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3295A -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그 항균 - Google Patents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그 항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3295A
KR20000073295A KR1019990016507A KR19990016507A KR20000073295A KR 20000073295 A KR20000073295 A KR 20000073295A KR 1019990016507 A KR1019990016507 A KR 1019990016507A KR 19990016507 A KR19990016507 A KR 19990016507A KR 20000073295 A KR20000073295 A KR 20000073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 acetate
curcuma
antimicrobial
antimicrobial activity
nag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재관
심재석
백남인
변유량
Original Assignee
황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관 filed Critical 황재관
Priority to KR1019990016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73295A/ko
Priority to PCT/KR2000/000432 priority patent/WO2000067711A1/en
Priority to US10/312,134 priority patent/US6696404B1/en
Priority to AU46176/00A priority patent/AU4617600A/en
Publication of KR2000007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329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그 방법에 의하여 분리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인 조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과 잔소리졸 및 그러한 항균활성물질을 이용한 구강청정제, 치약조성물 및 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항균활성물질은 저분자물질로서 고온에서도 안정하고 종래의 대부분의 항균활성물질에 비하여 유해 구강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성분이어서 부작용이 없으며, 본 발명의 항균활성물질을 함유한 구강청정제, 치약조성물 및 검조성물도 부작용 없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그 항균활성물질 및 그 항균활성물질을 함유한 구강청정제, 치약조성물 및 검조성물{Method for separating material having antibiotic activity from Curcuma xanthorrhiza Roxb., the antibiotic material, and gargling agent, toothpaste composition and gum composition containing the antibiotic material}
본 발명은 충치 및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균들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그 방법에 의하여 분리된 항균활성물질 및 그 항균활성물질을 함유한 구강청정제, 치약조성물 및 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치 및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Actinomyces viscosus), 포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을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그 방법에 의하여 분리된 항균활성물질 및 그 항균활성물질을 함유하여 항균작용이 우수한 구강청정제, 치약조성물 및 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으로 이루어진 무기질 매트릭스인 치아에서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2대 질환은 충치 및 치주질환이다. 이중 충치는 어린이부터 성인까지의 치과질병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발증빈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현재 대한치과의사협회의 보고에 따르면 우리나라 아동의 90% 이상이 치아우식(dental caries)을 경험했으며, 성인들의 80% 이상이 잇몸병을 갖고 있다고 한다.
충치와 치주 질환은 모두 구강내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질병으로 세균, 음식물, 타액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된다. 특히 구강내부는 세균의 발육에 필요한 영양분 및 수분이 음식물, 타액, 치온구액 등에 의하여 계속 공급되고, 타액의 pH가 대략 중성부근에서 유지되며, 구강내의 온도가 37℃ 전후로 유지되고 있어서 미생물이 발육 및 증식하기에 매우 적합한 환경이 된다.
이러한 치아질환을 유발하는 미생물들로는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 포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 등이 있으며, 그중 대표적인 미생물은 구강 내에 존재하는 연쇄구균의 하나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이다.
스트롑토코커스 뮤턴스는 균체외 혹은 균체표층에 글루코실트랜스퍼라아제(glucosyltransferase, 이하 "GTase"라 함)라는 효소를 분비하여 음식물내에 포함된 자당(Sucrose)을 분해하여 포도당과 과당(fructose)을 생성하고 동시에 포도당의 중합체인 불용성 글루칸(glucan)을 치면에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생성된 글루칸에 의해 구강내 다른 미생물들이 치면에 부착함으로써 치면세균막, 즉 플라그(dental plaque)가 형성된다. 형성된 플라그의 내부에서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를 포함한 젖산균이 증식하여 과당을 탄소원으로 젖산을 생성하게 되고, 생성된 젖산이 부착성 글루칸에 포집, 농축된다. 젖산이 농축되면 농축된 고농도의 젖산에 의해 치아표면의 에나멜질이 용해되어 충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각종 균의 증식에 의하여 생성된 물질들과 균의 사체에 의하여 치욕이 용해됨으로써 치주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충치 및 치주 질환을 억제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는 크게스피라마이신(spiramycin), 반코마이신(vancomyci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등의 항생물질을 이용하는 방법, 유기 또는 무기불소에 의하여 충치 및 치주 질환을 유발하는 세균을 억제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항생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은 충치의 예방에는 효과적이지만 항생물질의 사용에 따라 항생물질에 내성을 가지는 균주가 발생할 수 있고 설사, 구토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약용식물 등의 천연물로부터 부작용이 없는 항충치 및 항치주질환 물질을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며, 충치 및 치주 질환을 유발하는 균을 선택적으로 사멸시킬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치주질환예방 및 충치예방 등을 예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구강청정조성물은 충치 및 치주 질환을 유발하는 미생물이 치아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막는데 어느 정도 도움을 준다.
종래의 구강청정조성물로 염화나트륨, 항플라스민제, 알란토인유도체,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한 조성물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강청정조성물을 사용하여 세심하게 칫솔질을 하더라도 치아표면에 부착되는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기에는 불충분하다.
또한 치주질환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염화나트륨은 양치시 세정력 보강을 위해 사용되는 기포제인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기포력을 현저히 감소시키고 그 자체의 고유한 짠맛을 가지고 있어 충분한 청량감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치약조성물(크림치약 또는 가루치약)은 주요성분으로서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감미제, 향료 및 미각조절제, 윤활제, 점결제, 방부제와 약효성분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충치 및 치주 질환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항플라스민제,알란토인유도체, 비타민류, 아미노산류, 식염, 죽염 등을 추가해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항플라스민제, 알란토인유도체, 비타민류, 아미노산류와 같은 단순약효제의 첨가는 사용자의 기호도는 높으나 치주 질환의 예방, 치료효과가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식염이나 죽염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느 정도 치주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효과를 나타내기는 하나 소금성분의 고유한 짠맛으로 인해 사용자의 기호도가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항균성물질을 함유하는 치약조성물은 항균성물질의 특성 때문에 독성, 안정성 면에서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종래의 항균성물질 대부분은 열에 약하고 수용성이라 물에 잘 용해되기 때문에 열 가공이 곤란하고 장기간 안정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것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은, 구리 및 아연 등의 금속과 이들의 염이 강한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 금속 및 염은 금속이온이 쉽게 용출 되어 독성을 나타내므로 치약조성물(크림치약)에 안전하게 배합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검조성물은 검베이스, 실탕분말, 포도당, 전분가수분해물, 글리세린, 향료 및 기타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치아의 미백이나 치아의 보호를 위한 기능성 검조성물에 대해서는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항균활성물질을 포함하는 검조성물에 대해서는 제시되어 있는 것이 거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충치 및 치주질환의 원인이 되는 미생물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 스트립토코커스 소브리누스,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 포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에 대해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 및 정제하여 부작용 없이 식품이나 의약품으로 이용 가능한 항균활성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항균활성물질을 함유하여 항균작용이 우수한 구강청정제, 치약조성물 및 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생균수측정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커큐마 잔소리자 조추출물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커큐마 잔소리자 조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으로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웰확산분석법에 의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정제된 잔소리졸을 TLC 생분석법에 의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정제된 잔소리졸의 구조분석 결과를 보여주는13C-NMR 및1H-NMR 스펙트럼,
도 5는 생균수측정법에 의하여 본 발명의 잔소리졸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조시킨 커큐마 잔소리자를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한 커큐마 잔소리자에 메탄올, 에탄올, 헥산 및 물중 선택된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와; 항균활성물질이 추출된 추출용매층을 분리하는 단계와; 추출용매층에서 추출용매를 제거하는 단계와; 추출용매가 제거된 항균활성물질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구강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진 조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시킨 커큐마 잔소리자를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한 커큐마 잔소리자에 메탄올, 에탄올, 헥산 및 물중 선택된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와; 항균활성물질이 추출된 추출용매층을 분리하는 단계와; 추출용매층에서 추출용매를 제거하는 단계와; 추출용매를 제거한 추출성분과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후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성분만을 추출하는 단계와;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성분이 추출된 에틸아세테이트증을 분리하는 단계와;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는 단계와; 에틸아세테이트가 제거된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분획을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성분의 극성차이에 의하여 분리하여 항균활성물질이 포함된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항균활성물질을 포함한 분획을 아세틸레이션시키는 단계와; 아세틸레이션된 분획을 성분의 극성차이에 따라 분리하여 항균활성물질만을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항균활성물질을 디아세틸레이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구강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진 잔소리졸을 분리하는 방법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시킨 커큐마 잔소리자를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한 커큐마 잔소리자에 메탄올, 에탄올, 헥산 및 물중 선택된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와; 항균활성물질이 추출된 추출용매층을 분리하는 단계와; 추출용매층에서 추출용매를 제거하는 단계와; 추출용매를 제거한 추출성분과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후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성분만을 추출하는 단계와;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성분이 추출된 에틸아세테이트증을 분리하는 단계와;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는 단계와; 에틸아세테이트가 제거된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분획을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성분의 극성차이에 의하여 분리하여 항균활성 물질이 포함된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항균활성물질을 포함한 분획을 아세틸레이션시키는 단계와; 아세틸레이션된 분획을 성분의 극성차이에 따라 분리하여 항균활성물질만을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항균활성물질을 디아세틸레이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된 구강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인 잔소리졸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인 조추출물 또는 잔소리졸을 함유하는 구강청정제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인 조추출물 또는 잔소리졸을 함유하는 치약조성물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인 조추출물 또는 잔소리졸을 함유하는 검조성물에 그 특징이 있다.
커큐마 잔소리자(Curcuma xanthorrhiza Roxb.)는 생강과 식물로서 자바산 심황 등으로 알려진 인도네시아의 전통약용식물로서, 트리글리세라이드 저감작용, 항암특성, 혈청콜레스테롤 저감효과 등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충치 및 치주 질환을 유발하는 구강병원성균에 대한 커큐마 잔소리자의 억제 효과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항균활성을 가지는 조추출물(Crude Extract)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채취하여 건조한 커큐마 잔소리자를 분쇄한다. 분쇄입자가 미세할수록 다음의 추출단계에서 추출 수율이 높아지므로 커큐마 잔소리자의 분쇄할 때에는 분쇄입자의 크기가 미세하도록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쇄한 커큐마 잔소리자에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추출한다. 이때 추출용매로는 여러 가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메탄올, 에탄올, 헥산(Hexane) 또는 물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메탄올, 에탄올, 헥산은 50-100부피% 농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쇄한 커큐마 잔소리자에 상기 추출용매를 혼합할 때 시료 100g당 추출용매 300-1,000㎖의 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용매의 양이 시료 100g당 300㎖보다 적으면 추출되는 항균활성을 가진 성분의 양이 적어 추출수율이 낮아지고 용매의 양이 시료 100g당 1,0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출수율에 비해서 용매의 사용량이 많아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항균활성을 가진 성분은 저분자물질로 고온에서도 안정하므로 추출시 온도조건은 상온에서 130℃ 까지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추출시간은 추출시 온도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1-2일이면 항균활성을 가진 성분이 충분히 추출된다.
추출용매로 추출한 후에는 추출용매층을 분리한다. 이때 추출용매층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여과 또는 원심분리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출용매층을 분리한 후에는 추출용매층에 포함된 추출용매를 제거한다. 이때 추출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추출용매층을 농축하여 추출용매를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과정에 의하여 추출용매를 제거한 시료를 건조하여 시료에 포함된 물을 제거하면 커큐마 잔소리자의 조추출물이 얻어진다.
상기의 과정으로 얻어진 조추출물은 가공하지 않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그 최소저해농도(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가 62.5㎍/㎖로서, 녹차추출물의 카테친류의 최소저해농도인 250-1000㎍/㎖보다 훨씬 낮고 페놀성 물질인 신나믹 알데하이드(Cinnamic aldehyde)의 최소저해농도인 62.5㎍/㎖와 동일한 최소저해농도를 가지는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는 물질이다.
다음은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항균활성을 가지는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의 추출된 시료를 분리하고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건조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조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을 추출한다. 이때 조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는 1:1 - 1:10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틸아세테이트와 혼합하여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이 추출되도록 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만 분리한다. 이러한 추출과정은 2회 이상 반복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층은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한다.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한 후 건조하여 물성분을 제거하면 항균활성을 가진 커큐마 잔소리자의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이 얻어진다.
상기의 과정에 의하여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은 최소저해농도가 31.2㎍/㎖로서 항균활성이 매우 우수하며, 조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에 비해서도 최소저해농도가 1/2로 매우 낮다.
다음으로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항균활성을 갖는 단일물질을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성분을 농축하여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한 후 건조하지 않은 상태의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을 각 성분의 극성차이에 따라 각 성분별로 분리한다. 이때 분리방법으로는 크로마토그래피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크로마토그래피법 중에서도 TLC(Thin Layer Chromatography), HPLC(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세파덱스(Sephadex), 실리카겔(Silica gel)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균활성물질은 비극성물질이므로, 크로마토그래피의 전개용매로는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용매시스템, 헥산과 클로로포름(CHCl3)을 혼합한 용매시스템, 헥산과 벤젠을 혼합한 용매 시스템 등의 비극성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용매시스템은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10:1-20:1의 비율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들에 의하여 분리된 성분 중 항균활성물질이 포함된 분획에는 항균활성을 갖는 물질과 유사한 극성을 갖는 비항균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비항균활성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항균활성물질이 포함된 분획을 아세틸레이션시켜 극성을 변화시킨 후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아세틸레이션된 항균활성을 가지는 단일물질만을 분리함으로써 비항균활성물질을 제거한다.
아세틸레이션시켜 분리한 단일물질을 피리딘(pyridine)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동량의 무수초산(acetic anhydride)을 넣어 상온에서 15시간 이상 반응시킨다.
분리된 단일물질인 항군활성물질은 아세틸레이션된 상태에서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으므로 다시 디아세틸레이션시킨다. 디아세틸레이션시키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아세틸레이션된 물질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용해시키고, 이것을 분획여두에 넣는다. 여기에 물, 5% 염산, 중탄산나트륨(sodium bicarbonate), 염화나트륨(sodium chloride)을 순차적으로 넣어 피리딘과 무수초산을 제거한다. 피리딘과 무수초산을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만을 분리하여 무수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 anhydride)를 넣어 수분을 제거하고 농축시킨다. 이러한 과정에 의하여 항균활성물질은 디아세틸레이션된다.
상기의 과정에 의하여 분리 및 정제된 항균활성을 가진 단일물질을 확인한 결과,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정제된 항균활성성분은 하기 학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잔소리졸(xanthorrhizol)이다.
상기와 같이 분리 및 정제된 항균활성을 가진 단일물질은 그 최소저해농도가 2㎍/㎖로 극히 낮아서 항균활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의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의 최소저해농도값을 공지의 항균활성물질과 비교할 때, 최소저해농도값이 250-1000㎍/㎖인 녹차 추출물인 카테친류, 최소저해 농도값이 62.5㎍/㎖인 페놀성 물질인 신나믹 알데하이드, 최소저해농도값이 4.9㎍/㎖인 강력한 합성 항균활성물질인 클로르헥시딘, 최소저해농도값이 12.5㎍/㎖인 단삼 추출정제물 및 최소저해농도값이 31.3㎍/㎖인 후박피 추출정제물에 비하여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하다.
상기의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한 항균활성물질을 이용한 구강청정제, 치약조성물 및 검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강청정제는 통상적인 구강청정제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연마제, 약효제로서의 불소화합물, 결합제, 기포제, 향료, 감미제, 완충제, 알콜성분 및 기타 성분들을 전부 또는 일부 함유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구강청정제에 항균활성을 가진 항균제로 본 발명의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추출한 조추출물을 첨가하여 구강청정제를 제조한다.
이때 첨가되는 조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구강청정제의 0.001-1.0중량%로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001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항균활성이 낮아지고, 1.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첨가량만 많아질 뿐 항균활성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구강청정제에 항균활성을 가진 항균제로 본 발명의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한 단일항균활성물질인 잔소리졸을 첨가하여 구강청정제를 제조한다.
이때 첨가되는 잔소리졸의 함량은 0.0001-0.1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유는 상기 조추출물의 경우와 동일하다.
잔소리졸은 조추출물에 비해서 항균활성이 훨씬 높으므로 조추출물보다 소량을 첨가해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치약조성물은 통상적인 치약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연마제, 약효제로서의 불소화합물, 결합제, 기포제, 향료, 감미제, 완충제 및 기타 성분들을 전부 또는 일부 함유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치약조성물에 항균활성을 가진 항균제로 본 발명의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추출한 조추출물을 첨가하여 치약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첨가되는 조추출물의 함량은 전체치약조성물의 0.01-5.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01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항균활성이 낮아지고, 5.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첨가량만 많아질 뿐 항균활성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치약조성물에 항균활성을 가진 항균제로 본 발명의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한 단일항균활성물질인 잔소리졸을 첨가하여 치약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첨가되는 잔소리졸의 함량은 0.001-1.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유는 상기 조추출물의 경우와 동일하다.
잔소리졸은 조추출물에 비해서 항균활성이 훨씬 높으므로 조추출물보다 소량을 첨가해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검조성물은 통상적인 검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검베이스, 설탕분말, 포도당, 전분가수분해물, 글리세린, 향료 및 기타 성분들을 전부 또는 일부 함유한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검조성물에 항균활성을 가진 항균제로 본 발명의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추출한 조추출물을 첨가하여 검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첨가되는 조추출물의 함량은 전체 검조성물의 0.001-1.0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001중량% 미만으로 첨가하는 경우에는 항균활성이 낮아지고, 1.0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첨가량만 많아질 뿐 항균활성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검조성물에 항균활성을 가진 항균제로 본 발명의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한 단일항균활성물질인 잔소리졸을 첨가하여 검조성물을 제조한다.
이때 첨가되는 잔소리졸의 함량은 0.0001-0.1중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유는 상기 조추출물의 경우와 동일하다.
잔소리졸은 조추출물에 비해서 항균활성이 훨씬 높으므로 조추출물보다 소량을 첨가해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들에서 특별히 부피%임을 명시하지 않은 %는 중량%를 나타낸다.
(실시예 1-10)
채취하여 풍건한 커큐마 잔소리자를 믹서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커큐마 잔소리자 시료 100g을 메탄올, 에탄올, 헥산 및 물의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때 메탄올, 에탄올 및 헥산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경우에는 각각 50부피%, 75부피%, 100부피%의 메탄올, 에탄올 및 헥산 400㎖를 시료와 혼합하여 상온에서 이틀동안 반복추출하였으며,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한 경우에는 시료를 물 400㎖와 혼합하여 100℃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Whatman) 여과지 제2번을 이용하여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액을 진공회전농축기로 농축하여 용매성분을 제거한 후 동결건조하여 물성분을 제거하여 조추출물을 얻었다.
조추출물의 추출량을 증량하여 초기시료량에 대한 수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추출용매별 항균활성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0에서 제조된 각 조추출물을 디메틸술폭사이드에 용해시켜 0.1% 농도의 시료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료용액을 4㎖씩 테스트 튜브에 넣고 하기의 각 구강병원성균을 함유하는 용액 1㎖씩을 첨가하여 튜브를 흔들어주면서 배양하였다.
24시간동안 배양한 후 각 균의 생균수를 생균수측정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추출물의 열안정성
열안정성측정은 실시예 2에서 제조된 75% 메탄올 조추출물을 각각 60℃, 70℃, 80℃, 90℃ 및 100℃에서 30분동안, 121℃에서 15분동안 각각 열처리한 후 추출물액을 각각의 웰에 0.1㎖씩 점적하여 상온에서 1시간 이상 확산시킨 다음 37℃에서 16시간 이상 배양하는 웰확산분석(well diffusion assay)법을 이용하여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여 항균활성의 감소여부를 관찰하였다.
항균활성의 감소여부를 관찰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60℃에서 121℃까지 열처리를 한 후 항균활성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열처리 후에도 항균활성의 감소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균활성성분은 고온에서도 안정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생균수측정(Viable cell count)법에 의한 조추출물의 살균활성
실시예 2에서 제조된 75부피% 메탄올 조추출물을 디메틸술폭사이드에 용해시켜 0.001%, 0.003%, 0.005% 농도의 시료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료를 37℃에서 각각 1분, 2분, 5분,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순차적으로 10배씩 희석하여 유동플레이트법(pour plate method)을 실시하였고, 이를 37℃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의 그래프에 도시하였다.
도 1의 그래프에서 ◆는 대조구인 디메틸술폭사이드, ■는 0.001% 농도의 시료, ▲는 0.003% 농도의 시료, ×는 0.005% 농도의 시료를 나타낸다.
도 1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균수측정법에 의해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0.005%(50㎍/㎖)일 때 1분 내에 균이 거의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의 살균의 효과라고 보여지며, 다른 약용식물추출물들이 일반적으로 200-1000㎍/㎖의 농도에서 효과적인 저해를 보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저해활성이 매우 우수함을 할 수 있다.
또한 1-2분 사이에 균들이 거의 사멸한다는 것은 상업화의 높은 가능성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는데, 사람들이 평균 3분 내외로 양치질을 한다고 가정했을 때 이 과정중에 균들을 충분히 사멸시킬 수 있다.
(실시예 11)
채취하여 풍건한 커큐마 잔소리자를 믹서로 분쇄하였다. 분쇄한 커큐마 잔소리자 시료 100g을 75부피% 메탄올 400㎖와 혼합하여 상온에서 이틀동안 반복추출하였다. 추출된 시료는 와트만여과지 제2번을 이용하여 여과하므로써 조추출물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75% 메탄올 조추출물을 분획여두에서 각각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각 용매에 대한 용해성성분을 추출하고, 마지막으로 물용해성성분을 얻었다.
각 용매로 2회 반복하여 추출한 후 각 용매층만을 분리한 후 용매성분을 증발시켜 메탄올분획, 에틸아세테이트분획, 부탄올분획, 물분획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4)
용매분획에 따른 항균활성 측정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메탄올분획, 에틸아세테이트분획, 부탄올분획, 물분획의 4가지 분획을 디메틸술폭사이드에 용해시켜 각각 2%, 1%, 0.1%의 농도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료를 웰확산분석법에 의해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4가지 분획중 메탄올분획과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이 항균활성을 나타내며, 부탄올분획과 물분획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분획중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의 항균활성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5)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의 항균활성측정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을 디메틸술폭사이드에 용해시켜 1% 농도의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용액을 제조하고, 이를 10배 희석하여 0.1% 농도의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용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1% 및 0.1% 농도의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용액을 웰확산분석법을 이용하여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대조를 위한 대조구로는 시료가 포함되지 않은 용매인 디메틸술폭사이드를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고, 항균활성을 비교하기 위한 비교구로는 디메틸술폭사이드에 용해된 1% 농도의 녹차추출물용액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1% 및 0.1% 농도의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성분용액, 대조구 및 비교구의 항균활성은 배양후 웰주위에 형성된 저지환(clear zone)의 직경(mm)으로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의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도 2의 사진에서 a는 1% 농도의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성분용액의 항균활성, b는 0.1% 농도의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성분용액의 항균활성, c는 비교구인 1% 농도의 녹차추출물의 항균활성, d는 대조구인 디메틸 술폭사이드의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도 2의 사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웰확산분석법에 의해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인 디메틸술폭사이드는 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시료의 저지환크기는 1%와 0.1%의 농도에서 비슷했으며, 같은 1% 농도에서 녹차추출물과 항균활성을 비교한 결과 시료의 저지환 크기가 더 크게 나타났다.
웰 확산분석법은 시료에 점성이 있을 경우 확산이 되는 정도에 따라서 활성이 변화될 수 있지만 본 시료 및 녹차 추출물은 용액 상태에서 점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기 때문에 저지환의 크기로서 그 활성을 비교할 수가 있었다.
이를 근거로 충치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진 녹차추출물과의 활성 비교에서 조추출물 상태에서도 커큐마 잔소리자의 항균활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6)
조추출물 및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의 최소저해농도값
준비된 시험관들에 혈액평판배지를 각각 1㎖씩 넣고, 처음 시험관에만 2% 농도의 실시예 1의 75% 메탄올 조추출물 및 실시예 2의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을 각각 1㎖ 넣은 다음 순차적으로 2배씩 희석하였다.
이 희석액에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 100㎕를 2×1O5CFU/㎖ 가 되도록 각각의 시험관에 첨가하고 37℃에서 16시간 이상 배양한 후 탁도를 나타내지 않는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한 조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62.5㎍/㎖였으나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의 최소저해농도는 31.2㎍/㎖으로서, 에틸아세테이트분획의 최소저해농도값이 조추출물에 비하여 1/2 정도로 낮게 나타났다.
(실시예 12)
실시예 11에서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용해성 성분을 TLC 플레이트 상에서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10:1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사용하여 분리시키고, 이를 TLC 플레이트 생분석법에 의해 확인하였다.
전개시킨 TLC 플레이트를 건조시켜 용매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고, 미리 준비해둔 고체배지 위에 올려놓은 후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를 함유한 연한천배지를 그위에 덮어 상온에서 건조시켰다. 건조후 37℃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생성되는 저지환의 유무 및 위치에 따라 활성물질의 위치를 확인하였다.
TLC 플레이트 생분석법에 의해 확인된 추출물의 항균활성물질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10:1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사용하여 용매가 전개된 거리와 항균활성물질이 전개된 거리의 비율을 0.2로 조절하고, 실리카겔 칼럼에 로딩한 후 용출(elution)하여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분리된 항균활성물질은 항균활성물질과 비활성물질이 중첩되어 있으므로 아세틸레이션을 실시하여 항균활성물질의 극성을 낮추어 단일물질로 분리하였다. 분리한 후 디아세틸레이션을 거쳐 항균활성을 가진 단일물질을 얻었다.
분리된 단일 물질을 TLC 플레이트 생분석법을 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고, 여기서 B는 정제된 화합물을 분리한 결과를 나타내며, 또한 A 및 B에서 a는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b는 정제된 화합물을 나타낸다.
상기의 방법으로 정제된 항균활성을 가진 단일물질의 분자량을 EI-MS에 의해측정하고,1H-NMR 스펙트럼과13C-NMR 스펙트럼은 각각 400MHz(용매 : CDCl3)에서 측정하였으며, IR에 의해 작용기를 확인하였다.1H-NMR 스펙트럼과13C-NMR 스펙트럼은 도 4에 나타내었다.
이 물질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무색의 오일이고, IR (CDCl3, ν, max) 3402, 2915, 1708, 1620, 1599 cm-1; EI-MS (m/z) 218, 148, 136, 135, 121;1H-NMR (CDCl3, 400 MHz) : 1.18 (3H, d, J=7.1 Hz, H-15), 1.52 (3H, s, H-13), 1.57 (2H, dt, J=7.1, 7.2 Hz, H-8), 1.67 (3H, s, H-12), 1.85 (2H, dt, J=7.0, 7.2 Hz, H-9), 2.20 (3H, s, H-14), 2.59 (1H, qt, J=7.1, 7.1 Hz, H-7), 5.08 (1H, t, J=7.0 Hz, H-10), 6.59 (1H, br s, H-2), 6.66 (1H, br d, J=7.6 Hz, H-6), 7.01 (1H, d, J=7.6 Hz, H-5);13C-NMR (CDCl3, 400 MHz) : 147.16 (s, C-1), 113.50 (d, C-2), 153.51 (s, C-3), 120.86 (s, C-4), 130.74 (d, C-5), 119.42 (d, C-6), 38.98 (d, C-7), 38.32 (t, C-8), 26.10 (t, C-9), 124.48 (d, C-10), 131.39 (s, C-11), 15.31 (q, C-12), 25.67 (q, C-13), 17.64 (q, C-14), 22.34 (q, C-15)이며,1H-NMR 스펙트럼의 시그널에서 방향성 프로톤신호(aromatic proton signal)로부터 2- 또는 3-치환하이드록시-α-커큐멘(2- 또는 3-substituted hydroxy-α-curcumene)을 나타내었다. 또한13C-NMR 신호의 화학시프트(chemical shift)를 비교하여 이 물질에는 1,3,4-치환벤젠링시스템(1,3,4-substituted benzene ring system)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정제된 항균활성성분은 상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가지는 비사볼렌 스켈레톤(bisabolane skeleton) 구조의 세스퀴터페노이드 (sesquiterpenoid)인 잔소리졸(xanthorrhizol)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7)
각 분획의 최소저해농도
실시예 12에서 분리된 성분을 분취한 순서에 따라 분획 1에서 분획 8까지 총 8개의 분획으로 나누어 농축·건조하고, 각각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항균활성성분이 포함된 분획 2를 아세틸레이션시킨 후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10:1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사용하여 실리카겔 칼럼에 다시 로딩한 후 용출하여 항균활성을 가진 단일물질을 얻었고, 이를 다시 디아세틸레이션을 시켜 항균활성을 가진 단일물질 2-I을 얻었다.
준비된 시험관에 혈액평판배지를 각각 1㎖씩 넣고, 정제된 각 분획의 시료 1㎖를 처음 시험관에만 넣은 다음 2배 희석을 수행하여 순차적으로 희석하였다. 여기에 균 100㎕를 2×1O5CFU/㎖가 되도록 각각의 시험관에 첨가하여 37℃에서 16시간 이상 배양한 후 탁도를 나타내지 않는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항균활성물질의 항균활성을 공지의 항균활성물질의 항균활성과 비교하기 위한 비교구로 주로 그람양성 세균의 세포벽에 작용하여 강력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항생물질인 반코마이신을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하였다.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분리된 총 8개 분획의 최소저해농도값을 각각 측정한 결과 분획 2의 최소저해농도값이 7㎍/㎖으로 낮았고, 이를 다시 단일물질로 분리한 물질 2-I의 최소저해농도값을 측정한 결과 최소저해농도값이 2㎍/㎖로 매우 낮았다.
이러한 최소저해농도값은 공지의 우수한 항균활성물질인 반코마이신의 최소 저해농도값보다 조금 높게 나타났으나 항생물질의 부작용을 고려할 때 천연물에서 분리한 본 시료의 유용성이 훨씬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예 8)
생균수측정(Viable cell count)법에 의한 잔소리졸의 살균활성
실시예 12에서 제조된 잔소리졸을 디메틸술폭사이드에 용해시켜 0.0002%, 0.0004%, 0.0008% 농도의 시료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시료를 37℃에서 각각 1분, 2분, 5분,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순차적으로 10배씩 희석하여 유동플레이트법(pour plate method)을 실시하였고, 이를 37℃의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의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도 5의 그래프에 도시하였다.
도 5의 그래프에서 ◆는 대조구인 디메틸술폭사이드, ■는 0.0002% 농도의 시료, ▲는 0.0004% 농도의 시료, ×는 0.0008% 농도의 시료를 나타낸다.
도 5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생균수측정법에 의해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0.0004%(4㎍/㎖)일 때 1분 내에 균이 거의 사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거의 살균의 효과라고 보여지며, 매우 낮은 농도에서 효과적인 저해를 보인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저해활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13-16)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75부피% 메탄올 조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6에 기재된 실시예 13-16의 조성을 지니는 구강청정제를 제조하였다.
조추출물을 1.0, 0.1, 0.01, 0.001%의 4가지 농도로 하여 각각 물 일정량에 녹인 다음 구연산 수용액과 혼합하고, 여기에 ℓ-멘톨을 에탄올에 녹인 후 넣고 섞었다. 글리세린, 삭카린나트륨, 불화나트륨을 일정량의 물에 녹인 후 앞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넣어 혼합하면서 색소, 페퍼민트엣센스, 스피아민트엣센스를 추가하여 물로서 중량을 조정하고, 고르게 혼화시켰다.
(실험예 9)
조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청정제의 항균활성
실시예 13-16에서 제조한 조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청정제가 각각의 농도별로 4㎖씩 함유된 테스트 튜브에 구강병원성균을 함유하는 1㎖ 액을 첨가하고 튜브를 흔들어주면서 배양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균수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13-16의 구강청정제에서 조추출물만을 뺀 구강청정제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강병원성균에 대항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추출물로 제조한 실시예의 구강청정제는 조추출물을 뺀 성분과 비교할 때 충치를 유발하는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조추출물상태에서도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므로 정제물을 대신하여 사용하여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17-20)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75부피% 메탄올 조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8에 기재된 실시예 17-20의 조성을 지니는 크림치약을 제조하였다.
알킬황산나트륨과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카르복실메틸셀룰로즈나트륨과 염화나트륨을 글리세린에 넣어 고르게 분산시키고, 정제수를 혼합하여 묽히면서 혼합하고 나트륨을 첨가하며, 조추출물을 5.0, 1.0, 0.1, 0.01%의 농도로 각각 넣어 재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향료를 넣으면서 진공상태하에서 혼합시켜 크림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O)
조추출물을 함유한 치약조성물의 항균활성
실시예 17-20에서 제조한 조추출물을 함유한 견본크림치약액이 각각의 농도별로 4㎖씩 함유된 테스트 튜브에 구강병원성균을 함유하는 1㎖ 액을 첨가하고 튜브를 흔들어주면서 배양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균수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17-20의 견본크림치약에서 조추출물만을 뺀 견본크림치약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강병원성균에 대항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9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추출물로 제조한 견본크림치약은 조추출물을 뺀 성분과 비교할 때 충치를 유발하는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조추출물상태에서도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므로 정제물을 대신하여 사용하여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21-24)
상기 실시예 2에서 얻어진 75부피% 메탄올 조추출물을 이용하여 하기 표 10에 기재된 실시예 21-24의 조성을 지니는 검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검베이스와 전분가수분해물, 포도당, 글리세린, 설탕분말을 예비 가열한 믹서에 넣어 혼합한 후 믹서의 내부 온도를 55℃로 유지하면서 향료, 정제수 및 조추출물을 1.0, 0.1, 0.01, 0.001%의 농도로 각각 넣은 다음 20분 동안 혼합하고 추출하여 압연하였다.
(실험예 11)
조추출물을 함유한 검조성물의 항균활성
실시예 21-24에서 제조한 조추출물을 함유한 검조성물액이 각각의 농도별로 4㎖씩 함유된 테스트 튜브에 구강병원성균을 함유하는 1㎖ 액을 첨가하고 튜브를 흔들어주면서 배양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균수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21-24의 검조성물에서 조추출물만을 뺀 검조성물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강병원성균에 대항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조추출물로 제조한 실시예의 검조성물은 조추출물을 뺀 성분과 비교할 때 충치를 유발하는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조추출물상태에서도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므로 정제물을 대신하여 사용하여도 효과적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실시예 25-28)
본 발명의 잔소리졸을 이용하여 하기 표 12에 기재된 실시예 25-28의 조성을 지니는 구강청정제를 제조하였다.
잔소리졸을 0.1, 0.01, 0.001, 0.0001%의 4가지 농도로 하여 각각 물 일정 량에 녹인 다음 구연산 수용액과 혼합하고, 여기에 ℓ-멘톨을 에탄올에 녹인후 넣고 섞는다. 글리세린, 삭카린나트륨, 불화나트륨을 일정량의 물에 녹인후 앞에서 제조한 혼합물에 넣어 혼합하면서 색소, 페퍼민트엣센스, 스피아민트엣센스를 추가하여 물로서 중량을 조정하고, 고르게 혼화시킨다.
(실험예 12)
잔소리졸을 함유한 구강청정제의 항균활성
실시예 25-28에서 제조한 잔소리졸을 함유한 구강청정제가 각각의 농도별로 4㎖씩 함유된 테스트 튜브에 구강병원성균을 함유하는 1㎖ 액을 첨가하고 튜브를 흔들어주면서 배양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균수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25-28의 구강청정제에서 잔소리졸만을 뺀 구강청정제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강병원성균에 대항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구강청정제는 잔소리졸을 뺀 성분과 비교할 때 충치를 유발하는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정제물인 잔소리졸의 항균력은 종래의 항균제재와 비교할 때 매우 강력하며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어 제재로의 사용이 매우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29-32)
본 발명의 잔소리졸을 이용하여 하기 표 14에 기재된 실시예 29-32의 조성을 지니는 크림치약을 제조하였다.
알킬황산나트륨과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카르복실메틸셀룰로즈나트륨과 염화나트륨을 글리세린에 넣어 고르게 분산시키고, 정제수를 혼합하여 묽히면서 혼합하고 나트륨을 첨가하며, 잔소리졸을 1.0, 0.1, 0.01, 0.001%의 농도로 각각 넣어 재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향료를 넣으면서 진공상태하에서 혼합시켜 크림 치약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3)
잔소리졸을 함유한 치약조성물의 항균활성
실시예 29-32에서 제조한 잔소리졸을 함유한 견본크림치약액이 각각의 농도별로 4㎖씩 함유된 테스트 튜브에 구강병원성균을 함유하는 1㎖ 액을 첨가하고 튜브를 흔들어주면서 배양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균수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29-32의 견본크림치약에서 잔소리졸만을 뺀 견본크림치약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강병원성균에 대항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5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견본크림치약은 잔소리졸을 뺀 성분과 비교할 때 충치를 유발하는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정제물인 잔소리졸의 항균력은 종래의 항균제재와 비교할 때 매우 강력하며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어 제재로의 사용이 매우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33-36)
본 발명의 잔소리졸을 이용하여 하기 표 16에 기재된 실시예 33-36의 조성을 지니는 검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검베이스와 전분가수분해물, 포도당, 글리세린, 설탕분말을 예비 가열한 믹서에 넣어 혼합한 후 믹서의 내부 온도를 55℃로 유지하면서 향료, 정제수 및 잔소리졸을 0.1, 0.01, 0.001, 0.0001%의 농도로 각각 넣은 다음 20분 동안 혼합하고 추출하여 압연하였다.
(실험예 14)
소리졸을 함유한 검조성물의 항균활성
실시예 33-36에서 제조한 잔소리졸을 함유한 검조성물액이 각각의 농도별로 4㎖씩 함유된 테스트 튜브에 구강병원성균을 함유하는 1㎖ 액을 첨가하고 튜브를 흔들어주면서 배양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생균수를 측정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실시예 33-36의 검조성물에서 잔소리졸만을 뺀 검조성물들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구강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17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7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검조성물은 잔소리졸을 뺀 성분과 비교할 때 충치를 유발하는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높았다.
따라서 정제물인 잔소리졸의 항균력은 종래의 항균제재와 비교할 때 매우 강력하며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는 장점이 있어 제재로의 사용이 매우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은 저분자물질로서 고온에서도 안정하여 어떤 온도에서도 가공처리가 가능하고 성분을 추출할 때 고온에서 추출할 수 있어 추출수율을 높이고 추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조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성분 및 최종 정제된 항균활성성분은 최소저해농도가 종래의 대부분의 항균활성물질에 비하여 크게 낮으면서도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성분이어서 부작용이 없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농도에서 1-2분 사이에 스트렙토코커스 뮤턴스균,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 악티노마이세스 비스코서스, 포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 등의 구강병원성균을 거의 사멸시키므로 사람들이 양치질하는 시간이 평균 3분 내외의 시간에 충분한 항균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기존의 천연물로부터 분리한 성분들이 구강병원성균이 생산하는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는 2차적 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에 반해 본 발명의 항균성분은 균자체를 사멸시키는 1차적인 저해활성을 가지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활성물질을 함유한 구강청정제, 치약조성물 및 검조성물도 부작용없이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낸다.

Claims (11)

  1. 건조시킨 커큐마 잔소리자를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한 커큐마 잔소리자에 메탄올, 에탄을, 헥산 및 물중 선택된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와;
    항균활성물질이 추출된 추출용매층을 분리하는 단계와;
    추출용매층에서 추출용매를 제거하는 단계와;
    추출용매가 제거된 항균활성물질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구강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진 조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탄올, 에탄올 및 헥산은 50-100부피% 농도의 메탄올, 에탄올 및 헥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구강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진 조추출물을 분리하는 방법.
  3. 건조시킨 커큐마 잔소리자를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한 커큐마 잔소리자에 메탄올, 에탄올, 헥산 및 물중 선택된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와;
    항균활성물질이 추출된 추출용매층을 분리하는 단계와;
    추출용매층에서 추출용매를 제거하는 단계와;
    추출용매를 제거한 추출성분과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후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성분만을 추출하는 단계와;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성분이 추출된 에틸아세테이트증을 분리하는 단계와;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는 단계와;
    에틸아세테이트가 제거된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분획을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성분의 극성차이에 의하여 분리하여 항균활성물질이 포함된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항균활성물질을 포함한 분획을 아세틸레이션시키는 단계와;
    아세틸레이션된 분획을 성분의 극성차이에 따라 분리하여 항균활성물질만을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항균활성물질을 디아세틸레이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구강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진 잔소리졸을 분리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크로마토그래피의 전개용매로는 헥산과 에틸아세테이트를 10:1-20:1로 혼합한 용매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구강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진 잔소리졸을 분리하는 방법.
  5. 건조시킨 커큐마 잔소리자를 분쇄하는 단계와;
    분쇄한 커큐마 잔소리자에 메탄올, 에탄올, 헥산 및 물중 선택된 하나의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단계와;
    항균활성물질이 추출된 추출용매층을 분리하는 단계와;
    추출용매층에서 추출용매를 제거하는 단계와;
    추출용매를 제거한 추출성분과 에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한 후 추출하여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성분만을 추출하는 단계와;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성분이 추출된 에틸아세테이트증을 분리하는 단계와;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는 단계와;
    에틸아세테이트가 제거된 에틸아세테이트용해성 분획을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성분의 극성차이에 의하여 분리하여 항균활성물질이 포함된 분획을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항균활성물질을 포함한 분획을 아세틸레이션시키는 단계와;
    아세틸레이션된 분획을 성분의 극성차이에 따라 분리하여 항균활성물질만을 분리하는 단계와;
    분리된 항균활성물질을 디아세틸레이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된 구강병원성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인 하기의 화학식을 갖는 잔소리졸.
  6.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인 조추출물을 0.001- 1.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구강청정제.
  7.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인 조추출물을 0.01-5.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치약조성물.
  8.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인 조추출물을 0.001- 1.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검조성물.
  9.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인 잔소리졸을 0.0001- 0.1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구강청정제.
  10.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인 잔소리졸을 0.001- 1.0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치약조성물.
  11.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분리된 항균활성을 가진 물질인 잔소리졸을 0.0001- 0.1중량%의 함량으로 함유하는 검조성물.
KR1019990016507A 1999-05-08 1999-05-08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그 항균 KR20000073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507A KR20000073295A (ko) 1999-05-08 1999-05-08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그 항균
PCT/KR2000/000432 WO2000067711A1 (en) 1999-05-08 2000-05-08 A process for preparing xanthorrizol from curcuma xanthorriza roxb. and novel uses of the same
US10/312,134 US6696404B1 (en) 1999-05-08 2000-05-08 Antibacterial composition having xanthorrizol
AU46176/00A AU4617600A (en) 1999-05-08 2000-05-08 A process for preparing xanthorrizol from LTiGTcurcuma xanthorrizaLT/iGT roxb. and novel uses of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6507A KR20000073295A (ko) 1999-05-08 1999-05-08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그 항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3295A true KR20000073295A (ko) 2000-12-05

Family

ID=19584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507A KR20000073295A (ko) 1999-05-08 1999-05-08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그 항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7329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470A (ko) * 2002-04-09 2003-10-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충치와 치은염 예방 및 완화용 검 조성물
KR20030089047A (ko) * 2002-05-16 2003-11-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0843845B1 (ko) * 2002-04-09 2008-07-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잔소리졸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227156B1 (ko) * 2010-04-05 2013-01-28 (주)에스.앤.디 구강 항균활성을 갖는 잔소리졸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0470A (ko) * 2002-04-09 2003-10-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충치와 치은염 예방 및 완화용 검 조성물
KR100843845B1 (ko) * 2002-04-09 2008-07-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잔소리졸을 함유하는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030089047A (ko) * 2002-05-16 2003-11-2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위생 증진용 조성물
WO2003097000A1 (en) * 2002-05-16 2003-11-27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Composition for enhancing oral health
KR101227156B1 (ko) * 2010-04-05 2013-01-28 (주)에스.앤.디 구강 항균활성을 갖는 잔소리졸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59509B2 (ja) プロテアーゼ阻害剤
US7214392B2 (en) Process and composition for inhibiting growth of microorganisms
JPH0662408B2 (ja) 抗う蝕及び抗歯周病組成物
JP2848688B2 (ja) 口腔用組成物
KR100492034B1 (ko) 판두라틴 유도체를 함유하는 충치 및 치주염 예방과치료용 항균제 및 구강 조성물
US6696404B1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having xanthorrizol
US20080286213A1 (en) Pharmaceutical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ral diseases
JPH0769886A (ja) 抗う蝕、歯周病剤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JPH09110687A (ja) 抗う蝕及び抗歯周病組成物
KR20000073295A (ko)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항균활성물질을 분리하는 방법, 그 항균
JP2001089385A (ja) 抗う蝕剤
JP2019196329A (ja) 歯周病予防口腔用組成物
KR100296775B1 (ko) 충치균및충치유발효소억제물질및그것을함유하는구강용조성물
KR100691792B1 (ko) 리그난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충치와 치주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구강 조성물
KR20020087225A (ko) 구강 병원성균에 대한 항균제
KR20090088166A (ko) 커큐마 잔소리자로부터 잔소리졸의 제조방법 및항균활성물질
KR101025886B1 (ko) 택사추출물을 함유하는 충치억제용 조성물
JP2001302480A (ja) チコリから活性化合物を溶媒抽出する方法
KR930002725B1 (ko) 구강용 조성물
KR100817599B1 (ko) 치아우식증 예방용 치약조성물
JP4515732B2 (ja) グルコ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プラーク形成抑制剤、抗菌剤、口腔用剤およびう触予防用飲食物
JP2001089386A (ja) 抗う蝕剤
US20080287527A1 (en) Pharmaceuticals for treating or preventing oral diseases
JPS63238014A (ja) 口腔用組成物
JP2001089344A (ja) 抗う蝕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