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625A - 폐플라스틱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625A
KR19990028625A KR1019970709947A KR19970709947A KR19990028625A KR 19990028625 A KR19990028625 A KR 19990028625A KR 1019970709947 A KR1019970709947 A KR 1019970709947A KR 19970709947 A KR19970709947 A KR 19970709947A KR 19990028625 A KR19990028625 A KR 19990028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temperature
exhaust
waste plast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9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3023B1 (ko
Inventor
구니히로 우카이
다케시 도미자와
다쓰오 후지타
지로 스즈키
미쓰유키 나카조노
도모타카 핫도리
Original Assignee
모리시따요오이 찌
마쓰시따덴끼상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따요오이 찌, 마쓰시따덴끼상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따요오이 찌
Publication of KR19990028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6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0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00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 B30B1/003Presses, using a press ram, characterised by the features of the drive therefor, pressure being transmitted directly, or through simple thrust or tension members only, to the press ram or platen by an elastic bag or diaphragm expanded by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7Compacting complete was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baling; Compression boxes therefor
    • B30B9/3003Details
    • B30B9/3035Means for conditioning the material to be pressed, e.g. paper shred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26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by agglomeration or compacting
    • B29B17/0047Compacting complete waste articles
    • B29B17/0052Hollow articles, e.g. bott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1/00Solid material comminution or disintegration
    • Y10S241/38Solid waste dispos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뚜껑(2b)을 가지는 폐플라스틱의 수납부(2)와, 히이터(7b)와 송풍기(7a)를 가지는 폐플라스틱의 가열부(7)와, 열풍을 순환하도록 수납부(2)와 가열부(7)에서 형성한 열풍순환경로(20)와, 열풍순환경로(20)에서 분기한 배기경로(10)와, 배기경로(10)에 설치한 탈취부(9)를 갖추고, 또한, 단위시간마다 소정량의 외부공기를 열풍순환경로(20)에 취입시킴에 응하여 열풍순환경로(20)내의 상기 소정량과 동일량의 열풍을 탈취부(9)를 통하여 배기경로(10)에서 배기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K4).

Description

폐플라스틱 처리장치
플라스틱 식품포장재, 용기, 곤포재 등의 일회용도에 폭넓게 사용되며, 사용후는 진개로서 대량으로 배기되고 있는 현상이다. 그리하여, 최근 진개의 감량화, 에너지절약이나 자원절약의 관점에서 포장용기 재생용법이 일본에서 제정되어, 이것 등의 플라스틱을 재생하는 것이 의무화되었다. 플라스틱의 재생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법적인 규제뿐만아니고 경제면의 접근에서도 중요하게 된다. 그 하나의 시도로서 기계적인 파쇄절단, 감용화 기기, 기계적인 압축장치, 기계적인 파쇄 마찰열 용해장치 등에 의한 플라스틱을 감용화하여 운반회수비용을 삭감하며, 재생 플라스틱의 가격을 저감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공지장치는 처리능력은 크지만 어느 것이든 대형 또한 고가이기 때문에, 비교적 소량의 플라스틱을 처리하는 것으로 되는 슈퍼마켓 등의 말단의 회수거점에서의 사용에는 적당하지 못하다.
한편, 비교적 소량의 플라스틱을 처리하는 목적에 적합한 방식으로서, 특개평5-23655 또는 특개평5-92179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같이 플라스틱을 저온으로 가열하여 감용화하는 방법이다. 이 방식은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장치구조가 단순하여, 소량 분산처리용의 소형장치에 적합하다. 그러나, 이 공지방식에 있어서는 플라스틱의 감용화를 위하여 가열하기 때문에 플라스틱의 종류 또는 가열온도에 따라서는 취기를 동반하는 가스가 가열공정중에서 발생하여서 처리중 및 처리후의 장치에서 악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처리장치를 슈퍼마켓 등의 점포에서 사용할 경우, 악취가스의 발생은 심각한 문제로 된다. 또한, 이 공지방식에서는 장치제어의 오작동으로서 플라스틱을 이상 고온으로서 가열할 경우 또는 등유 등의 가연성 휘발성분이 장치에 혼입했을 때, 가연성 가스가 대량으로 발생하여 가연성 가스가 발화온도에 도달하는 위험성도 있다.
따라서, 종래의 폐플라스틱 처리에 있어서, 취기를 신속 또한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기술을 확립함과 동시에 만일의 조건을 고려하여 발생
가스의 발화를 방지하지 않으면 안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소규모 사업장, 점포 등에서 발생하는 플라스틱 포장재, 플라스틱 곤포재, 플라스틱 용기 등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감용화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의 부분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의 촉매탈취부의 부분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의 촉매탈취부의 부분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의 부분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의 부분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의 방염부의 정면도.
도 7은 도 6의 방염부의 Ⅶ-Ⅶ선에 있어서의 단면도.
본 발명은, 종래의 폐플라스틱 감용화에 있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폐플라스틱 가열시의 악취발생을 방지하고, 이상조작시의 가연성 가스의 발생을 억제하며, 또한 발생가스의 발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소규모 사업장, 점포 및 가정용에 적합한 소형으로서 저렴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처리장치는, 뚜껑을 가지는 폐플라스틱의 수용부와, 히이터와 송풍기를 가지는 폐플라스틱의 가열부와, 열풍을 순환할 수 있도록 수납부와 가열부로서 형성한 열풍순환경로와, 열풍순환경로에서 분기한 배기경로와, 배기경로에 설치한 탈취부를 갖추고, 또다시 단위시간마다에 소정량의 외부공기를 열풍순환경로에 취입함에 응하여 열풍순환경로내의 상기 소정량과 동일량의 열풍을 탈취부를 통하여 배기경로에서 배기한다.
또한, 매분 열풍순환경로의 체적의 20% 이상의 체적의 외부공기를 열풍순환경로에 취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폐플라스틱의 가열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양이 저감되며, 발생하는 가스취기가 무취화됨과 동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발화위험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폐플라스틱을 소규모 사업장 등에서 안전 또한 효과적으로 감용화할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를 나타낸다.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는 본체(1)와 폐플라스틱의 수납부(2)를 갖춘다. 수납부(2)는 폐플라스틱의 수납용기(2a)와, 수납용기(2a)의 상부에 설치한 뚜껑(2b)을 가진다. 폐플라스틱을 압압하도록 상하로 이동자재의 밑판(3)이 수용용기(2a)내에 설치되고, 또 신축성과 기밀성을 가지는 자루(4)가 밑판(3)의 아래에 배치되어서 공기펌프(5)와 연결되어 있다. 또, 단열용기(6)가 본체(1)와 수납용기(2a)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는 또한, 플라스틱을 가열하는 가열부(7)를 갖춘다. 가열부(7)는 압력 시로코형 송풍기(7a)와, 히이터(7b)와 수납용기(2a)의 옆벽 상부에 설치한 열풍입구(7c)와, 단열용기(6)의 하부에 설치한 열풍의 흡인구(7d)로서 된다.
또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는 열풍입구(7c)에 있어서 수납용기(2a)내의 열풍공급온도를 검지하는 열풍온도검지부(8)와, 촉매탈취부(9)와, 열풍을 순환하도록 하는 수납부(2)와, 가열부(7)에서 형성한 열풍순환경로(20)와, 열풍순환경로(20)에서 분기하여 촉매탈취부(9)에 통하는 배기경로(10)와, 송풍기(7a)의 흡인구에 설치한 외부공기취입구(11)를 갖춘다.
도 2에 나타낸 것같이, 촉매탈취부(9)는 백금계 산화촉매를 하니검형상 세라믹스에 담지된 촉매부(9a)와, 촉매부(9a)의 상류에 설치된 히이터(9b)와, 촉매부(9a)의 온도를 측정하는 촉매온도측정부(9c)를 갖춘다.
이하에, 상기 구성의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의 작동을 설명한다. 최초에 뚜껑(2b)을 열고 폐플라스틱을 수납용기(2a)에 넣어서 밑판(3)상에 적재한다. 다음에, 송풍기(7a) 및 히이터(7b)에 통전하므로서 열풍입구(7c)에서 열풍을 수납용기(2a)내의 폐플라스틱에 공급한다. 이때, 열풍의 온도를 열풍온도검지부(8)에서 검지하고, 열풍의 온도를 플라스틱의 유리전위온도(플라스틱 연화온도) 이상에서 플라스틱 용융온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한다. 열풍입구(7c)에서 수납용기(2a)내에 공급된 열풍은 도 1의 화살표 A에 나타낸 것같이, 수납용기(2a)에 설치한 열풍출구(15)에서 단열용기(6)내로 이동하여, 다음에 흡인구(7d)에 송풍기(7a)에 의하여 흡인되어서 순환된다. 이때, 송풍기(7a)의 풍압에 의하여 마이나스압이 되는 외부공기취입구(11)에서 외부공기를 취입하여 열풍순환경로(20)내를 환기한다.
또, 외부공기의 취입공기량에 상당하는 양의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내의 열풍이 송풍기(7a)의 압력에 의하여 배기경로(10)를 통과하여 촉매탈취부(9)에 보내진 후 배기된다. 이때, 촉매부(9a)는 히이터(9b)에서 촉매온도측정부(9c)의 설정온도까지 가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종적으로 폐플라스틱을 가열한 후, 자루(4)에 공기를 공기펌프(5)로서 보내므로써 자루(4)를 팽창시키고 밑판(3)을 상승시킨다. 그 결과, 폐플라스틱이 밑판(3)과 뚜껑(2b)과의 사이에서 압축되어서 소성 변형을 받는다.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는 범용의 폐플라스틱을 가열압축하며 감용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열풍의 온도를 열풍온도검지부(8)에서 검지하면서 플라스틱의 탄성이 대폭으로 저하하는 유리전위온도를 하한하는 한편, 플라스틱의 용해를 억제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용융온도를 상한으로하여 열풍의 온도를 제어하며, 폐플라스틱을 가열한다.
이로 인하여, 작은 응력으로 폐플라스틱을 압축하는 일이 가능하다. 그러나, 플라스틱의 종류에 의하여서는 가열시에 취기성 가스가 발생하므로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에서의 취기발생의 원인이 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매분 열풍순환경로(20)의 체적의 20% 이상의 체적의 외부공기를 열풍순환경로(20)에 취입함과 동시에, 외부공기의 상기 체적과 동일한 체적의 열풍을 촉매탈취부(9)에서 산화분해에 의하여 무취화시킨 후 배기하므로써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를 환기한다. 이 결과, 폐플라스틱의 가열중에 발생하는 가스의 양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스발생량의 큰 플라스틱을 기준으로하여 열풍순환경로(20)의 체적의 20%의 체적의 외부공기를 열풍순환경로(20)에 매분 취입하는 환기량을 최소환기량으로 했으나, 환기량에 비례하여 발생가스 저감효과가 크게 되는 것은 당연하다. 또, 발생가스가 적은 플라스틱을 전용으로 처리할 경우에는 환기량을 크게 취할 필요는 없으며, 촉매탈취부(9)의 능력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 환기량을 결정하여도 좋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외부공기의 열풍순환경로(20)의 취입과 열풍의 촉매탈취부(9)의 이송에 가열부(7)의 송풍기(7a)를 사용하였으나, 각각의 작동전용의 2대의 송풍기를 별개로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폐플라스틱의 압축기구에 공기압을 사용했으나, 랙피니온기구, 화중을 상부에서 인가하는 기구등 폐플라스틱에 응력을 인가하는 구성이면 어떤 압축기구라도 동일한 압축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 열수축성이 큰 플라스틱, 예컨대 발포 폴리스티렌은 상기와 같은 압축기구를 설치하지 않고 가열기구만을 설치하여도 상당한 감용화처리를 할 수 있다.
이하에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를 사용하여 폐플라스틱으로하여 가열시에 악취를 발생하는 발포 폴리스티렌을 처리한 제1실시형태의 제1의 구체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발포 폴리스티렌은 가열에 의하여 잔류 모노마인 스티렌, 발포 조제인 톨루엔 등의 취기성 가스를 대량으로 발생한다. 또한, 이때에 부탄, 펜탄, 시크로헥산 등의 발포제의 잔류성분도 대량으로 발생한다. 특히, 발포 폴리스티렌에서의 가스발생량은 발포후의 일수가 짧을수록 많게 되는 경향이 있어서, 발포직후의 발포 폴리스티렌으로서는 그 중량의 2∼3% 정도의 발포제가 잔류하고 있으므로, 환기없이 대량의 발포직후의 발포 폴리스티렌을 가열했을 경우, 수납용기(2a)내의 발생가스농도가 가연범위에 들어갈 위험마저 발생한다. 따라서, 안전성의 관점에서도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의 환기량을 크게 취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구체예에서는 약 150ℓ의 열풍순환경로(20)의 체적과 약 600g/운전사이클의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의 발포 폴리스티렌 처리능력에 의거하여, 환기량을 60ℓ/min으로 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가스의 양은 가열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발포 폴리스티렌에 온도분포를 만들어서 급격한 가스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풍의 온도를 110℃에서 130℃까지 천천히 상승시켜 최종의 열풍입구(7c)의 열풍의 온도를 150℃로 하는 가열조건으로 하였다. 그 결과, 매분 60ℓ의 환기량으로서 취기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발포 폴리스티렌의 가열시의 발생가스를 안정한 농도로 저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는 열풍순환경로(20)의 체적의 20%에 상당하는 30ℓ/min, 이상의 환기량이 있으면 발포 폴리스티렌의 가열시의 발생가스를 안전한 농도로 저감할 수 있는 것도 확인하였다. 이때에, 환기량은 외부공기취입구(11)의 면적을 변경하는 것으로서 조절하였다. 또, 발포 폴리스티렌은 150℃의 열풍가열에 의하여 체적을 약 1/30 정도로 감용화하고 있다.
다음에,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를 사용하여 폐플라스틱으로서 발생가스가 적은 PET병을 처리한 제1실시형태의 제2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PET병에서 가스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PET병의 가열에 의하여 PET병의 잔류물에서 취기가 발생한다. 그러나, 본 구체예에 있어서 매분 열풍순환경로(20)의 체적의 20% 이상의 체적의 외부공기를 열풍순환경로(20)에 취입하여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를 환기함과 동시에, 외부공기의 상기 체적과 동일한 체적의 열풍을 촉매탈취부(9)에서 산화분해에 의하여 무취화 한 후 배기하므로써 발생취기가 거의 무취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 PET병은 가열과 압축을 동시에 행하는 처리에 의하여 체적을 약 1/12 정도로 감용화하고 있다.
이하에,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를 사용하여 열풍순환경로(20)에서의 열풍의 배기량에 의거하여 열풍의 배기류속이 1m/s 이상이 되도록 배기경로(10)의 단면적을 설정하여 폐플라스틱을 감용화처리한 제1실시형태의 제3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본 구체예에서는 촉매부(9a)의 상류면이 통상 500℃가 되도록 가열제어하였다. 그 결과, 휘발성 가연성분이 촉매탈취부(9)에 혼입하거나 대량의 가연가스성분이 폐플라스틱에서 발생할 경우 촉매탈취부(9)가 발화원으로 되어서 이것 등의 가스가 발화될 위험이 있다. 또 일반으로, 탄화수소계의 가연성분의 상온에서의 최대 연소속도는 1m/s 미만이다. 그리하여, 본 구체예에서는 상기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촉매탈취부(9)에의 열풍의 배기량을 기초로 열풍의 배기류속이 1m/s 이상이 되도록 배기경로(10)의 단면적을 설정하였다. 촉매탈취부(9)에의 열풍의 배기류속을 1m/s 이상으로 설정하므로써, 이론적으로도 촉매탈취부(9)에서의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내의 가스의 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구체예에 있어서 촉매탈취부(9)가 발화원이 되어서 역화가 발생하는지 어떤지의 시험을 행하였다. 이 시험에서는 발포 폴리스티렌 가열시에 발생하는 부탄가스와 스티렌가스를 동량비 정도의 농도로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내에 넣고, 이것 등의 가스가 촉매탈취부(9)에 의하여 발화하는지 않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시험결과, 열풍의 배기류속이 1m/s 이상일 경우, 촉매탈취부(9)에서의 부탄가스와 스티렌가스의 역화는 발생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제2실시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관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의 촉매탈취부(19)를 나타낸다. 촉매탈취부(19)는 배기구에 배기온도측정부(9d)를 마련한 점을 제외하고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의 촉매탈취부(9)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의 다른 구조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의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는, 폐플라스틱의 가열처리를 개시하기 전에 촉매부(9a)를 설정온도까지 예열하고, 그 예열중에 배기온도측정부(9d)에서 배기온도를 측정하여 그 배기온도를 기초로 폐플라스틱의 처리를 제어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과 동일한 작동을 행한다.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는 폐플라스틱의 가열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양을 저감하기 위하여 외부공기를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내에 취입함과 동시에,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내의 열풍을 촉매탈취부(19)를 통하여 배기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와 동일한 환기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환기량과 발생가스의 저감량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발생가스의 량을 충분히 저감하기 위하여서는 소정의 환기량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송풍기(7a)의 능력의 저하나 배기경로(10)의 막힘 등이 발생할 경우 환기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촉매부(9a)의 예열시에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설정값에 도달한 시점의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에서 촉매탈취부(19)에의 배기량을 측정한다. 이것은 배기량과 촉매부(9a)의 상류측에서 하류측으로 운반되는 단위시간당의 열량과는 상관성이 있으며, 촉매부(9a)의 예열시에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설정값에 도달한 시점의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에서 촉매탈취부(19)의 열풍의 배기량을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등 일련의 작동으로 소정량 이상의 배기량이 있는 것을 확인 한 후에 처리를 진행시키므로써 취기를 확실히 저감할 수 있다.
이하에,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를 사용하여 촉매탈취부(19)에의 열풍의 배기량을 추정한 제2실시형태의 제1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촉매탈취부(19)에의 열풍의 배기류량을 0, 30, 45, 60ℓ/min에 설정하여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400℃가 되도록 촉매부(9a)를 예열했을 때의 열풍의 배기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외부공기의 온도는 20℃이다. 촉매온도측정부(7c)의 측정온도가 400℃에 도달한 시점의 열풍의 배기온도는 배기류량이 0, 30, 45, 60ℓ/min일 때에, 각각 21, 65, 167, 273℃가 되며, 배기류량의 증가에 따라 배기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측정결과에 의거하여, 본 구체예에서는 최소 배기류량을 30ℓ/min 이상으로 하기 위하여 촉매부(9a)의 예열시에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설정값에 도달한 시점의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를 100℃로 설정하였다. 또한, 폐플라스틱 처리개시시의 배기류량을 검지하므로써 배기경로(10)의 막힘이나 송풍기(7a)의 고장을 발견할 수 있다. 또, 배기류량이 적을 경우에 폐플라스틱의 가열공정에 이행하지 않는 제어를 하는 것이며, 발생하는 가스의 양이 큰 발포 폴리스티렌 등을 처리한 경우의 대량 가스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등유 등의 휘발성 가연성분이 잘못하여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에 투입되었을 경우에도 처리를 미연에 정지시킬 수 있으므로, 예열공정에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내의 가연성분이 인화될 위험은 없다. 또, 그때에 발휘한 가연성분은 열풍과 함께 촉매탈취부(19)에 이송되어서 촉매탈취부(19)에서 산화되어 발열하므로써 예열시의 배기온도는 정상적인 예열시의 배기온도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는 것이 된다. 따라서, 배기온도에 상한값을 인정하므로써 가연성분의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의 혼입을 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예열시의 배기온도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의 크기, 처리조건 등에 의하여 좌우되는 값이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에 응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또, 플라스틱은 그 종류에 따라서 낮은 가열온도에서 취기를 발생하기 때문에,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에서 폐플라스틱의 가열과 동시에 촉매부(9a)의 가열을 개시했을 경우, 촉매부(9a)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고서 취기가 누설될 가능성이 있다. 백금계 산화촉매를 사용한 촉매탈취부(19)를 효과적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촉매부(9a)를 활성화하는 온도까지 가열할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촉매부(9a)를 예열하므로써 촉매의 활성을 높여서 폐플라스틱의 가열초기에 발생하는 취기에도 대응하고 있다. 이하에,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를 사용하여 낮은 온도로서 취기를 발생하는 플라스틱으로서 발포 폴리스티렌을 처리한 제2실시형태의 제2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발포 폴리스티렌은 80℃ 정도의 가열온도에서 스티렌을 발생하기 때문에 촉매부(9a)를 예열하지 않고 처리를 개시했을 경우, 발포 폴리스티렌의 가열초기에 상당한 스티렌 냄새가 촉매탈취부(19)에서 느낄 수가 있다. 그러나, 촉매부(9a)를 400℃에서 예열한 후에 발포 폴리스티렌의 가열을 개시하는 것으로서, 촉매탈취부(19)에서 촉매부(9a)의 가열초기에 발생한 스티렌 냄새는 거의 느낄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구체예에서 스티렌이 충분히 반응하는 400℃까지 촉매부(9a)를 예열했으나, 이 예열조건은 가열하는 폐플라스틱의 종류와 발생하는 가스 및 그 촉매반응성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촉매탈취부(19)의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와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에 각각 상한값을 설정하여,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와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각각의 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 촉매부(9a)와 폐플라스틱의 가열을 제어하여도 좋다.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에서 발생가스가 큰 발포 폴리스티렌을 처리했을 경우,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잔류 모노마인 스티렌, 발포 조제인 톨루엔 등의 취기가스, 부탄, 펜탄, 시크로헥산 등의 발포제의 잔류성분이 대량으로 발생한다. 이러한 성분이 고농도에서 촉매탈취부(19)에 이송되었을 경우, 촉매부(9a)의 발열량이 증가하여 촉매부(9a)가 그 내열온도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하여,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에 상한값을 설정하고,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상한값을 초과했을 때, 촉매가열용의 히이터(9b)의 입력전력을 저감하여 히이터(9b)에 의한 촉매부(9a)의 과잉한 가열을 방지한다. 또한, 발포 폴리스티렌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폐플라스틱 가열용의 히이터(7b)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 발포 폴리스티렌은 용도 또는 제조메이커에 의하여 첨가되는 발포제가 다르기 때문에 발생가스성분은 일정하지 않다. 예컨대, 부탄가스가 많을 경우는 부탄가스는 다른 발생가스보다 촉매반응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촉매부(9a)의 하류에서 많은 반응을 하며, 촉매부(9a)의 상류에 위치하는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는 매우 상승하지 않는다. 그 결과, 촉매온도측정부(9c)만으로서 촉매가열용의 히이터(9b)를 제어할 경우에 촉매부(9a)의 하류에서 촉매부(9a)의 내열온도를 넘칠 위험이 있다. 그리하여, 촉매부(9a)의 하류에 배치한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상한값을 초과할 경우 촉매가열용의 히이터(9b)와 폐플라스틱 가열용의 히이터(7b)에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는 제어를 행한다. 촉매온도측정부(9c)와 배기온도측정부(9d)에 의한 이것 등의 제어를 병용하는 것으로서 촉매부(9a)의 이상 가열을 방지함과 동시에 폐플라스틱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양을 저감할 수가 있다.
이하에,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에 의한 발포 폴리스티렌의 처리에 있어서, 상기한 것과 같이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의 상한값과 배기온도측정부(9d)의 상한값에 의거하여 촉매부(9a)와 발포 폴리스티렌의 가열을 제어한 제2실시형태의 제3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와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에 각각 500℃와 600℃의 상한값을 설정하여, 이것 등의 상한값에 의거하여 촉매가열용의 히이터(9b)와 폐플라스틱 가열용의 히이터(7b)에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는 제어를 한다. 발포 폴리스티렌에서 대량의 가스가 발생했을 때,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와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각각의 상기 상한값을 초과한다. 그러나, 그 시점에서 폐플라스틱 가열용의 히이터(7b)에의 입력전력을 저감하여 발포 폴리스티렌의 가열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발포 폴리스티렌에서 발생하는 가스량을 저감시킨다. 동시에 촉매가열용의 히이터(9b)에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는 것으로서 촉매부(9a)의 이상 가열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예에서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와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의 양쪽에 상한값을 설정하였으나, 발생하는 가스의 양이 적은 폐플라스틱의 처리 및 처리의 목적에 응하여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와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의 한쪽에만 상한값을 설정하여 촉매부(9a)와 폐플라스틱의 가열을 제어하여도 좋다. 즉,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에만 상한값을 설정했을 경우에는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그 상한값을 초과했을 때, 촉매가열용의 히이터(9b)와 폐플라스틱 가열용의 히이터(7b)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에만 상한값을 설정했을 경우에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그 상한값을 초과했을 때, 촉매가열용의 히이터(9b)와 폐플라스틱 가열용의 히이터(7b)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는 제어를 행한다.
또한, 폐플라스틱이 이상가열된다든지 가연성 성분의 오차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에 투입된 것으로 인하여 대량의 가연성가스가 발생했을 때는 촉매부(9a)의 내열성에 문제가 발생함과 동시에 가연성 성분이 발화하는 농도에 도달할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의 상기 제3의 구체예에 의하여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와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의 양쪽에 또한, 800℃ 최상한값을 설정해도 좋다. 이때에,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500℃의 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 및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600℃의 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는 촉매가열용의 히이터(9b)와 플라스틱 가열용의 히이터(7b)에의 입력전력을 저감한다. 한편,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800℃의 최상한값을 초과한 경우 및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800℃의 최상한값을 초과한 경우는 촉매부(9a)와 폐플라스틱의 가열을 중지한다. 이 제어에서는 휘발성 가연성분이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에 혼입했을 경우,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와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800℃의 최상한값을 초과하여 촉매부(9a)와 폐플라스틱의 가열이 중지되므로써 폐플라스틱의 처리를 확실히 중지할 수 있다. 즉,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와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의 적어도 한쪽이 800℃의 최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를 중지하는 제어를 행하므로써 이물혼입시 등의 발생가스의 인화의 위험을 적게함과 동시에 촉매부(9a)의 이상가열을 방지한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와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의 양쪽에 상한값과 최상한값을 설정했으나, 발생하는 가스의 양이 적은 폐플라스틱의 처리 및 처리의 목적에 응하여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와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의 한쪽에만 상한값과 최상한값을 설정하여 촉매부(9a)와 폐플라스틱의 가열을 제어하여도 좋다. 즉,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에만 상한값과 최상한값을 설정했을 경우는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상한값을 초과했을 때, 촉매가열용의 히이터(9b)와 폐플라스틱 가열용의 히이터(7b)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는 제어를 행하는 한편,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최상한값을 초과했을 때, 촉매부(9a)와 폐플라스틱의 가열이 중지된다. 이와 같이,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에만 상한값과 최상한값을 설정했을 경우는,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상한값을 초과했을 때 촉매가열용의 히이터(9b)와 폐플라스틱 가열용의 히이터(7b)에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는 제어를 행하는 한편,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최상한값을 초과했을 때 촉매부(9a)와 폐플라스틱의 가열이 중지된다. 최상한값을 촉매의 내열온도와 발생가스의 발화온도에 응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관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3)를 나타낸다.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3)에서는 온도센서(12)가 촉매탈취부(9)의 배기경로(10)내에 설치되어 있다.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3)의 다른 구조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의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3)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중에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온도를 온도센서(12)에서 측정하여 열풍의 온도변화를 기초로 열풍의 배기류량을 검지하고, 폐플라스틱의 처리를 제어하는 점을 제외하고,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와 같은 작동을 행한다.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3)는 폐플라스틱의 가열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양을 저감하기 위하여 외부공기를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3)내에 취입함과 동시에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3)내의 열풍을 촉매탈취부(9)를 통하여 배기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와 동일한 환기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폐플라스틱의 처리중 소정값 이상의 환기량을 확보하는 일이 바람직하다.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의 초기단계의 환기량은 검지할 수 있으나, 폐플라스틱의 처리중의 환기량의 검지는 곤난하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배기경로(10)의 열풍의 온도변화를 온도센서(12)에서 측정하므로써 폐플라스틱의 처리중의 환기량을 검지한다. 통상, 환기량에 대응한 소정량의 열풍이 촉매탈취부(9)에 이송되기 때문에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온도는 대략 일정하게 된다. 한편, 송풍기(7a)의 외부공기취입구(11)의 구멍막힘 등으로 환기량이 저하했을 경우, 열풍에 의하여 단위시간당 운반되는 열량이 감소되나, 배기경로(10)에서의 방열은 그렇게 많은 감소는 없기 때문에, 배기경로(10)에의 열풍의 온도는 저하한다. 따라서,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온도변화를 배기경로(10)내에 설치한 온도센서로서 검지하는 것으로서, 열풍의 배기류량의 저하상태를 판단할 수가 있다. 이로서, 폐플라스틱의 처리중의 환기량의 검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3)를 사용하여,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온도변화에서 폐플라스틱의 처리중의 환기량을 검지한 제3실시형태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외부공기의 온도는 20℃이며, 촉매탈취부(9)에의 열풍의 배기류량을 0, 30, 60ℓ/min에 설정함과 동시에, 열풍순환경로(20)내의 열풍의 온도를 130℃에 설정하였다. 이때에,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온도센서(12)에 의한 측정온도는 촉매탈취부(9)의 열풍의 배기류량이 0, 30, 60ℓ/min일 경우에 각각 40, 80, 110℃로 되어서 열풍의 배기류량의 저하에 따라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온도는 저하하였다. 따라서, 폐플라스틱의 처리중의 촉매탈취부(9)에의 열풍의 온도변화를 측정하므로써 열풍의 배기류량을 검지할 수 있게 된다. 이것에 의거하여 본 구체예에서는 30ℓ/min의 배기류량을 최소 환기량으로하여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온도센서(12)에 의한 측정온도가 80℃ 이하로 저하했을 경우에는 폐플라스틱의 처리를 즉각적으로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환기량의 변화에 따른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온도변화는 배기경로(10)에의 방열상태, 특히 외부공기의 온도에 의하여 크게 영향되지만, 미리 폐플라스틱의 처리전에 외부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그 온도에 응한 제어를 행하므로써 환기량의 변화를 확실히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온도센서(12)를 배기경로(10)내에 설치하였으나, 온도센서(12)의 대신에 압력센서를 배기경로(10)내에 설치하고,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압력변화를 압력센서로서 측정하므로써 환기량을 검지할 수가 있다.
(제4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관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4)를 나타낸다.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4)에서는 눈금의 크기가 1mm 이하의 금속망(13a)을 가지는 방염부(13)가 촉매탈취부(9)에의 배기경로(10)에 설치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이 방염부(13)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다.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4)의 다른 구조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촉매탈취부(9)는 촉매부(9a)의 상류면이 통상 500℃가 되도록 가열제어된다. 그 때문에, 휘발성 가연성분이 촉매탈취부(9)에 혼입한다든지 대량의 가연가스성분이 폐플라스틱에서 발생할 경우 촉매탈취부(9)가 발포원이 되어서, 이러한 가스가 발화할 위험이 있다.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위험은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배기류속을 1m/s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으로서 방지할 수 있으나, 송풍기(7a)의 고장 등으로 열풍의 배기류속이 1m/s 보다 작게 되는 것도 발생할 수가 있다. 한편, 가연성 혼합기를 발화시킴에 필요한 최소 에너지는 열원의 기하학형상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 에너지의 전파를 불가능하게 하는 캡 또는 소염거리를 설치하므로써 불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금속망(13a)을 가지는 방염부(13)를 촉매탈취부(9)의 배기경로(10)의 도중에 설치하므로써 촉매탈취부(9)에서의 불의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4)에서는 인화성 가연성분이 특정할 수 없으므로, 발포 폴리스티렌에서 최대량으로 발생하는 부탄가스의 최소 발화에너지를 기초로 개산한 소염거리에서 눈금의 크기가 1mm 이하의 금속망(13a)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최소 발화에너지에서 개산하면 다른 가연성성분에 대하여서도 이 소염거리에서 불의 이동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쉽게 추측할 수 있다.
이하에,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4)를 사용하여 방염부(13)의 방염효과를 검토한 제4실시형태의 구체예를 설명한다. 본 구체예에 있어서 가연성가스로서 발포 폴리스티렌의 발포제의 이소부탄가스를 사용하여, 방염부(13)의 상류측에서 보낸 이소부탄가스를 방염부(13)의 하류측에 점화하여, 금속망(13a)의 눈금의 크기를 변경하면서 방염부(13)의 상류측에의 불의 되돌아옴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이때, 이소부탄가스는 가연범위내에 있음과 동시에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배기류속은 60ℓ/min의 배기류량에 대응하는 배기류속 이하에 설정하였다. 눈금의 크기가 1mm 이하의 금속망(13a)을 가지는 방염부(13)의 상류측에의 불의 이동은 볼 수 없었다. 또한, 열풍순환경로(20)를 촉매탈취부(9)내에서 인화하는 가스농도로 설정했을 경우에도 방염부(13)를 넘는 불의 이동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방염부(13)에 눈금의 크기가 1mm 이하의 금속망(13a)을 사용하였으나, 이 금속망(13a)의 대신에 눈금의 크기가 1mm 이하의 가느다란 구멍을 가지는 어떠한 불연재료를 사용하여도 금속망(13a)과 같은 방염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것같이, 본 발명의 폐플라스틱 처리장치에서는 유리전위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킨 폐플라스틱을 압축하므로써 폐플라스틱을 효과적으로 감용화한다. 또, 폐플라스틱의 처리시에 매분 수납부와 가열부에서 형성되는 열풍순환경로의 체적의 적어도 20%의 체적의 외부공기를 열풍순환경로에 취입됨에 응하여 상기 체적에 같은 체적의 열풍을 열풍순환경로에서 탈취부를 통하여 배기하므로써 폐플라스틱 처리장치를 환기하여 폐플라스틱의 가열시에 발생하는 가스의 양을 효과적으로 저감한다.
또, 탈취부로서 산화촉매를 주성분으로 한 촉매탈취부를 사용했을 경우는 촉매탈취부를 설정온도까지 예열하는 공정에 있어서 촉매탈취부에서의 열풍의 배기온도변화를 측정한다든지 폐플라스틱의 가열중에 배기경로의 열풍의 온도변화 또는 압력변화를 측정하므로써 환기량을 추정할 수가 있다. 또, 폐플라스틱의 처리중의 촉매온도와 배기온도의 측정결과에 의거하여 촉매와 폐플라스틱의 가열을 제어하므로써 폐플라스틱의 가열시의 가스의 이상발생과 촉매의 이상가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탈취부의 배기경로내의 열풍의 배기류속을 1m/s 이상으로 설정한다든지 눈금의 크기가 1mm 이하의 금속망을 가지는 방염부를 배기경로에 설치하므로써 촉매탈취부에서의 가연성분의 불의 이동을 방지한다.
이상의 폐플라스틱의 처리에 의하여 폐플라스틱이 그 발생장소인 소규모 사업소 등에서 안전 또한 효과적으로 감용화되므로써 폐플라스틱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폐플라스틱의 재생을 경제적으로 행할 수가 있다.

Claims (16)

  1. 뚜껑(2b)을 가지는 폐플라스틱의 수납부(2)와, 히이터(7b)와 송풍기(7a)를 가지는 폐플라스틱의 가열부(7)와, 열풍을 순환하도록 수납부(2)와 가열부(7)에서 형성한 열풍순환경로(20)와, 열풍순환경로(20)에서 분기한 배기경로(10)와, 배기경로(10)에 설치한 탈취부(9)를 갖추고, 또한, 단위시간마다 소정량의 외부공기를 열풍순환경로(20)에 취입시킴에 응하여 열풍순환경로(20)내의 상기 소정량과 동일량의 열풍을 탈취부(9)를 통하여 배기경로(10)에서 배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K4).
  2. 제1항에 있어서, 매분 열풍순환경로(20)의 체적의 20% 이상의 체적의 외부공기를 열풍순환경로(20)에 취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K4).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7)의 송풍기(7a)의 풍압을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열풍순환경로(20)에 취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K4).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9)가 산화촉매를 주성분으로 한 촉매(9a)와, 촉매가열부(9b)와, 촉매(9a)의 상류 및 촉매(9a)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촉매온도측정부(9c)를 갖추고, 또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에 상한값을 설정하며, 또한,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는 가열부(7)와 촉매가열부(9b)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9)의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에 제1상한값과 제1상한값보다 높은 제2상한값을 설정하고, 또한,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제1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는 가열부(7)와 촉매가열부(9b)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제2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는 폐플라스틱과 촉매(9a)의 가열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9)가 산화촉매를 주성분으로 한 촉매(9a)와, 촉매가열부(9b)와, 촉매(9a)의 하류에 설치한 배기온도측정부(9d)를 갖추고, 또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에 상한값을 설정하며, 또한,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는 가열부(7)와 촉매가열부(9b)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9)의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에 제1상한값과 제1상한값보다 높은 제2상한값을 설정하고, 또한,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제1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는 가열부(7)와 촉매가열부(9b)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제2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는 폐플라스틱과 촉매(9a)의 가열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9)가 산화촉매를 주성분으로 한 촉매(9a)와, 촉매가열부(9b)와 촉매(9a)의 상류 및 촉매(9a)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촉매온도측정부(9c)와, 촉매(9a)의 하류에 설치한 배기온도측정부(9d)를 갖추며, 또한, 촉매(9a)를 촉매온도측정부(9c)의 설정온도까지 미리 가열한 시점의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소정범위내일 때 폐플라스틱의 가열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부(9)가 산화촉매를 주성분으로 한 촉매(9a)와, 촉매가열부(9b)와, 촉매(9a)의 상류 및 촉매(9a)내의 적어도 한쪽에 설치한 촉매온도측정부(9c)와, 촉매(9a)의 하류에 설치한 배기온도측정부(9d)를 갖추고, 또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와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에 각각 촉매온도 상한값과 배기온도 상한값을 설정하고, 또한,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촉매온도 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 및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배기온도 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는 가열부(7)와 촉매가열부(9b)의 입력전력을 저감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에 제1촉매온도 상한값과 제1촉매온도 상한값보다 높은 제2촉매온도 상한값을 설정하는 한편,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에 제1배기온도 상한값과 제1배기온도 상한값보다 높은 제2배기온도 상한값을 설정하며, 또한,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제1촉매온도 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 및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제1배기온도 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는 가열부(7b)와 촉매가열부(9b)의 입력전력을 저함하도록 제어하는 한편, 촉매온도측정부(9c)의 측정온도가 제2촉매온도 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 및 배기온도측정부(9d)의 측정온도가 제2배기온도 상한값을 초과했을 경우는 폐플라스틱과 촉매(9a)의 가열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2).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순환경로(20)에서의 열풍의 배기량에 의거하여 열풍의 배기류속이 1m/s 이상으로 되도록 배기경로(10)의 단면적을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2)를 배기경로(10)에 설치하고, 또 폐플라스틱의 처리전 및 처리중에 온도센서(12)에 의하여 측정되는 배기경로(10)내의 열풍의 온도변화에서 배기경로(10)의 열풍의 배기류량을 추정하며, 또한, 열풍의 추정배기류량이 설정값 이하로 감소했을 때 폐플라스틱의 가열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3).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경로(10)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2)를 배기경로(10)에 설치하고, 또 폐플라스틱의 처리전 및 처리중에 압력센서(12)에 의하여 측정되는 배기경로(10)내의 압력의 변화에서 배기경로(10)의 열풍의 배기류량을 추정하고, 또한, 열풍의 추정배기류량이 설정값 이하로 감소했을 때 폐플라스틱의 가열을 중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3).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눈금의 크기가 1mm 이하의 금속망(13a)을 가지는 방염부(13)를 탈취부(9)의 상류에 위치하도록 배기경로(10)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4).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플라스틱을 압축하는 압축수단(3∼5)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K4).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수단(3∼5)이 폐플라스틱을 압압하도록 수납부(2)에 이동자재하도록 설치한 판부재(3)와, 판부재(3)의 근방에 설치한 신축자재의 자루(4)와, 자루(4)와 연결된 공기펌프(5)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 처리장치(K1∼K4).
KR1019970709947A 1996-05-13 1997-05-08 폐플라스틱 처리장치 KR1002330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722396 1996-05-13
JP96117223 1996-05-13
PCT/JP1997/001547 WO1997043099A1 (fr) 1996-05-13 1997-05-08 Dispositif d'evacuation de dechets plastiqu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625A true KR19990028625A (ko) 1999-04-15
KR100233023B1 KR100233023B1 (ko) 1999-12-01

Family

ID=1470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9947A KR100233023B1 (ko) 1996-05-13 1997-05-08 폐플라스틱 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89496A (ko)
EP (1) EP0852175B1 (ko)
JP (1) JP4073487B2 (ko)
KR (1) KR100233023B1 (ko)
DE (1) DE69716566T2 (ko)
WO (1) WO199704309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54A (ko) * 2001-09-06 2001-11-09 조남용 폐비닐 부피축소장치
KR101508016B1 (ko) * 2006-04-19 2015-04-06 쿠사츠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폐플라스틱·유기물의 분해방법, 분해장치 및 분해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5678B2 (en) * 2002-01-08 2004-07-2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Relative intensity noise controller with maximum gain at frequencies at or above the bias modulation frequency or with second order feedback for fiber light sources
EP1726903A1 (en) * 2005-05-25 2006-11-29 San Ford Machinery Co., Ltd. Drying device for a wood-waste collecting machine
JP5959129B1 (ja) 2015-07-10 2016-08-02 島産業株式会社 減量・減容処理装置および減量・減容処理装置における気流形成機構
US20200324501A1 (en) * 2019-04-15 2020-10-15 Keith Harrington Biomass press with ultrasonic vibration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5982A (ja) * 1988-07-25 1990-02-06 Chidori Kosan Kk 無公害化高能率処理の廃プラスチック溶融炉
JPH0326514A (ja) * 1989-06-24 1991-02-05 Kuraudo:Kk 熱可塑性廃プラスチックの熱溶融減容方法
JPH0624727B2 (ja) * 1989-07-18 1994-04-06 株式会社クラウド 熱可塑性廃プラスチックの脱臭溶融方法
US4983214A (en) * 1990-02-13 1991-01-08 Zia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reduction of metal oxides
JPH04122690A (ja) * 1990-09-13 1992-04-23 Ricoh Co Ltd 感熱記録材料
JPH0692088B2 (ja) * 1991-03-14 1994-11-16 山田 継夫 医療用廃プラの熔解処理装置
JPH04122690U (ja) * 1991-04-18 1992-11-04 株式会社クラウド 熱可塑性廃プラスチツクの脱臭溶融装置
DE69226991T2 (de) * 1991-07-11 1999-04-08 Kawasaki Jukogyo K.K., Kobe, Hyogo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infektiösen medizinischen Abfällen
EP0524608B1 (en) * 1991-07-23 1998-10-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fuse compression apparatus
JPH0647365A (ja) * 1992-07-29 1994-02-22 Mitsubishi Heavy Ind Ltd 廃発泡スチロールの縮減装置
US5334313A (en) * 1992-09-24 1994-08-02 General Electric Company Reduction of acrylonitrile in wastewater from the production of ABS plastic
US5447017A (en) * 1992-10-26 1995-09-05 Becher; Yona Automatic waste recycling machine and disposal system
JP3121698B2 (ja) * 1992-12-22 2001-01-09 株式会社山本製作所 廃プラスチック処理方法及び装置
JPH07124946A (ja) * 1993-11-08 1995-05-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廃プラスチック材処理方法及び廃プラスチック材処理装置
JPH07137035A (ja) * 1993-11-17 1995-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ごみ処理装置
JP3177368B2 (ja) * 1993-12-15 2001-06-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ごみ処理装置
JPH07205148A (ja) * 1994-01-24 1995-08-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ゴミ処理装置
JP3500681B2 (ja) * 1994-02-16 2004-02-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ゴミ処理装置
JP2836472B2 (ja) * 1994-02-16 1998-12-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ごみ処理装置
JPH07276361A (ja) * 1994-04-12 1995-10-24 Kuraudo:Kk 熱可塑性廃プラスチックの脱臭溶融装置
JP3484219B2 (ja) * 1994-04-14 2004-0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ごみ処理装置
JPH07304039A (ja) * 1994-05-13 1995-11-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ごみ処理装置
KR100434628B1 (ko) * 1995-03-27 2005-08-24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폐플라스틱용적감소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9154A (ko) * 2001-09-06 2001-11-09 조남용 폐비닐 부피축소장치
KR101508016B1 (ko) * 2006-04-19 2015-04-06 쿠사츠 일렉트릭 컴퍼니 리미티드 폐플라스틱·유기물의 분해방법, 분해장치 및 분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16566D1 (de) 2002-11-28
EP0852175B1 (en) 2002-10-23
US5989496A (en) 1999-11-23
EP0852175A1 (en) 1998-07-08
DE69716566T2 (de) 2003-07-10
JP4073487B2 (ja) 2008-04-09
WO1997043099A1 (fr) 1997-11-20
KR100233023B1 (ko) 1999-12-01
EP0852175A4 (en)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3023B1 (ko) 폐플라스틱 처리장치
US5826520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high temperature cleaning of organic contaminants from fragile parts in a self-inerting atmosphere at below the temperature of combustion
JPS58133817A (ja) 廃棄物処理装置
CN101688756A (zh) 固化炉
JP5398090B2 (ja) 製鋼炉発生ガス中のcoおよび可燃物の燃焼
CN208418708U (zh) Cfb锅炉一次热风道压火防爆系统
JP3310823B2 (ja) 発泡プラスチック減容化装置
JPH11140222A (ja) 加硫ゴム再生ラインの脱臭装置及び脱臭方法
JPH10180760A (ja) 廃プラスチック材減容装置
JP3547913B2 (ja) 蓄熱脱臭処理装置
JP4825182B2 (ja) 汚染土無害化システム
JPH0924517A (ja) 発泡ポリスチレンの減容化方法および装置
JP3457518B2 (ja) 発泡ウレタンを含む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2301459A (ja) 廃棄物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CN215690168U (zh) 一种防爆式过氧化氢闪蒸系统
CN218951323U (zh) 碳化装置
JPH1076523A (ja) 廃プラスチック減容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JP2007204544A (ja) 安全破裂板を備えた有機廃棄物処理装置
JP2005074333A (ja) 排ガス処理装置
JPH09155865A (ja) 廃プラスチック減容装置
JPH10180761A (ja) 廃プラスチック材減容装置
JPH1076524A (ja) 廃プラスチック材減容装置
JP2006232945A (ja) 生ごみ炭化装置
JP2007002184A (ja) 生ごみ炭化装置
JPH03122415A (ja) ご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