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678A - 콤파운드직물 - Google Patents

콤파운드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2678A
KR19990072678A KR1019990005197A KR19990005197A KR19990072678A KR 19990072678 A KR19990072678 A KR 19990072678A KR 1019990005197 A KR1019990005197 A KR 1019990005197A KR 19990005197 A KR19990005197 A KR 19990005197A KR 19990072678 A KR19990072678 A KR 19990072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mpound fabric
thin film
laminat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5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047B1 (ko
Inventor
디터 그로잇취
엥엘베르트 뢰허
베른하르트 클라인
Original Assignee
볼프강 셰플러, 헤르베르트 몰덴하우어
칼 프로이덴베르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볼프강 셰플러, 헤르베르트 몰덴하우어, 칼 프로이덴베르크 filed Critical 볼프강 셰플러, 헤르베르트 몰덴하우어
Publication of KR19990072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2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0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05Synthetic yarns or filaments
    • D04H3/007Addition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26Spot bonds connect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74Nonwoven fabric with a preformed polymeric film or sheet
    • Y10T442/678Olefin polymer or copolymer sheet or film [e.g., polypropylene, polyethylene, ethylene-butylene copolymer,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합체 재료로 구성되며 접착포(7)와 접착된 박막(5)으로 이루어진 적층물(1)을 포함하는 콤파운드 직물에 관한 것으로, 접착포(7) 및 박막(5)은 공간적으로 분리된 장소에서만 서로 접착되며, 적층물(1)은 상기 적층물의 형성 후에 적어도 한 방향으로 스트레치(stretch)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콤파운드 직물 {COMPOUND FABRIC}
본 발명은 중합체 재료로 구성되며 접착포와 접착된 박막으로 이루어진 적층물을 포함하는 콤파운드 직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식의 콤파운드 직물은 공지되어 있다. 박막은 제조시에 액체 상태로 접착포상에 제공되며, 이 경우 연속적으로 통하는 대응면 접착은 박막을 형성하는 중합체 재료와 접착포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얻어진 콤파운드 직물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두껍고, 물과 수증기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언플렉시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교적 우수한 유연성 및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동시에 팽창이 비교적 적으면서 상대적으로 더 큰 강도를 나타내는, 서문에 언급한 유형의 콤파운드 직물을 개선하는 것이다.
도 1은 콤파운드 직물의 제 1실시예의 횡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콤파운드 직물의 평면도. 본 도면에서 접착 구역은 직선으로 뻗도록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도 3은 도 2와 유사한 콤파운드 직물의 평면도. 본 도면에서 접착 구역은 웰 형태로 진행하도록 형성되며, 서로 평행하게 뻗는다.
도 4는 팽창된 후에 하중이 경감된 콤파운드 직물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적층물 2, 5; 박막
3: 접착 구역 7: 접착포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서문에 언급한 유형의 콤파운드 직물에 의해서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항에서 참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콤파운드 직물에서는, 접착포 및 박막이 서로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공간적으로 분리된 장소에서만 서로 접착되며, 이러한 방식으로 만들어진 형성물은 상기 형성물의 적층 후에 적어도 한 방향으로 스트레치된다. 그럼으로써, 박막 또는 접착포 내부에 필연적으로 균열이 형성될 위험이 없이 적층물의 두께가 현저하게 감소된다. 그에 따라 유연성 및 수증기 투과성도 현저하게 개선된다. 그와 병행하여서, 접착포를 형성하는 섬유의 배향성 뿐만 아니라 박막을 형성하는 고분자의 배향성도 단조 방향에 평행하게 증가되며, 이것은 상기 방향에서의 강도를 상당히 높여준다. 그밖에, 적층물 표면에서의 팽창이 현저하게 확대됨으로써 비용면에서도 표면 수득율이 바람직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콤파운드 직물은 스트레칭이 한 방향으로만 작용하는 경우에 현저하게 개선된 특성을 보여준다. 상응하는 콤파운드 직물은 예를 들어 서로 연속되는 적어도 2쌍의 스트레칭 로울러를 포함하는 스트레칭 장치를 이용하여 매우 간단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적어도 5쌍의 연속 스트레칭 로울러로 이루어진 스트레칭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로울러의 회전 속도는 각각 약간만 증가된다. 그럼으로써, 균열을 피하면서 최대로 달성 가능한 스트레칭 작용이 보다 안전하게 달성된다.
적층물이 세로 방향으로 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으로도 스트레치되면 대부분의 사용예에서는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스트레칭 작용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으로 이용 가능한 콤파운드 직물의 표면이 최대로 달성 가능한 스트레칭 값에 근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임의의 적용예에서는, 적층물이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서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갖는 경우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적층물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제공되는 스트레칭 작용에 서로 상이한 강도가 제공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생성물은 세로 방향으로 스트레칭 작용을 하는데, 이 때의 세로 방향 스트레칭 작용은 가로 방향 스트레칭 작용을 적어도 30% 만큼 그리고 최대로 70% 만큼 초과하는 것이다.
적층물을 스트레칭함으로써 박막의 수증기 투과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예를 들어 위생 부문, 특히 기저귀 커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분위기 B에서 DIN 53 122에 따라 측정된 적어도 800g/㎡/24h의 수증기 투과성을 갖도록 적층물이 스트레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접착포 및 박막은 일반적으로 2차 접착제를 사용하여서도 서로 접착될 수 있다. 그러나 접착제를 순서에 따라 제공하고 처리하는 것은 비용과 연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는, 접착포 및 박막이 2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이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층을 미리 용융하는 것만으로도 공간적으로 분리된 접착 구역에서 접착되는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접착포 및 박막의 대응면 접착의 질이 2차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 우수하게 제어될 뿐만 아니라, 규정에 따른 사용 동안 나타나는 2차 물질과 사용할 준비가 된 재료의 화학적인 교대 작용도 더 우수하게 제어된다. 특히 위생 부문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큰 장점이 된다.
접착 구역은 연장 방향에 대해 실제로 가로로 진행되는 라인의 연장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 상태에서 상기 접착 구역은 박막과 접착포의 대응면 접착 뿐만 아니라, 또한 생성물을 진행 방향으로 임의로 보강해주기도 한다. 나중에 언급한 효과는, 접착 구역이 직선으로 형성되며 가상선 및 곧바르게 뻗는 선, 바람직하게는 관통하도록 형성된 선의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매우 확실하게 나타난다.
2개 층의 분리는, 상기 층이 전체 두께로 접착 구역내로 접착되는 경우에는 제외될 수 있다. 표면에 마찰 부하가 있는 경우에도, 구성 부품이 표면으로부터 분리되어 주변의 오염에 작용하는 경우가 대부분 피해진다.
전술된 작용은, 적층물내에 포함된 접착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속 섬유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특히 신뢰할만하게 얻어진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테이플 섬유로 이루어진 접착포도 일반적으로는 마찬가지로 사용 가능하다.
접착포내에 포함된 섬유는 실제로 드래프트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는데, 이것은 접착 가능성을 개선해주며, 매우 현저한 추후 스트레칭 작용을 실행시킨다. 그 다음에는, 접착포내에 포함된 섬유의 결정도를 재템퍼링에 의해서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기술은 전문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적층물내에 포함된 접착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특히 노출된 표면 영역에서는 용융 팽창된 미세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미세 섬유는 마이크로 미터 범위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충분한 섬유 밀도에서 점막과 유사한 유연성을 갖는 표면 구조물이 얻어진다. 특히 위생 부문 및 의학 분야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형성예가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적층물은 전체적으로 중합체 재료로 이루어진다. 적층물내에 포함된 박막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면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막박은 완성된 생성물에서 15 내지 6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를 갖는다.
스트레칭 작용 동안 미공 형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박막이 균일하게 분배된 마이크로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도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마이크로 입자는 혼합된 초오크 가루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함유량은 60 중량%까지 달할 수 있다.
다른 형성예에 따르면, 박막 및 접착포는 사용할 준비가 된 콤파운드 직물내에서 실제로 서로 평행하게 뻗는 것이 제안된다. 상응하는 재료를 제조할 때 물론 전제가 되는 것은, 박막 및 접착포가 팽창 가능성 및 탄성면에서 특별한 방식으로 서로 매칭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여러 적용예에서는 박막 및/또는 접착포가 주름잡혀진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와 같이 주름을 잡음으로써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진행이 가능하다. 주름을 잡는 것은 사용할 준비가 된 콤파운드 직물에 특히 유연하고 직물 같은 형태 및 적절한 취급을 제공해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콤파운드 직물은 위생 품목, 포장 재료 및/또는 박막 구조물을 제조하기 위해 매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든 분야에서는, 지금까지 공지된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보다 본 발명에 따른 콤파운드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더 양호하게 충족될 수 있는 특수한 요구들이 존재한다.
하기의 도면들에는 본 발명에 따른 유형의 콤파운드 직물의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상기 콤파운드 직물은, 제작 재료를 미리 용융함으로써 공간적으로 분리된 장소에서 박막(2)과 접착된 다음에 2차원적으로 스트레치되는 접착포(1)로 이루어진다. 그럼으로써, 출발 물질과 관련하여 콤파운드 직물은 강도가 훨씬 더 강화된 동시에 두께 및 팽창이 상당히 감소된다.
도 1 및 도 2에 평면도 및 종단면도로 도시된 콤파운드 직물은 접착포(7)상에 적층된 박막(5)으로 이루어진다.
박막(5)은 임의의 열가소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또는 프롤필렌으로 구성된다. 박막은 스트레칭 동안에 미공을 형성하기 위한 목적에 맞게 초오크 입자로 고도로 채워지며, 초오크 입자의 직경은 마이크로 미터 범위이다. 박막(5)은 접착포와 별개로 형성되어 추후에 접착포상에 올려지지만, 선택적으로는 직접 접착포상에 압출될 수도 있다.
접착포(7)는 임의의 열가소성 재료로 구성된 스테이플 섬유 또는 연속 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게는 박막 재료와 유사한 성질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포는 박막을 제공하기 전에 미리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일정한 경도를 가질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는 박막과의 접착 동안에도 경도를 가질 수 있다. 표면 중량은 EN 29073-02A에 따라 측정된 0.05 내지 1.00㎜의 두께에서 30 내지 150g/㎡일 수 있다.
박막(5) 및 접착포(7)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직선 접착 구역(3)의 진행선상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을 만들기 위해서 박막은 접착포(7)의 표면상에 느슨하게 올려지고, 그렇게 얻어진 형성물은 서로 결합되어 있는 2개의 캘린더 로울러 사이에 있는 간극을 통해 리드되는데, 상기 캘린너 로울러 중에서 하나는 접착 구역을 형성하기 위해 표면으로부터 도 1에 상응하게 돌출되는 금속 융기부를 갖는다. 로울러의 라인 프레싱, 온도 및 회전 속도는, 로울러 간극을 떠난 후의 적층물이 결합 구역(3) 영역내에서 전반적으로 균일한 외형을 갖도록 서로 매칭되며, 이러한 외형에서는 접착포(7)의 전체 섬유 물질 및 박막(2)의 섬유 물질이 서로 내부로 연결되도록 용융 결합된다. 콤파운드 직물은 결합 구역(3) 영역내에서의 큰 강성 및 형태 안정성을 특징으로 한다.
콤파운드 직물은 전술한 적층 공정 다음에 결합 구역(3)의 종방향에 대해 가로로 이루어지는 스트레치 공정에 들어간다. 이 공정을 위해서 콤파운드 직물은 서로 연속하는 적어도 2쌍의 스트레치 로울러 사이로 통과되는데, 상기 로울러는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작동되며, 통과하도록 리드된 콤파운드 직물의 스트레칭이 증가되도록 작용한다. 이 때 콤파운드 직물 내부로 유도되는 파워는 특히, 중합체 재료가 미공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중합체 재료 내부에 포함된 초오크 입자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는 결과가 얻어지도록 박막(5)의 스트레칭 및 가소성 변형에 작용한다. 그럼으로써 콤파운드 직물의 수증기 투과성이 명백하게 개선되며, 이러한 개선은 상기 직물이 위생 부문에 유리하게 사용되도록 해준다.
결합 구역(3)은 접착포의 종방향에 대해서 대각으로 진행될 수 있거나, 예컨대 점형태의 형성 또는 임의의 다른 형태와 같은 기술된 실시예로부터 벗어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스트레치 공정 동안 사용된 파워는 결합 구역(3)의 종방향에 대해 직접 평행하게 작용할 수 없다는 점인데, 그 이유는 파워를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도입하는 경우에는 결합 구역(3) 내부에 균열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와플 패턴의 방식에 따라 결합 구역(3)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게, 예를 들어 수직으로 작용하는 에어 버퍼 또는 포움 재료 버퍼를 사용하여 스트레칭에 필요한 파워를 콤파운드 직물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상기 직물 내부에 도입하는 것이 요구되는 한편, 콤파운드 직물 자체는 결합 구역(3)의 진행선상에서 기계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구역에서는 변형이 방지된다. 이러한 조치에서는 지지 구역 사이에 있는 영역의 팽창을 예정된 값으로 제한하고 초과 팽창 및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영역이 후방으로 변위 배치된 지지면에 의해서 부가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에 비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는, 스트레칭에 필요한 파워가 콤파운드 직물의 종방향에 대해 실제로 평행하게 도입되는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은 스케일이 큰 제조물의 범위에서는 훨씬 더 간단하게 취급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결합 구역(3)의 모든 부분 영역은 일치되는 농도를 갖는다. 결합 구역은 중단 없이 형성되며 콤파운드 직물의 전체 폭에 걸쳐서 뻗는다. 결합 구역은 콤파운드 직물의 종방향에 대해서 가로로 진행될 수 있지만, 종방향에서 대해서 평행하게 혹은 임의의 각도(8)로 진행될 수도 있다. 중단 없이 웰 형태로 진행되는 연속 라인 또는 라인도 임의로 다르게 진행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중단 없이 직선으로 진행되는 접착 구역에 의해 직접 결합된 콤파운드 직물의 2개의 점 사이에서는 스트레칭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3은 콤파운드 직물을 위에서 바라본 도면으로서, 도면에서 서로 평행하게 진행되는 결합 구역은 웰 형태로 형성되며, 콤파운드 직물의 종방향과 약 45。의 각을 형성하는 중간 기울기를 갖는다. 얻어진 접착포(1)는 스트레칭 후에 박막의 탄성 복원 능력보다 더 큰 복원 능력을 갖는다. 탄성 복원 능력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팽창 후에 접착포(1)는 상응하는 크기로 축소되어 결합되지 않은 영역(13), 즉 결합 구역(3)의 중간 공간 내부로 들어간다. 이전에 마찬가지로 스트레칭되고 초오크로 채워진 박막(5)은 여전히 스트레칭에 의해 야기된 미공성 구조물을 가지기는 하지만, 접착포(1)와 비교할 수 있을 만큼의 우수한 복원 능력은 갖추고 있지 않다. 그럼으로써, 결합 구역(3)의 중간 공간, 즉 결합 구역(3)들 사이의 중간 공간, 박막(5)과 접착포(7) 사이의 중간 공간에서는 터널 형태의 채널(15)이 형성된다. 그럼으로써 콤파운드 직물의 유연성, 드레이프성 및 형태 매칭성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폴리프로필렌-연속사로 구성된 섬유상 웹(fibrous web)은 공지된 스펀 본드 접착포-기술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60g/㎡의 중량을 갖는 브래티스(brattice)상에 올려진다. 배향된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접착포를 형성하는 개별 필라멘트사의 드래프팅 작용은 섬유를 플레이팅하기 위해서 기술적으로 필수적인 최소량 만큼만 이루어진다. 충분히 드래프팅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스펀 본드 접착포의 개별 필라멘트사는 4.5dtex의 1데니어를 갖는다. 개별 필라멘트사는 평균적인 배향이 횡에 대해서 종으로 3/2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플레이팅된다.
그 다음에, 아직까지 경화되지 않은 스펀 본드 접착포상에는 균일하게 분배된 무기질 충전제 입자를 갖는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로 이루어진 박막이 슬롯 노즐에 의해 압출된다. 충전제는 1마이크론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초오크 분말로 이루어진다. 상기 충전제는 50 중량%의 량으로 용융물내에 함유되어 있으며, 용융물내에 균일하게 분배되어 있다. 그렇게 형성되어 섬유상 웹상에 플레이팅되는 박막의 표면 중량은 75g/㎡이다.
무기질로 채워진 박막 및 접착포는 구조화된 하나의 강로울러 및 매끈한 하나의 강로울러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후속 캘린더(calender) 공정에 의해서 패턴에 맞게 서로 접착된다. 이 경우 박막을 지지하는 면은 구조화된 로울러와 결합되며, 충분히 드래프팅되지 않은 스펀 본드 접착포의 면은 매끈한 로울러와 결합된다. 매끈한 로울러의 온도는 145℃이며, 구조화된 로울러의 온도는 125℃이다.
구조화된 로울러의 표면은 서로 평행하게 정렬된 융기부 및 홈이 연속으로 교대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상기 융기부는, 크로스바와 같이 로울러의 전체 폭에 걸쳐서 팽창되는 직선의 웹이다. 이 웹의 높이는 1.80㎜이며, 폭은 3.20㎜이다. 상기 웹의 정면은 로울러 표면의 25%를 차지하고 그에 따라 이론적으로 달성될 수 있는 결합 표면의 25%를 차지한다. 웹의 에지는 재료를 손상시키는 절단 작용을 피하기 위해서 약간 라운딩되어 있다.
70N/㎜의 라인 압력 및 80m/min의 속도에서 캘린더 공정을 마친 후에 표면 중량이 75g/㎡이며 무기 재료로 채워진 박막 코팅은 상기 웹의 작용 구역 영역내에서 연속사-접착포와 접착된다. 결과적으로 접착 구역의 최상의 치수는 이론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25%가 아니라, 표면의 21.8%를 차지한다.
코팅 재료를 스펀 본드 접착포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접착 장소를 파괴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78.2%의 나머지 표면 내부에서는 코팅 재료와 스펀 본드 접착포 사이의 경계면에서 분리가 가능하지만, 접착 구역의 간격이 10㎜로 적기 때문에 인장 시험 기계내에서 양적으로 측정하기가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고정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다음에, 중량이 135g/㎡인 콤파운드 직물이 공지된 방식으로 67℃의 온도에서 드래프팅 로울러에 의해 종방향으로 스트레칭된다. 결과적으로 드래프팅 공정의 마지막에는 드래프팅 공정 전의 폭과 관련하여 9% 만큼 폭이 축소되고, 길이가 185% 만큼 축소됨으로써, 전체적으로 (2.85x0.91-1)x100 = 159.35% 만큼의 표면이 증가된다. 드래프팅된 직물의 표면 중량은 130에서 52.05g/㎡로 감소된다.
분위기 B에서, 즉 38℃의 온도 및 건조제로서의 염화칼슘에 대한 공기의 상대 습도가 90%에서 DIN 53 122에 따라 측정된 드래프팅 전·후의 수증기 투과성(WDD)은 하기와 같다:
드래프팅 전의 WDD: 5g/㎡ 24h
드래프팅 후의 WDD: 1080g/㎡ 24h
DIN 53 886에 따라 측정된 물의 밀도가 150mbar 이상으로 된 후에는, 드래프팅된 직물을 핀홀상에서 시험하였다. 이 목적을 위해, 코팅면을 가지며 치수가 15 x 15㎝인 테스트 샘플은 4개층으로 이루어진 치수가 약간 더 큰 압지상에 위쪽으로 올려지고, 붉은색으로 채색된 이소프로파놀이 전체적으로 20곳의 장소에 피펫으로 올려진다. 한 장소에서도 붉은 용액이 압지로 통과되지 않았다. 그럼으로써 직물은 핀홀이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드래프팅된 최종 재료에서 섬유 직경을 측정하여 dtex로 변환하였다. 이 경우에는, 섬유 직경이 놀랍게도 1.7dtex의 산술적인 평균값으로 1.3 내지 2.5dtex의 범위에서 변동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 상응하게 제조되며 충분히 드래프팅되지 않은, 60g/㎡ 중량의 폴리프로필렌-스펀 본드 접착포상에는 초오크로 채워진 78g/㎡ 중량의 용융 재료가 압출된다.
압출 재료는 43 중량%의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연화점이 94℃인 탄화수소를 기초로 하는 7 중량%의 점착제 및 1마이크론의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50%의 초오크로 이루어진다.
스펀 본드 접착포 지지체와 코팅 적층부의 접착은 실시예 1에 이미 기술된 로울러 쌍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매끄러운 로울러의 온도는 재차 145℃이며, 구조화된 로울러의 온도는 93℃이다.
그 다음에, 중량이 138g/㎡인 적층물이 공지된 방식으로 드래프팅 로울러에 의해 종방향으로 62℃의 온도에서 드래프팅된다. 결과적으로 드래프팅 공정의 마지막에는 드래프팅 공정 전의 폭과 관련하여 12% 만큼 폭이 축소되고, 원래의 길이와 관련하여 길이가 235% 만큼 축소됨으로써, 전체적으로 (3.35x0.8-1)x100 = 194.8% 만큼의 표면이 증가된다. 드래프팅된 직물의 표면 중량은 스트레칭 공정에 의해서 138에서 46.8g/㎡로 감소된다.
분위기 B에서, 즉 38℃의 온도 및 건조제로서의 염화칼슘에 대한 공기의 상대 습도가 90%에서 DIN 53 122에 따라 측정된 드래프팅 전·후의 수증기 투과성(WDD)은 하기와 같다:
드래프팅 전의 WDD: 12g/㎡ 24h
드래프팅 후의 WDD: 1567g/㎡ 24h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핀홀이 없다고 나타났다.
평균 섬유 데니어는 1.2 내지 2,4의 변동 폭을 갖는 1.5dtex이다.
실시예 3:
탄성 중합체 금속 촉매 LLDOE로 이루어진 4.80dtex의 데니어를 갖는 55g/㎡의 연속 필라멘트사를 표면 형성체로 배향된 공기 흐름을 이용하여 도 1에 기술된 방법에 상응하게 벨트상에서 플레이팅하였다. 상기 탄성 중합체 LLDPE의 열로부터는 0.93g/㎡의 최고 밀도 및 그에 따라 최소의 팽창 가능성을 갖는 타입이 선택되었다.
실시예 1에 나타난 초오크로 채워진 용융 재료는 제한적으로 탄성 중합체인 연속 필라멘트사로 이루어진 표면 형성체상에 압출된다. 2개 층의 웹 형태로 형성된 접착 구역은 캘린더 로울러의 간극내에서 실시예 1에 제안된 방법와 유사하게 형성된다. 구조화된 로울러의 온도는 125℃이며, 매끄러운 로울러의 온도는 109℃이다. 웹 형태의 로울러 융기부는 실시예 1과 달리, 상기 융기부가 바아 형태의 접착 장소가 결과적으로 나타나도록 형성되었으며, 상기 접착 장소는 가로 방향에 대해서는 30°의 각도로 및 기계 방향에 대해서는 60°의 각도로 그리고 서로 평행하게 배향되어 있다.
그 다음에, 얻어진 형성물이 먼저 종방향으로 55℃의 온도에서 원래 길이의 2.05배로 스트레치되며, 이 때에는 25%의 폭이 손실된다. 그 다음에는 종방향 스트레칭 이전의 폭의 1.30배 만큼 가로 방향으로 스트레칭된다. 이것은 2.66배 (및 1.66배) 만큼의 전체 표면 스트레칭과 일치한다.
하중이 경감된 후에는 직물이 스트레칭 이전의 상태와 관련하여 2.24배의 표면으로 이완된다. 이것은 스트레칭 후의 팽창된 상태에서의 표면과 관련하여 16%의 표면 손실과 일치한다. 탄성 스펀 본드 접착포-지지체(7)는 이완 후에 매끈한 하부면 및 미공성 코팅 그리고 아치형의 융기부를 가지며, 이 융기부는 접착 장소 사이에서 터널 형태의 빈 공간(4)에 의해 접착포(7)로부터 이격된다. 그럼으로써, 접착포(7)를 충분히 습윤시킨 후에도 박막(5) 표면은 계속적으로 따뜻하게 및 건조하게 느껴진다. 실시예 3에 따라 얻어진 패턴은 또한 실시예 1 및 2에 따른 비교 패턴보다 더 연하고 드레이프성이 더 강하다.
스트레칭 및 이완 후에는 핀홀을 확인할 수 없었다.
분위기 B에서 DIN 53 122에 따른 수증기 투과성은 1210g/㎡로 측정되었다.
본 발명에 의해, 비교적 우수한 유연성 및 수증기 투과성을 갖는 동시에 팽창이 비교적 적으면서 상대적으로 더 큰 강도를 나타내는 콤파운드 직물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Claims (20)

  1. 중합체 재료로 구성되며 접착포(7)와 접착된 박막(5)으로 이루어진 적층물(1)을 포함하는 콤파운드 직물에 있어서,
    접착포(7) 및 박막(5)은 공간적으로 분리된 장소(3)에서만 서로 접착되며, 적층물(1)은 상기 적층물의 형성 후에 적어도 한 방향으로 스트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1)은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스트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1)은 가로 방향 스트레칭을 적어도 30% 만큼 초과하는 세로 방향 스트레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1)은 분위기 B에서 DIN 53 122에 따라 측정된 수증기 투과성이 적어도 800g/㎡ 24h가 되도록 스트레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물(1)은 2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형성된 층(5, 7)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을 미리 용융시킴으로써 공간적으로 분리된 접착 구역(3)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구역(3)은 드래프팅 방향에 대해 실제로 가로로 진행하는 평행선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구역(3)은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층(5, 7)은 전체 두께로 접착 구역(3) 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9. 제 1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물(1)내에 포함된 접착포(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속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10.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물(1)내에 포함된 접착포(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스테이플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접착포(7)내에 포함된 섬유는 실제로 드래프팅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12.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접착포(7)내에 포함된 섬유는 재템퍼링에 의해서 상승된 결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13. 제 1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물(1)내에 포함된 접착포(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융 팽창된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14. 제 1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물(1)내에 포함된 박막(5)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15. 제 1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5)은 미공을 형성하기 위해 균일하게 분배된 마이크로 입자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16.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5) 및 접착포(7)는 실제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17. 제 1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5) 및/또는 접착포(7)는 주름 잡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파운드 직물.
  18.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층물(1)을 포함하는, 후면 커버로서의 위생 제품.
  19.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층물(1)을 포함하는, 후면 커버로서의 포장 재료.
  20. 제 1항 내지 제 1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층물(1)을 포함하는, 후면 커버로서의 박막 구조물.
KR1019990005197A 1998-02-17 1999-02-13 콤파운드 직물 KR1003120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06530A DE19806530B4 (de) 1998-02-17 1998-02-17 Laminat und daraus hergestellte Hygieneartikel, Verpackungsmaterialien und Baumembrane
DE19806530.2 1998-0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2678A true KR19990072678A (ko) 1999-09-27
KR100312047B1 KR100312047B1 (ko) 2001-11-03

Family

ID=7858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5197A KR100312047B1 (ko) 1998-02-17 1999-02-13 콤파운드 직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03505B1 (ko)
EP (1) EP0936061A3 (ko)
JP (1) JP3067757B2 (ko)
KR (1) KR100312047B1 (ko)
DE (1) DE19806530B4 (ko)
TW (1) TW5481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5111C2 (de) * 2001-07-19 2003-06-26 Freudenberg Carl Kg Verbundstoff,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dessen Verwendung
TW552196B (en) * 2001-07-20 2003-09-11 Clopay Corp Laminated sheet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0143420C2 (de) 2001-09-05 2003-10-09 Reifenhaeuser Masc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atmungsaktiven Materialbahn
US7674733B2 (en) * 2002-03-22 2010-03-09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Breathable and elastic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US20050136771A1 (en) * 2003-12-22 2005-06-23 Hendon Nathan P. Elastic laminate with directional bond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7651653B2 (en) 2004-12-22 2010-01-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chine and cross-machine direction elastic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7550400B2 (en) * 2005-08-02 2009-06-2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ple layer nonwoven fabric structures
FR2893036B1 (fr) * 2005-11-08 2008-03-14 Aplix Sa Stratifie non tisse-elastomere-non tisse
EP2056765A2 (en) 2006-08-31 2009-05-13 Avery Dennison Corporation Elastic diaper component
US8080198B2 (en) 2006-10-20 2011-12-20 Avery Dennison Corporation Elastic diaper component
US8981178B2 (en) * 2009-12-30 2015-03-1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ertured segmented films
US10081123B2 (en) 2010-12-31 2018-09-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gmented films with high strength seams
US8895126B2 (en) 2010-12-31 2014-11-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egmented films with high strength seams
US9676164B2 (en) 2011-07-18 2017-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xtensible sheet material with visual stretch indicator
HUE030592T2 (en) * 2011-09-02 2017-05-29 Rkw Se Procedure for providing a film strip
GB2554651B (en) 2016-09-30 2019-08-28 Adv Med Solutions Ltd Nonwoven Fabric Comprising Gelling Fibres
CN110709234B (zh) 2017-06-30 2022-03-22 宝洁公司 膜的末端粘结成形层合体
US11220085B2 (en) * 2017-08-31 2022-01-1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pertured elastic film laminates
WO2020131291A1 (en) 2018-12-20 2020-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Bonded laminate including a formed nonwoven substrate
DE102022206023B4 (de) 2022-06-14 2024-02-01 Markilux GmbH + Co. KG Senkrechtmarkise, insbesondere Fenster- oder Volantmarkis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9303A (en) * 1987-03-11 1990-05-29 Exxon Chemical Patents Inc. Composite breathable housewrap films
US5069847A (en) * 1988-07-28 1991-12-03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Improvements in process for preparing spun yarns
US5376430A (en) * 1992-06-19 1994-12-2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astic film laminate
US5405682A (en) * 1992-08-26 1995-04-11 Kimberly Clark Corporation Nonwoven fabric made with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lend of polyolefin and elastomeric thermoplastic material
DE4238541C2 (de) * 1992-11-14 1999-01-28 Amoco Fabrics Zweigniederlassu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r elastischen, mehrschichtigen Materialbahn
DE4243012C2 (de) * 1992-12-18 1997-09-11 Corovin Gmbh Mehrschichtiges elastisches Flächengebild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igen elastischen Flächengebildes
CA2097630A1 (en) * 1992-12-29 1994-06-30 Ann Louise Mccormack Stretch-pillowed, bulked laminate
US5652041A (en) * 1993-09-01 1997-07-29 Buerger; Gernot K. Nonwove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same
CA2116081C (en) *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JPH09512504A (ja) * 1994-04-29 1997-12-16 キンバリー クラーク コーポレイション スリット付き弾性繊維不織積層体
US5529830A (en) * 1994-05-25 1996-06-25 W. L. Gore & Associates, Inc. Two-way stretchable fabric laminate and articles made from it
US5921973A (en) * 1994-11-23 1999-07-13 Bba Nonwoven Simpsonville, Inc. Nonwoven fabric useful for preparing elastic composite fabrics
BR9608218A (pt) * 1995-05-02 1999-04-06 Kimberly Clark Co Laminados de película não tecida
US5814390A (en) * 1995-06-30 1998-09-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eased nonwoven web with stretch and recovery
US5865926A (en) * 1996-02-15 1999-02-02 Clopay Plastic Products Company, Inc. Method of making a cloth-like microporous laminate of a nonwoven fibrous web and thermoplastic film having air and moisture vapor permeabilities with liquid-barrier properties
DE19647459C2 (de) * 1996-11-16 2001-01-25 M & W Verpackungen Gmbh Flächengebilde aus einer gummielastischen Schicht mit aufliegender Vliesschicht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6111163A (en) * 1996-12-27 2000-08-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omeric film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015764A (en) * 1996-12-27 2000-01-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icroporous elastomeric film/nonwoven breathable lamina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6001460A (en) * 1996-12-30 1999-1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Elastic laminated fabric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same
US6152906A (en) * 1998-08-25 2000-11-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having improved breathabi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36061A2 (de) 1999-08-18
DE19806530A1 (de) 1999-10-21
EP0936061A3 (de) 2001-02-28
DE19806530B4 (de) 2006-12-14
TW548190B (en) 2003-08-21
US6403505B1 (en) 2002-06-11
KR100312047B1 (ko) 2001-11-03
JP3067757B2 (ja) 2000-07-24
JPH11268199A (ja) 199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047B1 (ko) 콤파운드 직물
CA1068860A (en) Non-woven fabric made from polymeric material
US7422991B2 (en) Laminate material web having elastic and non-elastic regions
DE69402561T2 (de) Verbundbahnen mit kontrollierter porosität aus kalandrierten schmelzgeblasenem vlies und spinnvliesstoff
CA2509326C (en) Laminates of films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bending in all direction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ir manufacture
US5036551A (en) Elastomeric composite fabric
US8951376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rrugated laminate made of films
CA1255577A (en) Laminated plastic/non-woven film and its method of manufacture
US20030059587A1 (en) Composite nonwoven fabric having great crosswise tensile strength, method for its production and use
CN104334339B (zh) 具有不连续粘结区的层叠物品
CA2159500A1 (en) Two-way stretchable fabric laminate and articles made from it
JP2008533326A (ja) 二次元のウェブ材料、および二次元のウェブ材料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それの使用
NO20013180L (no) Anordning og fremgangsmåte for reduksjon av utslipp
CA1055830A (en) 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607810B1 (en) Multi-layer composite material
KR102446789B1 (ko) 적층체에 후크 및 루프 체결 용적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결과적 적층체
JP2002500906A (ja) 使い捨て拭取り製品及び製造方法
US3455772A (en) Non-woven reinforced blown rubber underpad
CN105899727B (zh) 纺织品及其用途、用于生产这种纺织品的方法以及用于回收该产品的方法
GB2495622A (en) Non-woven fabric
JPH11247058A (ja) 撥水性不織布
JPH081078Y2 (ja) 合成紙
JP2024117150A (ja) 多孔質フィルム
EP4161769A1 (en) Textile structure
FI111614B (fi) Taivutettava, satunnaisesti suuntautuvasta kuituaineesta oleva huop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