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9522A -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9522A
KR19990069522A KR1019980003824A KR19980003824A KR19990069522A KR 19990069522 A KR19990069522 A KR 19990069522A KR 1019980003824 A KR1019980003824 A KR 1019980003824A KR 19980003824 A KR19980003824 A KR 19980003824A KR 19990069522 A KR19990069522 A KR 19990069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floor
human
signal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3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우승
Original Assignee
신우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우승 filed Critical 신우승
Priority to KR1019980003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69522A/ko
Publication of KR19990069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9522A/ko

Links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의 불필요한 이동을 제어하여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이 개시된다. 제 1 감지부는 엘리베이터 내부에 인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 1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제 2 감지부는 엘리베이터가 정지하여 인간이 탑승하는 각 층에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인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 2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제 1 위치 설정부는 인간의 설정에 응하여 인간이 설정한 층에 해당되는 제 1 위치 설정 신호를 발생한다. 제 2 위치 설정부는 각 층에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인간의 설정에 응하여 인간이 설정한 탑승 위치에 해당되는 제 2 위치 설정 신호를 발생한다. 제어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부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설정부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 1 감지 신호, 제 2 감지 신호, 제 1 위치 설정 신호 그리고 제 2 위치 설정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에 의하면, 엘리베이터가 탑승자가 없는 층 또는 탑승자에 의해 잘못 설정된 층으로 불필요하게 이동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불필요한 이동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의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5층 이상의 건물에는 사람 또는 사물을 이송하기 위한 이동 운반 장치로서 엘리베이터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엘리베이터는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축물의 복수의 층 중에서 사람이 가고자 하는 층으로 자동 이송시켜 주는 매우 편리한 장치이다. 특히, 사람의 경우, 신체가 부자유로운 장애자나 노약자들은 물론이고 건강한 보통의 사람들조차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데 따른 이동의 편리함으로 인해 대다수의 사람들이 엘리베이터를 애용하고 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특성과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오조작으로 인해 많은 전기적인 에너지가 낭비되고 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탑승자가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층이 아닌 다른 층의 버튼을 눌렀을 때 이미 누른 버튼을 취소할 수 없기 때문에 탑승자가 목적한 층에서 내린 후에도 엘리베이터는 잘못 눌러진 층으로 이동하는 경우, 어린이들이 장난으로 엘리베이터 내부에 설치된 각층의 버튼을 눌러 놓아 승객이 없는 상태에서 엘리베이터가 각층으로 이동하는 경우,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이 대기하고 있는 층에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의 오름 버튼과 내림 버튼을 동시에 눌러 놓아 탑승자가 목적한 층으로 이동한 후에도 엘리베이터가 원래 탑승한 층으로 되돌아가는 경우, 그리고 한 건물에 다수의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사람들이 어느 한 층에서 각 엘리베이터의 오름 또는 내림 버튼을 모두 눌러 놓은 후 가장 먼저 도착하는 엘리베이터만을 이용하므로써 다른 엘리베이터들이 탑승 대기자가 없는데도 불필요하게 이동하는 경우 등이 엘리베이터의 잘못된 이용으로 인한 전력 낭비의 좋은 예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불필요한 이동을 방지하여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이 적용된 건물의 엘리베이터 탑승층의 외부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보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벽면 20 : 엘리베이터 문
30, 70 : 적외선 수광 감지기 50 : 유색선
60 : 엘리베이터 100, 200 : 감지부
300, 400 : 위치 설정부 500 : 제어부
600 : 구동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은, 복수의 층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각 층들에는 적어도 인간이 활동 가능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건축물에 설치되어 인간들을 복수의 층들 중 그 자신에 의해 지정되는 층으로 이송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정지하여 인간이 탑승하는 상기 복수의 층들의 각 층에 설치되고, 각 층에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하는 인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 1 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 1 감지부; 엘리베이터의 내측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내부에 인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 2 감지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 2 감지부; 엘리베이터가 정지하여 인간이 탑승하는 상기 복수의 층들의 각 층에 설치되고, 각 층에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인간의 설정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층들 중 인간이 설정한 탑승 위치에 해당되는 제 1 위치 설정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 1 위치 설정부; 그리고 엘리베이터의 내측에 설치되고, 인간의 설정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층들 중 인간이 설정한 층에 해당되는 제 2 위치 설정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 2 위치 설정부;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부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설정부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 1 감지 신호, 제 2 감지 신호, 제 1 위치 설정 신호 그리고 제 2 위치 설정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에 의하면, 엘리베이터가 탑승자가 없는 층 또는 탑승자에 의해 잘못 설정된 층으로 불필요하게 이동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불필요한 이동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에 적용된 건물의 엘리베이터 탑승층의 외부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는 각 층의 엘리베이터 문(20)이 설치된 벽면(10)에는 제 1 적외선 수광감지기(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 문(20)의 어느 한쪽 벽면(10)에는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층에서 위층으로 올라가고자 할 때 누르는 오름 버튼(40a)과 탑승하는 층에서 아래층으로 내려가고자 할 때 누르는 내림 버튼(40b)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오름 버튼(40a) 및 내림 버튼(40b)은 탑승자가 한 번 누를 때마다 온·오프 동작을 교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온·오프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문(20)의 앞쪽 바닥면에는 상기 제 1 적외선 수광 감지기(30)의 감지 범위를 나타내는 유색선(50)이 도시되어 있는데, 상기 제 1 적외선 수광 감지기(30)는 상기 유색선(50) 범위내에 탑승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이 적용된 엘리베이터의 내부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60)의 천정면에는 엘리베이터(60)의 내부에 탑승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제 2 적외선 수광감지기(7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엘리베이터(60) 내부에는 엘리베이터(60)에 탑승한 사람이 직접 누름으로써 이동하고자 하는 층을 설정할 수 있는 복수의 이동층 설정 버튼(80)이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동층 설정 버튼(80)은 탑승자가 한 번 누를 때마다 온·오프 동작을 교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는 온·오프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
이제부터는 도 3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을 참조하여 상술한 엘리베이터의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보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은 제 1 감지부(100)와, 제 2 감지부(200)와, 제 1 위치 설정부(300)와, 제 2 위치 설정부(400)와, 제어부(500)와, 구동부(60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감지부(100), 제 2 감지부(200), 제 1 위치 설정부(300) 그리고 제 2 위치 설정부(400)는 각각 상기 제 1 적외선 수광감지부(30), 상기 제 2 적외선 수광감지부(70), 상기 오름 및 내림 버튼(40) 그리고 상기 이동층 설정 버튼(80)을 나타낸다.
먼저,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이 상기 제 1 위치 설정부(300)의 오름 또는 내림 버튼(40a, 40b)중 어느 하나를 누르면 제 1 위치 설정부(300)는 오름 또는 내림 버튼(40a, 40b)이 눌러진 층에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이 있음을 알리는 제 1 위치 설정 신호(301)를 상기 제어부(500)로 제공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감지부(100)로부터 제 1 위치 설정 신호(301)가 발생된 층에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를 알리는 제 1 감지 신호(101)를 입력받는다.
제어부(500)는 상기 제 1 감지부(100)로부터의 제 1 감지 신호(101)에 응답하여 제 1 위치 설정 신호(301)가 발생된 층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이 없다고 판단되면 엘리베이터(6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제어 신호(501)를 발생하지 않고, 제 1 위치 설정 신호(301)가 발생된 층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이 있다고 판단되면 엘리베이터(60)를 제 1 위치 설정 신호(301)가 발생된 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제어 신호(501)를 상기 구동부(600)로 제공한다.
구동부(600)는 상기 제어부(500)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501)에 응하여 제 1 위치 설정 신호(301)가 발생된 엘리베이터를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이 대기하고 있는 층으로 엘리베이터(60)를 이동시킨다.
이때, 만일 상기 탑승하고자하는 사람이 실수로 엘리베이터(60)의 오름 버튼(40a)과 내림 버튼(40b)을 동시에 누른 경우에는 당사자가 상기 오름 또는 내림 버튼(40a, 40b)중 잘못 눌러진 버튼을 한 번 더 누름으로써 엘리베이터(60)의 오름 또는 내림 설정을 해지할 수 있다.
또한,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이 상기 오름 또는 내림 버튼(40a, 40b)중 잘못 눌러진 버튼을 해지하지 않고 목적한 층으로 이동해 버린 경우에는 상기 제 1 감지부(100)로부터 상기 오름 또는 내림 버튼(40a, 40b)이 잘못 설정된 층에는 엘리베이터(60)에 탑승하고자 대기하는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를 알리는 제 1 감지 신호(101)를 상기 제어부(500)로 제공하기 때문에 상기 엘리베이터(60)가 최초의 탑승 대기자에 의해 설정된 층으로 되돌아가지 않게 된다.
다음, 엘리베이터(60)의 탑승 대기자가 엘리베이터(60)에 탑승한 후, 상기 제 2 위치 설정부(400)의 복수의 이동층 설정 버튼(80)중 이동하고 하는 층에 해당되는 버튼을 누르면 상기 제 2 위치 설정부(400)로부터 상기 제어부(500)로 제 2 위치 설정 신호(401)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감지부(200)로부터 제 2 위치 설정 신호(401)가 발생된 층에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를 알리는 제 2 감지 신호(101)를 입력받는다.
제어부(500)는 상기 제 2 감지부(200)로부터의 제 2 감지 신호(201)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60)내에 제 2 위치 설정 신호(401)로 설정된 층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사람이 없다고 판단되면 엘리베이터(60)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제어 신호(501)를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60)내에 제 2 위치 설정 신호(401)로 설정된 층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사람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엘리베이터(60)를 제 2 위치 설정 신호(401)에 해당되는 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제어 신호(501)를 상기 구동부(600)로 제공한다.
구동부(600)는 상기 제어부(500)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501)에 응하여 제 2 위치 설정 신호(401)에 해당되는 층으로 상기 엘리베이터(60)를 이동시킨다.
이때, 만일 상기 이동하고자 하는 사람이 실수로 엘리베이터(60)의 이동층 설정 버튼(80)중 그 자신이 이동하고자 하는 층 이외의 층에 해당되는 버튼을 동시에 누른 경우에는 당사자가 상기 잘못 눌러진 버튼을 한 번 더 누름으로써 엘리베이터(60)가 탑승자가 없는 상태에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하고자 하는 사람이 이동하고자 하는 층 이외의 층에 해당되는 버튼을 동시에 누른 후에 그 자신이 목적한 층에서 내리고, 상기 엘리베이터(60)내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500)가 상기 제 2 감지부(200)로부터 제공되는 제 2 감지 신호(201)에 의거하여 상기 엘리베이터(60)내에 탑승자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구동 제어 신호(501)를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 이동층 설정 버튼(80)이 전부 눌려져 있는 경우에도 탑승자가 없는 상태에서 상기 엘리베이터(60)는 이동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내부의 이동층 설정 버튼 및 탑승 대기층의 엘리베이터 오름·내림 버튼을 온·오프 스위치로 설치하고, 엘리베이터 내부 및 탑승 대기층에 사람이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 수광감지기를 설치한다. 따라서, 엘리베이터가 탑승자가 없는 층 또는 탑승자에 의해 잘못 설정된 층으로 불필요하게 이동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의 불필요한 이동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복수의 층들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각 층들에는 적어도 인간이 활동 가능한 내부 공간이 형성된 건축물에 설치되어 인간들을 복수의 층들 중 그 자신에 의해 지정되는 층으로 이송시키는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정지하여 인간이 탑승하는 상기 복수의 층들의 각 층에 설치되고, 각 층에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인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 1 감지 신호(101)를 발생하기 위한 제 1 감지부(100);
    엘리베이터의 내측에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내부에 인간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제 2 감지 신호(201)를 발생하기 위한 제 2 감지부(200);
    엘리베이터가 정지하여 인간이 탑승하는 상기 복수의 층들의 각 층에 설치되고, 각 층에서 엘리베이터에 탑승하고자 하는 인간의 설정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층들 중 인간이 설정한 탑승 위치에 해당되는 제 1 위치 설정 신호(301)를 발생하기 위한 제 1 위치 설정부(300);
    엘리베이터의 내측에 설치되고, 인간의 설정에 응하여 상기 복수의 층들 중 인간이 설정한 층에 해당되는 제 2 위치 설정 신호(401)를 발생하기 위한 제 2 위치 설정부(400);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부(100, 200)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설정부(300, 400)로부터 각각 입력되는 제 1 감지 신호(101), 제 2 감지 신호(201), 제 1 위치 설정 신호(301) 그리고 제 2 위치 설정 신호(401)에 응답하여 상기 엘리베이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 신호(501)를 발생하기 위한 제어부(500)를 포함하여서 엘리베이터의 이동에 따른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 설정부(300) 및 제 2 위치 설정부(400)는 온·오프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지부(100) 및 제 2 감지부(200)는 적외선 수광감지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
KR1019980003824A 1998-02-10 1998-02-10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 KR19990069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824A KR19990069522A (ko) 1998-02-10 1998-02-10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3824A KR19990069522A (ko) 1998-02-10 1998-02-10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9522A true KR19990069522A (ko) 1999-09-06

Family

ID=65893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3824A KR19990069522A (ko) 1998-02-10 1998-02-10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695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222A (ko) * 2000-04-28 2001-11-08 박희수 엘리베이터 절전 운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8222A (ko) * 2000-04-28 2001-11-08 박희수 엘리베이터 절전 운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5053670A (ja) 自律移動ロボット及び自律移動ロボット用のエレベータ乗降システム
WO2001096224A1 (fr) Tableau de commande pour ascenseur
CN114988239B (zh) 电梯
KR19990069522A (ko) 엘리베이터의 절전 시스템
JP2004149251A (ja) 建造物階層間昇降手段自動呼出システム
JPH06305651A (ja) エレベータの乗場呼び登録装置
KR20010028145A (ko) 탑승자가 감지되는 엘리베이터 및 그 제어 방법
KR20010098222A (ko) 엘리베이터 절전 운행장치
JPH02100974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4223981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960012681B1 (ko) 엘리베이터의 절전형 운전제어방법
JPH04125283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KR10054665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H09194150A (ja) エレベーターの運転装置
JPH0524663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0518363Y2 (ko)
KR960007263Y1 (ko) 자동차용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자동등록장치
KR19990011573A (ko) 승객 탐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JPH025287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2332179A (ja) エレベータの運転制御装置
JP2005132555A (ja) エレベータの運転装置
JPH0754221Y2 (ja) 呼釦誤操作防止装置
JPH0592881A (ja) エレベータの呼登録制御装置
CN112279028A (zh) 一种两层电梯的无按钮乘梯系统
JPH05319748A (ja) 車椅子兼用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0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20000306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