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1781A - 가상(架床)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및 이를 위한 하나굴 종패생산 및 굴의 양성방법 - Google Patents

가상(架床)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및 이를 위한 하나굴 종패생산 및 굴의 양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1781A
KR19990051781A KR1019970071168A KR19970071168A KR19990051781A KR 19990051781 A KR19990051781 A KR 19990051781A KR 1019970071168 A KR1019970071168 A KR 1019970071168A KR 19970071168 A KR19970071168 A KR 19970071168A KR 19990051781 A KR19990051781 A KR 19990051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ed
oyster
virtual set
set type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1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1437B1 (ko
Inventor
이영철
김영길
Original Assignee
김영길
이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이영철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1019970071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143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1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14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4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bivalves, e.g. oysters or musse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Abstract

본 발명은 종패를 투입하도록 자루 형태로 되어 있는 장입망(3)과 이 장입망(3)을 얹져 놓도록 종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지봉(5,5')이 얽어져 있으며 장입망(3)이 바닥면과 일정 간격 유지되도록 복수개의 다리부(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프레임체(9)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레임체(9)는 일정 간격이 유지되어 병렬로 배열되어 횡방향 지지봉(5')과 다리부(7)를 이루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받침주(11)와, 이 받침주(11)의 상단에 받침주(11)의 배열방향과 직각으로 일정 간격 유지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종방향 지지봉(5)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걸대(13)로 구성되어 있는 가상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및 이 굴양식 구조물에 의한 채묘방법에 관한 것으로, 채묘를 위한 채묘공각을 생략하고, 굴 종패를 양성망 내에 직접 수용하여 양성하게 되므로 개개 굴의 성장을 자유롭게 하고, 양식에 따른 작업공정을 단순화하고, 설치작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며, 설치장소가 수면이 아닌 조간대 간석지가 되므로 양식어장의 장기이용에 따른 어장 노후화와 어장환경 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양성망에 의해 해적생물로부터 굴을 보호하므로 식해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양성위치가 해저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져 있으므로 위생적인 굴 양식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가상(架床)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및 이를 위한 하나굴 종패 생산 및 굴의 양성방법
본 발명은 가상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및 이를 위한 하나굴 종패 생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채묘(採苗)를 위한 채묘공각을 생략하고 우량모패에서 인공종묘로 생산된 종패 또는 자연채묘기법에서 채묘하여 얻어진 하나굴 종패를 양성망 내에 직접 수용하여 생산하는 기작으로 양식 일련의 작업공정을 단순화하고, 양식 구조물의 설치작업을 간단하면서도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 가치화된 고급굴 양식용 구조물 및 이 양식용 구조물에 필요한 하나굴 종패의 생산 및 양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우리 나라는 간석지를 주인 없이 버려진 땅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지만 실제로 간석지는 한반도의 가장 중요한 생태계의 하나이다. 간석지의 생태계는 해양과 육지가 만나는 추이대로서 해양자원생물들이 더 우점하는 곳이다. 자연 간석지는 패류를 비롯한 각종 수산자원의 종묘생산장으로서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높은 양식장으로 이용되고 있어 이러한 공간의 이용과 부과는 앞으로 수산증양식 분야에서도 본 양식기법을 통한 굴 가상식 양식방법과 각종 패류등 유용한 수산생물자원이 풍부한 지역이기도 하다.
이러한 수산생물자원 중에서도 특히 굴의 경우에 다양한 양식방법이 이용되고 있으며, 지역에 따른 조수간만의 차이나 해양환경의 특성에 알맞게 그 양식방법에 약간의 차이를 가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양식방법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양식방식 중 가장 오래된 기법의 하나인 바닥양식은 일명 투석식 양식방식이라고도 하며, 간만조선에서부터 수심이 수 미터 되는 데까지 사이의 해저에서 굴을 양성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양성이라 함은 어린 종자인 치패를 수확할 때까지 성장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투석식 양성방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기질로서 사용되는 돌(103)이나 패각을 해저(105)에 투입하여 치패(101)들이 적절한 시기를 골라 투입된 돌(103)에 부착되어 양성되도록 한 방식이다. 그런데, 이 양성방식은 풍파 등에 의해 투석재가 매몰되거나 유실될 우려가 있고, 산석자재의 구입이 어려우며, 산석의 무게가 무거우므로 운반 및 시설에 애로가 있다. 또한 매년마다 전석 및 재 투석을 해야하는 노동력과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경제성이 떨어져 시설 양식방법으로는 바람직하지 않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연승수하 양성방식은 복수개의 뜨개(201)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켜 닻줄(203)에 끼운 다음 닻줄(203) 양단에 연결되어 있는 닻(205)을 해저(207)에 꽂아 고정하고, 해수면과 나란하게 떠있는 어미줄(204)로부터 수하연(209)을 적정 간격으로 벌려 매달아 수하연(209)에 부착된 종패(211)를 양성하도록 한 방식이다. 이때, 닻줄(203)은 시설물의 유지와 고정을 위한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연승수하식 양성방법은 플라스틱으로 만든 뜸(201)을 해면에 띄워 놓고, 이것을 밧줄로 연결해서 밧줄의 양끝을 닻으로 고정시킨 다음, 그 밧줄에 수하연을 매달아 양식하는 방법으로, 다량의 종패를 하나의 수하연(209)에 부착하기 곤란해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노동 집약적인 작업을 요구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에 도시된 방식은 뗏목 수하식 양식방법으로, 복수개의 횡간(301)과 종간(303) 적정 간격으로 교차시켜 만든 뗏목(305)에 뜨개(307)를 부착하여 부력을 주어 해수면 위에 띄워 놓고, 횡간(301) 및 종간(303)에 종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수하연(309)을 매달은 후, 각각의 수하연(309)에 패각(311)을 연결하고, 이 패각(311)에 종패를 부착하여 양성하도록 한 양성방식이다.
이 뗏목수하식은 2차원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뗏목(305)을 부유체로 사용하므로 내파성이 떨어지므로 풍파가 잦은 양성장에서는 사용이 적합하지 않으며, 부력이 크기 때문에 수하연(309)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어 하나의 수하연(309)에 의해 생산되는 굴의 양을 늘릴 수 있으므로 연승수하 방식에 비해 상대적으로 투입된 노동력에 대한 수확량이 증대되기는 하나 종패를 일일이 수하연(309)에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여전히 노동 집약적인 작업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연승수하식 양식방법은 뗏목수하식의 노동력 및 내파성 등의 결점으로 현재 양식 생산의 주체가 되고 있으며, 이는 뗏목수하식방법보다 생산성과 경제성 등이 모두 우월하기 때문이다. 또한 연승수하식은 파도에 견디는 힘이 강한 이점 때문에 외해의 영향을 많이 받는 내만이나 내해 등과 같이 파랑이 다소 심한 곳에서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뗏목수하식보다는 적지 수면적이 넓다. 다만 연안에서 멀리 떨어질 경우에는 먹이 생물의 양이 줄어들으므로 성장이 다소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뗏목수하식, 연승수하식 방법은 현재 경남남해안을 지역적인 위주로 하여 이용되는 양식방법으로 한정된 수역에서 어장의 장기적인 이용에 따라 각종 노폐물과 배설물 등의 장기 축적으로 인한 저질 오염되므로 환경이 악화되어 매년마다 심각하게 대두되어 채묘난으로 생산량이 줄어들고, 질병이 빈발하며, 성장의 부진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양식에 이용되는 종패를 생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자연채묘기법이나 인공채묘기법을 사용해오고 있는데, 각각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굴의 자연채묘기법은 봄에서 여름에 상승하는 수온이 25 내지 30℃의 산란 적합 온도에 달할 경우 보통 해수 중으로 알이 나오는 방란 후 2주가 경과되면 눈이나 다리가 생기며 성숙유생으로 커진다. 이는 곧 부착기에 부착하게 됨으로써 농밀하게 방란된 시기를 잘 맞추어서 도 4에 도시된 채묘기(401)를 수중에 넣도록 되어 있는 방식이다. 이때 채묘기(401)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수하된 채묘사(403)와 이 채묘사(403)에 밀착된 상태로 매달린 굴 껍질(405)로 이루어지며, 이 채묘기(4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묘시설(407)의 항목(409)에 매달려 아래로 수하되며, 굴 껍질(405)의 표면에 굴 종패(411)가 채묘된다.
따라서, 채묘기를 이용해 채묘를 하게 되면 굴 껍질(405) 종패가 하나씩 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성장하므로 성장 후 하나로 뭉쳐있게 되어 하나씩 낱개로 되어 있는 하나굴 종패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며, 대량 채묘 시에는 굴 껍질(405)이 많이 필요하게 되므로 운반비 및 재료비 또는 노동력 상승으로 인해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다른 채묘기법으로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인공채묘방법은 굴모패(어미)를 실내 탱크와 같은 건축물에서 사육관리하여 성숙을 유도한 다음, 수온조절에 의한 온도자극을 통해 인위적으로 산란을 유발하고, 인공적인 사료를 공급하거나 환경을 적정하게 유지하여 유생을 사육한다. 그리고 나서 사육된 유생을 도 4에 도시된 굴 껍질에 부착시킴으로써 양성 준비작업을 종료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인공채묘기법은 한정된 공간 내에서 양식을 하므로 굴의 영양 상태가 부실해져 굴의 질이 자연채묘에 의해 생산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하되며, 사육에 요구되는 여러 가지 인공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노동력과 재료비 부담이 커져 생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굴 양식방식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나 굴로 만들어진 종패를 양성과정에서 별도로 제작된 종패망과 양성망이라고 하는 자루에 집어넣어 부착기질 없이도 성패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종래의 굴 양식방식에 이용되는 구조물에 비해 시설 비용이 대폭적으로 저감되고, 작업 공수의 감소 및 작업의 기계화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구조물의 내파성이 우수하고 현장설치가 간단하고 용이한 양식 구조물 및 이에 따른 양식방식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채묘방법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채묘에 이용되는 소재를 달리하여 종패가 하나굴 형태로 하나씩 분리되어 생산될 수 있도록 채묘되는 채묘방법 및 채묘된 종패를 양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또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투석식 양식 기법을 설명하는 해저면 사시도.
도 2는 연승수하식 양식 기법을 설명하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뗏목수하식 양식 기법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채묘방법에 따른 채묘기의 개략도.
도 5는 도 4의 채묘기가 채묘설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 구조물의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장입망의 평면도로서, 도 7은 제1 종패망을, 도 8은 제2 종패망을, 도 9는 성패망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프레임체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받침주의 정면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브래킷의 사시도.
도 13은 도 6에 도시된 양식 구조물 고정용 말뚝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양식 구조물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양식 구조물 3 : 장입망
5, 5' : 지지봉 7 : 다리부
9 : 프레임체 11 : 받침주
13 : 걸대 14 : 브래킷
17 : 가로통 21 : 세로통
22 : 고정말뚝 50 : 양식 구조물 단위세트
60 : 양식 구조물 단위군 500 : 채묘설비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종패를 투입하도록 자루 형태로 되어 있는 장입망과 이 장입망을 얹져 놓도록 종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지봉이 얽어져 있으며 장입망이 바닥면과 일정 간격 유지되도록 복수개의 다리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프레임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프레임체는 일정 간격이 유지되어 병렬로 배열되어 횡방향 지지봉과 다리부를 이루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받침주와, 이 받침주의 상단에 받침주의 배열방향과 직각으로 일정 간격 유지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종방향 지지봉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걸대로 구성되어 있는 가상세트식 굴양식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종횡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간석지 바닥에 박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말목지주, 이 말목지주에 바닥으로부터 60㎝ 높이가 유지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연사 및, 이 연사와 동일한 높이에서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말목지주에 결합되어 보조로우프에 의해 꼬이지 않도록 유지되는 복수의 PP 밴드로 구성되어 있는 굴 종패 채묘설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가상 세트식 굴양식 구조물과 굴 종패 채묘설비에 의한 굴 종패의 양성 및 양식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식 구조물(1)은 크게 종패를 투입하도록 되어 있는 장입망(3)과 이 장입망(3)을 올려놓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체(9)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장입망(3)은 우량 모패에서 인공종묘로 생산한 하나 굴 종패 또는 자연채묘기법으로 채묘한 하나 굴 종패를 수용하도록 PE 계통의 스펜사로 제작된 망으로서, 양성 용도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제1 종패망(3-1), 도 8에 도시된 제2 종패망(3-2)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성패망(3-3)으로 구분된다. 각각의 장입망(3)은 종패망(3-1)의 경우 도 7에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망사눈 대각선 길이가 5㎜, 도 8의 종패망(3-2)의 경우에는 B로 표시된 것처럼 9㎜, 도 9의 성패망(3-3)은 C로 표시된 것과 같이 13㎜의 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으며, 제1 종패망(3-1)은 가로 즉, 폭이 45㎝, 길이가 1100㎝, 높이가 15㎝로 되어 있으며, 제2 종패망(3-2)은 가로 폭이 60㎝이며, 길이가 1100㎝, 높이가 25㎝로 되어 있고, 끝으로 성패망(3-3)은 폭이 75㎝, 길이가 1100㎝, 높이가 30㎝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장입망(3)의 크기가 다른 것은 하나씩 분리한 인공종패 또는 자연종패를 부착기질 없이 순수한 종패만을 장입망(3)내에 수용하게 되어 종패가 크기에 따라 장입망(3)에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종패가 성장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망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망내에서 굴의 생리적 안정감을 주고, 망내 해수의 원활한 소통 유지와 그 밖의 해저생물로부터 종패를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장입망(3)을 올려놓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체(9)는 분해 조립이 가능하고 상판에 장입망(3)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판을 지지하는 다리부(7)를 가지고 있는 구조이면 충분히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이 종횡방향으로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봉(5,5')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프레임체(9)는 본 발명의 경우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받침주(11)와 이 받침주(11) 위에 결합되는 걸대(13)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받침주(11)는 복수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병렬로 배열되어 있으며, 걸대(13)를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봉(5') 역할을 하는 중간부분과 이 지지봉(5')의 양단에서 아래쪽으로 적정 각도를 이루며 뻗어 있어 다리부(7)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절곡부분이 있으며, 이 절곡부분 즉, 다리부(7)의 끝단에는 짧게 적정 각도 예컨대 50°의 각도를 가지고 위쪽으로 뻗어 있는 착지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양식 구조물(1)은 바람직하게는 길이가 270㎝, 폭이 130㎝, 높이가 60㎝로 되어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걸대(13)는 기다란 철근과 같은 형상의 봉으로서 종방향 지지봉(5) 역할을 하도록 받침주(11)의 상단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병렬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 받침주(11)와 걸대(13)는 철근과 같이 강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이면 어떤 재료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이때 받침주(11)는 직경이 1.9㎝이고, 횡방향 지지봉(5')의 길이는 100㎝, 양 착지부(23) 사이의 거리는 160㎝이며, 높이가 60㎝이다. 또한, 걸대(13)는 직경이 1.6㎝이고, 하나의 길이가 270㎝이며, 4개가 직경이 1.6㎝이고, 길이가 270㎝이다.
이들 받침주(11)와 걸대(13)는 고정식인 경우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가 서로 직교하도록 배열된 상태에서 교차지점을 용접 등의 수단을 통해 고착시켜 장입망(3)을 올려놓을 수 있는 프레임체(9)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설치나 사용상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교차지점을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고정하여 필요할 때 받침주(11)와 걸대(13)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한 이동식 프레임체(9)를 형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는 장입망(3)을 올려놓도록 되어 있는 프레임체(9)를 착탈식 브래킷(14)에 의해 조립되는 분리가 가능한 복수개의 받침주(11)와 걸대(13)로 구성하여 구조물(1)의 설치와 이동이 매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체결수단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복수개의 받침주(11)와 이 받침주(11)의 상단에 직교하도록 위치하는 복수개의 걸대(13)를 조립한 상태에서 동시에 결합할 수 있는 부재이면 충분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도 10과 도 1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브래킷(14)을 사용할 수 있다.
이 브래킷(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걸대(13) 외주면에 끼워지는 가로통(17)과 받침주(11) 외주면에 끼워지는 세로통(21)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로통(17) 받침주(11) 위에 걸대(13)를 얹어 놓은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하는 걸대(13)쪽에 끼워지도록 하단부에 개방부(15)가 절개되어 있으며, 반면에 세로통(21)은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받침주(11)에 끼워지도록 아래쪽에 개방부(19)가 형성되어 있고, 장착시 걸대(13)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2단 분리되어 가로통(17) 하부면 측단에 직각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고정말목(22)을 받침주(11)의 다리부(7) 하단에 형성된 착지부(23)에 걸어 간석지 바닥에 꽂아 넣음으로써 간석지에 설치한 지 얼마 안된 경량의 프레임체(9)가 조류 등으로 인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고정말목(22)의 직경은 0.6㎝이고, 길이가 100㎝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양식 구조물(1)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받침주(11)와 4개의 걸대(13)로 하나의 양식구조물 단위세트(50)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단위세트(50)는 조류에 의한 저항을 덜 받도록 조류의 유동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2열 5행이 되도록 길게 배열되며, 이러한 배열이 하나의 양식 구조물 단위군(60)을 이루게 된다.
이때, 단위군(60)은 또한 간석지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위세트(50)는 열간에 작업자의 이동로를 확보하기 위해 횡방향 1m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고, 각각의 단위군(60) 간에는 운반차 또는 작업차의 이동로를 확보하기 위해 횡방향으로 7m의 간격이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양식 구조물(1)에 의해 종패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채묘설비와 채묘과정을 거쳐 종패를 얻도록 되어 있는데,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채묘설비(500)를 이용한다.
이 채묘설비(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말목지주(501), 이 말목지주에 묶이는 복수의 연사(503) 및 PP 밴드(505)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고정말목(501)은 간석지 바닥에 종횡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박도록 되어 있으며, 연사(503)는 간석지 바닥면으로부터 60㎝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이 연사(503)와 직각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PP밴드(505)도 마찬가지로 바닥과 60㎝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PP밴드(505)는 보조로우프에 의해 꼬임이 방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채묘설비(1)에 의해 종패를 채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4 내지 5 시간 정도로 바닥면이 노출되는 간석지에 위의 굴 종패 채묘설비(500)를 설치한다.
그리고 나서 종패가 PP밴드(505)에 부착된 다음 종패의 일령이 30 내지 50일이 되는 시기에 이르면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PP밴드(505)로부터 성장한 종패(507)를 훑어내 채취한다. 이렇게 채취된 종패는 곧바로 저울에 의한 개체수 산정을 하여 양식 구조물(1)로 이동된다.
개체별도 채취된 하나굴 종패(507)는 최초 제1 종패망(3-1)에 투입되어 양식 구조물(1)에 올려져 철사 등으로 결박되고, 적정 기간 동안 양성된 뒤 제2 종패망(3-2), 성패망(3-3)으로 옮겨지면서 양성기간이 만료되면 양식작업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양식 구조물에 의하면, 굴 종패 수용체로서 장입망을 사용하므로 종패를 장입망에 직접 수용하여 채묘공각의 구성을 생략할 수 있게 되어 채묘작업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종묘의 양성이 장입망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해적생물에 의한 식해를 경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양성된 성패를 껍질 채로 소포장하여 운반 등에 따른 취급을 할 수 있게 되어 상품화가 용이해진다.
또한, 프레임체에 의해 종묘가 수용된 장입망을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를 유지시켜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보다 위생적인 환경에서 종묘를 양성시킬 수 있게 되며, 이러한 프레임체를 착탈이 가능한 브래킷을 이용해 분리식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프레임체의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해 양식 구조물의 설비에 따른 작업시간이나 작업공수 또한 이에 따른 설비비용 등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해양환경 오염이 심각한 천해 양식어장을 피해 서남해안과 같은 조간대지역에서의 양식이 가능하게 되므로 양식어장의 장기적인 이용에 따른 어장 노후화와 어장환경오염의 문제를 염려할 필요가 없게 되며, 더욱이 간석지의 해양미생물 자원을 이용한 자정작용을 통해 육질이 우수하며, 청결한 굴의 양식이 가능해진다.
또한, 별도의 채묘설비에 의해 하나굴 종패를 얻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패를 개체를 보다 쉽게 하나씩 분리하여 채취할 수 있고, 채묘에 필요한 장비나 재료가 적게 소요되고 부피가 작아 재료비 절감 및 시설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노동력의 투입도 감소되므로 보다 효과적인 채묘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양식 구조물 및 채묘설비와 이에 따른 양식 및 채묘기법에 따르면 조간대 지역에서의 양식업을 확산을 기대할 수 있게 되므로 궁극적으로는 경쟁력 있는 굴 양식 산업에 의한 고부가가치의 창출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2)

  1. 종패를 투입하도록 자루 형태로 되어 있는 장입망(3)과 상기 장입망(3)을 얹져 놓도록 종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지지봉(5,5')이 얽어져 있으며 상기 장입망(3)이 바닥면과 일정 간격 유지되도록 복수개의 다리부(7)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프레임체(9)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체(9)는 일정 간격이 유지되어 병렬로 배열되어 상기 횡방향 지지봉(5')과 다리부(7)를 이루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받침주(11)와, 상기 받침주(11)의 상단에 상기 받침주(11)의 배열방향과 직각으로 일정 간격 유지되어 종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종방향 지지봉(5)을 이루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걸대(1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걸대(13)는 상기 복수개의 받침주(11)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걸대(13)와 상기 복수개의 받침주(11)는 조립시 상기 걸대(13)와 상기 받침주(11)의 교차지점에서 상기 걸대(13)와 상기 받침주(11)의 외주면에 동시에 결합되는 브래킷(14)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4)은 조립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걸대(13)에 끼워지도록 아래쪽에 개방부(15)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통(17)과,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상기 받침주(11)에 끼워지도록 아래쪽에 개방부(19)가 형성되어 있으며 2단 분리되어 상기 가로통(17) 하부면에 직각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는 세로통(21)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주(11)는 걸대(13)를 지지하는 횡방향 지지봉(5')과, 상기 지지봉(5')의 양단에서 하향 경사진 상태로 뻗어 끝단에 짧게 상향 경사진 착지부(23)가 형성되어 있는 2개의 다리부(7)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입망(3)은 종패의 크기에 따라 제1 종패망(3-1), 제2 종패망(3-2) 및 성패망(3-3)으로 전체 크기가 변화되며, 망사눈(A,B,C)의 크기도 각각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주(11)의 다리부(7) 끝단에 형성된 착지부(23)에는 상부가 원호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는 고정말목(22)이 걸려 바닥에 압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세트식 굴양식 구조물.
  9. 3개의 받침주(11)와 4개의 걸대(13)로 하나의 양식구조물 단위세트(50)를 구성하고, 상기 단위세트(50)를 2열 5행으로 조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배치하여 하나의 양식 구조물 단위군(60)을 형성하며, 상기 단위군(60)을 임의의 위치에 배열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세트식 굴양식 구조물의 설치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세트(50) 각각의 횡방향 간격은 1m로 유지되며, 상기 단위군(60) 각각의 횡방향 간격은 7m, 종방향 간격은 2m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세트식 굴양식 구조물의 설치방법.
  11. 종횡으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간석지 바닥에 박도록 되어 있는 복수개의 말목지주(501), 상기 말목지주(501)에 바닥으로부터 60㎝ 높이가 유지되도록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결합되는 복수의 연사(503) 및, 상기 연사(503)와 동일한 높이에서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상기 말목지주(501)에 결합되어 보조로우프에 의해 꼬이지 않도록 유지되는 복수의 PP 밴드(505)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종패 채묘설비(500).
  12. 4 내지 5 시간 노출되는 간석지에 상기 굴 종패 채묘설비(500)를 설치하고, 상기 채묘설비(500)의 설치후 종패의 일령이 30 내지 50일령이 되는 시기에 상기 PP밴드(505)로부터 종패를 채취하고, 상기 장입망(3)에 종패를 넣어 굴 양식용 가상세트식 양식 구조물(1)에 의해 양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 종패 채묘 및 양성방법.
KR1019970071168A 1997-12-20 1997-12-20 가상(架床)세트식굴양식구조물및이를위한하나굴종패생산및굴의양성방법 KR100261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168A KR100261437B1 (ko) 1997-12-20 1997-12-20 가상(架床)세트식굴양식구조물및이를위한하나굴종패생산및굴의양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1168A KR100261437B1 (ko) 1997-12-20 1997-12-20 가상(架床)세트식굴양식구조물및이를위한하나굴종패생산및굴의양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781A true KR19990051781A (ko) 1999-07-05
KR100261437B1 KR100261437B1 (ko) 2000-08-01

Family

ID=19527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1168A KR100261437B1 (ko) 1997-12-20 1997-12-20 가상(架床)세트식굴양식구조물및이를위한하나굴종패생산및굴의양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14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988B1 (ko) * 2015-06-02 2016-11-03 주식회사 미성테크 밴드를 이용한 굴 양식방법
KR20170001041U (ko) 2015-09-11 2017-03-21 손일광 다기능 컵
CN111972328A (zh) * 2020-08-28 2020-11-24 北部湾大学 一种牡蛎离岸原生态养殖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767B1 (ko) * 2009-08-03 2010-02-18 주식회사 씨에버 개체굴 양식용 수평망식 구조물
KR101395943B1 (ko) * 2011-09-14 2014-05-20 대한민국 패각을 이용한 친환경 해삼초
KR101582104B1 (ko) * 2012-08-21 2016-01-04 주식회사 씨에버 굴 양식 설비
KR101282132B1 (ko) 2013-02-18 2013-07-04 김수민 가상세트식 굴 양식 구조물 및 굴 양식을 위한 이의 설치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988B1 (ko) * 2015-06-02 2016-11-03 주식회사 미성테크 밴드를 이용한 굴 양식방법
KR20170001041U (ko) 2015-09-11 2017-03-21 손일광 다기능 컵
CN111972328A (zh) * 2020-08-28 2020-11-24 北部湾大学 一种牡蛎离岸原生态养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1437B1 (ko) 200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92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owing oyster reef
ES2248999T3 (es) Cultivo de animales marinos sesiles.
JPS62259527A (ja) 大ハマグリ等の貝類の養殖方法及び装置
WO2006063412A1 (en) Self-sustaining abalone farming system
US4434743A (en) Shellfish mariculture apparatus
KR100261437B1 (ko) 가상(架床)세트식굴양식구조물및이를위한하나굴종패생산및굴의양성방법
CN113632755B (zh) 人工贝壳鱼礁及其制备方法
KR101806086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방법
CN101146441B (zh) 应用于海产养殖的鱼笼
KR101402683B1 (ko) 갯벌참굴 양성망 설치대
CN210492218U (zh) 用于小龙虾养殖的水产养殖池
KR101806085B1 (ko) 해삼용 침하식 복합 양식장치
RU2730611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трепангов
CN202760008U (zh) 中华绒螯蟹大规模家系蟹苗土池培育装置
CN110140680A (zh) 一种合浦珠母贝底播养殖方法
CN212184724U (zh) 海参养殖网箱
KR102060864B1 (ko) 노지양식용 해삼 양식장치
CN110393164B (zh) 适合我国北方寒冷海区的文蛤大规格苗种三段式培育方法
Parsons Advantages in tray cultivation of Pacific oysters (Crassostrea gigas) in Strangford Lough, N. Ireland
KR200491524Y1 (ko) 부침식 가리비 대량 양식장치
US6325569B1 (en) Cultivating kelp and mussels together
CN104429915A (zh) 一种坛紫菜养殖设备及养殖方法
JP3232772U (ja) 藻類の養殖システム
CN214015538U (zh) 一种多功能鱼苗浮式饵料框
CN216219583U (zh) 一种新型青虾育苗网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