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7806A - 아연전기도금 첨가제와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아연전기도금 첨가제와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10017806A KR20010017806A KR1019990033502A KR19990033502A KR20010017806A KR 20010017806 A KR20010017806 A KR 20010017806A KR 1019990033502 A KR1019990033502 A KR 1019990033502A KR 19990033502 A KR19990033502 A KR 19990033502A KR 20010017806 A KR20010017806 A KR 200100178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ditive
- polyethylene glycol
- plating
- aqueous solution
- mixtur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2659 electrodeposit Substances 0.000 title 1
- WPYMKLBDIGXBTP-UHFFFAOYSA-N 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 WPYMKLBDIGXBT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29920001223 polyethylene glycol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2202 Polyethylene glyco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VEXZGXHMUGYJMC-UHFFFAOYSA-M chloride anion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5711 Benzoic ac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0233 benzoic aci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9713 electropl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5246 galvaniz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125000002485 formyl group Chemical group [H]C(*)=O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10001335 Galvanized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1
- 159000000032 aromatic acids Chemical class 0.000 abstract 1
- 239000008397 galvanized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VSCWAEJMTAWNJL-UHFFFAOYSA-K Alumin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l](Cl)Cl VSCWAEJMTAWNJL-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TWRXJAOTZQYOKJ-UHFFFAOYSA-L MgCl2 Chemical compound [Mg+2].[Cl-].[Cl-] TWRXJAOTZQYOKJ-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MWOOGOJBHIARFG-UHFFFAOYSA-N Vanillin Chemical compound COC1=CC(C=O)=CC=C1O MWOOGOJBHIAR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K [O-]P([O-])([O-])=O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WSFSSNUMVMOOMR-UHFFFAOYSA-N formaldehyde Chemical compound O=C WSFSSNUMVMOOM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WCUXLLCKKVVCTQ-UHFFFAOYSA-M potas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K+] WCUXLLCKKVVCT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NLXLAEXVIDQMFP-UHFFFAOYSA-N Ammonium chloride Substances [NH4+].[Cl-] NLXLAEXVIDQMF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DIHJSXYQDMJHN-UHFFFAOYSA-L Bar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Ba+2] WDIHJSXYQDMJHN-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71 Poly (ethylene ox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68917 Polyethylene Glycols Drugs 0.000 description 1
- JIAARYAFYJHUJI-UHFFFAOYSA-L Zinc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Zn+2] JIAARYAFYJHUJI-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70 ammon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6 bar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3 base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60 cold rolled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7 final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76 glyca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29 magnesium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DHHCQZDFGDHMP-UHFFFAOYSA-N monochloramine Chemical compound ClN QDHHCQZDFGDHM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22 pa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 polyox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103 potass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64 potass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L sulfate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1 surface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117960 vanil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141 vanill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3/00—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 C25D3/0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 C25D3/22—Electroplating: Baths therefor from solutions of zinc
Abstract
본 발명은 염화물계 아연전기도금욕에 첨가되는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서,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H(OCH2CH2)nOH]와 방향족 산이 포함된 혼합물의 수용액이고,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방향족 산이 혼합된 혼합물을 아연전기도금에서의 첨가제로 염화물계 아연도금욕에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도금층의 표면 광택도, 백색도, 전류밀도 및 밀착성이 개선된 아연전기도금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염화물계 아연도금욕에서 도금층의 표면외관(백색도, 광택도), 가공성 및 전류효율이 향상되고 도금 시 전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금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면처리 제품 중에서 아연전기도금재는 도금의 용이성, 비용 및 내식성 등의 측면에서 유리한 점이 많아 가전제품, 건설, 자동차용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판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고전류밀도 도금이 필수적이며, 도장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 도금층의 표면 외관이 우수하여야 한다. 또한, 최종 제품을 위한 실가공이 행하여지는 곳에서 도금층의 박리가 일어나지 않고 양호하게 가공이 되어야 한다.
미국 특허 제4,075,066호에서는 암모니아가 없는 도금욕에서 도금층의 광택과 연성 및 양호한 도금전류의 분포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폴리옥살알킬레이트 나프롬과 하나 이상의 아로매틱카복실산 또는 염을 도금욕에 첨가함으로써 도금재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었다.
미국 특허 제4,146,441호에서는 황산욕에서 도금층의 광택도 개선과 도금 전류 밀도의 범위 확대를 위해 포름알데히드의 혼합물을 첨가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또한, 미국 특허 제4,049,510호에서는 염화물욕에서 아민계 폴리머를 첨가하여 광택도를 개선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미국 특허 제3,855,085호에서는 염화물욕에서 비이온성 폴리옥시에틸렌(nonionic polyoxyethylene)의 첨가에 의하여 표면 광택을 개선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일본 특허 소58-48839호에서는 염화암모늄,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알미늄, 염화바륨, 염화마그네슘 등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도금 조건을 변경하는 방법 등이 제안되었으며, 일본특허 소61-204389호에서는 아미노산과 글리산, 히드록신프로민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광택을 개선시키는 것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아연도금층의 표면외관인 광택 개선에 주로 한정된 것으로 표면 백색도, 밀착성 및 전류 효율 등의 복합적인 품질 향상을 달성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일반적으로, 아연전기 도금욕으로는 염화물욕, 황산염욕, 시안욕 및 중성염욕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중 염화물욕은 전기 전도도가 우수하여 고전류 밀도 도금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염화물욕은 전류 밀도가 증가하면 도금층의 표면 외관이 저하되며, 표면이 거칠게되어 인산염 처리나 도장을 하였을 때 표면이 어둡고 표면 반사인 선염성 등이 불량하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첨가제를 사용하면, 전류효율이 감소하고, 도금밀착성이 불안정하여 가공성이 취약해지는 단점을 수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염화물욕에서 아연 전기 도금 시, 도금욕에 첨가제를 소량 첨가하여도 도금시 수소 발생을 억제하여 전류 효율을 증가시키고, 결정립 형태 및 도금면의 석출 방향성을 변경시켜 표면 외관과 도금층의 밀착성을 개선시킴으로써, 후처리 공정(인산염 처리, 크롬 처리, 도장 처리 등)을 수반되는 아연전기도금 강판 제조 시, 우수한 품질을 얻을 수 있는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H(OCH2CH2)nOH]와 방향족 산이 포함된 혼합물의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서 n의 수가 10 내지 20 범위 또는 20 내지 3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첨가제는 염화물계 아연전기도금욕에 0.05 내지 4.0 ml/l의 농도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 제조 방법은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방향족 산을 중량비로 1:2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물을 수용액에서 10 내지 15 중량 퍼센트를 갖도록 조정하는 단계와, 상기 조정된 수용액에 안식향산을 0.5 내지 4.0 중량 퍼센트로 첨가하는 단계와, 상기 안식향산이 첨가된 수용액에 오바닐린을 0.02 내지 0.1 g/l 첨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염화물계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H(OCH2CH2)nOH]과 안식향산이 포함된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면서, 상온에서 60 ℃의 온도 범위에서 약 300 초 이상 휘저으면서 제조된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적어도 2가지 이상의 n수가 다른 조성들의 중합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n은 10 내지 20 또는 20 내지 30의 성분으로 포함되어야 하고, 그 비는 1:2 내지 1:5를 유지하고, 이들의 성분이 10 내지 15 중량 퍼센트가 되고, 여기에 안식향산을 0.5 내지 4 중량 퍼센트까지 함유된 혼합물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혼합물에 0.02 내지 0.1 g/l 농도의 오바닐린[CH3OC8H3-2-(OH)CHO]을 첨가함으로써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첨가제를 산성 염화물계 아연전기도금욕에 0.05 내지 4.0 ml/l까지 첨가하여 도금을 실시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전류밀도, 표면외관, 가공성이 우수한 아연전기도금 제품을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에서 n의 수가 10 이하인 경우에는 도금 결정립의 미세화 효과가 미약하고, 평탄도가 떨어지며, n의 수가 30 이상인 경우에는 도금층의 백색도 및 광택도 향상 효과가 감소된다.
또한, n의 수를 10 내지 20사이의 성분과 20 내지 30 사이인 경우 성분의 비율을 1:2 내지 1:5으로 한정한 것은 n 수의 하한과 상한을 설정한 이유와 동일하다. 즉, n 수가 많은 성분은 백색도 향상 기능을 나타내고, n의 수가 작은 것은 광택도의 기능을 나타낸다.
이들 혼합물의 수용액 중 농도가 10 중량 퍼센트 이하인 경우에서는 도금결정의 미세화 효과가 적어서 표면이 거칠고 밀착성이 불량하며, 15 중량 퍼센트 이상인 경우에서는 도금층의 백색도 및 광택도가 감소하게 된다.
안식향산이 0.5 중량 퍼센트 이하인 경우에는 표면 외관 개선이 없으며, 4.0 퍼센트 이상인 경우에서는 도금층의 표면에 줄무늬가 발생되어 도금 밀착성이 불량하게 된다.
또한, 오바닐린이 0.02 g/l 이하인 경우에는 도금전류효율 및 광택도 개선이 적으며, 0.1 g/l 이상인 경우에는 밀착성이 불량해진다.
이상과 같이 제조된 첨가제의 도금욕 첨가량이 0.05 ml/l 이하인 경우에서는 도금츠으이 표면 외관(광택도, 백색도), 전류효율 및 밀착성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4.0 ml/l 이상 함유되면 오히려 표면 줄무늬가 발생되고, 도금전류의 효율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난다.
아연전기도금을 행할 때, 상기된 바와 같은 범위의 첨가제를 산성 염화물욕에 첨가하면, 도금층의 광택도, 백색도가 우수하고 도금시 전류효율이 양호하며, 밀착성이 양호하여 가공성이 우수한 도금층을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이 첨가제를 0.5 ml/l 내지 2.0 ml/l의 범위에서 가장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피도금체의 금속 종류, 형상에 관계없이 산성 염화물을 이용하는 아연전기도금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고전류 밀도 도금이 필요한 강판의 연속 아연전기 도금시 우수한 도금 품질을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실시예]
냉연 강판을 소지 금속으로하여 표1에 나타난 도금액 농도 및 도금 조건으로 전기도금을 행한 후 도금강판의 광택도, 백색도, 밀착성 및 전류효율을 측정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도금액의 농도 및 도금조건은 Zn : 100 g/l, Cl : 260 g/l, 도금부착량 : 40 g/m2, 온도 60 ℃, pH : 4.5, 전류밀도 : 100 A/dm2이였다.
도금층의 특성 평가에서 광택도계로 측정된 광택도는 16 이상은 양호, 그 이하는 불량으로 나타내었으며, 색차계로 측정된 백색도는 83 이상은 양호, 그 이하는 불량으로 나타내었다. 전류 효율은 패러데이 법칙에 의한 이론 석출에 대한 전류효율과 대비 실제 석출에 대한 전류 효율 비율의 값에 따라 양호 또는 불량으로 표시하였다. 도금밀착성은 60 ℃에서 노치를 주고 테이프로 박리 시험 후, 도금층의 박리 정도가 무첨가 도금층과의 상대비교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표1의 실시예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첨가제가 본 발명에 따른 한정 범위 이내인 경우에는 양호한 광택도, 백색도, 전류효율 및 밀착성을 나타내어 도금 품질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즉,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 구성 성분에 따라서 표면 광택도, 백색도, 전류효율 및 밀착성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n의 수가 10 이상이면서 30 이내이고, 10 내지 20과 20 내지 30의 비가 1:2 내지 1:5 이내의 범위로서 농도가 10 내지 15 중량 퍼센트를 유지하고, 안식향산의 농도가 0.5 내지 4.0 중량 퍼센트 및 오바닐린이 0.02 내지 0.1 g/l로 구성된 첨가제가 도금욕에 0.05 내지 4.0 ml/l 함유될 때, 도금층의 품질 및 전류밀도가 우수함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틸렌글리콜과 방향족 산이 혼합된 혼합물을 아연전기도금에서의 첨가제로 염화물계 아연도금욕에 첨가함으로써, 우수한 도금층의 표면 광택도, 백색도, 전류밀도 및 밀착성이 개선된 아연전기도금 강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요지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
Claims (5)
- 염화물계 아연전기도금욕에 첨가되는 첨가제에 있어서,상기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H(OCH2CH2)nOH]와 방향족 산이 포함된 혼합물의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는 폴리에틸렌글리콜에서 n의 수가 10 내지 20 범위 또는 20 내지 3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염화물계 아연전기도금욕에 0.05 내지 4.0 ml/l의 농도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
- 폴리에틸렌글리콜[H(OCH2CH2)nOH]과 방향족 산을 중량비로 1:2 내지 1:5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단계와,상기 혼합물을 수용액에서 10 내지 15 중량 퍼센트를 갖도록 조정하는 단계와,상기 조정된 수용액에 안식향산을 0.5 내지 4.0 중량 퍼센트로 첨가하는 단계와,상기 안식향산이 첨가된 수용액에 오바닐린을 0.02 내지 0.1 g/l 첨가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 제조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에서 n의 수가 10 내지 20 범위 또는 20 내지 3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33502A KR100417615B1 (ko) | 1999-08-14 | 1999-08-14 |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33502A KR100417615B1 (ko) | 1999-08-14 | 1999-08-14 |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17806A true KR20010017806A (ko) | 2001-03-05 |
KR100417615B1 KR100417615B1 (ko) | 2004-02-05 |
Family
ID=19607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33502A KR100417615B1 (ko) | 1999-08-14 | 1999-08-14 |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417615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6905B1 (ko) * | 1999-12-28 | 2004-06-23 | 주식회사 포스코 | 전기도금용 도금액 |
KR100851228B1 (ko) * | 2001-12-26 | 2008-08-07 | 주식회사 포스코 | 도금 밀착성과 표면조도가 우수한 전기아연도금욕 첨가제,전기아연도금욕조성, 및 이를 이용한 전기아연도금강판제조방법 |
KR100920601B1 (ko) * | 2002-10-28 | 2009-10-08 | 주식회사 포스코 | 표면외관 및 가공성이 향상되는 염화물계 아연 전기도금욕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산성 염화물계 아연 전기도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연 전기 도금강판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59995B2 (ko) * | 1984-01-23 | 1991-09-12 | Nippon Steel Corp | |
JPS63241194A (en) * | 1987-03-28 | 1988-10-06 | Sumitomo Metal Ind Ltd | Electroplating method for iron and zinc alloy |
JPH0768633B2 (ja) * | 1988-03-16 | 1995-07-26 |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 鉄―亜鉛合金電気めっき鋼材の製造方法 |
KR960003739B1 (ko) * | 1993-10-14 | 1996-03-21 |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 전기아연 도금용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아연 도금방법 |
KR0136173B1 (ko) * | 1994-11-22 | 1998-07-01 | 김만제 | 염화물계 전기아연 도금액의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한 도금액 |
KR0128121B1 (ko) * | 1994-11-22 | 1998-04-16 | 김만제 | 염화물계 아연-철합금 전기도금용액의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한 도금용액 |
KR100370569B1 (ko) * | 1996-05-31 | 2003-05-12 | 주식회사 포스코 | 첨가제가첨가된아연-철합금전기도금용의용액및이를이용한도금강판제조방법 |
KR100290568B1 (ko) * | 1996-12-21 | 2001-06-01 | 이구택 | 밀착성 및 표면외관, 조도가 양호한 전기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
-
1999
- 1999-08-14 KR KR10-1999-0033502A patent/KR10041761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6905B1 (ko) * | 1999-12-28 | 2004-06-23 | 주식회사 포스코 | 전기도금용 도금액 |
KR100851228B1 (ko) * | 2001-12-26 | 2008-08-07 | 주식회사 포스코 | 도금 밀착성과 표면조도가 우수한 전기아연도금욕 첨가제,전기아연도금욕조성, 및 이를 이용한 전기아연도금강판제조방법 |
KR100920601B1 (ko) * | 2002-10-28 | 2009-10-08 | 주식회사 포스코 | 표면외관 및 가공성이 향상되는 염화물계 아연 전기도금욕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산성 염화물계 아연 전기도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연 전기 도금강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417615B1 (ko) | 2004-02-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GB2294472A (en) | Cationic quaternary ammonium polymer additive in alkaline zinc and zinc alloy electroplating baths | |
KR100290568B1 (ko) | 밀착성 및 표면외관, 조도가 양호한 전기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 |
KR100417615B1 (ko) | 아연전기도금용 첨가제 제조 방법 | |
KR0136173B1 (ko) | 염화물계 전기아연 도금액의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한 도금액 | |
KR100321374B1 (ko) | 도금밀착성 및 표면거칠기와 표면외관이 양호한 아연-철 합금도금강판의 제조방법 | |
KR100349150B1 (ko) | 표면품질과도금밀착성이양호한아연-니켈합금전기도금욕의첨가제및이를이용한아연-니켈전기합금도금강판제조방법 | |
KR100979047B1 (ko) | 우수한 도금밀착성, 평탄도 및 표면외관 형성에 유용한전기아연도금용 첨가제,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도금방법 | |
KR100576042B1 (ko) | 표면외관 및 평탄성이 우수한 아연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 |
KR0128121B1 (ko) | 염화물계 아연-철합금 전기도금용액의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한 도금용액 | |
KR960003739B1 (ko) | 전기아연 도금용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아연 도금방법 | |
KR100419658B1 (ko) | 염화물계 아연-철 합금도금용 첨가제 및 이를 함유하는염화물계 아연-철 합금도금용액 조성물 | |
KR100370569B1 (ko) | 첨가제가첨가된아연-철합금전기도금용의용액및이를이용한도금강판제조방법 | |
KR101510559B1 (ko) | 다성분 혼합 선도금액,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도금강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419655B1 (ko) | 아연-니켈 합금전기도금용액을 이용한 아연-니켈 합금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 |
KR101353803B1 (ko) | 아연도금강판용 황산욕 Fe계 전해액 | |
KR100843945B1 (ko) | 광택도, 표면 외관 및 평탄성이 우수한 니켈도금 첨가제,및 이를 첨가한 니켈도금액 및 박 니켈도금이 형성된전기아연도금강판 | |
KR100946117B1 (ko) | 아연전기도금액 및 이로 형성된 도금층을 갖는아연전기도금강판 | |
KR100797331B1 (ko) | 황화물계 아연 전기 도금 첨가제 및 이를 이용한 도금강판의 제조 방법 | |
KR100851228B1 (ko) | 도금 밀착성과 표면조도가 우수한 전기아연도금욕 첨가제,전기아연도금욕조성, 및 이를 이용한 전기아연도금강판제조방법 | |
KR100920601B1 (ko) | 표면외관 및 가공성이 향상되는 염화물계 아연 전기도금욕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산성 염화물계 아연 전기도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아연 전기 도금강판 | |
KR960006597B1 (ko) | 아연-니켈합금 전기도금용액 및 이를 이용한 아연-니켈합금 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 |
KR100940669B1 (ko) | 도금층의 표면외관, 밀착성 및 저온 치핑성이 우수한아연-니켈 합금 전기도금조성물, 도금강판 제조방법 및이에 따라 제조된 아연-니켈 합금전기 도금강판 | |
KR100579410B1 (ko) | 내식성 및 표면경도가 양호한 아연 전기도금강판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염화물욕 아연전기도금용액 | |
KR100373678B1 (ko) | 아연-철합금전기도금용액의첨가제 | |
KR20020047583A (ko) | 내식성 및 평탄성이 우수한 아연전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12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