기설정된 문턱값과 일치하거나 그것을 넘는 경우일 것이다.
일부 화폐단위금액들의 경우, 도 6에 보여진 출력들에서 어떤 그래프들간의 크로스오버는 적절한 기준이다. 다른 주화화폐단위금액들의 경우, 사용되어질 도 6의 그래프들의 국소최소들이 존재할 것이다. 어떤 바이멧주화들은 그래프들 중의 하나에서의 골(trough)을 생성하고, 이것은 기준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6의 그래프들 상의 점들간의 더 복잡한 관계가 사용될 것이고 곡선들의 상대적인 모양들이 고려될 것이다. 예를 들면, 2개의 주화매개변수신호들(x)의 값들은 맨 처음 시간에 생성되는 앙상블(A1)로부터 취해질 것이며, 그런 다음 다시 더 뒤의 시간에 생성되는 앙상블(A2)로부터 취해질 것이고, 그 값들은 그래프들의 각각의 기울기 표시를 얻도록 처리되어질 것이다. 기울기들이 기설정된 관계를 채용하는 경우, 대응하는 데이터앙상블(A)이 선택되고 EEPROM(12)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된다.
제2실시예
지금, 발명의 제2실시예가 도 10 내지 15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유사하고 대응하는 부분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로 표시된다. 제2실시예는 코일유닛들이 감지부(4)에 위치하는 방식에서 그리고 주화데이터가 처리되는 방식에서 달라진다.
도 10을 참조하면, 5개의 이전에 설명된 코일유닛들(C1-C5)은 주화경로(9)를 횡단하는 배열로 배치된다. 도 1에 보여진 것처럼 직선라인(31)에 배치되는 대신에, 코일유닛들은 엇갈리는 배열로 배치되어, 코일유닛들의 축들은 주화가 주화런다운경로를 따라 이 축들을 통과할 때 주화의 주요 표면들에 대체로 직교하게 배치된다. 이전에 설명된 것처럼, 코일유닛들 및 주화 사이의 상호작용은 각각의 코일유닛의 코어 영역에서 주로 발생하고, 도 10에 보여진 엇갈린 코일배치는 주화(8)가 경로(9)를 따라 지나갈 때 부가적인 코일유닛(C5)이 주화(8)의 원주 내에 들어있게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구성의 코일유닛들은 15-33㎜의 직경범위로 주화들을 감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0의 배치는 주화표면의 부가적인 영역이 제5코일유닛에 의해 분석될 수 있게 한다. 마이크로제어기(11)에 대한 코일유닛들의 연결은 도 11에 개략적으로 보여지고, 코일유닛(C5)을 위한 부가회로들이 주화매개변수신호 x5(a)을 생성한다는 단서 하에서, 대체로 도 1 및 5를 참조하여 이전에 설명된 배치에 상응한다.
이 예에서, 코일유닛들(C1-C5)의 각각은, 도 1에 보여진 코일조립체들 (C1a,b)과 동일한 방식으로, 주화경로의 반대쪽들인, 수납기(validator)의 주화출입구(16) 및 벽(19)에 설치된 한 쌍의 코일조립체들을 구비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주화유닛들(C1-C5)은 후수용코일유닛(CC)과 함께 코일드라이브 및 인터페이스회로(10)를 통해 마이크로제어기(11)에 연결된다. 이 회로의 동작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다, 임의접근메모리(RAM, 31)는 마이크로제어기(11)에 연결되는 것으로 보여졌다.
코일유닛들(C1-C5)의 연결은 도 12에 더 상세히 보여진다. 각 코일유닛의 코일조립체들은 직렬로 연결된다. 코일유닛(C2)의 코일조립체들은 코일조립체들의 극성들이 서로 반발하도록 반위상(anti-phase)으로 연결된다. 다른 코일유닛들은 코일극성들이 끌어당기도록 동위상(in phase)으로 연결된 그것들의 코일조립체들을 갖는다. 각각의 코일쌍은 도 5에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된 방식으로 발진기회로에 연결된다. 각 발진기회로의 자연적인 공명주파수는 크로스토크를 감소하기 위하여 다르게 된다. 이 주파수들은 다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60과 100 KHz 사이이고, 검사받는 주화들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할 만큼 높다. 각각의 코일유닛마다 개개의 A/D변환기들을 사용하는 대신에, 다중화기(32)가 제공되고, 이 다중화기는 코일유닛들의 출력들을 연속적으로 스캔하고 그것들을 공통의 포락선검출기(E1) 및 A/D변환기(D1)에 공급하고, 그래서 샘플들인 x1(a), x2(a), x3(a), x4(a) 및 x5(a)는 출력라인(33)에 순차적으로 생성된다.
또, 코일유닛들(C2)의 출력들에서의 주파수변화들을 검출하는 주파수검출기 (F)가 제공된다. 주파수검출기(F)의 출력은 주화신호 x2(f)의 연속하는 샘플들을 제공하기 위하여 A/D변환기(D2')에 공급된다. 또한 다중화기(22)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도 12에 보여지진 않았지만, 후수용센서(CC)를 위한 샘플들을 공급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13은 도 10의 주화감지부(4)를 통한 주화의 통과 동안에 여러 코일유닛들(C1-C5)로부터의 출력들을 도시한다.
도 14는 주화감지부를 통한 주화의 통과 동안에 취해진 샘플들의 3개의 연속하는 그룹들의 확대도이다. 도 12에 보여진 다중화기(32)는 코일유닛들(C1-C5)의 출력들 중의 연속하는 것들 간을 움직여서(stroke), 도 11에 보인 마이크로제어기(11)에 공급되는 샘플들인 x1(a)-x5(a)의 연속하는 그룹들을 생성시킨다. 또, 도 12의 주파수검출기(F)에 의해 검출된 주파수변조는 대응하는 샘플값들인 x2(f)를 발생시킨다.
마이크로제어기(11)는 도 15에 보여진 것처럼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주화데이터샘플들의 연속하는 그룹들은 단계 S5에서 마이크로제어기(11)에 공급되고, 마이크로제어기에서 센서출력들에서의 복수개의 다른 기준들이 검출된다. 이 예에서, 12개의 다른 기준들은 다음의 표 1과 같이 모니터된다.
기준 세부정보들
1 주화가 통과할 때 x1(a)에서 최대증가
2 주화가 통과할 때 x2(a)에서 최대증가
3 주화가 통과할 때 x3(a)에서 최대증가
4 주화가 통과할 때 x4(a)에서 최대증가
5 주화가 통과할 때 x5(a)에서 최대증가
6 주화가 통과할 때 주파수 x2(f)에서 최대증가
7 주화가 통과할 때 주파수 x2(f)에서 최대감소
8 주화가 통과할 때 진폭 x2(a)의 2개의 국소최대들간의 진폭에서 최대감소
9 주화가 통과할 때 진폭 x3(a)의 2개의 국소최대들간의 진폭에서 최대감소
10 x1(a)의 진폭이 그것의 정상적인 주화없을 때의 진폭으로부터 프리셋오프셋에 이를 때 진폭 x5(a)의 값
11 x2(a)의 진폭이 그것의 정상적인 주화없을 때의 진폭으로부터 프리셋오프셋에 이를 때 진폭 x4(a)의 값
12 위에 열거된 기준들인 1 내지 7의 결과들중의 하나 이상으로부터 이끌어낸 값. 유도법은 검출하려는 특정한 응용 또는 통화에 의존하여 미리선택될 것임
여기서 사용된 것처럼, ″증가″ 및 ″감소″는 도 13에 보여진 반전된 그래프들에 관련한다. 기준들 1-6의 경우, x(a)에서의 최대증가는 주화가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값에 관련되어 있다.
다시 도 15를 참조하면, 이러한 12개의 기준들은 단계 S6에서 검출된다. 주화가 주화감지부를 통해 지나갈 때 단계 S5에서 생성된 주화데이터샘플들의 연속하는 그룹들이 마이크로제어기(11)에 공급될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위에서 열거된 기준들에 따른 개개의 최대들 및 최소들은, 검출될 것이고 도 11에 보여진 마이크로제어기(11)에 연결된 램(RAM, 31)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것이다. 이러한 일시적인 저장은 도 15의 단계 S7에서 보여진다. 주화가 지나가면, 개개의 최대들 및 최소들은 연속하는 국소 최대들 및 최소들이 검출될 때 갱신될 것이다. 이런 일이 일어나면, 이전에 저장된 값들은 새로이 생성된 값들과 비교되고 그것들 중의 적절한 하나는 최대여야 하는 지 최소여야 하는지에 의존하여 저장된다. 주화가 지나간 경우, 12개 기준들의 결과적으로 저장된 값들은, 제1실시예를 위해 단계 S3에 관련하여 이전에 설명한 방식으로, 도 11에 보여진 EEPROM(12)에 유지된 윈도우데이터와 비교된다. 따라서 EEPROM에 저장된 윈도우데이터는 다른 화폐단위금액들의 진짜 주화들을 위한 12개 기준들의 값들에 대응하나, 이것들에 의지하여, 검사받는 주화로부터의 기준데이터는 신빙성을 위해 점검될 수 있다. 그 후 주화는, 이전에 설명한 방식으로, 단계 S9에서 비교의 결과에 따라 수용되거나 거절된다.
이 알고리즘의 특징이 도 12의 다양한 그래프들에서의 국소 피크들 및 골들이 위치되어진 다음 더 큰 피크 또는 골이 검사처리 동안에 뒤이어 발생한다면 거절된다는 점에 있다는 것이 인식되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알고리즘으로 추구한 특정한 기준들에 한정되지 않음이 잘 이해될 것이다. 그 대신에 다른 기준들 이를테면 이전에 설명된 것과 같은 크로스오버들, 기울기들 등이 검출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것처럼, 용어 ″주화(coin)″는 토큰들 및 다른 주화에 유사한 가치의 아이템들을 포함한다.

Claims (19)

  1. 주화들을 위한 경로;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코일들로서, 상기 센서코일들은 주화가 상기 센서코일들을 지나가게 이동할 때의 주화 표면의 개개의 다른 영역들을 감지하도록 주화 경로를 횡단하게 연장되는 배열로 배치되고, 다른 영역들의 함수로서 시변센서출력들을 각각 생성하는 복수개의 센서코일들;
    센서들을 지나가는 주화의 통과 동안에 생성된 센서출력들의 개개의 값들을 반복적으로 샘플링하여 대응하는 샘플값들을 생성하는 샘플링수단; 및
    샘플값들을 모니터하며 센서출력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설정된 기준에 일치하는 때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샘플된 센서출력들로부터의 데이터와 대응하는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주화의 수용여부를 결정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주화수납기.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코일들은 주화의 개개의 영역들과 선택적으로 유도결합을 형성하는 구조로 된 센서코일유닛들의 배열을 구비한 주화수납기.
  3. 제2항에 있어서, 센서코일유닛들의 배열은 주화 경로를 횡단하게 연장된 라인에 배치된 코일조립체들을 구비한 주화수납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코일유닛들은 주화 경로의 마주하는 쪽들에 코일조립체들을 구비한 주화수납기.
  5. 제2항, 제3항 및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센서코일유닛들은 주화 경로의 한 쪽에만 코일조립체들을 구비한 주화수납기.
  6.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코일유닛들은 주화를 마주하는 72㎟보다 적은 영역을 가진 코일조립체들을 구비한 주화수납기.
  7. 제2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코일유닛들은 주화 경로를 마주하는 자기투과성 코어 둘레에 구성된 코일들을 구비한 주화수납기.
  8. 제2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센서코일유닛들은 각각이 발진기회로에 결합되고 샘플링수단은 주화가 센서코일유닛을 지나갈 때 발진기회로의 발진특성의 매개변수를 샘플링하게 동작하는 주화수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특성은 주파수 또는 진폭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주화수납기.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센서출력들 중의 하나가 상기 기설정된 기준과 일치할 때 발생하는 센서출력들의 샘플값들의 앙상블을 선택하고 선택된 샘플값을 상기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주화수납기.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센서출력들이 개별적으로 개개의 기설정된 기준과 일치할 때를 결정하고 그 값을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도록 구성된 주화수납기.
  12. 제1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기준은 센서출력의 값에서의 불연속성을 포함하는 주화수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불연속성은 주화의 통과 동안에 발생하는 센서출력의 값에서의 주요 또는 국소 최대 또는 최소를 포함하는 주화수납기.
  14. 제1항 내지 제1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기준은 센서들 중의 하나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샘플값과 기설정된 값관계를 형성하는 이 센서들 중의 다른 하나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샘플값이 발생함을 포함하는 주화수납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값관계는 센서들 중의 하나로부터의 연속하는 샘플들의 값들과 센서들중의 다른 하나로부터의 대응하는 샘플값들과의 크로스오버를 포함하거나, 또는 센서들로부터의 샘플값들의 상대적인 변화비율의 함수인 주화수납기.
  16. 제14항에 있어서, 값관계는 센서들로부터의 샘플값들의 상대적인 변화비율의 기설정된 함수를 포함하는 주화수납기.
  17. 다른 영역들의 함수로서 시변센서출력들을 각각 생성하도록 하기 위하여, 주화 경로를 횡단하게 연장되는 배열에서, 주화가 지나가게 이동할 때 주화의 표면의 개개의 다른 영역들을 감지하도록 이격된 복수개의 센서코일들로, 경로를 따른 주화의 통과를 감지하는 단계;
    센서들을 지나가는 주화의 통과 동안에 센서출력들의 값들을 반복적으로 샘플링하는 단계; 및
    샘플값들을 연속적으로 모니터하여 센서출력들의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설정된 기준과 일치하는 때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샘플된 센서출력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대응하는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주화의 수용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화식별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주화가 센서코일들을 지나가는 동안 센서출력들 중의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설정된 기준과 일치하는 때를 결정하기 위해 계속 탐색하는 단계; 및
    기설정된 기준이 한 번 보다 많이는 맞지 않는다면 기준에 가장 잘 맞는 샘플값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화식별방법.
  19. 주화들을 위한 경로;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주화를 감지하는 복수개의 센서코일들로서, 상기 센서코일들은 이것들을 통과하는 주화 표면의 개개의 다른 영역들을 감지하도록 주화 경로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배열로 배치되고, 다른 영역들의 함수로서 시변센서출력들을 각각 생성하는 복수개의 센서코일들;
    센서들을 지나가는 주화의 통과 동안에 생성된 센서출력들의 개개의 값들을 반복적으로 샘플링하여 대응하는 샘플값들을 생성하는 샘플링회로; 및
    샘플값들을 모니터하며 센서출력들의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설정된 기준과 일치하는 때를 결정하고, 이에 응답하여 샘플링된 센서출력들로부터의 데이터를 대응하는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주화의 수용여부를 결정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는 주화수납기.
KR1020007004697A 1997-11-03 1998-10-30 주화수납기 KR20010031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723223.5A GB9723223D0 (en) 1997-11-03 1997-11-03 Coin validator
GB9723223.5 1997-11-03
GBGB9804982.8A GB9804982D0 (en) 1998-03-09 1998-03-09 Coin acceptor
GB9804982.8 1998-03-09
PCT/GB1998/003242 WO1999023616A1 (en) 1997-11-03 1998-10-30 Coin accep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1644A true KR20010031644A (ko) 2001-04-16

Family

ID=26312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4697A KR20010031644A (ko) 1997-11-03 1998-10-30 주화수납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029309B1 (ko)
JP (1) JP2001522110A (ko)
KR (1) KR20010031644A (ko)
CN (1) CN1278352A (ko)
AU (1) AU744618B2 (ko)
CA (1) CA2306749A1 (ko)
DE (1) DE69828437T2 (ko)
ES (1) ES2230720T3 (ko)
WO (1) WO1999023616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745B1 (ko) * 2008-04-18 2010-04-30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KR101010088B1 (ko) * 2008-06-05 2011-01-24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코인 수납기
KR101032111B1 (ko) * 2008-03-05 2011-05-02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주화 식별 장치
KR20190059328A (ko) * 2016-10-21 2019-05-3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인-시튜 전자기 유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코어 구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0870B1 (en) 2000-02-10 2001-05-15 Coin Acceptors, Inc. Coin detection device
EP1391851A1 (en) 2002-08-22 2004-02-25 Azkoyen Medios de Pago, S.A. Coin selection device and method
CN101819693A (zh) * 2010-04-23 2010-09-01 南开大学 硬币币值智能检测系统
JP6425878B2 (ja) * 2013-10-18 2018-11-21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硬貨処理装置
DE102020212238A1 (de) * 2020-09-29 2022-03-31 Pepperl+Fuchs Se Induktive Sensor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500220D0 (en) 1985-01-04 1985-02-13 Coin Controls Discriminating between metallic articles
JPS6327995A (ja) 1986-07-21 1988-02-05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硬貨選別装置
JP3384803B2 (ja) * 1991-09-28 2003-03-10 アンリツ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GB2266804B (en) 1992-05-06 1996-03-27 Mars Inc Coin validator
JPH06231333A (ja) * 1993-02-02 1994-08-19 Toshiba Corp コイン識別装置
DE4339543C2 (de) * 1993-11-19 1998-07-23 Nat Rejectors Gmbh Verfahren zur Prüfung von Münz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111B1 (ko) * 2008-03-05 2011-05-02 로렐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주화 식별 장치
US8167110B2 (en) 2008-03-05 2012-05-01 Laurel Precision Machines Co., Ltd. Coin discrimination apparatus
KR100955745B1 (ko) * 2008-04-18 2010-04-30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코인 수납기의 도난 방지 장치
KR101010088B1 (ko) * 2008-06-05 2011-01-24 인터내셔날 커런시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코인 수납기
KR20190059328A (ko) * 2016-10-21 2019-05-3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인-시튜 전자기 유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코어 구성
US11638982B2 (en) 2016-10-21 2023-05-02 Applied Materials, Inc. Core configuration for in-situ electromagnetic induction monit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28437D1 (de) 2005-02-03
CN1278352A (zh) 2000-12-27
JP2001522110A (ja) 2001-11-13
WO1999023616A1 (en) 1999-05-14
DE69828437T2 (de) 2005-06-02
EP1029309B1 (en) 2004-12-29
AU744618B2 (en) 2002-02-28
EP1029309A1 (en) 2000-08-23
CA2306749A1 (en) 1999-05-14
AU9637898A (en) 1999-05-24
ES2230720T3 (es) 2005-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76985B2 (ja) コイン識別装置
US4488116A (en) Inductive coin sensor for measuring more than one parameter of a moving coin
JP2567654B2 (ja) 硬貨選別方法および装置
JPS644229B2 (ko)
JP4126668B2 (ja) コイン確認器
US7584833B2 (en) Coin discriminators
EP1451781B1 (en) Coin discriminator where frequencies of eddy currents are measured
KR20010031644A (ko) 주화수납기
US6640955B1 (en) Coin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AU745264B2 (en) Coin acceptor
JP3660496B2 (ja) コインの真贋性を検査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60243558A1 (en) Money item acceptor with enhanced security
NO316908B1 (no) Fremgangsmåte og anordning for identifikasjon av skiveformede metallstykker
JP2000268221A (ja) コイン検査装置
JPH08161575A (ja) 硬貨識別装置
JPS5856154B2 (ja) 硬貨選別装置
JPH037443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