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1044A -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 Google Patents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1044A
KR20000031044A KR1019980046848A KR19980046848A KR20000031044A KR 20000031044 A KR20000031044 A KR 20000031044A KR 1019980046848 A KR1019980046848 A KR 1019980046848A KR 19980046848 A KR19980046848 A KR 19980046848A KR 20000031044 A KR20000031044 A KR 20000031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ribbon
core
core optica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6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0181B1 (ko
Inventor
이호경
양태수
한호섭
강길례
남도현
김운하
제임스.알.빌랜더
박찬술
이정환
원영준
김희중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 주식회사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폴디러소
한국쓰리엠 주식회사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 주식회사,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폴디러소, 한국쓰리엠 주식회사,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10199800468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0181B1/ko
Publication of KR20000031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1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01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03Optical cables with ribbon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01Optical cables
    • G02B6/4429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rengthening or protecting the cables
    • G02B6/443Protective cove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79Manufacturing methods of optical cables
    • G02B6/4486Protective cov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심광섬유를 단심으로 분배하는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심광섬유 및 단심광섬유상에 구부림응력이 작용하더라도 광섬유심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다심광섬유가 광코드에 인입될 때 외부로 여장되는 다심광섬유상에 비틀림응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설치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리본형 다심광섬유를 삽입하여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로 분기 또는 분배하는 광코드에 있어서, 상하로 분할되고, 분할된 면에는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일측에는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가 인입되는 인입구가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다심광섬유의 심선이 분기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하부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인입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가 인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연질 소재의 인입용 튜브와, 상기 상하 케이스의 배출구쪽 공간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고, 리본형 다심광섬유의 심선이 각기 단심으로 분기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정렬구멍이 형성된 연질 소재의 배출아답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을 적용하면,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는 다심광섬유가 일정 길이 외부로 돌출된 연질 소재의 고정용 튜브와 보호용 튜브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고, 단심광섬유가 케이스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된 연질 소재의 배출아답터에 삽입되어 배출되므로 외부로부터 구부림응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고정용/보호용튜브와 배출아답터가 탄성에 의해 일정하게 구부러지면서 광섬유를 보호하게 되므로 광섬유가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인입구에는 정사각형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용튜브의 외주면에도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도록 정사각형의 플랜지가 마련되어 상기 인입용튜브 내부의 리본형 다심광섬유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결합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 여장된 리본형 다심광섬유상에 비틀림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탄력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본 발명은 다심광섬유를 단심으로 분배하는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다심광섬유 및 단심광섬유상에 구부림응력이 작용하더라도 광섬유심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통신은 빛을 전송하여 정보를 교환하는 것으로, 유리 섬유로 된 광섬유가 매개체가 되어 현재의 동축케이블에 의한 전기 통신에 비해 수만배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외부로부터의 전파 및 자기장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아 정보의 전송상태가 양호하므로 현재 통신분야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그 사용범위는 점점 타분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광섬유는 수백 킬로미터 혹은 그 이상의 거리에 선로를 설치하게 되므로 그 중간에 광섬유의 접속 및 분기가 필요한 경우 스프리터(Splitter), 광섬유 증폭기 혹은 광코드(Connector) 접속방법 또는 융착접속 방법 등이 사용된다.
최근 정보화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보다 많은 광케이블의 선로가 요구되는 데, 최근에는 다수개의 광섬유심선을 띠형상으로 일체화시킨 리본형 다심광섬유가 제작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본형 다심광섬유는 케이블로부터 옥내로 인입되어 시스템에 접속될 경우 다심광섬유를 분기시켜 시스템이나 설비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연결시켜야 하기 때문에 리본형 다심광섬유를 어느 한 지점에서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로 분기시켜야 한다.
따라서, 다심광섬유가 분기되는 지점에는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가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광섬유 분리형 광코드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리본형 다심광섬유(50)는 다수개의 단심광섬유(55)가 서로 인접하게 위치되어 리본형 외피에 의해 둘러싸여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외피를 벗겨내게 되면, 내장된 단심광섬유(55)가 외부로 노출되면서 분기된다.
케이스(60)는 상하로 분리되어 접촉되는 면에 일정한 공간부(64)가 형성되고, 그 공간부(64)의 일측에는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삽입되는 인입구(6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분기된 단심광섬유(55)가 튜브(67)에 끼워져 설치되기 위한 다수개의 정렬구멍(63)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면에는 케이스(60)를 다수개 적층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일정한 밴딩홈(65)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는 리본형 다심광섬유(50)를 인입구(62)로 삽입시킨 후에 공간부(64)에서 리본형 다심광섬유(50)의 피복을 벗겨 각각 단심광섬유(55)로 분기시켜 케이스(60)의 정렬구멍(63)에 배치된 튜브(67) 속으로 단심광섬유(55)를 배출시켜 그 끝단에 단심 광커넥터를 설치하여 각각의 시스템과 연결시킨다.
그리고, 상기 공간부(64)에서 분기된 단심광섬유(55)들이 외력에 의해 파단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공간부에 에폭시(Epoxy)수지(64a)를 주입하여 케이스(60)와 일체로 경화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다심광섬유 분배형 광코드는 에폭시수지(64a)가 경화될 때까지 기다려야 함으로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케이스(60)의 인입구(62)로 진입할 때 수평방향으로만 삽입되기 때문에 여장된 리본형 다심광섬유(50)상에 비틀림응력이 발생되더라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섬유 분배형 광코드에 인입되는 부분과 분배되어 배출된 부분이 외부의 구부림응력에 의해 쉽게 단선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기 광코드에 인입되는 부분과 분배되어 배출된 부분상에 외부의 구부림응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쉽게 단선되지 않도록 보호해 줄 수 있는 다심광섬유 분배형 광코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가 광코드에 인입될 때, 외부로 여장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상에 비틀림응력이 발생되지 않도록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된 다심광섬유 분배형 광코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광섬유 분리형 광코드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의 변형예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의 변형예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에 의해 다심광섬유가 단심광섬유로 분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에 의해 다심광섬유가 단심광섬유로 분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케이스 11 : 하부 케이스
12 : 공간부 13 : 배출구
14 : 고정홈 15 : 인입구
16 : 설치홈 17 : 철부
18 : 요홈 19 : 상부 케이스
20 : 인입용튜브 21 : 고정용튜브
22 : 결합공 26 : 플랜지
27 : 보호용튜브 28 : 삽입공
30 : 배출아답터 33 : 연장부
34 : 걸림턱 35 : 정렬구멍
36 : 단심용튜브 40 : 배출아답터
44 : 걸림턱 45 : 정렬구멍
50 : 리본형 다심광섬유 55 : 단심광섬유
본 발명은 리본형 다심광섬유를 삽입하여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로 분기 또는 분배하는 광코드에 있어서, 상하로 분할되고, 분할된 면에는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일측에는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가 인입되는 인입구가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다심광섬유의 심선이 분기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하부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인입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가 인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연질 소재의 인입용튜브와, 상기 상하 케이스의 배출구쪽 공간부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고, 리본형 다심광섬유의 심선이 각기 단심으로 분기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정렬구멍이 형성된 연질 소재의 배출아답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입용튜브는 내부에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인입구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용튜브와, 내부에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가 인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튜브의 결합공에 끼워져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는 보호용튜브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용튜브의 외주면에 정사각형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인입구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정용튜브의 플랜지가 결합되는 정사각형의 설치홈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의 분할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철부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의 분할면에는 상기 철부와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배출아답터의 정렬구멍 내부에는 일정 길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단심용튜브가 마련되고, 상기 단심용튜브 내부로 분기된 상태의 단심 광섬유 심선이 끼워져 외부로 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변형예는 리본형 다심광섬유를 삽입하여 다수개의 단심광섬유로 분기 또는 분배하는 광코드에 있어서, 상하로 분할되고, 분할된 면에는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일측에는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가 인입되는 인입구가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다심광섬유의 심선이 분기되어 배출되는 배출구가 상기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하부의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인입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가 인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연질 소재의 인입용튜브와, 상기 상하 케이스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출구쪽 공간부에 고정 설치되고, 리본형 다심광섬유의 심선이 각기 단심으로 분기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정렬구멍이 형성된 배출아답터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상기 인입용튜브는 내부에 관통된 결합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인입구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용튜브와, 내부에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가 인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튜브의 결합공에 끼워져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는 보호용튜브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상기 고정용튜브의 외주면에 정사각형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인입구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정용튜브의 플랜지가 결합되는 정사각형의 설치홈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의 분할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철부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상부 케이스 또는 하부 케이스의 분할면에는 상기 철부와 대응되는 요홈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상기 배출아답터의 정렬구멍 내부에는 일정 길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단심용튜브가 마련되고, 상기 단심용튜브 내부로 분기된 상태의 단심 광섬유가 배출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 상기 상하케이스의 배출구 쪽 공간부의 바닥면과 천정면 및 좌우측 벽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어 분기된 단심광섬유에 구부림응력이 작용하게 되면, 배출아답터가 배출구쪽 공간부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면서 구부림응력을 일정하게 완충하도록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0)의 일측 인입구(15)에는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된 연질 소재의 인입용튜브(20)가 설치되고, 반대측 배출구(13)에는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된 연질소재의 배출아답터(30)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0) 상하로 대칭되는 한 쌍의 부재로서 분할된 면에 일정한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인입되는 인입구(15)가 상기 공간부(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분기된 단심광섬유(55)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3)가 상기 공간부(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입구(15) 내주면 중앙부에는 정사각형의 설치홈(16)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후술할 인입용튜브(20)의 플랜지(26)와 결합된다.
상기 배출구(13)쪽 공간부(12)의 양측면에는 일정 깊이의 고정홈(14)이 형성되어 후술할 배출아답터(30)의 걸림턱(34)과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9) 또는 하부 케이스(11)의 분할면에는 다수개의 철부(17)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상부 케이스(19) 또는 하부 케이스(11)의 분할면에는 상기 철부(17)와 대응되는 요홈(18)이 형성되어 상하부의 케이스(11)(19)가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안내해 준다.
인입용튜브(20)는 상기 케이스(10)의 인입구(15)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용튜브(21)와, 상기 고정용튜브(21)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내부의 삽입공(28)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보호용튜브(27)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용튜브(21)는 내부에 직사각형의 결합공(22)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스(10)의 설치홈(16)에 고정 결합되는 정사각형의 플랜지(26)가 마련된다.
상기 보호용튜브(27)는 고정용튜브(21)의 결합공(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인입되는 삽입공(28)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배출아답터(30)는 실리콘 소재로 된 연질부재로서, 선단부 양측면에 상기 케이스(10)의 공간부(12) 양측면의 고정홈(14)에 결합되는 걸림턱(34)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연장부(33)가 일정길이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배출아답터(30)의 내부에는 분기된 상태의 단심광섬유(55)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정렬구멍(35)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출아답터(30)의 정렬구멍(35) 내부에는 일정 길이 외부로 돌출되는 비닐소재의 단심용튜브(36)가 삽입되고, 상기 단심용튜브(36) 내부에는 분기된 상태의 단심광섬유(55)가 끼워져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의 변형예가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변형예는 케이스(10)의 일측 인입구(15)에는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된 연질 소재의 인입용튜브(20)가 설치되고, 반대측에는 케이스(10) 내부의 공간부(12)에 플라스틱 소재로된 배출아답터(40)가 설치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하로 대칭되도록 이루어진 한 쌍의 부재로서 분할된 면에 일정한 공간부(12)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인입되는 인입구(15)가 상기 공간부(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분기된 상태의 단심광섬유(55)가 배출되는 배출구(13)가 상기 공간부(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인입구(15) 내주면 중앙부에는 정사각형의 설치홈(16)이 일정 깊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인입용튜브(20)의 플랜지(26)를 결합하게 된다.
상기 배출구(13)쪽 공간부(12)의 양측면에는 일정 깊이의 고정홈(14)이 형성되어 후술할 배출아답터(40)의 걸림턱(44)을 결합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배출구(13) 쪽 공간부(12)의 바닥면과 천정면 및 좌우측 벽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어 분기된 단심광섬유(55)에 구부림응력이 작용하게 되면, 배출구(13)쪽 공간부(12)에 결합된 배출아답터(40)가 일정하게 유동되면서 구부림응력을 완충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19) 또는 하부 케이스(11)의 분할면에는 다수개의 철부(17)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상부 케이스(19) 또는 하부 케이스(11)의 분할면에는 상기 철부(17)와 대응되는 요홈(18)이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19)와 하부 케이스(11)가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도록 안내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인입용튜브(20)는 상기 케이스(10)의 인입구(15)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용튜브(21)와, 상기 고정용튜브(21)의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내부의 삽입공(28)을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인입되도록 형성된 보호용튜브(27)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용튜브(21)는 내부에 직사각형의 결합공(22)이 관통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케이스(10)의 설치홈(16)에 고정 결합되는 정사각형의 플랜지(26)가 마련된다.
상기 보호용튜브(27)는 고정용튜브(21)의 결합공(22)에 끼워진 상태에서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인입되는 삽입공(28)이 형성된다.
배출아답터(40)는 선단부 양측면에 상기 케이스(10)의 공간부(12) 양측면의 고정홈(14)에 결합되는 걸림턱(44)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끝단부가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케이스(10)의 공간부(12) 내부에 결합된다.
상기 배출아답터(40)의 내부에는 분기된 단심광섬유(55)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정렬구멍(45)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다.
이때, 상기 배출아답터(40)의 정렬구멍(45) 내부에는 일정 길이 외부로 돌출되는 비닐소재의 단심용튜브(36)가 삽입되고, 상기 단심용튜브(36) 내부에는 분기된 상태의 단심광섬유(55)가 끼워져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의 작용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의 변형예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에 의해 다심광섬유가 단심광섬유로 분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에 의해 다심광섬유가 단심광섬유로 분기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는 연질 소재의 배출아답터(30)가 케이스(10)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구부림응력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배출아답터(30)의 연장부(33)가 탄성에 의해 일정하게 구부러지면서 광섬유를 보호하게 되므로 단심광섬유(55)가 쉽게 단선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상기 배출아답터(40)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케이스(10) 내부의 공간부(12)에 설치되므로, 본 발명에서와 같이 배출아답터의 연장부(33)가 구부러지면서 분기된 단심광섬유(55)를 보호하지는 못하지만, 상기 케이스(10)의 배출구(13) 쪽 공간부(12)의 바닥면과 천정면 및 좌우측 벽면이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어 분기된 단심광섬유(55)에 구부림응력이 작용하게 되면, 결합된 배출아답터(40)가 배출구(13)쪽 공간부(12)에서 일정하게 유동되면서 구부림응력을 완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변형예에 대한 조립관계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보호용튜브(27)를 고정용튜브(21)의 결합공(22)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보호용튜브(27)의 삽입공(28)을 통과하여 소정 길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한 후 돌출된 부분의 리본형 다심광섬유(50)의 피복을 벗겨 내부의 단심광섬유(55)를 분기시킨다.
이어서, 상기 배출아답터(30)(40)의 정렬구멍(35)(45)에 단심용튜브(36)를 일정길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한 후 경화제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단심 광섬유(55)가 단심용튜브(36)를 통과하여 일정 길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끼워넣는다.
이와 같이 광섬유를 고정용/보호용튜브(21)(27)와 배출아답터(30)(40)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11) 인입구(15)에 형성된 고정홈(16)상에 고정용튜브(21)의 플랜지(26)가 삽입되도록 결합하고, 배출아답터(30)(40)의 걸림턱(34)(44)이 하부 케이스(11)의 요홈(14)에 삽입되도록 결합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11) 내에 에폭시 수지와 경화제를 주입한 상태에서 상부 케이스를 돌기(17)와 고정홈(18)이 서로 결합되도록 조립한다.
이때, 상기 고정용튜브(21)는 그 외주면의 정사각형 플랜지(26)에 의해 케이스(10)의 정사각형 설치홈(16)에 고정 결합되므로, 외부에 여장된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비틀림응력을 받지 않도록 내부의 리본형 다심광섬유(50)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설치가능하므로,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변형예를 적용하면,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는 상하 케이스로 인입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가 일정 길이 외부로 돌출된 연질 소재의 고정용튜브와 보호용튜브에 삽입된 상태로 설치되므로, 외부로부터 구부림응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고정용튜브와 보호용튜브가 일정하게 구부러지면서 광섬유를 보호하게 되므로, 응력집중에 광섬유심선의 단선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인입구에는 정사각형의 설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용튜브의 외주면에도 상기 설치홈과 대응되도록 정사각형의 플랜지가 마련되어 상기 인입용튜브 내부의 리본형 다심광섬유를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결합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 여장된 리본형 다심광섬유상에 비틀림응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탄력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는 연질 소재의 배출아답터가 상하 케이스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설치되므로 외부에서 구부림응력이 작용하게 되더라도, 상기 배출아답터의 연장부가 탄성에 의해 일정하게 구부러지면서 광섬유를 보호하게 되므로 단심광섬유가 쉽게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예에서는 상기 케이스의 배출구 쪽 공간부의 바닥면과 천정면 및 좌우측 벽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어 분기된 단심광섬유에 구부림응력이 작용하게 되면, 배출구쪽 공간부에 결합된 배출아답터가 일정하게 유동되면서 구부림응력을 완충하게 되므로 단심광섬유가 쉽게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리본형 다심광섬유(50)를 삽입하여 다수개의 단심광섬유(55)로 분기 또는 분배하는 광코드에 있어서,
    상하로 분할되고, 분할된 면에는 일정한 공간부(12)가 형성된 상태에서 일측에는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인입되는 인입구(15)가 상기 공간부(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다심광섬유(50)의 심선이 분기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3)가 상기 공간부(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하부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인입구(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인입되는 삽입공(28)이 형성된 연질 소재의 인입용튜브(20)와;
    상기 케이스(10)의 배출구(13)쪽 공간부(12)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고, 리본형 다심광섬유(50)의 심선이 각기 단심으로 분기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정렬구멍(35)이 형성된 연질 소재의 배출아답터(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용튜브(20)는 내부에 관통된 결합공(22)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의 인입구(15)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용튜브(21)와;
    내부에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인입되는 삽입공(28)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튜브(21)의 결합공(22)에 끼워져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는 보호용튜브(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튜브(21)의 외주면에 정사각형의 플랜지(26)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인입구(15)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정용튜브(21)의 플랜지(26)가 결합되는 정사각형의 설치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9) 또는 하부 케이스(11)의 분할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철부(17)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상부 케이스(19) 또는 하부 케이스(11)의 분할면에는 상기 철부(17)와 대응되는 요홈(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아답터(30)의 정렬구멍(35) 내부에는 일정 길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단심용튜브(36)가 마련되고, 상기 단심용튜브(36) 내부로 분기된 상태의 단심광섬유(55)가 끼워져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6. 리본형 다심광섬유(50)를 삽입하여 다수개의 단심광섬유(55)로 분기 또는 분배하는 광코드에 있어서,
    상하로 분할되고, 분할된 면에는 일정한 공간부(12)가 형성된 상태에서 일측에는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인입되는 인입구(15)가 상기 공간부(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다심광섬유(50)의 심선이 분기되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13)가 상기 공간부(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된 상하부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인입구(15)에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인입되는 삽입공(28)이 형성된 연질 소재의 인입용튜브(20)와;
    상기 케이스(10)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배출구(13)쪽 공간부(12)에 고정 설치되고, 리본형 다심광섬유(50)의 심선이 각기 단심으로 분기된 상태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정렬구멍(45)이 형성된 배출아답터(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용튜브(20)는 내부에 관통된 결합공(22)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10)의 인입구(15)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용튜브(21)와;
    내부에 상기 리본형 다심광섬유(50)가 인입되는 삽입공(28)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용튜브(21)의 결합공(22)에 끼워져 일정길이 외부로 연장되는 보호용튜브(2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튜브(21)의 외주면에 정사각형의 플랜지(26)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10)의 인입구(15) 소정 위치에는 상기 고정용튜브(21)의 플랜지(26)가 결합되는 정사각형의 설치홈(1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9) 또는 하부 케이스(11)의 분할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철부(17)가 형성되고, 대응되는 상부 케이스(19) 또는 하부 케이스(11)의 분할면에는 상기 철부(17)와 대응되는 요홈(1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아답터(40)의 정렬구멍(45) 내부에는 일정 길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단심용튜브(36)가 마련되고, 상기 단심용튜브(36) 내부로 분기된 상태의 단심광섬유(55)가 끼워져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의 배출구(13) 쪽 공간부(12)의 바닥면과 천정면 및 좌우측 벽면은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어 분기된 단심광섬유(55)에 구부림응력이 작용하게 되면, 배출구(13)쪽 공간부(12)에 결합된 배출아답터(40)가 일정하게 유동되면서 구부림응력을 완충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KR1019980046848A 1998-11-02 1998-11-02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KR100290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848A KR100290181B1 (ko) 1998-11-02 1998-11-02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6848A KR100290181B1 (ko) 1998-11-02 1998-11-02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1044A true KR20000031044A (ko) 2000-06-05
KR100290181B1 KR100290181B1 (ko) 2001-05-15

Family

ID=1955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6848A KR100290181B1 (ko) 1998-11-02 1998-11-02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01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0966B1 (ko) * 2000-09-07 2002-08-30 (주)옵토네스트 팬아웃 코드
KR100414845B1 (ko) * 2000-06-23 2004-01-13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광섬유 커넥터
KR100424836B1 (ko) * 2000-06-23 2004-03-27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광섬유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845B1 (ko) * 2000-06-23 2004-01-13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광섬유 커넥터
KR100424836B1 (ko) * 2000-06-23 2004-03-27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광섬유 커넥터
KR100350966B1 (ko) * 2000-09-07 2002-08-30 (주)옵토네스트 팬아웃 코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0181B1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7008B2 (en) Fiber optic connection device with ruggedized tethers
US7146090B2 (en) Fiber optic cable and plug assembly
US7844158B2 (en) Mini drop terminal
US7090406B2 (en) Preconnectorized fiber optic drop cables and assemblies
US20040121646A1 (en) Modified, field installable, field adjustable flexible angled boot for multi-conductor cables and process for installing the same
US11906795B2 (en) Fiber optic connector assembly with crimp tube subassembly and method of use
KR102601966B1 (ko) 광커넥터
KR100290181B1 (ko) 리본형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US20020012504A1 (en) Angled fiber optic connector
KR200230008Y1 (ko) 리본형다심광섬유분리형커넥터
KR200294708Y1 (ko) 다심분리형 광점퍼코드
KR100441661B1 (ko) 팬아웃코드
KR100305377B1 (ko) 다심광섬유 분리형 광코드
EP3206066B1 (en) Preconnectorized optical cable assembly
KR100284877B1 (ko) 광커넥터용기밀체
KR100421429B1 (ko) 다심광섬유 분기형 광코드
KR200267348Y1 (ko) 광케이블용 팬아웃코드
KR20000012853U (ko) 광분배기의 단심코드부 정렬장치
KR20000047122A (ko) 광커넥터 및 그것을 이용한 광섬유 접속 방법
KR20000041185A (ko) 다심분리형 광코드의 단심광섬유 삽입용치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