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5220A - 정곡기 - Google Patents

정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5220A
KR19990045220A KR1019980048354A KR19980048354A KR19990045220A KR 19990045220 A KR19990045220 A KR 19990045220A KR 1019980048354 A KR1019980048354 A KR 1019980048354A KR 19980048354 A KR19980048354 A KR 19980048354A KR 19990045220 A KR19990045220 A KR 19990045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grinding
abrasive grains
grains
hard abra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8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5405B1 (ko
Inventor
요시쿠니 미야타케
Original Assignee
수즈키 시게오
시즈오 카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즈키 시게오, 시즈오 카세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수즈키 시게오
Publication of KR19990045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2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Abstract

충분한 연삭력(硏削力)을 유지할 수 있고, 고효율로 고품질의 정곡(精穀)이 가능한 동시에, 번잡한 기계의 보수 관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원통체(24)와 회전체(23)의 간극에 의해 도정실(25)이 형성되고, 이 도정실(25)의 대면하는 양면에 연삭판(27,28)이 배치된다. 연삭판(27,28)의 최소한 한 쪽에는 표면에 다면체 형상을 가지는 경질의 다이아몬드 지립(砥粒)이 도금 증착된다. 그리고 원통체(24)측의 연삭판(27)이 고정 상태이고, 회전체 측의 연삭판(28)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양쪽의 연삭판의 서로의 연삭 작용에 의해 도정실(25)로 이송된 곡물 입자의 표면이 연삭된다.

Description

정곡기
본 발명은 쌀이나 보리 등의 곡물 입자를 정곡(精穀)하는 정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정부(搗精部)를 수직으로 배치하여 도정부의 하방으로부터 곡물 입자를 강제적으로 이송하여 상방으로부터 배출하는 동안에 곡물 입자의 정곡을 행하는 종형(縱型)의 정곡기에 관한 것이다.
정곡기는 크게 나누어 마찰식과 연삭식으로 구분된다. 마찰식의 정곡기는 정곡 통 내를 소정의 압력 하에서 반송시켜 곡물 입자 상호간에 작용하는 마찰력 또는 찰리력(擦離力)으로 곡물 입자 표면의 겨 층을 박리 제거하는 것으로서, 현미를 통상의 백미화하는 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연삭식의 정곡기는 슬릿을 가지는 원통의 펀칭된 강판 내에 고속 회전하는 연삭 롤을 배치하여 강판과 연삭 롤과의 10mm 정도의 간극을 곡물 입자가 통과하는 동안에 연삭 롤 표면의 지립(砥粒, abrasive grain)이 곡물 입자의 표면을 깍아 정곡을 행하는 것으로, 현미의 겨 층 및 전분 층의 일부까지 제거하는 양조용 쌀의 가공이나 보리와 같은 겨 층이 단단한 곡물의 정백 등에 이용되는 것이다.
종래, 전술한 연삭식의 정곡기에서는, 연삭 롤로서 도 7에 나타낸 금강사(金剛砂) 롤(emery roll)(70)이 이용된다. 금강사 롤(70)의 표면에는 "금강사"로 불리는 지립(7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금강사 롤(70)은 탄화규소(카보런덤)에 점토, 장석류(長石類)의 분말, 결합제 및 물을 혼합하여 성형하고 충분히 건조시킨 후, 1400℃ 정도에서 가열 소결시켜 얻어지는 것이다. 금강사 롤(70)의 형상은 원주형(圓柱形), 나사 형상, 원추대형 등이 있고, 각각의 직경을 변화시켜 주속도(周速度)에 변화를 갖게 하도록 하고 있다.
전술한 종래의 금강사 롤(70)을 이용한 연삭식 정곡기에서는, 지립(71)이 불규칙하여 피연삭물의 표면 연삭의 깊이가 일정하지 않고, 정미 후의 취사 시에 흡수(吸水) 특성에 불균일성이 생겨 익는 것이 균일하지 않게 되므로, 먹는 느낌을 악화시킨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 "금강사"(지립(71))의 연마 등으로 연삭력이 저하됨으로써, 금강사 롤(70)을 빈번하게 교환할 필요가 있어, 정곡기의 보수 관리가 번잡한 동시에 런닝 코스트가 고가로 된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금강사 롤(70)에 의해 충분한 연삭력이 얻어지지 않음으로써, 오래된 쌀이나 양조용 쌀 등과 같이 일부 전분 층까지 연삭이 필요한 정곡에서는, 공정을 5∼7회 정도 순환시켜 마무리할 필요가 있어, 정곡 작업의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충분한 연삭력을 유지할 수 있고, 고효율로 고품질의 정곡이 가능한 동시에, 금강사 롤을 빈번하게 교환하는 등의 번잡한 기계의 보수 관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 연삭식의 정곡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곡기(精穀機)에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정곡기에서의 도정부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은 정곡기의 작용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정곡기에서의 연삭판의 표면에 배설되는 1입자의 다이아몬드 지립과 종래의 정곡기에 사용되는 연삭 롤의 표면에 형성되는 1입자의 지립을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원의 정곡기에서의 연삭판의 표면 근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정곡기에 사용되는 연삭 롤의 표면 근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원의 정곡기에서의 연삭판의 실제적인 표면 근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정곡기는, 곡물 입자의 정곡을 행하는 도정부를 구비하는 정곡기에 있어서, 상기 도정부는, 그 한 쪽으로부터 곡물 입자가 강제적으로 이송되어 그 다른 쪽으로부터 곡물 입자가 배출되는 동안에 상기 곡물 입자의 정곡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중심축을 가지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상기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는 원주형의 회전체와, 상기 원통체의 내주면에, 그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1의 연삭판과, 상기 회전체의 외주면에, 그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2의 연삭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연삭판과 상기 제2의 연삭판 중의 최소한 한 쪽의 연삭판의 표면부에, 다면체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경질 지립이 도금 증착되어 이루어지는 연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경질 지립이 다이아몬드 지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질 지립의 입도는 대략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질 지립의 입도가 60∼100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복수의 상기 경질 지립은 이산적(離散的)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복수의 상기 경질 지립은 서로 대략 등간격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질 지립은 다각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질 지립은 평면형의 다각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경질 지립은 직선형의 능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삭부는 상기 제1의 연삭판과 상기 제2의 연삭판 중의 최소한 한 쪽의 연삭판의 금속 기부(基部)에 도금 증착된 도금층을 가지며, 상기 경질 지립의 하방부는 상기 도금층 중에 매설되고, 상기 경질 지립의 상방부는 상기 도금층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각각의 상기 경질 지립의 상기 상방부는, 대략 동등한 높이만큼 상기 도금층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도정부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도정부의 하방으로부터 곡물 입자를 강제적으로 이송하여 상방으로부터 배출하는 종형의 정곡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의 연삭판에만 상기 연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발명에 있어서, 원통체와 회전체의 간극에 의해 도정실이 형성되고, 이 도정실의 대면하는 양면에 연삭판이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원통체 측의 연삭판이 고정 상태이고, 회전체 측의 연삭판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양쪽의 연삭판의 서로의 연삭 작용에 의해 도정실에 이송된 곡물 입자의 표면이 연삭된다. 따라서 도정실을 통과하는 1회의 공정으로 충분한 정곡이 가능하게 된다.
연삭판의 표면에는 다면체 형상을 가지는 입도가 균일한 경질 지립이 도금 증착되어 있으므로, 지립이 낙하되거나, 마모되어 열화되지 않아, 기계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연삭력도 향상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정곡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여기에서 정곡기는 베이스 프레임(1) 및 프레임(2)을 하우징 구조로 가지며, 정곡할 곡물 입자를 공급하는 공급부(10),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된 곡물 입자를 하방으로부터 반입하여 상방으로부터 배출하는 동안에 정곡하는 도정부(20), 도정부(20) 내를 유동하여 배출되는 곡물 입자에 대하여 유동 저항을 부여하는 저항부여부(30), 도정부(20)에서 정곡된 곡물 입자를 배출하는 배출부(40), 도정부(20)에서 곡물 입자로부터 분리된 겨 등을 흡인하고 또 곡물 입자의 냉각을 위한 공기를 통풍하는 통풍부(50)를 기체(基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공급부(10)는 수입구(受入口)(21)에 연통 접속한 공급로(13)와, 이 공급로(13) 내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횡이송 스크류(14)와, 이 횡이송 스크류(14)를 회전 구동하는 공급용 모터(15) 및 전동(傳動) 기구(16)와, 공급로에 대하여 유량 조절판(12)을 통하여 연통 접속된 공급 호퍼(11)로 이루어진다. 공급 호퍼(11)에 투입된 곡물 입자의 유입량은 유량조절판(12)의 개도(開度)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되고, 유입량이 조정된 곡물 입자는 공급로(13)에 유입되어, 횡이송 스크류(14)의 반송 작용에 의해 수입구(21)에 공급된다.
저항부여부(30)는 출구(22)를 덮는 저항반(31)과, 저항반(31)을 하방으로 스프링 가압하는 저항체(32)와, 저항체(31)의 스프링 가압력을 조정하는 스프링압 조정용 모터(33)로 이루어진다. 스프링압 조정용 모터(33)에 의해 저항반(31)의 하방으로의 스프링 가압력을 조정함으로써, 도정부(20)로부터 유출되어 오는 곡물 입자에 대한 저항을 조정하여, 곡물 입자의 정백도(精白度)를 조정하는 것이다.
배출부(40)는 배출 슈트(42)에 의해 배출실(41)을 형성하고, 출구(22)로부터 유출되는 곡물 입자를 기구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다.
통풍부(50)는 흡인 팬(51)과 압송(壓送) 팬(52), 및 필요한 통풍 경로로 이루어진다. 압송 팬(52)에 의해 압송된 공기는, 회전체(23) 내의 통풍 경로(53)를 통하여 도정부(20) 내의 곡물 입자를 송풍하여 냉각을 행하는 동시에, 곡물 입자로부터 분리한 겨나 배아 등을 베이스 프레임(1) 및 흡인관(55)으로 이루어지는 배기 경로(54)로 방출시킨다. 배기 경로(54)에는 흡인 팬(51)에 의한 흡인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서 겨나 배아 등이 완전하게 기구 밖으로 회수된다.
다음에, 도 1 및 도 2에 의해 본 발명의 특징 부분인 도정부(2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수직 배치한 도정부(20)를 구비한 종형의 정곡기이지만, 본 발명은 특별히 종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도정부(20)는 원통체(24)와, 원통체의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회전체(23)를 구비하고, 원통체(24)의 내주면과 회전체(23)의 외주면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을 도정실(25)로 하고 있다.
원통체(24)에 대해 설명하면, 원통체(24)는 베이스 프레임(1)의 원통 부분의 내부에 그 원통 부분과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되고, 원통체(24)의 하방으로 동일하게 베이스 프레임(1)의 원통 부분과 동일한 축 상에 배치된 반송 드럼(26)이 연결되어 있다. 즉, 원통체(24)의 내측과 반송 드럼(26)의 내측에 전술한 도정실(25)이 형성되어 있고, 원통체(24)의 외측 및 반송 드럼(26)의 외측과 베이스 프레임(1)의 사이의 공간에 전술한 겨 등의 회수용의 배기 경로(5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체(24)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내측을 향한 복수의 프레임(24b)과, 이 복수의 프레임(24b) 사이에 배설한 도정 망(24a)과, 또한 프레임(24b) 내에 배설되는 복수의 망 고정 연삭판(27)을 구비하고 있다. 망 고정 연삭판(27)은 도정 망(24a)과 함께 프레임(24b)에 고정되어 있다. 도정 망(24a)은 정곡에 따라 곡물 입자로부터 박리된 겨 등을 배기 경로(54)로 배출하는 다수의 망 홀을 가지고 있다.
회전체(23)에 대해 설명하면, 회전체(23)는 프레임(2)의 하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신장되어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고, 그 하단에서 도정용 모터(59)에 전동하여 회전 구동되는 것이며, 반송 드럼(26) 내에서 반송 스크류(23b)를 형성하고, 원통체(24) 내에서 연삭 롤(23a)을 형성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체(23)의 내부는 통풍 경로(53)로 되어 있고, 연삭 롤(23a) 부분에 다수의 통기공(23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삭 롤(23a)의 외주면에는 세로로 긴 연삭 롤 판(28)이 원주 방향 등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되어 있다.
전술한 망 고정 연삭판(27) 및 연삭 롤 판(28)의 양 연삭판에는, 표면에 입도가 균일한 경질 지립이 도금 증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채용되는 경질 지립은 60∼100메쉬의 다이아몬드나 사파이어 등의 초경도를 가지는 지립이면 되지만, 내구성이나 고절삭력을 얻을 수 없다는 점에서 경도가 가장 높은 다이아몬드 지립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입자 크기는 80메쉬 정도가 최적이다.
도 6은 망 고정 연삭판(27) 및 연삭 롤 판(28)의 양 연삭판의 연삭판 표면부(60)의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 (61)는 연삭판 표면부(60)의 표면에 배설된 다이아몬드 지립의 1입자를 나타낸다. 도 5에 1입자의 다이아몬드 지립(61)의 크기를 종래의 지립(71)과 비교하여 나타낸다. 다이아몬드 지립(61)은 약 60∼약 100메쉬의 입도를 가지고, 한편 종래의 지립(71)은 약 30∼ 약 40메쉬의 입도를 가진다. 다이아몬드 지립(61)은 종래의 지립(71)의 크기의 약 반의 크기를 가진다. 또 다이아몬드 지립(61)은 다면체 형상을 가지며, 다각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도 5 또는 도 6에 다이아몬드 지립(61)의 형상의 일 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다.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다이아몬드 지립(61)이 삼각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복수의 다이아몬드 지립(61)은 서로 대략 등간격으로 이산적으로 분포되어 도금층(62)에 매설되어 있다. 도금층(62)은 망 고정 연삭판(27) 또는 연삭 롤 판(28)의 금속 기부(63) 상에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다이아몬드 지립(61)은 그 정상부가 도금층(6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배설되어 있다. 다이아몬드 지립(61)의 정상부는 예각(銳角) 모양으로 뾰족하게 되어 있다. 또 다이아몬드 지립(61)의 저부는 도금층(62) 내에 매설되어 있다.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다이아몬드 지립(61)의 저부는 도금층(62)의 표면에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매설되어 있다.
도금층(6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각각의 다이아몬드 지립(61)의 돌출 높이(h)는 복수의 다이아몬드 지립(61)에 걸쳐 대략 동등하게 정렬되어 있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또한 연삭판 표면부(60)의 표면에 배설된 다이아몬드 지립(6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또는 도 6에서는 입도가 이상적으로 정렬된 다이아몬드 지립(61)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8은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경우에 비해, 보다 실제적이고 제조가 용이한 다이아몬드 지립(61)의 예를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 연삭 롤 판(28)의 금속 기부(63) 상에 도금층(62)이 형성되고, 도금층(62)에 복수의 다이아몬드 지립(61)이 대략 등간격으로 이산적으로 분포되어 매설되어 있고, 다이아몬드 지립(61)의 상부는 도금층(6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다이아몬드 지립(61)의 하부는 도금층(62) 내에 매설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지립(61)은 다면체 형상을 가지고, 직선형의 능선부(61a)와 평면형의 평면부(61b)가 예각적으로 뾰족한 정상부(61c)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복수의 다이아몬드 지립(61)이 도금층(62)에 대략 등간격으로 이산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므로, 곡물 입자가 연삭되어 생성되는 겨가 다이아몬드 지립(61)과 인접하는 다이아몬드 지립(61)과의 사이에 잘 끼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몬드 지립(61)은 평면형의 평면부(61b)를 가지므로, 겨가 다이아몬드 지립(61)의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7에 나타낸 종래의 경우에는, 복수의 지립(71)이 이산적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지립(71)과 지립(71)과의 사이에 겨가 끼기 쉬워, 연삭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또 지립(71)의 표면은 평면 형상이 아니었으므로 지립(71)의 표면에 겨가 부착되기 쉬워, 연삭력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다이아몬드 지립(61)은 도금층(6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예각적으로 뾰족한 정상부(61c)를 가지므로 곡물 입자의 표면을 효율적으로 연삭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이아몬드 지립(61)은 직선형의 능선부(61a)를 가지므로 곡물 입자의 표면을 효율적으로 연삭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도 7에 나타낸 종래의 경우에는, 지립(71)은 매끄러운 형상을 한 정상부를 가지고, 또한 지립(71)은 곡선적인 능선부를 가지며, 이산적이 아니라 연속적으로 배설되어 있으므로 곡물 입자의 표면 을 효율적으로 연삭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초경도를 가지는 다이아몬드 지립(61)은 복수의 다이아몬드 지립(61)이 도금층(62)에 대략 등간격으로 이산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므로, 겨가 다이아몬드 지립(61)과 인접하는 다이아몬드 지립(61)과의 사이에 잘 끼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이아몬드 지립(61)은 평면형의 평면부(61b)를 가지므로 겨가 다이아몬드 지립(61)의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이아몬드 지립(61)은 단면이 다각형, 예를 들면 단면이 삼각형의 예각 모양의 정상부가 도금층(6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큰 연삭력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다이아몬드 지립(61)은 서로 대략 등간격으로 도금층(62)에 매설되어 있고, 또한 다이아몬드 지립(61)의 돌출 높이(h)는 대략 동등하게 정렬되어 있으므로, 곡물 입자의 표면 연삭의 깊이를 일정하게 할 수 있고, 정미 후의 취사 시에 흡수 특성에 불균일성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익는 것을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이아몬드 지립(61)의 정상부가 도금층(6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다이아몬드 지립(61)의 저부가 도금층(62)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다이아몬드 지립(61)은 도금층(62)으로부터 잘 탈락되지 않게 구성되고, 이에 따라서 연삭판 표면부(60)의 높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의 정곡기에서의 도정부(20)의 작용을 도 1 및 도 3에 의해 설명한다.
공급부(10)로부터 반송된 곡물 입자는 수입구(21)로부터 반송 드럼(26) 내에 이송된다. 반송 드럼(26) 내에서는 곡물 입자가 90° 방향을 바꾸어 반송 스크류(23b)에 의해 도정실(25) 내에 강제적으로 이송된다. 도정실(25) 내에서는 곡물 입자의 자중(自重)에 의해 적당하게 내압(內壓) 밀도가 높아지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삭 롤(23a)에 배설된 연삭 롤 판(28)과 원통체(24)에 배설된 망 고정 연삭판(27)과의 서로의 연삭 작용에 의해 곡물 입자의 표면이 깍이고, 상방으로 강제적으로 보내지는 동안에 정곡이 진행되고, 도정부 출구(22)로부터 배출부(40)로 배출된다. 또 도정실(25) 내에서 발생한 겨 등은 도정 망(24a)으로부터 배기 경로(54)로 배출되고, 흡인 팬(51)의 흡인 작용으로 기구 밖으로 운반되어 겨 상자 등에 회수된다.
도정부(20)에서의 연삭률은 도정부 출구(22)의 상부에 배설된 저항부여부(30)의 작용으로 조정되지만, 개방 상태에서도 도정률은 95% 정도까지 연삭된다. 따라서 1단계에서 가압 없이 도정률 95%의 도정을 행하고, 2단계에서 마찰에 의한 마무리 정미와 겨 제거를 행하여 마무리하는 경우라도, 연삭률이 높은 만큼 마찰 정미의 부담이 적어져, 파쇄된 입자의 발생이나 정미 온도의 상승을 방지할 수 있고, 고품질의 저온 정미가 가능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개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에서는 망 고정 연삭판(27)측에만 다이아몬드 지립의 도금 증착을 실시하고, 연삭 롤(23a)측에는 표면에 돌출부(29a)를 형성한 마찰 롤 판(29)을 이용한 것이다. 마찰 롤 판(29)의 돌기(29a)에 의한 가압 기능이 작용하여 연삭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배아를 제거하는 정곡 작업에 적합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므로 다음에 기재하는 효과를 가진다.
(1) 지립으로 입도가 균일한 경도의 지립, 예를 들면 다이아몬드 지립(61)을 사용함으로써 연삭에 의한 곡물 입자의 표면 깊이가 일정하여, 취사 시의 흡수 특성이 안정된다. 초강 지립으로서는 다이아몬드 지립이 가장 적합하다.
(2) 연삭력의 향상에 의해, 겨 층보다 경질의 전분 층의 연삭이나 보리의 전분 층의 연삭이 가능하게 되어, 저단백미 등의 정미 등, 정곡의 적용 범위가 다양화되어 기계의 이용 효율이 향상된다.
(3) 연삭력의 향상에 의해, 1회의 공정으로 충분한 연삭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내구성이 향상되어 기계의 보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4) 복수의 다이아몬드 지립(61)이 도금층(62)에 대략 등간격으로 이산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므로, 겨가 다이아몬드 지립(61)과 인접하는 다이아몬드 지립(61)과의 사이에 잘 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다이아몬드 지립(61)은 평면형의 평면부(61b)를 가지므로, 겨가 다이아몬드 지립(61)의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다이아몬드 지립(61)은 도금층(6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예각적으로 뾰족한 정상부(61c)를 가지므로, 곡물 입자의 표면을 효율적으로 연삭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다이아몬드 지립(61)은 직선형의 능선부(61a)를 가지므로, 곡물 입자의 표면을 효율적으로 연삭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3)

  1. 곡물 입자의 정곡(精穀)을 행하는 도정부(搗精部)를 구비하는 정곡기에 있어서,
    상기 도정부는,
    그 한 쪽으로부터 곡물 입자가 강제적으로 이송되고 그 다른 쪽으로부터 곡물 입자가 배출되는 동안에 상기 곡물 입자의 정곡이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중심축을 가지는 원통체와,
    상기 원통체의 상기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되는 원주형(圓柱形)의 회전체와,
    상기 원통체의 내주면에, 그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1의 연삭판과,
    상기 원통체의 외주면에, 그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 개의 제2의 연삭판과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연삭판과 상기 제2의 연삭판 중의 최소한 한 쪽의 연삭판의 표면부에, 다면체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경질 지립(砥粒)이 도금 증착되어 이루어지는 연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지립이 다이아몬드 지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지립의 입도(粒度)는 대략 균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지립의 입도가 60∼100메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5.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경질 지립은 이산적(離散的)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6.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경질 지립은 서로 대략 등간격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지립은 다각형상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지립은 평면형의 다각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지립은 직선형의 능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삭부는 상기 제1의 연삭판과 상기 제2의 연삭판 중의 최소한 한 쪽의 연삭판의 금속 기부(基部)에 도금 증착된 도금층을 가지고, 상기 경질 지립의 하방부는 상기 도금층 중에 매설되고, 상기 경질 지립의 상방부는 상기 도금층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11.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경질 지립의 상기 상방부는, 대략 동등한 높이만큼 상기 도금층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정부는 수직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도정부는 하방으로부터 곡물 입자를 강제적으로 이송하여 상방으로부터 배출하는 종형의 정곡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연삭판에만 상기 연삭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곡기.
KR1019980048354A 1997-11-13 1998-11-12 정곡기 KR100325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312040 1997-11-13
JP9312040A JPH11138024A (ja) 1997-11-13 1997-11-13 精穀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220A true KR19990045220A (ko) 1999-06-25
KR100325405B1 KR100325405B1 (ko) 2002-08-08

Family

ID=18024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8354A KR100325405B1 (ko) 1997-11-13 1998-11-12 정곡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70815A (ko)
JP (1) JPH11138024A (ko)
KR (1) KR100325405B1 (ko)
TW (1) TW36388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25B1 (ko) * 2006-08-20 2007-11-16 주식회사 나노미 도정기 및 이를 이용한 배아미 가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00471A1 (en) * 2003-06-16 2005-01-06 Monsanto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ation of genetically transformable plant tissue
US7560611B2 (en) 2003-08-05 2009-07-14 Monsanto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tantially isolating plant tissues
US7150993B2 (en) * 2003-08-05 2006-12-19 Monsanto Technology Llc Method for excision of plant embryos for transformation
US7753303B2 (en) * 2006-09-21 2010-07-13 Hall David R Rotary shaft impactor
KR100827360B1 (ko) 2006-12-20 2008-05-07 (주)디미원 원통 양방향 회전 연삭 도정 장치
CN105112438A (zh) 2007-03-09 2015-12-02 孟山都技术公司 使用壮观霉素选择的植物转化方法
KR100780733B1 (ko) 2007-04-30 2007-11-30 주식회사 나노미 정미기용 카오스 모션 도정롤
US7939325B2 (en) * 2007-08-31 2011-05-10 Monsanto Technolog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ubstantially isolating plant tissues
CN101980594A (zh) * 2008-05-23 2011-02-23 先正达参股股份有限公司 用于提取植物胚的方法和装置
US10137556B2 (en) * 2009-06-22 2018-11-2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haped abrasive particles with low roundness factor
KR200468584Y1 (ko) * 2011-07-15 2013-08-21 현대기계공업(주) 기립형 정미기
JP1566815S (ko) * 2016-06-27 2017-01-16
JP6896223B2 (ja) * 2017-04-13 2021-06-30 株式会社サタケ 酒造用精穀機
JP7117722B2 (ja) * 2017-09-21 2022-08-15 大和産業株式会社 表面加工粒状物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CN114505115B (zh) * 2022-03-10 2023-06-09 深圳市麦稻科技有限公司 一种谷物磨削机构及谷物磨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97435A (ko) * 1968-08-13 1970-06-29
MX147108A (es) * 1979-01-24 1982-10-06 Felipe Salete Garces Mejoras a maquina pulidora y blanqueadora de granos
MX159213A (es) * 1984-05-14 1989-04-20 Felipe Salete Garces Ensamble de criba y rotor para maquinas descascaradoras,descortezadoras,pulidoras y blanqueadoras de granos
JPS63287560A (ja) * 1987-05-18 1988-11-24 株式会社 サタケ 竪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DE3723558A1 (de) * 1987-07-16 1989-01-26 Netzsch Erich Holding Muehle, insbesondere ruehrwerksmuehle
AU605690B2 (en) * 1988-04-26 1991-01-17 Satake Engineering Co. Ltd. Process of and system for flouring grains
JPH0760464B2 (ja) * 1988-08-12 1995-06-2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
JPH0321350A (ja) * 1989-06-16 1991-01-30 Shinnakano Kogyo Kk 精白転子
JPH04118055A (ja) * 1990-09-07 1992-04-20 Yakushin Kikai Seisakusho:Kk 穀類の皮層の剥離装置および剥離方法
JP3506441B2 (ja) * 1991-08-29 2004-03-15 株式会社サタケ 精麦製粉装置
US5186968A (en) * 1991-09-09 1993-02-16 Conagra, Inc. Process for milling cereal grains
US5279328A (en) * 1993-01-19 1994-01-18 Fluoroware, Inc. Weir valve with adjustable bypass
JP3173984B2 (ja) * 1996-01-24 2001-06-04 株式会社クボタ 研米装置
JP3535641B2 (ja) * 1995-12-27 2004-06-07 覺 井村 精穀ロール及び精穀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625B1 (ko) * 2006-08-20 2007-11-16 주식회사 나노미 도정기 및 이를 이용한 배아미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38024A (ja) 1999-05-25
US6070815A (en) 2000-06-06
KR100325405B1 (ko) 2002-08-08
TW363885B (en) 199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5405B1 (ko) 정곡기
EP0742048B1 (en)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TWI717524B (zh) 研磨型橫式精米機
JPH07227550A (ja) 研削式竪型精穀機
EP2094389B1 (en) Abrasion apparatus with an abrading belt and product chambers
JPS6430654A (en) Vertical shaft type friction cutting rice refining machine
JPH01254263A (ja) 堅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JP2009061368A (ja) 米を無洗米化できる精米装置
US3776475A (en) Automatic pulp grinder control
KR20180089493A (ko) 로터, 그라인딩 기계, 공기 추출 케이싱, 및 그라인딩 기계용 그라인딩 요소
AU2007306084B2 (en) Surface abrasion of objects
EP0755304B1 (en) Surface abrasive treatment of small objects
EP0550524B1 (en) Surface abrasive treatment of small objects
WO2020031848A1 (ja) 研削式竪型精穀機
JPH0577150A (ja) ボール研磨機
JP3790864B2 (ja) 研削・摩擦型精米機
KR100318053B1 (ko) 세라믹스 완패스 정미기
MXPA98009371A (en) Machine for moler gra
KR100356532B1 (ko) 타공금망에 의한 연미장치
JP2007260597A (ja) 竪型精米装置
JPH06106080A (ja) 竪軸型精米装置
KR20020028185A (ko) 타공 금망에 의한 저압력 정미 장치
WO2018012467A1 (ja) 研削式竪型精穀機
JP4546516B2 (ja) 精米機
JP2001062316A (ja) 一軸研削摩擦精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