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0081A - 경화판별장치 - Google Patents

경화판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0081A
KR20010030081A KR1020000046577A KR20000046577A KR20010030081A KR 20010030081 A KR20010030081 A KR 20010030081A KR 1020000046577 A KR1020000046577 A KR 1020000046577A KR 20000046577 A KR20000046577 A KR 20000046577A KR 20010030081 A KR20010030081 A KR 20010030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ing
coin
hardening
passag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바리에이코
아리카와준이치
Original Assignee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케시 이케베, 로레루 반쿠 마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케시 이케베
Publication of KR2001003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0081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10Testing the rim, e.g. the milling of the ri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5/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coins, e.g. for segregating coins which are unacceptable or alien to a currency
    • G07D5/005Testing the surface pattern, e.g. relief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5/00Coin tes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경화판별장치는 경화의 하면을 지지하는 경화통로부재와; 경화통로부재의 위쪽에 설치되며, 경화통로부재와의 사이에 경화를 지지함으로써 경화를 반송하는 제 1반송벨트와; 제 1반송벨트에 의해 경화통로부재 위에서 반송되는 경화의 하면을 향하여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제 1 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1광원과; 제 1광원으로부터 발생되고 경화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제 1투명통로부를 통하여 광전적(photoelectrical)으로 수광하며, 경화 하면의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광감지기와; 경화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2반송벨트와; 제 2반송벨트의 위쪽에 설치되며 그 하면과 제 2반송벨트와의 사이에 경화를 지지하여 경화를 반송하는 경화통로형성부재와; 제 2반송벨트에 의해 지지되면서 반송되는 경화의 상면을 향하여 경화통로형성부재에 형성된 제 2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2광원과; 제 2광원으로부터 발생하고 경화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제 2투명통로부를 통해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경화의 상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광감지기와; 경화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형태데이터메모리와; 경화 상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형태데이터메모리와; 금종(denomination)마다의 경화의 기준형태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준형태데이터메모리와; 경화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와 경화의 금종마다의 기준형태데이터를 비교하며, 경화 상면의 화상형태데이터와 금종마다의 기준형태데이터와를 비교하여, 경화가 수용가능한지 여부 및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는 판별수단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경화판별장치는 유로경화와 같이 한쪽면에 공통 형태가 있고 다른쪽면에 다른형태가 있는 경우에도 높은 정확도로 경화의 수용가능여부와 금종을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화판별장치{Coin discrimin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경화판별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경화(coin) 표면형태를 광학적으로 검출함으로써 경화가 수용가능한지 여부와, 금종(경화의 종류)(denomination)과, 경화가 소정레벨보다 크게 손상을 받았는지 여부를 신뢰성 있게 판별할 수 있는 경화판별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화의 직경, 재질, 두께 등을 검출하여 경화의 수용가능여부, 즉, 경화가 진짜인지 가짜인지 여부와, 현재 유통중인 경화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하지만, 판별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최근에 경화표면형상을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경화판별을 하는 경화판별장치가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특허출원공개번호 제8-36661에서 제안된 경화판별장치에서는, 경화의 자기특성을 검출하기 위해 경화통로에 배치된 자기센서가 제공되며, 경화통로에 형성된 투명통로부 위에서 전송되는 경화에 하면으로부터 빛을 조사하기 위한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다수의 발광소자가 제공되며,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어 경화의 표면에서 반사된 빛을 광전적(photoelectrical)으로 검출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가 제공되며, CCD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디지털화된 경화의 화상형태데이터에 기초하여 금종과, 경화가 수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별한다.
유럽의 화폐통합에 의해 발행된 유로경화의 한쪽면에는 각각의 금종에 대해 공통된 형태(pattern)가 형성되며, 다른쪽면에는 유로경화를 발행한 나라에 따라 다른 형태가 형성된다. 따라서, 연방 은행 등에서 유로경화의 발행국가에 따라 유로경화를 분류할 필요가 있을 때, 상기한 경화판별장치는 경화 한쪽면의 표면형태만을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경화를 판별하기 때문에, 유로경화의 발행국가에 따라 유로경화를 분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경화판별장치가 검출되지 않은 경화의 측면 형태가 소정레벨보다 크게 손상되었을 때에도 경화의 한쪽 면의 표면형태만을 광학적으로 검출하여 판별하기 때문에, 이러한 경화를 손상된 경화로 판별할 수가 없다.
또한, 경화통로에서 전송되는 경화의 한쪽 면에 빛을 조사하여 경화의 한쪽면의 표면형태를 검출할 경우, 경화통로의 표면으로 경화를 눌러서 경화를 전송하는 전송벨트가 경화의 다른 쪽 면과 맞닿아있기 때문에 경화의 다른 쪽면이 빛에 조사될 경우에도 경화의 다른 쪽면의 표면형태를 검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로경화와 같이 한쪽 면은 같은 형태를 갖지만 다른 쪽면은 다른 형태를 갖는 경화에 대해서도, 높은 정확도로 금종과, 경화의 수용가능성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경화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높은 정확도로 소정레벨보다 크게 경화가 손상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는 경화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화판별장치는
경화의 하면을 지지하는 경화통로부재와,
상기 경화통로부재의 위쪽에 설치되며, 상기 경화통로부재와의 사이에 경화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경화통로부재와의 사이에 경화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제 1반송벨트와,
상기 제 1반송벨트에 의해 상기 경화통로부재 위에서 반송되는 경화의 하면을 향하여 상기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제 1 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1광원과,
상기 제 1광원으로부터 발생되고 상기 경화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1투명통로부를 통하여 광전적으로 수광하며, 상기 경화의 하면의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수광수단과,
경화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2반송벨트와,
상기 제 2반송벨트의 위쪽에 설치되며 그 하면과 상기 제 2반송벨트와의 사이에 상기 경화통로를 형성하고, 그 하면과 상기 제 2반송벨트와의 사이에 경화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경화통로형성부재와,
상기 제 2반송벨트에 의해 지지되면서 반송되는 경화의 상면을 향하여 상기 경화통로형성부재에 형성된 제 2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2광원과,
상기 제 2 광원으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경화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2투명통로부를 통해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상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수광수단과,
상기 제 1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형태데이터기록수단과,
상기 제 2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상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형태데이터기록수단과,
금종마다의 경화의 기준형태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준형태데이터기록수단과,
상기 제 1형태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상기 경화의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와 상기 기준형태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상기 기준형태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제 2형태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상기 경화의 상면의 화상형태데이터와 상기 기준형태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상기 기준형태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한지 여부 및 상기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 1광원의 부분에서 경화가 제 1반송벨트에 의해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제 1투명통로부의 상면에 눌려지면서 반송되는 상태에서, 경화통로부재의 아랫쪽에 배치된 제 1광원으로부터 제 1투명통로부를 거쳐서 빛이 조사되고, 경화의 하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제 1수광수단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경화의 하면의 형태테이터가 생성된다. 또한 경화가 제 2반송벨트에 의해 그 하면이 지지되고, 반송벨트의 위쪽에 설치된 경화통로형성부재의 하면에 눌려지면서 반송되는 상태에서 경화통로형성부재의 위쪽에 배치된 제 2광원으로부터 경화통로형성부재에 형성된 제 2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이 조사되며 경화의 상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제 2수광수단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경화의 상면의 형태데이터가 생성된다. 따라서, 경화를 반송되면서 소망한 바와 같이 경화의 양면의 광학형태를 검출하고, 얻은 경화의 양면형태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가 수용가능하지 여부와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판별수단에 의해 제 1형태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와 기준형태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기준형태데이터를 비교하는 동시에, 제 2형태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상면의 화상형태데이터와 기준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기준형태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가 수용가능한지 여부와 금종을 판별하므로, 유로경화와 같이 한쪽면의 형태가 공통이지만 다른쪽면의 형태가 다른 경화가 수용가능한지 여부와 금종을 확실히 판별할 수 있고, 발행국마다 경화의 분류(sorting)가 필요하면 발행국마다 경화를 분류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 2반송벨트가 상기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경화통로부재를 경화통로 전체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간단히 경화판별장치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경화통로부재가 상기 제 2반송벨트의 부분에서 절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 1광원이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광원의 상류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 1광원이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광원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 1수광수단 및 상기 제 2수광수단이 단색성(monochromatic) 센서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경화통로부재와의 사이에 경화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제 3반송벨트와,
상기 제 3반송벨트에 의해 상기 경화통로부재 위에서 반송되고 있는 경화 하면을 향하여 상기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제 3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3광원과,
상기 제 3광원으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경화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3투명통로부를 통하여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수광수단과,
경화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4반송벨트와,
상기 제 4반송벨트의 위쪽에 설치되며, 그 하면과 상기 제 4반송벨트와의 사이에 상기 경화통로를 형성하고, 그 하면과 상기 제 4반송벨트와의 사이에서 경화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경화통로형성부재와,
상기 제 4반송벨트에 의해 지지되면서 반송되고 있는 경화의 상면을 향하여 상기 경화통로형성부재에 형성된 제 4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4광원과,
상기 제 4광원으로부터 발생되며, 상기 경화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4투명통로부를 통하여 광전적으로 수광하며 상기 경화의 상면의 컬러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4수광수단과,
상기 제 3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컬러데이터기록수단과,
상기 제 4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기준컬러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준컬러데이터기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별수단이 상기 제 1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상기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와 상기 기준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상기 기준컬러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제 2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상기 경화의 상면의 컬러데이터와 상기 기준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상기 기준컬러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경화의 파손정도를 판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제 1수광수단 및 상기 제 2수광수단에 의해 경화가 수용가능한지 여부와 경화의 금종을 판별한다. 또한, 제 3광원부분에서 경화는 제 3반송벨트에 의해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제 3투명통로부의 상면에 눌려지면서 반송되는 상태에서 경화통로부재의 아래쪽으로 제 3광원으로부터 제 3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이 조사되고, 경화의 하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제 4수광수단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가 생성된다. 또한, 경화는 제 4반송벨트에 의해 그 하면이 지지되며, 반송벨트의 위쪽에 설치된 경화통로형성부재의 하면에 눌려지면서 반송되는 상태에서 경화통로형성부재의 위쪽에 배치된 제 4광원으로부터 경화통로형성부재에 형성된 제 4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이 조사되며, 경화의 상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제 4수광수단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며, 경화의 상면의 컬러데이터가 생성된다. 판별수단은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와 기준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기준컬러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의 상면의 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기준컬러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의 파손정도를 판별한다. 따라서, 경화가 반송되면서 소망한 바와 같이 경화의 양면 컬러데이터를 검출할 수 있고, 얻어진 경화의 양면컬러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가 수용가능한지 여부와 경화의 금종을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제 4반송벨트가 상기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 따르면, 경화통로부재를 경화통로 전체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따라서, 간단히 경화판별장치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경화통로부재가 상기 제 4반송벨트의 부분에서 절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광원이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4광원의 상류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3광원이 경화의 반송방향으로 상기 제 4광원의 하류측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 및 그 외의 목적과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다음과 같은 기술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경화판별장치의 개략적인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제 1투명통로부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경화판별장치의 검출, 제어, 판별계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제 2판별수단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제 3판별수단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경화판별장치의 간략적인 종방향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경화 2. 경화통로
3. 경화통로부재 4.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
5.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 6. 반송벨트
7. 반송벨트 7a. 개구부
7b,7c. 백업롤러 8. 경화통로형성부재
9. 제 1투명통로부 10. 제 2투명통로부
11. 가이드레일 12. 발광소자
20. 발광소자 21. 제 1발광수단
22. 제 1화상데이터생성수단 23. 렌즈계
24. 컬러센서 25. 발광소자
26. 수광소자 27. 타이밍센서
28. A/D변환기 30. 발광소자
31. 제 2발광수단 32. 제 2화상데이터생성수단
33. 렌즈계 34. 컬러센서
35. 발광소자 36. 수광소자
37. 타이밍센서 38. A/D변환기
39. 반송벨트 40. 발광제어수단
41. 화상독취제어수단 50. 제 1기준데이터메모리
51.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 52.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
53. 제 1판별수단 54. 제 2판별수단
55. 제 3판별수단 56. 금종/수용가능판정수단
58. 표시수단 60.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
61. 제 1금종판별부 62. 경화파손도판별부
63. 제 2금종판별부 64. 중심좌표결정부
65. 2치화데이터생성부 66. 금종결정부
70.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 71. 제 1금종판별부
72. 경화파손도판별부 73. 제 2금종판별부
74. 중심좌표결정부 75. 2치화데이터생성부
76. 금종결정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1)가 전송되는 경화통로(2)에는 경화(1)가 전송되는 전체 구간에 걸쳐 경화(1)의 전송방향으로 늘어져 있는(연장된) 경화통로부재(3)가 제공된다. 상기한 경화판별장치는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와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를 포함한다.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 부분에서는, 아래에 위치한 경화통로부재(3)와 끝부분이 없이 둥근형태로 구성된 반송벨트(6)에 의해 경화통로(2)가 형성된다.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 부분에서는, 경화통로부재(3)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 portion)(7a)로부터, 경화통로부재(3)의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끝부분이 없는 띠로 구성된 반송벨트(7)와, 반송벨트(7)의 위쪽에 설치된 경화(1)의 전송방향으로 연장된 경화통로형성부재(8)에 의해 경화통로(2)가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형태데이터검출장치(4)가 설치된 경화통로부재(3)에는, 빛이 통과 가능한 유리,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재료에 의해 형성된 제 1투명통로부(9)가 형성되고, 경화통로형성부재(8)에는 빛이 투과 가능한 유리, 아크릴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투명부재에 의해 형성된 제 2투명통로부(10)가 설치된다.
도 2는 제 1투명통로부(9)의 개략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1)는 경화통로(2)의 위쪽에 위치한 반송벨트(6)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레일(11,11)을 따라 화살표(A)의 방향으로 경화통로(2) 내에서 제 1투명통로부(9)로 전송된다. 경화(1)의 반송방향에 대한 제 1투명통로부(9)의 상류(upstream)측에는 경화(1)의 자기적성질을 검출하는 한 쌍의 자기센서(12,12)가 설치된다. 경화(1)는 반송벨트(6)에 의해 제 1투명통로부(9)의 상면으로 눌려지면서 제 1투명통로부(9)의 부분에 반송된다. 제 1투명통로부(9)의 아래쪽에는 제 1투명통로부(9)를 통과하는 경화(1)에 빛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소자(20)를 구비한 제 1발광수단(21)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아래쪽에는 제 1발광수단(21)으로부터 발생되어, 경화(1)에 의해 반사된 빛을 수광하고,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화상데이터생성수단(22)이 설치된다. 즉,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는 제 1발광수단(21) 및 제 1화상데이터생성수단(22)으로 구성된다.
제 1발광수단(2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투명통로부(9)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원을 따라 배치된 다수의 LED 등의 발광소자(20)를 구비하고 있다. 각 발광소자(20)는 광축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작은 각도를 만들고, 제 1투명통로부(9)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원의 중심축상의 소정의 점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에 따라 제 1투명통로부(9) 위를 통과하는 경화(1)의 표면에 얕은 각(shallow angle)으로 빛이 조사되게 된다.
제 1화상데이터생성수단(22)은 광축이 제 1투명통로부(9)의 중심부를 중심으로하는 원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렌즈계(23)와, 렌즈계(23)의 아래쪽에 설치되고, 그 초점이 제 1 투명통로부(3)의 위쪽 표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발광소자(20)로부터 발광되어, 경화(1)의 표면에서 반사된 광을 광전적으로 검출하는 컬러센서(24)와, 컬러센서(24)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어 얻어진 경화(1)의 하면의 화상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경화(1) 하면의 디지털화된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A/D변환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컬러센서(24)로 이차원 CCD타입의 컬러센서를 이용한다.
제 1화상데이터생성수단(22)의 바로 하류(downstream)측에는, 경화통로(2)의 폭방향으로, 발광소자(25)와 수광소자(26)로 이루어진 두 조의 타이밍센서(27,27)가 설치되어 있고, 발광소자(25)로부터 발생한 빛이 제 1투명통로부(9)를 거쳐서 수광소자(26)에 의해 수광가능하게, 또한 수광소자(26)가 발광소자(25)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수광하지 않을 때에, 타이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타이밍센서(27)는 발광소자(25)로부터 발생된 빛이 제 1투명통로부(9)의 표면 위에서 반송되는 경화(1)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소자(26)에 수광되지 않아서 타이밍신호가 출력된 때에, 경화(1)의 중심이 제 1투명통로부(9)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 1화상데이터생성수단(22)에 대해서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1)는 제 1투명통로부(9) 및 그 하류 부까지에서 경화통로(2)의 위쪽에 설치된 반송벨트(6) 에 의해, 경화통로부재(3) 상면으로 눌려지면서 반송된다. 경화(1)는 제 1투명통로부(9)의 하류부에서는 그 하면이 경화통로부재(3)에 형성된 개구부(7a)로부터 경화통로부재(3)의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된 반송벨트(7)에 의해 지지되며, 반송벨트(6)와 반송벨트(7) 사이에서 유지되면서 경화통로(2) 내에서 반송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1)는 그 상면이 경화통로형성부재(8)에 의해 지지되고, 반송벨트(7)에 의해 경화통로형성부재(8)의 하면으로 눌려지면서 경화통로(2) 내에서 반송되면서, 제 1투명통로부(9)의 하류부분에서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으로 보내진다. 반송벨트(7)가 경화(1)의 자체 무게에 의해 아래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백업롤러(7b,7c)가 설치된다.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는 제 2투명통로부(10)의 위쪽에 설치되어 있고, 제 2투명통로부(10)를 통과하는 경화(1)에 빛을 조사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소자(30)를 구비한 제 2발광수단(31)과, 제 2투명통로부(10)의 위쪽에 설치되며, 제 2발광수단(31)으로부터 발생되어, 경화(1)에서 반사된 빛을 수광하고,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화상데이터생성수단(32)을 구비하고 있다. 제 2발광수단(31)은 제 2투명통로부(10)의 위쪽에 설치되고, 아래쪽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점을 제외하면, 제 1발광수단(21)과 동일하게 구성되며, 제 2투명통로부(10)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원 위에 배치된 다수의 LED 등의 발광소자(30)를 구비하고 있다. 각 발광소자(30)는 광축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작은 각도를 만들며, 제 2투명통로부(10)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원의 중심축 위에 있는 소정의 점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 2투명통로부(10)의 하면을 통과하는 경화(1)의 표면에 대해 얕은 각도로 빛을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제 2화상데이터생성수단(32)은 광축이 제 2투명통로부(10)의 중심부를 중심으로 한 원의 중심축과 일치하도록 배치된 렌즈계(33)와, 이 렌즈계(33)의 위쪽에 설치되며, 그 초점이 제 2투명통로부(10)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발광소자(30)로부터 발생되어, 경화(1)의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을 광전적으로 검출하는 컬러센서(34)와, 컬러센서(34)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어 얻어진 경화(1)의 상면의 화상데이터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고, 경화(1)의 상면의 디지털화된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A/D변환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컬러센서(34)로서 이차원 CCD 타입의 컬러센서를 이용하고 있다.
제 2화상데이터생성수단(32)의 바로 하류부분에는 발광소자(35)와 수광소자(36)로 이루어진 두 조의 타이밍센서(37)가 설치되어 있고, 발광소자(35)로부터 발생되는 빛이 제 2투명통로부(10)를 거쳐서 수광소자(36)에 의해 수광가능하게, 또한 수광소자(36)가 발광소자(35)로부터 발생된 빛을 수광하지 않은 때에, 타이밍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각 타이밍센서(37)는 발광소자(35)로부터 발생된 빛이 제 2투명통로부(10)의 표면 위에서 반송되는 경화(1)에 의해 차단되어, 수광소자(36)로 수광되지 않아서 타이밍신호가 출력될 때에, 경화(1)의 중심이 투명통로부(10)의 중심과 일치하는 위치에 있도록, 제 2화상데이터생성수단(32)에 대하여 배치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통로형성부재(8)의 하류단부의 바로 상류부로부터 경화통로(2)의 하류측으로 연장된 반송벨트(39)가 설치되고, 제 2투명통로부(10)를 통과한 후에, 경화(1)는 반송벨트(7)와 반송벨트(39) 사이에서 유지되며, 또한, 반송벨트(39)와 경화통로부재(3)에 의해 유지되며, 경화통로(2)내에서 하류측을 향하여 반송되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 제어계, 판별계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검출계는 경화(1)가 제 1투명통로부(9)에 도달하는 것을 검출하는 2조의 타이밍센서(27,27) 및 경화(1)가 제 2투명통로부(10)에 도달하는 것을 검출하는 2조의 타이밍센서(37,37)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판별장치의 제어계는, 타이밍센서(27,27)로부터 타이밍신호를 수신한 때에, 제 1 발광수단(21)에 발광신호를 출력하여, 빛을 발광시킴으로써, 제 1투명통로부(9)의 위쪽 표면에 위치하는 경화(1)에 빛을 조사시키고, 타이밍센서(37,37)로부터 타이밍신호를 수신한 때에, 제 2발광수단(31)에 발광신호를 출력하여, 빛을 발광시킴으로써, 제 2투명통로부(10)의 아래쪽 표면에 위치하는 경화(1)에 빛을 조사시키는 발광제어수단(40)과, 타이밍센서(27,27)로부터 타이밍신호를 수신한 때에, 제 1화상데이터생성수단(22)의 컬러센서(24)에 경화(1)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의 검출을 개시시키고, 타이밍센서(37,37)로부터 타이밍신호를 수신한 때에 제 2화상데이터생성수단(32)의 컬러센서(34)에 경화(1)의 표면에 의해 반사된 빛의 검출을 개시시키는 화상독취 제어수단(41)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서, 경화판별장치의 판별계는 각 금종마다 자기적 성질을 나타내는 자기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제 1기준데이터메모리(50)와, 각 금종에 대한 경화의 지름에 대한 데이터,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와, 각 금종의 경화표면의 복수의 환형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형태데이터 군(group)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비율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와, 자기센서(12,12)로부터의 검출신호에 기초하여, 제 1기준데이터메모리(50)에 억세스하여, 제 1기준데이터메모리(50)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금종마다의 자기적성질을 나타내는 자기데이터와 자기센서(12,12)로부터 입력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비교하여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는 제 1판별수단(53)과, 제 1판별수단(53)의 판별결과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금종의 경화의 지름에 대한 데이터,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에 기록되어 있는 기준비율데이터와, 컬러센서(24)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고 A/D변환기(28)에 의해 디지털화된 경화(1)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에 기초하여, 금종과 경화 하면의 파손도를 판별하는 제 2판별수단(54)과, 제 1판별수단(53)의 판별결과,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금종의 경화의 지름에 대한 데이터,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에 기록되어 있는 기준비율데이터와, 컬러센서(34)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며, A/D변환기(38)에 의해 디지털화된 경화(1) 상면의 화상형태데이터에 기초하여 금종과 상면의 파손도를 판별하는 제 3판별수단(55)과, 제 1판별수단(53), 제 2판별수단(54) 및 제 3판별수단(55)의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 여부 및 금종을 최종적으로 판별하는 금종/수용가능결정수단(56)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에서 부호(58)은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 여부와 경화(1)의 파손정도가 소정레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판별수단(53)으로부터의 금종판별신호는 발광제어수단(40)에 출력되고, 발광제어수단(40)은 제 1판별수단(53)으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따라, 제 1판별수단(53)에 의해 판별된 경화(1)의 금종에 기초하여, 발광소자(20) 및 발광소자(30)의 발광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에는, 처리하고자하는 모든 금종의 표면(obverse surface) 및 이면(reverse surface)의 각 환형 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형태데이터군의 기준비율데이터가 기록된다.
도 4는 제 2판별수단(54)의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판별수단(54)은 컬러센서(24)에 의해 광전적으로 검출되며, A/D변환기(28)에 의해 디지털화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mapping)하여 기록하는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60)와,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에 억세스하여,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에 기록되어 있는 각 금종의 경화의 지름에 대한 데이터와,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60)로부터 독출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와를 비교하고, 경화(1)의 지름에 기초하여 금종을 판별하고, 금종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1금종판별부(61)와, 제 1판별수단(53)으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와 제 1금종판별부(61)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기초하여 금종을 판별하고, 금종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2금종판별부(63)와,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60)에 기록된 경화(1)의 하면 화상형태데이터 중의 빛의 삼원색(R,G,B)에 대응하는 R,G,B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색도데이터와 명도데이터를 산출하고, 이것들을 제 2금종판별부(63)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기초하여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에 기록되어 있는 제 2금종판별부(63)에 의해 판별된 금종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하여 경화(1)의 파손도를 판별하고, 금종/수용가능결정수단(56)에 파손판별신호를 출력하는 경화파손도판별부(62)와,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60)에 전개되어 기록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구하는 중심좌표결정부(64)와,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60)에 전개되어 기록된 경화(1)의 하면 화상형태데이터를 2치화하고, 제 2금종판별부(63)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 및 중심좌표결정부(64)로부터 입력된 중심좌표신호에 기초하여, 2치화된 화상형태데이터를 경화(1) 표면의 복수의 환형영역에 대응하는 금종에 해당하는 수의 2치화상형태데이터군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환형영역에 대응하는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 중 데이터 "0" 데이터의 수를 구하고, 또한, 전체의 데이터 중 데이터 "0"의 데이터비율을 구하고, 경화(1)의 하면의 각 환형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화상형태데이터 군의 비율데이터를 생성하는 2치화데이터생성부(65)와, 각 금종의 경화표면의 복수의 환형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형태데이터 군 중의 데이터"0"의 데이터비율을 나타내는 기준비율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에 억세스하여, 제 2금종판별부(63)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따라서, 대응하는 금종의 경화표면의 각 환형영역에 대응하는 2치화상형태데이터군 중의 비율데이터를 독출하고, 2치화데이터생성부(65)로부터 입력된 경화(1) 하면의 각 환형영역에 대응하는 각 2치화상형태데이터 군의 비율데이터와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로부터 독출한 비율데이터를 비교하고,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 여부 및 금종을 판별함으로써, 금종/수용가능결정수단(56)에 금종결정신호를 출력하는 금종판별부(66)를 포함하고 있다.
도 5는 제 3판별수단(55)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판별수단(55)은 컬러센서(3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된 경화(1) 상측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로 전개 및 기억시키기 위한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70)와,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를 억세스하고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내에 기억된 각 금종의 경화직경에 대한 기준데이터를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70)로부터 독출된 경화(1) 상측면의 화상형태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직경에 기초하여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하며 금종판별신호를 출력하는 제 1금종판별부(71)와, 제 1판별수단(53)으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와 제 1금종판별부(71)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기초하여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하고 금종판별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제 2금종판별부(73)와,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70)에 기억된 경화(1) 상측면의 화상형태데이터중 빛의 3원색 즉, 적색 빛, 녹색 빛, 청색 빛에 상응하는 R, G, B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하여, 이것들을 제 2금종판별부(73)에 의해서 판별되고 제 2금종판별부(73)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기초하여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내에 기억된 금종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파손도를 판별하고, 파손판별신호를 금종/수용가능결정부(56)로 출력하기 위한 경화파손도판별부(72)와,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70)내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 상측면의 화상형태데이터의 중심좌표를 얻기 위한 중심좌표결정부(74)와,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70)내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 상측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2치화하고 2치화된 화상형태를 제 2금종판별부(73)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와 중심좌표결정부(74)로부터 입력된 중심좌표신호에 기초하여 각 금종이 판별된 경화(1)표면의 다수의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으로 분류하며,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중의 데이터“0”의 총수를 구하고 전체데이터 중의 데이터“0”의 비율을 구함으로써 경화(1) 표면의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각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의 데이터비율을 생성하는 2치화 데이터생성부(75)와, 각 금종의 경화표면의 다수의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화상형태데이터군중의 데이터“0”의 비율을 나타내는 기준데이터비율을 기억시키기 위한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를 억세스하고, 제 2금종판별부(73)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따라서 상응하는 금종 경화표면의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의 데이터비율을 독출하며,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로부터 독출된 데이터비율을 2치화 데이터생성부(75)로부터 입력된 경화(1) 상측면의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각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의 데이터비율과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경화(1)의 금종을 판정하고 금종판별신호를 금종/수용가능결정수단(56)으로 출력하는 금종결정부(7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이렇게 구성된 경화판별장치는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경화(1)가 소정레벨보다 더 손상되었는지의 여부 및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한다.
경화(1)는 반송벨트(6)에 의해서 경화통로부재(3)의 상측면으로 눌려지며, 경화통로(2) 내에서 한쌍의 가이드 레일(11, 11)을 따라서 화살표(A)의 방향으로 보내진다. 경화(1)의 자기적성질은 한쌍의 자기센서(12, 12)에 의해서 검출되며, 검출신호는 제 1판별수단(53)으로 출력된다.
제 1판별수단(53)은 검출신호가 자기센서(12, 12)로부터 입력될 때 제 1기준데이터메모리(50)를 억세스하고, 제 1기준데이터메모리(50)내에 기억된 각 금종의 자기적성질을 나타내는 기준 자기데이터를 독출하며, 제 1기준데이터메모리(50)로부터 독출된 기준 자기데이터와 자기센서(12, 12)로부터 입력된 경화(1)의 자기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하고, 금종판별신호를 제 2판별수단(54)과 제 3판별수단(55) 및 발광제어수단(40)으로 출력한다.
경화(1)가 경화통로(2)에서 제 1투명통로부(9)로 보내지고 각 타이밍센서(27)의 발광소자(25)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막을 때, 각 타이밍센서(27)의 수광소자(26)가 상응하는 발광소자(25)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수용하지 못하는 것에 의해서 타이밍신호는 타이밍센서(27, 27)로부터 발광제어수단(40)과 화상독출제어수단(41)으로 출력된다.
타이밍신호가 타이밍센서(27, 27)로부터 입력될 때, 발광제어수단(40)은 제 1판별수단(53)으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기초하여 제 1발광수단(21)으로 발광신호를 출력하며, 발광소자(20)로 하여금 제 1투명통로부(9)에 배치된 경화(1) 하측면을 향하여 제 1판별수단(53)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금종에 상응하는 빛의 양을 방출하도록 한다. 발광소자(20)로부터 방출된 빛의 양이 제 1판별수단(53)에 의해서 경화(1)의 금종판별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되는 이유는 반사된 빛의 양이 경화(1)의 재질에 따라서 변하기 때문이다. 동일한 광량이 경화(1)를 향하여 조사된다면, 경화(1)의 화상형태는 정확하게 검출될 수 없다. 즉, 경화가 니켈이나 알루미늄같이 광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만들어질 때, 경화(1)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검출함으로써 경화(1)의 표면형태에 상응하는 2치 데이터를 정확하게 생성하는 것이 어려워지게 된다. 그 이유는 광량이 많이 조사된다면, 검출된 전체광량이 많아져서 포화되기 때문이다. 한편, 경화가 구리나 황동같이 광반사율이 낮은 재료로 만들어질 때, 경화(1)의 표면형태에 상응하는 2치 데이터는 경화(1)의 표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검출함으로써 정확하게 생성될 수 없다. 그 이유는 광량이 적게 조사된다면, 검출된 전체광량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따라서, 발광제어수단(40)은 제 1판별수단(53)에 의해서 판별된 금종의 경화(1)가 니켈이나 알루미늄같이 광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만들어질 때, 발광신호를 제 1발광수단(21)으로 출력함으로써 발광소자(20)가 낮은 강도의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발광제어수단(40)은 제 1판별수단(53)에 의해서 판별된 금종의 경화(1)가 구리나 황동같이 광반사율이 낮은 재료로 만들어질 때, 발광신호를 제 1발광수단(21)으로 출력함으로써 발광소자(20)가 높은 강도의 빛을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화상독출제어수단(41)은 타이밍센서(27, 27)로부터의 타이밍신호가 입력될 때, 제 1화상데이터생성수단(22)의 컬러센서(24)로 하여금 발광소자(20)로부터 방출되고 경화(1) 하측면 상에 반사된 빛을 검출하는 것을 개시하도록 한다.
제 1발광수단(21)은 제 1투명통로부(9)상을 통과하는 경화(1)를 얕은 각도로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빛은 경화(1)하측면의 요철형태에 따라서 반사된다. 경화(1)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렌즈시스템(23)에 의해서 컬러센서(24)를 향하도록 되어있고 컬러센서(2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되는 것에 의하여 경화(1) 표면의 화상형태데이터가 컬러센서(24)에 의해서 생성된다. 컬러센서(24)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 표면의 화상형태데이터는 A/D변환기(28)에 의해서 디지털화된다. 디지털화된 화상형태데이터는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60)내의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 및 기억된다.
경화(1) 하측면의 화상형태데이터가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60)내에 기억될 때, 제 2판별수단(54)의 제 1금종판별부(61)는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를 억세스한다. 그것은 경화(1)의 직경에 관하여 기억된 데이터와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60)에 기억된 화상형태데이터를 독출한다. 상기 데이터들을 비교함으로써 제 2판별수단(54)의 제 1금종판별부(61)는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하며 금종판별신호를 제 2금종판별부(63)로 출력한다. 금종이 다르면서도 직경이 서로 약간만 차이나는 경화들이 있다. 직경이 약간 더 큰 경화가 손상될 때, 그것들의 직경이 우연히 일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떤 경우에는 직경을 검출함으로써 경화(1)의 금종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다. 본 실시예에서, 제 1판별부(53)는 경화(1)의 자기적성질에 기초하여 경화(1)의 금종을 판정하며 금종판별신호를 제 2금종판별부(63)로 출력한다. 제 2판별수단(54)의 제 1금종판별부(61)는 경화(1)의 직경에 기초하여 경화(1)의 금종을 판정하며, 금종판별신호를 제 2금종판별부(63)로 출력한다. 이러한 금종판별신호에 기초하여 제 1판별수단(53)과 제 2판별수단(54)의 제 1금종판별부(61)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금종이 일치하지 않을 때, 경화(1)를 수용불능으로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제 2판별수단(54)의 제 1금종판별부(61)가 경화(1)의 직경에 기초하여 경화(1)의 금종을 판정하고 금종판별신호를 생성하여 제 2금종판별부(63)로 출력할 때, 제 2금종판별부(63)는 경화(1)가 수용가능한 경화일지라도 경화(1)를 수용할 수 없다고 판정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 2판별수단(54)의 제 1금종판별부(61)는 그 직경이 검출된 경화(1)의 직경에 가장 근접하거나 그 다음으로 근접한 두 개의 금종을 선택하며, 금종판별신호를 제 2금종판별부(63)로 출력한다.
제 2금종판별부(63)는 제 1판별수단(53)으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와 제 2판별수단(54)의 제 1금종판별부(61)으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기초한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한다. 제 1판별수단(53)과 제 2판별수단(54)의 제 1금종판별부(61)의 판별결과가 일치할 때, 제 2금종판별부(63)는 금종판별신호를 경화파손도판별부(62), 2치화 데이터생성부(65) 및 금종결정부(66)에 출력한다. 판별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때, 경화(1)는 위화이거나 외국경화이므로, 수용될 수 없다고 판단되어 수용불능신호가 표시부(58)에 출력된다.
경화파손도판별부(62)는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60)에 기억된 경화(1)의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독출하며, 화상형태데이터중의 R, G, B데이터에 기초한 경화(1)의 색도데이터와 명도데이터를 산출한다. 더우기, 경화파손도판별부(62)는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를 억세스하며, 제 2금종판별부(63)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기초하여, 제 2금종판별부(63)에 의해서 판별된 금종을 갖는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독출하며,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로부터 독출된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산출된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가 소정레벨보다 더 손상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경화(1)가 소정의 레벨보다 더 손상되었을 때, 경화 표면의 색이 변화하여 경화(1)의 색도데이터와 기준색도데이터의 차이가 소정레벨을 넘게되며, 경화표면이 어두워져 경화(1)의 명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의 차이가 소정레벨을 넘게된다. 그러므로, 경화파손도판별부(62)는 경화(1)의 산출된 색도데이터와 명도데이터를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가 소정레벨보다 더 손상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경화파손도판별부(62)는 경화(1)가 소정의 레벨보다 더 손상되었는지를 판별할 때, 파손판별신호를 금종/수용가능판별수단(56)에 출력한다. 이와 동시에, 경화파손도판별부(62)는 파손판별신호를 표시부(58)에 출력하며, 경화(1)가 소정 레벨보다 더 손상되었는지를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중심좌표결정부(64)는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서 전개되고 기억되며,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60)내에 기억된 화상형태데이터의 중심좌표를 결정하고, 중심좌표를 2치화 데이터생성부(65)에 출력한다. 2치화 데이터생성부(65)는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60)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독출하며, 2치화한다. 2치화 데이터생성부(65)는 2치 화상형태데이터를 제 2금종판별부(63)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와 중심좌표결정부(64)로부터 입력된 중심좌표신호에 기초하여 경화(1)표면의 다수의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금종의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으로 분류한다. 또한, 2치화 데이터생성부(65)는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각각의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중의 데이터“0”의 총수를 구하고, 전체 데이터에 대한“0”의 비율을 구하며, 경화(1)표면의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의 각 데이터비율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비율을 금종결정부(66)로 출력한다.
금종결정부(66)는 제 2금종판별부(63)로부터 금종판별신호를 수신할 때, 우선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를 억세스하고, 상응하는 금종의 경화 이면의 기준데이터비율을 제 2금종판별부(63)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따라서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에 기억된 기준데이터비율로부터 독출하며, 기준데이터비율을 2치화 데이터생성부(65)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비율과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한다.
경화(1)의 금종이 판별될 때, 금종결정부(66)는 경화(1)의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각 2치 화상형태군의 기준데이터비율과 2치화 데이터생성부(65)로부터 입력된 검출데이터비율의 차이의 절대치 Di(i=1~n, n은 미리 정해진 경화(1)의 환형영역의 수로서 각 금종에 대해 소정값으로 미리 정해진다)를 산출한다. 그리고 나서, 금종결정부(66)는 경화(1)의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각 2치 화상형태군의 기준데이터비율과 검출데이터비율과의 차이의 절대치 Di가 소정치 D0보다 적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결과적으로, 경화(1)의 전체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 화상형태군의 기준데이터비율과 검출데이터비율과의 차이의 절대치 Di가 소정치D0보다 적을 때, 금종결정부(66)는 기준데이터비율과 데이터비율의 차이의 절대치 Di를 경화(1)의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 전체에 걸쳐서 적분하며, 그 결과로서 얻어진 적분치 I가 소정치 I0보다 적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결과적으로, 적분치 I가 소정치 I0보다 적을 때, 금종결정부(66)는 경화(1)가 제 2금종판별부(63)에 의해서 판별된 금종의 경화라고 판정한다. 경화(1)의 금종이 제 2금종판별부(63)에 의해서 판별된 금종과 일치한다면, 절대치 Di와 적분치 I는 이론상으로 0이 된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경화(1)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검출오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절대치 Di와 적분치 I는 판별금종이 일치할지라도 0이 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 Di가 D0보다 적으며, 동시에 I가 I0보다 적을 때, 경화(1)는 제 2금종판별부(63)에 의해서 판별되는 금종의 경화라고 판단된다.
이에 반하여, 경화(1)중의 적어도 하나의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의 기준데이터비율과 검출데이터비율과의 차이의 절대치 Di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치 D0이상이거나, 경화(1)의 전체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전체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의 기준데이터비율 사이의 차이의 절대치 Di가 소정치 D0보다 적으며, 이와 동시에, 적분치 I가 소정치 I0이상일 때, 금종결정부(66)는 경화(1)의 금종이 제 2금종판별부(63)에 의해서 판별된 금종과 동일하다고 판정할 수 없다. 그러나, 경화(1)는 항상 그 표면이 위쪽을 향하여 반송될 수는 없으며, 경화통로(2)내에서 보내지는 동안에 경화(1)의 표면이 아래쪽을 향하는 경우가 있다. 결과적으로, 경화(1)표면의 표면형태가 컬러센서(24)에 의해서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경화(1)의 검출된 데이터비율이 제 2금종판별부(63)에 의해서 판별된 금종의 경화 이면의 기준데이터비율과 일치하지 않을 때 경화(1)를 수용할 수 없다고 판정하는 것은 판별정도를 매우 저하시킬 것이다.
따라서, 금종결정부(66)는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를 억세스하고, 제 2금종판별부(63)에 의해서 판별된 금종의 경화 표면의 기준데이터비율을 독출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경화(1)의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각 2치 화상형태군의 기준데이터비율과 검출데이터비율의 차이가 소정치 D0보다 적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경화(1)의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 화상패터군 전체의 기준데이터비율과 검출데이터비율의 차이의 절대치 Di가 소정치 D0보다 적을 때, 금종판별부(66)는 경화(1)의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 화상형태군 전체의 기준데이터비율 차이의 절대치 Di를 적분하며, 그 결과로서의 적분치 I가 소정치I0보다 적은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결과적으로, 적분치 I가 소정치 I0보다 적을 때, 금종판별부(66)는 경화(1)가 제 2금종판별부(63)에 의해서 판별된 금종의 경화임을 판정한다.
한편, 경화(1)표면의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 화상형태군의 기준데이터비율과 검출데이터비율의 차이의 절대치 Di중 적어도 하나가 소정치 D0 이상이거나 혹은 경화(1)표면의 전체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 화상형태군의 기준데이터비율과 검출데이터비율의 차이의 절대치 Di가 소정치 D0보다 적음과 동시에 적분치 I가 소정치 I0 이상일 때, 금종들 중에서 자기적성질과 직경이 가장 근접한 금종 경화의 기준데이터비율과 검출데이터비율과의 비교결과로서 경화(1)의 표면과 이면의 표면형태가 제 2금종판별부(63)에 의해서 판별된 금종 경화의 표면형태와 다름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경화(1)가 위화이거나 외국경화이며 그것을 수용할 수 없다고 판정하기 때문에, 금종결정부(66)는 수용할 수 없다는 신호를 표시부(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하며 경화(1)를 수용할 수 없다고 표시한다.
한편, 금종결정부(66)는 경화(1)를 수용할 수 있다고 판정할 때, 금종결정신호를 금종/수용가능 결정수단(56)으로 출력한다.
경화(1) 하면의 형태데이터가 제 1형태데이터 검출장치(4)에 의해서 검출된 후, 경화는 반송벨트(6)에 의해서 경화통로(2)의 하류측으로 보내지며, 그 하면은 경화통로부재(3)에 형성된 개구부(7a)로부터 경화통로부재(3)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배치된 반송벨트(7)에 의해서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경화(1)는 반송벨트(6)와 반송벨트(7) 사이에서 유지되면서 반송된다. 그리고 나서, 경화(1)는 반송벨트(7)에 의해서 경화통로형성부재(8)의 하면에 눌려져서 제 2투명통로부(10)로 보내진다.
경화(1)가 제 2투명통로부(10)로 보내지고, 각 타이밍센서(37)의 발광소자(35)로부터 방출된 빛을 경화가 막으며, 수광소자(36)가 발광소자(35)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지 않을 때, 타이밍센서(37, 37)로부터 발광제어수단(40)과 화상독출제어수단(41)으로 타이밍신호가 출력된다.
발광제어수단(40)은 타이밍센서(37, 37)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수신할 때, 발광신호를 제 1판별수단(53)으로부터 금종판별신호에 기초한 제 2발광수단(31)으로 출력하며, 발광소자(30)로 하여금 제 2투명통로부(10)에 위치한 경화(1)의 상측표면을 향하여 제 1판별수단(53)에 의해서 판별된 경화(1)의 금종에 상응하는 빛을 방출하도록 한다.
화상독출제어수단(41)은 타이밍센서(37, 37)로부터 타이밍 신호를 수신할 때, 제 2화상데이터생성수단(32)의 컬러센서(34)가 발광소자(30)로부터 방출되어 경화(1)의 상측표면에 반사된 빛을 검출하는 것을 개시하도록 한다.
발광소자(30)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술한 제 1발광수단(21)의 발광소자(20)에서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제 1판별수단(53)으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기초한 발광제어수단(40)에 의해서 제어된다.
제 2발광수단(31)은 제 2투명통로부(10)상에 얕은 각도로 통과하는 경화(1)를 조사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빛은 경화(1) 상측표면의 요철형태에 따라서 반사된다. 경화(1)표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렌즈계(33)에 의해서 컬러센서(34)를 향하게 되며, 컬러센서(3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됨으로써 경화(1)표면의 화상형태데이터가 컬러센서(34)에 의해서 생성된다. 컬러센서(34)에 의해서 생성된 경화(1)표면의 화상형태데이터는 A/D변환기(38)에 의해서 디지털화된다. 디지털화된 화상형태데이터는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70)내에서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 및 기억된다.
경화(1) 상측표면의 화상형태데이터가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70)에 기억될 때, 제 3판별수단(55)의 제 1금종판별부(71)는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를 억세스한다. 그것은 경화(1)직경에 대하여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에 기억된 데이터와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70)에 기억된 화상형태데이터를 독출한다. 그러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제 3판별부(55)의 제 1금종판별부(71)는 경화(1)의 금종을 판정하며, 금종판별신호를 제 2금종판별부(73)로 입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검출된 경화(1)의 직경에 기초하여 제 3판별수단(55)의 제 1금종판별부(71)는 직경이 검출된 경화(1)의 직경과 가장 근접하고 그 다음으로 근접한 두개의 금종을 선택하며, 금종판별신호를 제 2금종판별부(73)로 입력한다.
제 2금종판별부(73)는 제 1판별수단(53)으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와 제 3판별수단(55)의 제 1금종판별부(71)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기초하여 경화(1)의 금종을 판정한다. 제 1판별수단(53)과 제 3판별수단(55)의 제 1금종판별부(71)의 판별결과가 일치할 때, 제 2금종판별부(73)는 금종판별신호를 경화파손도판별부(72)와 2치화 데이터생성부(75) 및 금종결정부(76)로 출력한다. 판별결과가 일치하지 않을 때, 경화(1)는 위화이거나 외국경화이므로 그것을 수용할 수 없다고 판정하며, 수용불능신호를 표시수단(58)으로 출력한다.
경화파손도판별부(72)는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70)에 기억된 경화(1) 상측표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독출하며, 화상형태데이터의 R, G, B에 기초하여 경화(1)의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를 산출한다. 더우기, 경화파손도판별부(72)는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를 억세스하고, 제 2금종판별부(73)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기초하여 제 2금종판별부(73)에 의해서 판별된 금종을 갖는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독출하며, 제 2기준데이터메모리(51)로부터 독출된 기준색도데이터와 기준명도데이터를 경화(1)의 산출된 색도데이터 및 명도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가 소정레벨보다 더 파손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경화파손도판별부(72)는 경화(1)가 소정레벨보다 더 파손되었다고 판정할 때, 파손판별신호를 금종/수용가능판별부(56)로 입력한다. 이와 동시에, 경화파손도판별부(52)는 파손판별신호를 표시부(58)로 입력하며, 경화(1)가 소정레벨보다 더 파손되었음을 표시한다.
한편, 중심좌표결정부(74)는 직교좌표계 즉, x-y좌표계에 전개, 기억되고,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70)에 기억된 화상형태데이터의 중심좌표를 판정하며, 중심좌표를 2치화 데이터생성부(75)로 출력한다. 2치화 데이터생성부(75)는 화상형태데이터메모리(70)에 전개되고 기억된 경화(1)상측표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독출하며, 그들을 이치화한다. 2치화 데이터생성부(75)는 2치화된 화상형태데이터를 제 2금종판별부(73)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와 중심좌표결정부(74)로부터 입력된 중심좌표신호에 기초하여 경화(1)표면의 다수의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금종의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으로 분류한다. 또한, 2치화 데이터생성부(75)는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각각의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중의 데이터“0”의 총수를 구하고, 전체 데이터에 대한“0”의 비율을 구하며, 경화(1)표면의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2치 화상형태데이터군의 각 데이터비율을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비율을 금종결정부(76)로 출력한다.
금종결정부(76)는 제 2금종판별부(73)로부터 금종판별신호를 수신할 때,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를 억세스하고, 상응하는 금종의 경화 표면과 이면의 기준데이터비율을 제 2금종판별부(73)로부터 입력된 금종판별신호에 따라서 제 3기준데이터메모리(52)에 기억된 기준데이터비율로부터 독출하며, 기준데이터비율을 2치화 데이터생성부(75)로부터 입력된 데이터비율과 비교함으로써, 상술한 제 2판별수단(54)의 금종결정부(66)와 같은 방법으로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한다.
결과적으로, 금종결정부(76)는 경화(1)가 위화이거나 외국경화여서 수용할 수 없다고 판정할 때, 수용불능신호를 표시부(58)로 출력하며, 경화(1)를 수용할수 없음을 표시하도록 한다. 한편, 금종결정부(76)는 경화(1)를 수용할 수 있다고 판정하면, 금종결정신호를 금종/수용가능결정수단(56)으로 출력한다.
금종/수용가능결정수단(56)은 제 1판별수단(53)으로부터 입력되고 경화(1)의 자기적성질에 기초한 금종판별신호와, 제 2판별수단(54)의 금종결정부(66)로부터 입력되고 경화(1)의 직경데이터와 화상형태데이터에 기초한 금종판별신호와, 경화파손도판별부(62)로부터 입력되고 경화(1)의 색도데이터와 명도데이터에 기초한 파손판별신호의 유무와, 제 3판별수단(55)의 금종결정부(76)로부터 입력되고 경화(1)의 직경데이터와 화상형태데이터에 기초한 금종판별신호와, 경화파손도판별부(72)로부터 입력되고 경화(1)의 색도데이터와 명도데이터에 기초한 파손판별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경화(1)를 판별한다. 금종/수용가능결정수단(56)은 제 1판별수단(53)과 제 2판별수단(54)과 제 3판별수단(55)에 의해서 판정된 금종들이 서로 일치함을 발견할 때, 경화(1)가 수용가능하다고 판별한다. 한편, 금종들이 서로 일치하지 않을 때, 금종/수용가능결정수단(56)은 경화(1)가 위화이거나 외국경화여서 수용할 수 없다고 판정하며, 수용불능신호를 표시수단(58)으로 출력하여 경화(1)가 수용될 수 없음을 표시하도록 한다. 특히, 예를 들면, 제 2판별수단(54)이 경화(1)하면의 형태데이터가 어떤 금종의 경화표면의 기준형태와 일치한다고 판별하며, 제 3판별수단(55)이 경화(1)상측면의 형태데이터가 그 금종경화이면의 기준형태와 일치한다고 판정할 때나 혹은, 유로화가 판별되어야 하는 경우에, 제 2판별수단(54)과 제 3판별수단(55)중의 하나가 공통형태가 경화(1) 일측면에 형성됨을 판별하며, 제 2판별수단(54)과 제 3판별수단(55)중의 다른 하나가 발행국 특유의 형태가 경화(1)의 다른 측면에 형성됨을 판별할 때, 금종/수용가능결정수단(56)은 제 2판별수단(54) 및 제 3판별수단(55)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1)의 금종이 제 1판별수단(53)에 의해서 판정된 경화(1)의 금종과 일치할 때에만 경화(1)가 수용가능하다고 판정하며, 경화(1)가 제 1판별수단(53)과 제 2판별수단(54) 및 제 3판별수단(55)에 의해서 판정된 금종의 경화라고 판정한다. 그렇지 않으면, 금종/수용가능결정수단(56)은 경화(1)가 수용불능 경화라고 판정한다.
이와 같이, 수용불능으로 판별된 경화는 선별되어서 수용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로부터 별개로 회수된다. 더우기, 경화가 수용가능하다고 판별되었을 때 조차도 그 표면중의 적어도 하나가 소정레벨보다 더 파손되었다고 판별될 때, 수용가능으로 판별된 경화로부터 별개로 회수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 부분에서, 경화(1)는 반송벨트(6)에 의해서 경화통로부재(3)에 형성된 제 1투명통로부(9)의 상측면에 눌려지는 동안에 반송되고, 경화통로부재(3)아래에 배치된 발광소자(20)로부터 방출된 빛과함께 제 1투명통로부(9)를 거쳐 조사되며, 경화(1)하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컬러센서(2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됨으로써, 경화(1)하면의 형태데이터를 생성한다. 더우기, 경화(1)는 그 하면이 경화통로부재(3)에 형성된 개구부(7a)로부터 경화통로부재(3) 위로 돌출되어 배치된 반송벨트(7)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는 동안에 반송되어 반송벨트(7)위에 제공된 경화통로형성부재(8)의 하면으로 눌려지며 경화통로형성부재(8) 위에 배치된 발광소자(30)로부터 방출된 빛과 함께 경화통로형성부재(8)에 형성된 제 2투명통로부(10)를 거쳐 조사되며, 경화(1)의 상측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컬러센서(3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됨으로써, 경화(1) 상측면의 형태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화(1)가 반송되고 있는 동안에 바람직한 방법으로 경화(1) 양면의 광학형태를 검출하는 것과, 이렇게 얻어진 경화(1) 양면의 형태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경화(1)의 금종 및 경화(1)의 파손도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화(1) 양면의 형태는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 검출된다. 그러므로, 한면은 공통형태가 형성되고 다른면은 발행국에 따라서 다른형태가 형성되는 유로화와 같은 경화들을 필요에 따라 각 발행국의 경화들로 선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경화(1)양면의 형태가 경화(1)가 소정레벨보다 더 파손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서 검출되기 때문에, 파손된 경화로서 그 한면이 소정레벨보다 더 파손된 경화를 확실하게 판별하고 그것을 회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 1판별수단(53)은 자기센서(12, 12)에 의해서 검출된 경화(1)의 자기적성질에 기초하여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하고, 제 2판별수단(54)의 제 1금종판별부(61)는 경화(1)의 직경에 기초하여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하며, 제 2판별수단(54)의 제 2금종판별부(63)는 제 1판별수단(53)과 제 2판별수단(54)의 제 1금종판별부(61)의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경화(1)의 금종을 시험적으로 판정한다. 제 2판별수단(54)의 금종결정부(66)는 경화(1)의 형태데이터를 제 2판별수단(54)의 제 1금종판별부(61)에 의해서 판정된 금종 경화의 기준데이터하고만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하며, 제 3판별수단(5)은 제 2판별수단(54)과 같은 방법으로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한다. 결국, 경화(1)가 수용가능한지의 여부와 경화(1)의 금종은 제 1판별수단(53)과 제 2판별수단(54) 및 제 3판별수단(55)에 의한 판별결과에 기초하여 판별된다. 그러므로, 경화(1)의 형태데이터를 전체 금종 경화의 기준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판별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하여 경화를 판별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경화(1)의 금종을 매우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게다가, 상기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화(1)를 구성하는 재료의 광반사율이 낮을 때, 경화(1)를 조사하는 발광소자(20, 30)로부터 방출된 빛의 양이 증가하며, 경화(1)를 구성하는 재료의 광반사율이 높을 때, 경화(1)를 조사하는 발광소자(20, 30)로부터 방출된 빛의 양이 감소하는 것과 같은 제어가 일어난다. 결과적으로, 재료에 관계없이, 즉, 경화(1)가 높은 광반사율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든 낮은 광반사율을 갖는 재료로 만들어지든지 경화(1)의 표면형태에 따라서 2치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경화(1)의 금종과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또한, 경화(1)의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각 형태데이터군중의 데이터“0”의 비율을 산출하여 얻어진 데이터와 미리 얻은 기준데이터비율을 비교함으로써 경화(1)의 금종 및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가 판정된다. 그러므로, 경화(1)가 기준위치에 대하여 회전되어 있는 경우조차도 기준형태데이터와 비교하기 위해서 경화(1)의 형태데이터를 회전시키지 않고 경화(1)의 금종과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를 더 짧은 시간내에 판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경화분별장치의 세로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경화판별장치에서, 경화통로부재(3)는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의 상류측부분으로부터 그 하류측부분까지 연장된 영역에 걸쳐서 절단되며, 경화통로부재(3)의 상측표면상에 배치되기 위해서 반송벨트(7)가 제공된다. 그러므로, 경화통로부재(3)의 하측면이 그 상측면에 의해서 지지되는 동안에 반송벨트(6)에 의해서 반송되는 경화(1)는 그 하측면이 반송벨트(7)에 의해서 지지되는 동안에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로 보내진다.
경화(1) 상측면의 형태데이터가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에 의해서 검출될 때, 경화(1)는 반송벨트(39)에 의해서 경화통로부재(3)의 상측면으로 눌려지는 동안에 경화통로(2)내의 하류측으로 보내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 부분에서, 경화(1)는 반송벨트(6)에 의해서 경화통로부재(3)에 형성된 제 1투명통로부(9)의 상측면에 눌려지는 동안에 반송되고, 경화통로부재(3)아래에 배치된 발광소자(20)로부터 방출되며 제 1투명통로부(9)를 거쳐 조사되며, 경화(1)하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컬러센서(2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됨으로써, 경화(1)하면의 형태데이터를 생성한다. 더우기, 경화(1)는 경화통로부재(3)로부터 반송벨트(7)위로 운반되고, 그 하면이 반송벨트(7)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는 동안에 반송되어 반송벨트(7)위에 제공된 경화통로형성부재(8)의 하면으로 눌려지며 경화통로형성부재(8) 위에 배치된 발광소자(30)로부터 방출되고 경화통로형성부재(8)에 형성된 제 2투명통로부(10)를 거쳐 조사되며, 경화(1)의 상측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은 컬러센서(34)에 의해서 광전적으로 검출됨으로써, 경화(1) 상측면의 형태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경화(1)가 반송되고 있는 동안에 바람직한 방법으로 경화(1) 양면의 광학형태를 검출하는 것과, 이렇게 얻어진 경화(1) 양면의 형태데이터에 기초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경화(1)의 금종 및 경화(1)의 파손도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도시 및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경화(1)의 금종 및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는 경화(1)양면의 형태를 광전적으로 검출하고 각 환형영역에 상응하는 각 형태데이터군중의 데이터“0”의 비율을 산출하여 얻어진 데이터비율과 미리 판정된 기준데이터비율을 비교함으로써 판별된다. 그러나, 대신에 미국특허 제 5,538,12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x-y좌표계에 전개 및 기억된 경화(1) 각 면의 형태데이터를 r-θ좌표계로 전개함에 따라서 경화(1) 각면의 r-θ좌표형태데이터를 생성하고 그것들과 r-θ좌표계로 전개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각 금종 경화의 기준형태데이터사이의 형태매칭이 일어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경화(1)의 금종 및 경화(1)양면의 파손도는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와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에의해서 판별된다. 그러나, 일본특허출원번호 11-118277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의 컬러센서(24)대신에 단색형 CCD를 사용하고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5)의 컬러센서(34)대신에 단색형 CCD를 사용함으로써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하는 것과,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 하류측의 경화통로(2)에서 경화(1)상측면의 파손도를 판별하기 위한 제 1경화파손도판별장치와 경화(1)하측면의 파손도를 판별하기 위한 제 2경화파손도판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경화(1)의 파손도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제 1경화파손도판별장치 부분을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 부분과 유사하게 구성하여 경화통로(2)의 하측면을 구성하는 경화통로부재(3)에 제 3투명통로부를 형성함으로써 경화(1)는 경화통로부재(3) 위에 제공된 반송벨트에 의해서 경화통로부재(3)의 상측면으로 눌려지는 동안에 반송되며, 제 3투명통로부 아래에, 제 3투명통로부를 거쳐서 경화(1) 하측면으로 백색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색광원과 상기 백색광원으로부터 방출되고 경화(1)의 하측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검출하기 위한 단일소자형 컬러센서를 제공하는 것과, 제 2경화파손도판별장치 부분을 구성하여 경화통로부재(3)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제공된 반송벨트나 경화통로부재(3)가 절단된 부분에 제공되고 경화통로부재(3)의 상측면 위로 배치되는 반송벨트에 의해서 경화(1)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반송벨트위에 제공된 경화통로형성부재(8)에 제 4투명통로부를 형성하며, 경화통로형성부재(8)의 하측면으로 경화(1)를 누름으로써 반송하며, 제 4투명통로부 위에, 제 4투명통로부를 거쳐서 경화(1) 상측면으로 백색광을 조사하기 위한 백색광원과 상기 백색광원으로부터 방출되고 경화(1)의 하측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검출하기 위한 단일소자형 컬러센서를 제공하는 것에 의하여, 경화(1) 각 면의 컬러데이터에 기초한 색도데이터와 명도데이터를 생성하여 그것을 각 금종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 각 면의 파손도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우기, 상술한 실시예에서,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경화(1)의 금종 및 경화(1) 양면의 파손도는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와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에 의해서 판별된다. 그러나, 일본특허출원번호 11-118277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의 컬러센서(24)대신에 단색형 CCD를 사용하고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5)의 컬러센서(34)대신에 단색형 CCD를 사용하여 경화(1)의 수용가능여부와 경화(1)의 금종을 판별하고,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 하류측의 경화통로(2)내에 경화(1) 하측면의 파손도를 판별하기 위해서 광센서를 포함한 제 1경화파손도판별장치가 제공되며, R성분에 상응하는 빛을 방출하기 위한 제 1LED광원과 G성분에 상응하는 빛을 방출하기 위한 제 2LED광원과 B성분에 상응하는 빛을 방출하기 위한 제 3LED광원이 광센서의 주위에 서로 120도씩 떨어져서 배치되고, 경화(1) 상측면의 파손도를 판별하기 위해서 광센서를 포함한 제 2경화파손도판별장치가 제공되며, R성분에 상응하는 빛을 방출하기 위한 제 1LED광원과 G성분에 상응하는 빛을 방출하기 위한 제 2LED광원과 B성분에 상응하는 빛을 방출하기 위한 제 3LED광원이 광센서의 주위에 서로 120도씩 떨어져서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 제 1경화파손도판별장치 부분을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 부분과 유사하게 구성하여 경화통로(2)의 하측면을 구성하는 경화통로부재(3)에 제 3투명통로부를 형성함으로써 경화(1)가 경화통로부재(3) 위에 제공된 반송벨트에 의해서 경화통로부재(3)의 상측면으로 눌려지는 동안에 반송되는 것과, 제 2경화파손도판별장치 부분을 구성하여 경화통로부재(3)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어 제공된 반송벨트나 경화통로부재(3)가 절단된 부분에 제공되고 경화통로부재(3)의 상측면 위로 배치되는 반송벨트에 의해서 경화(1)의 하측면을 지지하며, 반송벨트위에 제공된 경화통로형성부재(8)에 제 4투명통로부를 형성하며, 경화통로형성부재(8)의 하측면으로 경화(1)를 누름으로써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 1경화파손도판별장치 부분의 제 1LED광원, 제 2LED광원, 제 3LED광원과 제 2경화파손도판별장치 부분의 제 1LED광원, 제 2LED광원, 제 3LED광원을 시배분방식으로 각각 작용시키고, 광센서에 의해서 경화(1) 각 면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검출함으로써 생성된 경화(1) 각 면의 R데이터, G데이터 및 B데이터에 기초하여 색도데이터와 명도데이터를 생성하여, 각 금종 경화의 기준색도데이터 및 기준명도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경화(1) 각 면의 파손도를 판별할 수 있다.
게다가, 상술한 실시예에서,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이 경화(1)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의 상류측으로 제공된다고 할지라도,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을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의 상류측으로 꼭 제공할 필요는 없으며,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의 하류측에 제공해도 된다. 유사하게, 제 1경화파손도판별장치와 제 2경화파손도판별장치가 경화통로(2)에서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와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의 하류측에 제공되는 경우에, 제 1경화파손도판별장치가 제 2경화파손도판별장치의 상류측에 제공되거나 제 2경화파손도판별장치가 제 1경화파손도판별장치의 상류측에 제공되어도 된다. 즉, 제 1형태데이터검출장치(4)와 제 2형태데이터검출장치(5)의 위치관계 및 제 1경화파손도판별장치와 제 2경화파손도판별장치의 위치관계를 임의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에서, 각 수단은 반드시 물리적수단일 필요는 없으며, 각 수단의 기능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해서도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한 개 수단의 기능은 두 개 이상의 물리적 수단에 의해서 실현되기도 하며, 두 개 이상의 수단의 기능은 한 개의 물리적 수단에 의해서 실현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경화가 유로화같이 한쪽면에는 공통형태를, 다른쪽 면에는 다른형태를 가질 때 조차도 경화의 수용가능 여부 및 경화의 금종을 매우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경화분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경화가 소정레벨보다 더 파손되었는지의 여부를 매우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경화판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0)

  1. 경화의 하면을 지지하는 경화통로부재와,
    상기 경화통로부재의 위쪽에 설치되며, 상기 경화통로부재와의 사이에 경화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경화통로부재와의 사이에 경화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제 1반송벨트와,
    상기 제 1반송벨트에 의해 상기 경화통로부재 위에서 반송되는 경화의 하면을 향하여 상기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제 1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1광원과,
    상기 제 1광원으로부터 발생되고 상기 경화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1투명통로부를 통하여 광전적으로 수광하며, 상기 경화의 하면의 화상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수광수단과,
    경화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2반송벨트와,
    상기 제 2반송벨트의 위쪽에 설치되며 그 하면과 상기 제 2반송벨트와의 사이에 상기 경화통로를 형성하고, 그 하면과 상기 제 2반송벨트와의 사이에 경화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경화통로형성부재와,
    상기 제 2반송벨트에 의해 지지되면서 반송되는 경화의 상면을 향하여 상기 경화통로형성부재에 형성된 제 2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2광원과,
    상기 제 2광원으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경화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2투명통로부를 통해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상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2수광수단과,
    상기 제 1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형태데이터기록수단과,
    상기 제 2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상면의 화상형태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2형태데이터기록수단과,
    금종마다의 경화의 기준형태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준형태데이터기록수단과,
    상기 제 1형태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상기 경화의 하면의 화상형태데이터와 상기 기준형태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상기 기준형태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제 2형태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상기 경화의 상면의 화상형태데이터와 상기 기준형태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상기 기준형태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경화가 수용가능한지 여부 및 상기 경화의 금종을 판별하는 판별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반송벨트가 상기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개구부(opening)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통로부재가 상기 제 2반송벨트의 영역에서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광원이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광원의 상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광원이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2광원의 하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광수단 및 상기 제 2수광수단이 단색성(monochromatic) 센서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경화통로부재와의 사이에 경화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제 3반송벨트와,
    상기 제 3반송벨트에 의해 상기 경화통로부재 위에서 반송되고 있는 경화 하면을 향하여 상기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제 3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3광원과,
    상기 제 3광원으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경화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3투명통로부를 통하여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수광수단과,
    경화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4반송벨트와,
    상기 제 4반송벨트의 위쪽에 설치되며, 그 하면과 상기 제 4반송벨트와의 사이에 상기 경화통로를 형성하고, 그 하면과 상기 제 4반송벨트와의 사이에서 경화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경화통로형성부재와,
    상기 제 4반송벨트에 의해 지지되면서 반송되고 있는 경화의 상면을 향하여 상기 경화통로형성부재에 형성된 제 4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4광원과,
    상기 제 4광원으로부터 발생되며, 상기 경화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4투명통로부를 통하여 광전적으로 수광하며 상기 경화의 상면의 컬러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4수광수단과,
    상기 제 3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컬러데이터기록수단과,
    상기 제 4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기준컬러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준컬러데이터기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별수단이 상기 제 1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상기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와 상기 기준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상기 기준컬러데이터를 비교하고, 상기 제 2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상기 경화의 상면의 컬러데이터와 상기 기준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상기 기준컬러데이터를 비교하여 상기 경화의 파손정도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광수단 및 상기 제 2수광수단이 단색성(monochromatic) 센서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경화통로부재와의 사이에 경화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제 3반송벨트와,
    상기 제 3반송벨트에 의해 상기 경화통로부재 위에서 반송되고 있는 경화 하면을 향하여 상기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제 3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3광원과,
    상기 제 3광원으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경화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3투명통로부를 통하여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수광수단과,
    경화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4반송벨트와, 상기 제 4반송벨트의 위쪽에 설치되며, 그 하면과 상기 제 4반송벨트와의 사이에 상기 경화통로를 형성하고, 그 하면과 상기 제 4반송벨트와의 사이에서 경화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경화통로형성부재와,
    상기 제 4반송벨트에 의해 지지되면서 반송되고 있는 경화의 상면을 향하여 상기 경화통로형성부재에 형성된 제 4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4광원과,
    상기 제 4광원으로부터 발생되며, 상기 경화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4투명통로부를 통하여 광전적으로 수광하며 상기 경화의 상면의 컬러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4수광수단과,
    상기 제 3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컬러데이터기록수단과,
    상기 제 4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기준컬러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준컬러데이터기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별수단이 상기 제 1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상기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와 상기 기준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상기 기준컬러데이터와를 비교하면서, 상기 제 2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상기 경화의 상면의 컬러데이터와 상기 기준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상기 기준컬러데이터와를 비교하여 상기 경화의 파손정도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광수단 및 상기 제 2수광수단이 단색성(monochromatic) 센서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경화통로부재와의 사이에 경화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제 3반송벨트와,
    상기 제 3반송벨트에 의해 상기 경화통로부재 위에서 반송되고 있는 경화 하면을 향하여 상기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제 3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3광원과,
    상기 제 3광원으로부터 발생하고, 상기 경화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3투명통로부를 통하여 광전적으로 수광하고 상기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3수광수단과,
    경화의 하면을 지지하는 제 4반송벨트와, 상기 제 4반송벨트의 위쪽에 설치되며, 그 하면과 상기 제 4반송벨트와의 사이에 상기 경화통로를 형성하고, 그 하면과 상기 제 4반송벨트와의 사이에서 경화를 지지하여 반송하는 경화통로형성부재와,
    상기 제 4반송벨트에 의해 지지되면서 반송되고 있는 경화의 상면을 향하여 상기 경화통로형성부재에 형성된 제 4투명통로부를 통하여 빛을 발광하는 제 4광원과,
    상기 제 4광원으로부터 발생되며, 상기 경화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빛을 상기 제 4투명통로부를 통하여 광전적으로 수광하며 상기 경화의 상면의 컬러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4수광수단과,
    상기 제 3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를 기록하는 제 1컬러데이터기록수단과,
    상기 제 4수광수단에 의해 생성된 상기 경화의 기준컬러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준컬러데이터기록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별수단이 상기 제 1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상기 경화의 하면의 컬러데이터와 상기 기준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상기 기준컬러데이터와를 비교하면서, 상기 제 2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상기 경화의 상면의 컬러데이터와 상기 기준컬러데이터기록수단에 기록된 경화의 금종마다의 상기 기준컬러데이터와를 비교하여 상기 경화의 파손정도를 판별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반송벨트가 상기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반송벨트가 상기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반송벨트가 상기 경화통로부재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통로부재가 상기 제 4반송벨트의 영역에서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통로부재가 상기 제 4반송벨트의 영역에서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통로부재가 상기 제 4반송벨트의 영역에서 절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광원이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4광원의 상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광원이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4광원의 상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광원이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4광원의 상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광원이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4광원의 하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1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광원이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4광원의 하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광원이 경화의 반송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4광원의 하류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화판별장치.
KR1020000046577A 1999-08-17 2000-08-11 경화판별장치 KR2001003008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230325 1999-08-17
JP23032599A JP3652558B2 (ja) 1999-08-17 1999-08-17 硬貨判別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0081A true KR20010030081A (ko) 2001-04-16

Family

ID=16906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6577A KR20010030081A (ko) 1999-08-17 2000-08-11 경화판별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84865B1 (ko)
EP (1) EP1077434B1 (ko)
JP (1) JP3652558B2 (ko)
KR (1) KR20010030081A (ko)
CN (1) CN1178174C (ko)
DE (1) DE60011353T2 (ko)
HK (1) HK1033490A1 (ko)
TW (1) TW46313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925B1 (ko) * 2005-11-07 2008-07-29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현금거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9596A (ja) * 2000-09-28 2002-04-12 Nippon Conlux Co Ltd 貨幣識別方法及び装置
JP2002324260A (ja) * 2001-04-25 2002-11-08 Nippon Conlux Co Ltd 硬貨識別方法および装置
JP2002324259A (ja) * 2001-04-25 2002-11-08 Nippon Conlux Co Ltd 硬貨識別方法および装置
TW564376B (en) * 2002-07-05 2003-12-01 Sunplus Technology Co Ltd Currency recognition device and the method thereof
JP4113393B2 (ja) * 2002-08-09 2008-07-09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判別方法および装置
JP4176611B2 (ja) * 2003-10-20 2008-11-05 ローレル機械株式会社 硬貨判別方法および装置
JP4921872B2 (ja) * 2006-07-05 2012-04-2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メダル計数機
JP2008090391A (ja) * 2006-09-29 2008-04-17 Ac Holdings Japan Kk コイン選別装置
JP2009005312A (ja) * 2007-06-25 2009-01-0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8708129B2 (en) * 2007-08-17 2014-04-29 Talaris, Inc. Method and system for dust prevention in a coin handling machine
US8210337B2 (en) * 2007-08-17 2012-07-03 Talaris Inc. Method and sensor for sensing coins for valuation
KR100956742B1 (ko) 2008-01-11 2010-05-06 주식회사 디에이테크놀로지 주화의 문양, 색상 및 두께 검사 장치
US20090255776A1 (en) * 2008-04-11 2009-10-15 Nihon Unica Corporation Coin authenticity judging method and device
WO2010007658A1 (ja) * 2008-07-14 2010-01-2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硬貨識別装置及び硬貨識別方法
CN101789146B (zh) * 2009-01-23 2012-09-05 北京凌云光视数字图像技术有限公司 对拍式硬币检查机和硬币检查方法
WO2012036956A1 (en) * 2010-09-15 2012-03-22 Identicoin, Inc. Coin ident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JP2012212222A (ja) * 2011-03-30 2012-11-01 Fujifilm Corp 被写体識別装置、及び硬貨識別装置
CN102207467B (zh) * 2011-04-02 2013-08-07 云南昆船设计研究院 白饼在线检测剔除的方法及装置
JP4943555B1 (ja) * 2011-11-18 2012-05-30 Kpe株式会社 遊技機およびメダルセレクター
JP5474235B1 (ja) * 2013-05-14 2014-04-16 Kpe株式会社 メダルセレクタおよび遊技機
CN103927813B (zh) * 2014-04-24 2016-05-25 中国人民银行印制科学技术研究所 片状材料成像装置及使用该装置的清分机
US10685523B1 (en) * 2014-07-09 2020-06-16 Cummins-Allison Corp.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rocessing batches of coins utilizing coin imaging sensor assemblies
CN106226320B (zh) * 2016-08-30 2023-07-21 南京中钞长城金融设备有限公司 贵金属检查机
JP6819382B2 (ja) * 2017-03-16 2021-01-27 富士電機株式会社 硬貨検銭装置
JP6433093B2 (ja) * 2017-05-08 2018-12-05 ローレル精機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
JP7192424B2 (ja) * 2018-11-16 2022-12-20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硬貨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2360B2 (ja) * 1992-11-13 1998-04-22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貨幣パターン検出装置
DE4314596C1 (de) * 1993-05-04 1994-10-27 Nat Rejectors Gmbh Vorrichtung zum Festlegen von Sensorelementen in elektronischen Münzprüfgeräten
US5729623A (en) * 1993-10-18 1998-03-17 Glory Kogyo Kabushiki Kaisha Pattern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of optimizing mask for pattern recognition according to genetic algorithm
JP3105725B2 (ja) * 1993-12-27 2000-11-06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識別装置
JP3525360B2 (ja) 1994-05-19 2004-05-10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JPH0997363A (ja) * 1995-10-02 1997-04-08 Oki Electric Ind Co Ltd 硬貨撮像装置
JPH10222716A (ja) * 1997-02-04 1998-08-21 Sankyo Seiki Mfg Co Ltd コイン認識装置
JP3652545B2 (ja) * 1999-04-26 2005-05-25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硬貨判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8925B1 (ko) * 2005-11-07 2008-07-29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현금거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84691A (zh) 2001-02-21
EP1077434B1 (en) 2004-06-09
HK1033490A1 (en) 2001-08-31
CN1178174C (zh) 2004-12-01
TW463137B (en) 2001-11-11
JP2001052231A (ja) 2001-02-23
DE60011353T2 (de) 2004-10-07
US6484865B1 (en) 2002-11-26
EP1077434A1 (en) 2001-02-21
DE60011353D1 (de) 2004-07-15
JP3652558B2 (ja)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0081A (ko) 경화판별장치
US6328150B1 (en)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US6412620B1 (en)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US6499581B2 (en) 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JP4113393B2 (ja) 硬貨判別方法および装置
JP3525360B2 (ja) 硬貨判別装置
KR100407460B1 (ko) 지엽류 식별 방법 및 장치
JP3652547B2 (ja) 硬貨判別装置
WO2000041143A1 (en) Coin discriminating device and method
JP5558150B2 (ja) 硬貨処理機用の硬貨判別装置
JP3542223B2 (ja) 硬貨識別装置
JP4176611B2 (ja) 硬貨判別方法および装置
JP2002288664A (ja) 媒体判別装置
JPH0749975A (ja) 硬貨判別装置
JPH09190561A (ja) 紙幣の真贋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226

Effective date: 2005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