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342U - 진공 용기 - Google Patents

진공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342U
KR20000000342U KR2019980009712U KR19980009712U KR20000000342U KR 20000000342 U KR20000000342 U KR 20000000342U KR 2019980009712 U KR2019980009712 U KR 2019980009712U KR 19980009712 U KR19980009712 U KR 19980009712U KR 20000000342 U KR20000000342 U KR 2000000034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release button
guide
container
suction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40733Y1 (ko
Inventor
김현민
Original Assignee
김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민 filed Critical 김현민
Priority to KR2019980009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733Y1/ko
Publication of KR200000003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3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7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733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에 있는 물품의 부패 또는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내에 있는 공기를 빼내어 진공 상태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를 덮기 위한 탄성을 갖는 뚜껑이 구비된 진공 용기에 있어서, 대기와 연통되도록 자체의 저면에 뚫어진 제1 통기공을 가지며 상기 뚜껑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요홈, 자체의 상부면에 분리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통기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1 요홈 상에 위치되어 있는 흡착 패드, 및 상기 분리 돌출부를 당기도록 상기 분리 돌출부를 자체 내에 걸기 위한 당김 홀이 형성되어 있는 진공 해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진공 용기
본 고안은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 내에 있는 물품의 부패 또는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내에 있는 공기를 빼내어 진공 상태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진공 용기에 관한 것이다.
반찬 등과 같이 공기 중에 노출될 경우 부패하거나 변질되기 쉬운 물품을 장기간 보존하기 위하여 진공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진공 용기에 있어서의 "진공"의 의미는 용기 내의 공기를 빼낸 상태를 의미하기보다는 주로 외부의 공기가 용기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밀폐"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진공 용기의 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990.10.19일자에 김 한 덕에 의해 출원된 공개번호 제92-7894호에 기재된 "진공용기 및 공기배출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뚜껑(20)이 용기 본체(10)에 체결되어 밀폐된 상태에서 예를 들어 김치와 같은 음식물이 보관되면 김치가 발효되면서 열과 가스가 발생하게 되어 용기의 내부의 밀폐력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보통, 뚜껑(20)이 잘 열리지 않게 되므로 가압 부재(14)를 누르게 된다. 이에 따라 밸브 부재(12)가 하강하면서 용기 본체(10) 내의 공기는 제2 통로(16) 및 이 제2 통로(16)와 연통된 제1 통로(15)를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다음에, 밸브 부재(12)는 스프링(13)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용기 내의 압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뚜껑(20)이 쉽게 열리게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찬 등과 같은 물품을 용기 본체(10) 내에 넣은 후에 초기에 용기 내부의 공기를 빼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공기로 인하여, 또한 반복되는 뚜껑의 개폐로 인한 공기의 유입으로 인하여 용기 내에 보관된 물품을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변질 또는 부패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용기의 뚜껑을 덮고 난 후에 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낼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진공 용기를 제공할 필요성이 있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용기 내에 있는 물품의 부패 또는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 내에 있는 공기를 빼내어 진공 상태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진공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진공 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의 뚜껑을 눌렀을 때 용기 내의 공기가 대기로 방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의 진공 해제 버튼을 눌렀을 때 용기 내로 공기가 다시 들어가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 용기 본체 20: 뚜껑
30: 제1 요홈 32: 제1 통기공
33: 측벽면 34: 힌지 홈
40: 흡착 패드 42: 분리 돌출부
44: 안내 돌출부 50: 탄성 부재
51: 비이드부 60: 진공 해제 버튼
62:제2 요홈 64: 당김 홀
66: 고정구 68: 힌지핀
70: 흡착 패드 가이드 72: 가이드 홀
80: 공기 유도판 82: 제2 통기공
86: 경사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를 덮기 위한 탄성을 갖는 뚜껑이 구비된 진공 용기에 있어서, 대기와 연통되도록 자체의 저면에 뚫어진 제1 통기공을 가지며 상기 뚜껑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요홈, 자체의 상부면에 분리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통기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1 요홈 상에 위치되어 있는 흡착 패드, 및 상기 분리 돌출부를 당기도록 상기 분리 돌출부를 자체 내에 걸기 위한 당김 홀이 형성되어 있는 진공 해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제1 요홈의 내측 측벽면의 서로 대면하는 양 쪽에 힌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홈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한 힌지 핀이 상기 진공 해제 버튼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흡착 패드와 상기 진공 해제 버튼 사이에 상기 진공 해제 버튼을 가압하도록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의 다른 특징은 상기 흡착 패드의 상부 중심에 안내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공 해제 버튼에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에 끼워져 상기 안내 돌출부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홀이 자체의 하측에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된 흡착 패드 가이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의 또 다른 특징은 자체의 하측에 원추형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자체의 중심에는 상기 제1 통기공과 대체로 일치되어 정렬되는 제2 통기공이 형성된 공기 유도판이 상기 제1 요홈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특징들은 도2 내지 도6을 참조로 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다.
도2 및 도3에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가 도시되어 있다. 손잡이(21)에 의해 용기 본체(10)의 걸림편(22)과 결합되는 뚜껑(20)의 상부면에는 제1 요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요홈(30)의 저면에는 제1 통기공(32)이 뚫어져 있고, 자체의 내측 측벽면(33)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1쌍의 힌지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요홈(30)의 하부 외측면에는 공기유도판 착좌홈(38)이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유도판 착좌홈(38)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다. 상기 공기유도판 착좌홈(38)에는 공기 유도판(80)이 끼워져 있다. 상기 공기 유도판(80)의 일측은 상기 공기유도판 착좌홈(38)의 개방된 일측에 끼워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 유도판(80)의 하측면은 용기내의 공기 흡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원추형 경사면(86)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유도판(80)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제1 통기공(32)과 연통되어 정렬되는 제2통기공(82)이 뚫어져 있다. 한편, 제1 요홈(30)의 제1 통기공(32) 주변에는 수 개의 홈(36)이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요홈(3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통기공(32)을 개폐하기 위한 흡착 패드(40)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흡착 패드(40)의 상부 일측에는 분리 돌출부(42)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착 패드(40)의 상부 중심부분에는 안내 돌출부(44)가 형성되어 있다.
흡착 패드(40)의 상부에는 진공 해제 버튼(60)이 위치되어 있다. 상기 진공 해제 버튼(60)에는 당김 홀(64)이 뚫어져 있고, 상기 당김 홀(64)에는 흡착 패드(40)의 분리 돌출부(42)가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진공 해제 버튼(60)의 상부에는 제2 요홈(62)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구(66)가 뚫어져 있다. 진공 해제 버튼(6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제1 요홈(30)의 측벽면(33)에 형성된 1쌍의 힌지 홈(34)에 끼워져 이 힌지홈(34)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1쌍의 힌지핀(68)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진공 해제 버튼(60)의 제2 요홈(62)에는 흡착 패드 가이드(70)가 끼워져 있다. 흡착 패드 가이드(70)의 하측에는 가이드 홀(72)이 원통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홀(72)은 상기 제2 요홈(62)의 고정구(66)에 끼워져 있고, 상기 가이드 홀(72) 내로는 흡착 패드(40)의 안내 돌출부(44)가 안내된다(도4 참조).
진공 해제 버튼(60)과 흡착 패드(40) 사이에는 탄성 부재(50)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50)의 상부는 진공 해제 버튼(60)을 가압하도록 상기 진공 해제 버튼(60)에 접촉되어 있고, 자체의 원통 공간 내부에는 상기 흡착 패드(40)가 수용되어 있으며, 자체의 하부는 제1 요홈(30)의 저면에 접촉되어 있다. 상기 탄성 부재(50)는 적합하게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원통형으로 제작되어 있고 자체의 중심 부분에는 탄성 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자체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축소된 형태의 비이드(bead)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 해제 버튼(60)의 하측에는 탄성 부재 착좌홈(69)이 형성되어 있고, 이 탄성 부재 착좌홈(69) 내에 상기 탄성 부재(50)가 위치되어 있다.
도5는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의 뚜껑을 눌렀을 때 용기 내의 공기가 대기로 방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반찬과 같은 물품을 용기 내에 넣은 다음, 뚜껑(20)을 용기 본체(10)에 닫은 상태에서 뚜껑(20)의 상부면을 손으로 쥐고 누른다. 이에 따라, 뚜껑(20)이 가지고 있는 탄성에 의해 뚜껑(20)이 하부로 눌려지게 된다. 따라서, 용기 내의 공기는 뚜껑(20)이 눌려진 만큼의 공기량이 제2 통기공(82) 및 제1 통기공(32)을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이때, 흡착 패드(40)는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순간적으로 제1 요홈(30)의 저면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흡착 패드(30)가 다시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내려가게 되어 상기 제1 통기공(32)을 막게 된다. 이 상태에서 뚜껑(20)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용기 내부는 대기보다 낮은 압력으로 되고 이에 따라, 흡착 패드(40)는 용기 내부를 강하게 흡착하여 진공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용기 내의 공기를 충분히 방출시킨 후 진공 상태를 유지한다.
도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의 진공 해제 버튼을 눌렀을 때 용기 내로 공기가 다시 들어가는 상태를 나타낸다. 진공 해제 버튼(60)의 일측을 누르면 진공 해제 버튼(60)은 힌지 홈(34)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이에 따라, 당김 홀(64)에 끼워져 있는 흡착 패드(40)의 분리 돌출부(42)는 흡착 패드(40)를 상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흡착 패드(40)가 제1 요홈(30)의 저면으로부터 분리되고 제1 통기공(32)을 통해 대기중의 공기가 용기 내로 유입된다. 이 상태에서 용기의 뚜껑(20)은 용기 본체(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진공 해제 버튼(60)을 누를 때 탄성부재(50)가 눌린 다음, 진공 해제 버튼(60)을 놓으면 탄성 부재(50)는 다시 자체의 본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공기 유도판(80)의 하측에 형성된 원추형 경사면(86)은 공기의 유출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돕는다. 또한, 흡착 패드 가이드(70)의 가이드 홀(720 내에서 안내되는 흡착 패드(40)의 안내 돌출부(44)에 의해 흡착 패드(40)는 자체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적합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기는 반찬과 같은 물품을 용기에 넣은 후에 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빼내어 진공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변질 및 부패시킴이 없이 물품을 장기간에 걸쳐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를 덮기 위한 탄성을 갖는 뚜껑이 구비된 진공 용기에 있어서,
    대기와 연통되도록 자체의 저면에 뚫어진 제1 통기공을 가지며 상기 뚜껑에 형성되어 있는 제1 요홈,
    자체의 상부면에 분리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통기공을 개폐하도록 상기 제1 요홈 상에 위치되어 있는 흡착 패드, 및
    상기 분리 돌출부를 당기도록 상기 분리 돌출부를 자체 내에 걸기 위한 당김 홀이 형성되어 있는 진공 해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요홈의 내측 측벽면의 서로 대면하는 양 쪽에 힌지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 홈을 중심으로 회동하기 위한 힌지 핀이 상기 진공 해제 버튼의 둘레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진공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 패드의 상부 중심에 안내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진공 해제 버튼에 고정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구에 끼워져 상기 안내 돌출부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홀이 자체의 하측에 원통형으로 돌출 형성된 흡착 패드 가이드가 구비되어 있는 진공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체의 하측에 원추형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자체의 중심에는 상기 제1 통기공과 대체로 일치되어 정렬되는 제2 통기공이 형성된 공기 유도판이 상기 제1 요홈의 하부 외측에 구비되어 있는 진공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착 패드와 상기 진공 해제 버튼 사이에 상기 진공 해제 버튼을 가압하도록 탄성 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진공 용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탄성을 갖는 재질로 원통형으로 되어 있고 자체의 중간 부분에 자체의 외경 보다 작은 직경의 비이드부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진공 용기.
KR2019980009712U 1998-06-08 1998-06-08 진공 용기 KR2002407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712U KR200240733Y1 (ko) 1998-06-08 1998-06-08 진공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712U KR200240733Y1 (ko) 1998-06-08 1998-06-08 진공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342U true KR20000000342U (ko) 2000-01-15
KR200240733Y1 KR200240733Y1 (ko) 2001-11-16

Family

ID=6951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712U KR200240733Y1 (ko) 1998-06-08 1998-06-08 진공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7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3002A1 (en) * 2001-01-05 2002-07-11 Sung-Tae Kim Gas exhaust device for food containers
KR20030030860A (ko) * 2002-09-24 2003-04-18 에프. 씨산업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용 밀폐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248B1 (ko) 2006-09-13 2007-11-07 주식회사 락앤락 진공밸브 작동식의 밀폐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53002A1 (en) * 2001-01-05 2002-07-11 Sung-Tae Kim Gas exhaust device for food containers
KR20030030860A (ko) * 2002-09-24 2003-04-18 에프. 씨산업 주식회사 음식물 보관용 밀폐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733Y1 (ko)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45027B2 (en)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EP1506120B1 (en) Hose direct canister lid
KR101161732B1 (ko) 진공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진공 용기
KR20100137135A (ko) 마개 및 이 마개를 갖는 용기
KR200240733Y1 (ko) 진공 용기
KR101742611B1 (ko) 진공용기용 체크밸브
US20230182973A1 (en) Cover and Water Container Using Same
KR101063241B1 (ko) 밀폐가 용이한 진공 용기 뚜껑
AU2003269509A1 (en) Check valve for vacuum packing bags
KR101863201B1 (ko) 진공 텀블러
JPH111279A (ja) 食品容器
CN211845615U (zh) 真空保鲜杯
US20220258933A1 (en) Multi-push button for vacuum food storage container having vacuum valve
KR100606603B1 (ko) 밀폐성이 개선된 진공용기
KR20170076176A (ko) 부압 형성이 가능한 식품보관용기
KR200258608Y1 (ko) 다단식 밀폐형 용기
KR200255232Y1 (ko) 진공보존용기의 공기유출입밸브
KR20160121849A (ko) 립스틱 케이스
KR100607543B1 (ko) 개선된 밸브 구조를 갖는 진공 용기 커버
KR100976335B1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US20190270549A1 (en) Container Having Automatically Opening and Closing Lid
KR101962935B1 (ko) 휴대용 진공 보관용기
KR200255229Y1 (ko) 저장공간의 가변이 가능한 진공보존용기
KR200253340Y1 (ko) 진공용기
KR200269043Y1 (ko) 밀/개폐형 밸브구조를 갖는 식품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