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937A -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937A
KR19990025937A KR1019970047811A KR19970047811A KR19990025937A KR 19990025937 A KR19990025937 A KR 19990025937A KR 1019970047811 A KR1019970047811 A KR 1019970047811A KR 19970047811 A KR19970047811 A KR 19970047811A KR 19990025937 A KR19990025937 A KR 19990025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tank
diffuser
contact phase
aer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4118B1 (ko
Inventor
이현국
Original Assignee
이현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국 filed Critical 이현국
Priority to KR101997004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4118B1/ko
Publication of KR19990025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9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1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logical Treatment Of Waste Water (AREA)

Abstract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폭기조의 산기기능의 향상을 통하여 미생물의 배양이 양호하고 오수의 순환장애로 인한 유기물의 부패를 방지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접촉상(35)의 저면에 바(bar)타입의 산기관을 나란히 배열하되 산기관의 말단을 연장하여 상향절곡하고 밸브로 개폐되는 강제배출관(34)를 형성한 구성과,
접촉상(25)의 양측 또는 일측에 오수순환로를 안배하여 산기작용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오수의 순환이 일어나도록 하는 구성,
그리고 발효상에는 규산과 석회, 시멘트 고령토의 혼합교반물을 발포소성한 다공질분쇄물(36)을 적재한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산기관이 오수의 침투나 오니의 퇴적으로 막힐 경우 강제배출관을 통하여 내부를 청소해 주므로 지속적인 산기기능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으며 미생물의 배양이 우수하다. 산기관의 산기작용이 오수의 순환을 돕는다.

Description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
본 발명은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시와 격리된 호텔이나 연수원, 콘도, 경기장, 식당, 골프장 등에서 나오는 분뇨와 목욕수, 세탁수, 음식물 하수 등 유기성 생활오수를 호기성균에 의하여 충분히 발효시킬 수 있는 정화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성 생활오수의 정화시설은 유량조정조와 폭기조, 침전조로된 계통을 이루고 있으며 다시 오니와 오수를 구분하여 소독조와 방류조 또는 오니농축조와 농축오니 저류조로 나뉘어 구성된다.
이러한 일반적인 정화시설은 혐기성세균에 의한 부패를 피하고 호기성세균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를 촉진시키고자 하는 것으로 주로 폭기조의 순환능력 및 양호한 산소공급에 따라 오수의 정화능력이 달려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생활오수 정화시설은 폭기조내에 디스크밸브로 공기를 공급하고 공급된 공기가 통상 말하는 접촉재를 통과하면서 접촉재에 흡착된 유기물을 배양물질로하여 서식하는 호기성세균에게 산소를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오수순환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오수를 강제순환시키는 폐수순환수단을 구비한 것도 소개된 바 있다.(실용공번 제94-1679호)
본 발명은 유기성 생활오수의 정화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폭기조의 산소공급수단인 산기관의 구조를 개선하고자 하며, 나아가서 다공질 분쇄물이 담기는 접촉상의 현가위치를 개조하고 산기관에 침투되는 오니를 손쉽게 배출하여 통기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폭기조의 기능이 원활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혐기성세균에 의한 부패가 발생하여 악취와 유독물질이 배출되므로 정화도니 오수가 중급수로 재활용되지 못하고 오존이나 활성탄의 접촉에 의한 제2차 정화가 불가피 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은 미생물의 배양이 양호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공질 분쇄물을 개발하여 유기성 생활오수의 정화능력을 향상시키는데도 일조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각 색션별로 급기관라인과 오수이송라인의 구성을 나타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있어서 폭기조의 급기관 및 산기관의 조립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폭기조의 오수순환작용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는 접촉상이 폭기조 중앙에 위치한 경우
(나)는 접촉상이 폭기조 일측에 위치한 경우의 단면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유량조정조, 11 : 송풍기, 12 : 급기관, 13 : 디스크산기관, 20 : 제1폭기조, 30 : 제2폭기조, 31 : 송풍기, 32 : 급기관, 33 : 산기관, 34 : 강제배출관, 35 : 접촉상, 36 : 다공질분쇄물, 37.37' : 오수순환로, 40 : 침전조, 41 : 오수이송관, 42 : 월류통로, 43 : 에어리프트펌프, 50 : 오니농축조, 51 : 오니이송관, 60 : 농축오니 저류조, 61 : 농축오니 이송관, 70 : 소독조, 71 : 월류통로, 80 : 방류조, 81 : 방류관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통상의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에 있어서와 같이 유량조정조(10), 제1폭기조(20), 제2폭기조(30), 침전조(40)를 구비하며, 침전조(40)의 오수는 소독조(70)와 방류조(80)로, 침전조(40)의 오니는 오니농축조(50)와 농축오니 저류조(60)로 구분되는 일련의 구성을 갖는다.
유량조정조(10)에는 오수유입관(15)과 오수이송펌프(14)가 구비되고 송풍기(11)로부터 급기관(12)을 따라 디스크산기관(13)으로 공기가 공급된다.
폭기조는 제1폭기조(20)와 제2폭기조(30)로 구분되는데 정화시설의 규모나 처리량에 따라 폭기조의 용량과 숫자를 증감시키게 된다.
제1폭기조(20)와 제2폭기조(30)는 다공질 분쇄물(36)이 수용된 접촉상(35)과 송풍기(31), 급기관(32)과 이어진 산기관(33)과 강제배출관(34)이 장착된다.
접촉상(35)은 도 4(가)와 같이 폭기조의 저면에 이를 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좌,우에 오수순환로(21)(21'),(37)(37')를 두고 폭기조의 중심부에 현가되거나 폭기조의 일측에 고정설치된다.
제1폭기조(20)와 제2폭기조(30)을 거친 오수는 오수이송관을 따라 침전조(40)에 이르며 여기서 정화된 오수는 소독조(70)와 방류조(80)를 거쳐 방류관(81)으로 방류되고 침적된 오니는 오니이송관(51)을 거쳐 오니농축조(50)에 이르고 다시 농축오니이송관(61)을 따라 농축오니 저류조(60)에 모여 수거된다.
미설명부호 (22), (42), (71)은 월류통로이다.
본 발명의 핵심적 구성을 이루는 폭기조(20)(30)는 중심에 현가된 접촉상(35)저면부에 도 3와 같이 다수의 산기관(33)이 나란히 배열되어 있고 각 산기관(33)은 직상방으로 연통되어 밸브로 개폐되는 강제배출관(34)을 형성하고 있다.
산기관(33)의 좌,우측에는 일렬로 다수의 미세공(직경이 약2mm 정도)이 천공되어 있다. 접촉상(35)에 수용되는 다공질 분쇄물은 규산과 석회, 석고, 시멘트, 고령토의 교반물을 발포소성한 것으로서 불규칙한 모양과 크기로 파쇄되어 유기물을 흡착하고 산기관(33)에서 공급되는 공기와 고르게 접촉한다.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은 폭기조(20)(30)의 구성에 있는 바, 그 특징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 디스크(disk) 타입이 아닌 바(bar) 타입의 산기관을 사용한 점
둘째 : 산기관(33)의 연장부에 수면위로 연통되며 밸브로 개폐되는 강제배출관(34)을 설치한 점.
셋째 : 접촉상(35)이 충분한 깊이를 가지며 일측 또는 양측에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오수순환로(21)(21'),(37)(37')가 형성된 구조.
(양측면 또는 세측면이 폭기조 벽면에 고정되고 저면 및 측면에 동일폭의 오수순환로가 형성된 구조)
넷째 : 미생물의 배양에 적합하며 교체할 필요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공질 분쇄물(36)을 채택한 점이다.
현재의 어느 오수처리장치에서도 바(bar) 타입의 산기관을 사용하고 있지 아니한 이유는 바 타입의 산기관은 미세공을 통하여 미세한 공기방울을 접촉상에 공급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반면, 미세공으로 오수가 침투하고 내부에 오니가 퇴적되면 통기능력이 급격히 감소되고 산기관 내부의 오수나 오니를 제거하기가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모든 오수처리장치는 오수의 침투만을 차단시킬 수 있는 디스크(disk) 타입의 산기관을 사용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폭기조에서 디스크타입의 산기관을 사용하는 것은 필연적으로 굵은 공기방울이 공급되어 오수의 용존산소율이 낮아지고 유기물의 부패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더불어 폭기조내의 오수가 원활히 순환되지 않으면 순환의 사각지대에설 부패가 심해진다.
본 발명은 바(bar) 타입의 산기관(33)을 사용하여 미세한 공기방울을 접촉상(35)에 공급하되 산기관(33)을 연장하여 강제배출관(34)을 설치하였으므로 산기관 내부에 오수가 침투되고 오니가 침적되면 밸브를 열어 오수와 오니가 강제배출관(34)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관리자는 주기적으로 밸브를 열어 산기관 내부를 간단히 청수한 후 밸브를 닫아 두면 다시 원활한 산기기능이 회복된다.
저면에 산기관(33)이 배치된 접촉상(35)은 충분한 깊이를 가진 형태로 폭기조의 중앙에 현가되어 있어, 좌,우측에 또는 일측에 오수순환로(37)(37')를 열어주고 있다. 다라서 별다른 강제순환장치없이도 오수는 도 4의 (가)와 (나)에서처럼 원활히 순환되어 순환사각지대가 형성되지 아니한다.
접촉상(35)의 다공질 분쇄물은 규산을 주성분으로하여 석회나 석고, 시멘트, 고령토가 첨가된 발포체로서 흡착력이 우수하고 미생물의 증식에 매우 적합하며 공기와의 접촉면적이 넓다.
이러한 구성의 폭기조는 오수의 용존유기물을 80% 정도까지 고려하면 95% 의 유기물을 분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유량조정조(10), 폭기조(20)(30), 침전조 그리고 농축오니저류조(50), 소독조, 방류조(80)를 구비하며 폭기조(20)(30)에는 다공질 분쇄물(36)이 적재된 접촉상(35)과 산기수단을 설치한 오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접촉상(35)의 산기수단은 바(bar)타입의 산기관(33)으로 하되 각 산기관(33)의 말단을 연장하여 상향절곡하고 밸브로 개폐되는 강제배출관(34)를 형성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상(35)은 폭기조(20)(30)의 중앙 또는 일측에 현가하여 양측면 또는 세측면을 폭기조의 내벽에 고정하여 접촉상(35)의 저면 및 측면에 동일폭의 오수순환로(21)(21'),(37)(37')가 형성되게한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접촉상(35)에 수용되는 다공질 분쇄물(360은 규산과 석회, 석고, 시멘트, 고령토의 혼합교반물을 발포소성하여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성 생활 오수 정화장치
KR1019970047811A 1997-09-19 1997-09-19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 KR100224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811A KR100224118B1 (ko) 1997-09-19 1997-09-19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7811A KR100224118B1 (ko) 1997-09-19 1997-09-19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937A true KR19990025937A (ko) 1999-04-06
KR100224118B1 KR100224118B1 (ko) 1999-10-15

Family

ID=1952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7811A KR100224118B1 (ko) 1997-09-19 1997-09-19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41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360A (ko) * 2001-06-14 2002-12-26 윤성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450172B1 (ko) * 2002-01-18 2004-09-24 주식회사 앤바이오 호소 정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5360A (ko) * 2001-06-14 2002-12-26 윤성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KR100450172B1 (ko) * 2002-01-18 2004-09-24 주식회사 앤바이오 호소 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4118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7557B2 (en)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5137625A (en) Aquatic plant/microbial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0303811B1 (ko) 생물·산화 여과장치
US91629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bio-remediation of aqueous waste compositions
CN206188442U (zh) 基于纳米光电催化技术的循环海水养殖水处理系统
KR101889687B1 (ko) 무방류 순환수세식 화장실 오수 정화처리장치
KR100224118B1 (ko) 유기성 생활오수 정화장치
CN101066798B (zh) 微污染原水富氧生物预处理除污染工艺
KR100237041B1 (ko) 미생물 담체를 다공성 상자에 충전한 살수여상식 오폐수 처리장치
EP2879997A1 (en) Biological reactor for waste water purification
AU2019397415B2 (en) An apparatus for the bio-remediation of a waste water composition
CN101279809B (zh) 生物填料摇动床
KR100393028B1 (ko) 삼투충격방식의 수처리시스템
RU2270173C2 (ru) Способ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H10337584A (ja) 汚水浄化槽
RU2792251C1 (ru) Установка биологическ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циркуляционного типа
CN216998071U (zh) 一种周期性改变流向的污水净化池
KR200157261Y1 (ko) 순환형 접촉산화식 합병 정화조
KR100399466B1 (ko)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오폐수처리장치
JP2006088028A (ja) 嫌気性生物ろ過浄化槽、汚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汚水処理方法
CN106219769A (zh) 一种污水处理系统
CN2299861Y (zh) 污水、粪尿合并净化处理装置
RUZIMOVA AEROBIC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KR200282828Y1 (ko) 산소흡수를 극대화시킨 폭기장치와 접촉여재가 설치된오·폐수 처리시설
JPS633584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