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6707A -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6707A
KR19990086707A KR1019980019819A KR19980019819A KR19990086707A KR 19990086707 A KR19990086707 A KR 19990086707A KR 1019980019819 A KR1019980019819 A KR 1019980019819A KR 19980019819 A KR19980019819 A KR 19980019819A KR 19990086707 A KR19990086707 A KR 19990086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ck
greening
incision surface
planting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주
Original Assignee
허태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태학,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허태학
Priority to KR1019980019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6707A/ko
Publication of KR1999008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6707A/ko

Links

Landscapes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암절개면을 수목으로 항구적으로 녹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부서지지 않을 암절개면 상에 폭이 좁은 식재공을 천공하여 생나무(생나무가지나 어린 묘목)를 넣고 이 생나무에 적합한 흙을 채워서 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본 발명은 암절개면을 수목으로 조기에 그리고 항구적으로 녹화시킬 수 있게 한 암절개면의 녹화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산업화, 레저산업 등의 급격한 발전은 막대한 면적의 토지수요를 유발하고, 이에 따른 자연림의 파괴는 심각한 환경저항을 불러온다. 그럼에도 부지난을 덜기 위해서는 야산개발이 불가피하다. 야산개발시에는 곳곳에 절토면을 발생시킨다. 절토면은 초목의 생활근거를 없애 생태학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하고 주변경관을 해칠 뿐만아니라 폭우 시 사태의 발생가능성을 높이므로 어떤 형태로든 절토면은 조속하고도 효과좋게 치유시켜야 한다. 절토면에 대한 대표적인 치유방법은 녹화이다. 녹화는 빠를수록 좋다.
절토면에 대한 녹화기술도 그간 발전을 거듭해 지금은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 풍화토처럼 모래함량이 높은 절토 경사면이나 성토 경사면은 초본류와 수목의 생장여건에 부합하지 않으나 보비력과 보습력이 우수하고 인장강도가 큰 인공토양을 이용하면 그런대로 녹화목적을 성취할 수 있으나 암절개면은 그 마저도 여의치 못하다.
더구나 절개로 인한 경암반이나 중경암반의 경사면에서의 수목에 의한 녹화는 불능에 가깝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암절개면은 속수무책이다시피 방치되고 있다. 마땅한 녹화대책을 찾지 못한 때문이다. 암절개면은 흉물스럽기도 하거니와 주변의 자연경관과는 너무도 조화롭지 못하다. 이런 이유에서 암절개면에 대한 녹화기술의 개발과 보급은 절실하다.
본 발명은 수목의 생장환경으로서는 생육불능일 정도로 너무 열악한 암절개면을 수목으로 조기에 녹화하여 항구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는 녹화시공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으로, 암절개면에 식재공을 천공하여 생나무가지의 가지꽂이나 묘목을 심고 그 수목에 적합한 흙을 채우고 다져서 암절개면을 녹화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절개된 암경사면을 수목으로 녹화한 경우의 예시도
도 2은 도 1의 A부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경사면 2 : 식재공
3 : 수목 4 : 흙
도 1 및 도 2와 같이 토목공사용 착암기, 암천공기 등으로 암절개면(1)에 식재공(2)을 천공한다. 암절개면(1)은 경암, 중경암, 연암을 통틀어 일컫는다. 식재공(2)은 뒷끝이 약간 처지게 천공한다. 그 이유는 식재공(2)의 윗쪽 암경사면을 타고 흘러내린 빗물이 유입된 후에도 고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식재공(2)에 고인 물은 특히 건기에 식재한 생나무가지나 묘목의 성장에 없어선 안될 소중한 생명원이다. 식재공(2)의 기울기는 식재된 생나무가지나 묘목이 그 위쪽의 토사나 석편이 암절개면 아래로 유실 또는 굴러떨어지는 것을 저지하는 유실억제림으로서의 역할도 겸한다. 식재공(2)의 기울기는 10% 내외가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식재공(2)은 가지꽂이의 경우는 깊게 천공하고 묘목용은 이보다 약간 낮게 천공한다. 가지꽂이용 식재공(2)은 길이 50cm 내외이고 묘목용 식재공(2)은 이보다 짧은 30cm, 지름은 5∼8cm가 적당하다. 또한 식재공(2)의 간격은 바위결, 식재할 수목의 성장 후 규모 등을 참작하여 결정하는데, 1m가 족하다.
식재공(2)에는 식재할 수목의 성장에 적합한 흙(3)을 채우면서 생나무(4)를 심는다. 생나무(4)는 각급적 깊숙이 심되 2,3개의 맹아가 암절개면(1) 밖으로 드러나게 해서 새순돋기, 새잎나기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생나무(4)는 생나무가지와 어린 묘목이다. 가지꽂이에 적합한 생나무로서는 할미밀방(Clematis trichotoma), 으아리(Clematis manshurica vitalrica), 줄딸기(Rubus oldhamii), 댕댕이 덩굴(Cocculus trilobus), 줄사철(Euonymus japonica), 호랑버들(Salix hulteni), 버드나무(Salix koreensis) 등이 있고, 묘목으로는 돌양지(Potentilla dickinsii 또는 P. chinensis),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 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덩굴식물이다. 덩굴식물은 퍼짐성이 좋아 드문드문 심더라도 조기에 암절개면을 뒤덮을 수 있고 적은 양의 생명수로도 잘 자라는 것이 강점이다.
생나무(4)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간헐적 또는 축차적으로 식재하는데, 2종 이상의 수목을 식재할 경우에는 아래의 모식도를 참조하여 실시하면 조경효과가 좋다.
<모식도 1>
Ct Ct Ct Ct Co Ct Ct Ct Ct Co
Ct Ct Ct Co Ct Ct Ct Ct Co Ct
R P Co Ct Ct R P Co Ct Ct
<모식도 2>
Sh Sh Sh Sh Sk Sh Sh Sh Sh Sk
Sh Sh Sh Sk Sh Sh Sh Sh Sk Sh
Sh Sh Sk Sh Sh Sh Sh Sk Sh Sh
Ct : 할미밀방 또는 으아리, R : 줄딸기, Co : 댕댕이 덩굴, E : 줄사철 또는 터리풀, Sh : 호랑버들, Sk : 버드나무, P : 돌양지.
흙(3)은 채운 다음에 잘 다진다. 묘목은 어린 묘목이 생존율이 높고 본가지의 굵기와 뿌리의 성장정도가 심는데 알맞다. 어린 묘목을 심을 적에는 뿌리를 바르게 펴서 식재공(2)에 심고 흙(3)을 채워 서 잘 다진다.
식재 이후 식재공(2)에 우수가 스며들어 고일 때까지 흙(3)의 수분증발을 억제 또는 방지해 수목의 성장을 돕기 위해서 필요하다면 식재공(2)의 입구에 분쇄목을 뿌리거가 접착제(인공토양)를 취부한다. 하지만 이들이 식재공(2)의 입구를 밀봉해서는 안된다. 생명수의 유입이 차단되어 고사될 유려가 있기 때문이다.
암절개면에 식재공을 뚫어 식재한 덩굴성 식물은 식재 후 1년이면 암절개면을 뒤덮을 만큼 성장속도가 아주 빨라 암절개면의 조기녹화, 특히 수목에 의한 항구적인 자연녹화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암절개면으로 흘러내리는 강우의 유속을 늦춰주는 억제림으로서의 역할로써 급격한 암반의 침식억제와 암절개면 위 토사의 유실로 인한 도로, 소단, 초지 등의 보호에도 이롭다.
건조하고 척박한 식재 수목의 생육환경조건으로 미뤄볼 때 여기에 적응할 수 있는 이입식물(건생 비오톱의 조성원)이 출현할 것이 예상되는데, 그 수는 워낙 강한 덩굴성 식물의 저항에 부닥쳐 기생이 여의치 않을 것이므로 사후관리비도 아낄 수 있다.

Claims (3)

  1. 암절개면에 암천공기 등으로 식재공을 천공하고, 식재공에 생나무(생나무가지나 어린 묘목)를 심고 이 생나무에 적합한 흙을 채워 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절개면의 녹화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식재공은 스며든 강우가 고이도록 경사지게 천공하는 암절개면의 녹화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목은 할미밀방(Clematis trichotoma), 으아리(Clematis manshurica vitalrica), 줄딸기(Rubus oldhamii), 댕댕이 덩굴(Cocculus trilobus), 줄사철(Euonymus japonica), 호랑버들(Salix hulteni), 버드나무(Salix koreensis), 돌양지(Potentilla dickinsii 또는 P. chinensis), 터리풀(Filipendula glaberrima)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하는 암절개면의 녹화시공방법.
KR1019980019819A 1998-05-29 1998-05-29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KR19990086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819A KR19990086707A (ko) 1998-05-29 1998-05-29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9819A KR19990086707A (ko) 1998-05-29 1998-05-29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6707A true KR19990086707A (ko) 1999-12-15

Family

ID=65899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819A KR19990086707A (ko) 1998-05-29 1998-05-29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67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792B1 (ko) * 2002-03-22 2004-06-04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경암 절개지의 생물공학적 녹화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3792B1 (ko) * 2002-03-22 2004-06-04 삼성에버랜드 주식회사 경암 절개지의 생물공학적 녹화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57061B (zh) 园林苗木的移植方法
RU2744618C2 (ru) Способ возделывания кив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мещения надземной части киви и субстрат для корневой системы киви
CN103988702B (zh) 一种茶苗黑膜覆盖栽培方法
CN104705059A (zh) 安徽大别山区陡坡乔灌木混交的种植方法
CN108718848A (zh) 园林苗木的移植方法
CN105210679A (zh) 一种樱花嫁接方法
CN111052975A (zh) 一种用于山区丘陵水源地紫穗槐植物篱营建方法
Kithan Indigenous system of Paddy cultivation in Terrace and Jhum fields among the Nagas of Nagaland
Bareja Bamboo production and propagation methods
CN103371087A (zh) 一种短轮伐萌芽林抗旱防冻栽培管理办法
Bainbridge Tree shelters improve establishment on dry sites
Horton Trees and shrubs for erosion control in southern California mountains
KR100500378B1 (ko) 리싸이클링 에코녹화공법
CN113389192B (zh) 一种物理-化学-生物联用固沙结构及方法
Zollner Sand dune stabilization in Central Somalia
Wijeratne et al. Planting and cultivation of tea
KR19990086707A (ko) 경사면의 녹화시공방법
Hill et al. Vetiver grass for erosion control, Hong Kong and Guizhou, China
CN1954663A (zh) 紫穗槐公路边坡阴向护坡方法
CN110622765A (zh) 西藏地区困难立地樟子松引种造林方法
Zobel Chamaecyparis lawsoniana (A. Murr.) Parl. Port-Orford-Cedar
JP2004135520A (ja) 挿し木用穂木、根付き穂木、並びにそれを用いた緑化方法
CN217470885U (zh) 一种嵌入攀缘植物的边坡恢复结构
Wardlaw Observations on the dominance of pteridophytes on some St Lucia soils
Dreesen et al. VEGETATIVE PROPAGATION OF ASPEN, NARROWLEAF COTTONWOOD, AND RIPARIAN TREES AND SHRUBS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