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345A -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 - Google Patents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345A
KR19990025345A KR1019970046926A KR19970046926A KR19990025345A KR 19990025345 A KR19990025345 A KR 19990025345A KR 1019970046926 A KR1019970046926 A KR 1019970046926A KR 19970046926 A KR19970046926 A KR 19970046926A KR 19990025345 A KR19990025345 A KR 19990025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cylinder
welding gun
gun
horizontal dir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bandoned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6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4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345A/ko
Publication of KR19990025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345A/ko
Abandon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Resistance We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프레임(1)의 상부에 제1실린더(2)가 용접건(3)에 대해 소정각도 만큼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제1실린더(2)의 선단에는 용접건(3)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브라켓트(4)가 연결설치되며, 상기 지지브라켓트(4)의 일측에는 각각의 용접건(3)을 연결하는 링크(5)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링크(5)에 의해 각이 조절되는 용접건(3)의 하부에 건 브라켓트(6)가 상기 지지브라켓트(4)에 대해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의 일측에는 제2실린더(7)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용접건(3)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블록(8)을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록(8)의 하부에는 제2실린더(7)의 작동에 의해 지지블록(8)이 이동될 수 있도록 L/M레일(9)과 L/M가이드(1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2실린더(7)의 선단과 지지블록(8)의 사이에 숏트 실린더(11)가 연결설치되어 상기 용접건(3)이 수평방향으로 한 번더 이동되어 용접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용접횟수의 증가로 인해 용접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원활하게 용접건이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A spot welding machine for assembly of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립라인에 설치된 스폿 용접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협소한 작업 공간내에서도 각각의 구조물과 생겨나는 간섭을 피함과 더불어 보다 짧은 시간내에 많은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생산라인과 같은 동일 제품의 다량 생산 시스템에서는, 다른 용접 방법에 비해 가열 시간이 매우 짧아 작업 속도가 빠른 한편, 가열 범위가 좁아 잔류응력이나 변형이 작은 잇점이 있는 스폿 용접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이 스폿 용접은 전기 저항에 의한 발열을 이용하여 접촉 부분의 융용을 일으키고, 이에 압력을 가해 접합시키는 가압 용접의 한 방법인 바, 그 작업의 편리성으로 인해 종래 차량 생산 라인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리고, 이 스폿 용접을 위한 용접기는 용접팁이 부착된 용접건의 작동상태에 따라 그 종류가 나뉘어지는데, 보통 수직방향에서 용접물을 가압 용접하도록 한 쌍의 용접건이 수직으로 각각 작동되는 용접기와, 용접물의 측벽부를 가압 용접하도록 한 쌍의 용접건이 측방향으로 각각 작동되는 용접기로 대별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용접물의 측벽부를 가압 용접하는 스폿 용접기의 종래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으로 한쌍의 용접건(101)이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02)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102)의 상부에는 용접건(101)의 위치이동을 위한 L/M레일(103)과 L/M가이드(104)가 설치되며, 상기 L/M가이드(104)의 상부에 설치된 L/M브록(105)에는 앵글브라켓트(106)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제1실린더(107)가 설치되고, 상기 제1실린더(107)의 작동으로 이동되는 상기 용접건(101)이 건 마운팅 브라켓트(108)에 의해 고정 설치되며, 상기 L/M블록(105)의 일측에는 제2실린더(109)가 상기 용접건(101)이 전후진될 수 있도록 설치된 구조이다.
즉, 상기 제1실린더(107)가 작동되어 용접건(101)이 소정각도 만큼 회동되면서 1차로 스폿 용접을 한 후, 상기 제2실린더(109)가 작동되면서 L/M가이드(104)를 따라 용접건(101)을 전진시키고, 이렇게 전진된 용접건(101)이 다시 스폿 용접을 하게 되면 상기 제2실린더(109)의 작동으로 용접건이 후진하면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용접건(101)의 구조는 협소한 장소에서는 다른 용접건(101) 혹은 그 설치부품들과의 간섭으로 인해 용접성이 나빠지거나 용접건의 파손을 가져올 수 있고, 또한 연속적으로 스폿 용접을 하게 되는 용접건(101)이 그 구조상 많은 수의 용접을 할 수 없게 되어 용접시간을 맞추기가 어려우며, 복잡한 구조로 용접기가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비 점검시 그 조립과 분해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협소한 작업 공간내에서도 각각의 구조물과 생겨나는 간섭을 피함과 더불어 보다 짧은 시간내에 많은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제1실린더가 용접건에 대해 소정각도 만큼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제1실린더의 선단에는 용접건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브라켓트가 연결설치되며, 상기 지지브라켓트의 일측에는 각각의 용접건을 연결하는 링크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링크에 의해 각이 조절되는 용접건의 하부에 건 브라켓트가 상기 지지브라켓트에 대해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측에는 제2실린더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용접건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록의 하부에는 제2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지지블록이 이동될 수 있도록 L/M레일과 L/M가이드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제2실린더의 선단과 지지블록의 사이에 숏트 실린더가 연결설치되어 상기 용접건이 수평방향으로 한 번더 이동되어 용접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제1실린더가 작동되어 각각의 용접건이 1차용접을 하게 되고, 그 다음으로 상기 숏트 실린더가 작동되어 L/M가이드를 작동시킴으로써 상부의 지지블록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2차용접이 이루어지며, 또한 2차용접 후 상기 제2실린더가 역시 L/M가이드를 작동시켜 상기 용접건을 위치이동시킴으로써 3차용접을 하게 되고, 이렇게 3차용접이 끝나면 상기 제1실린더가 작동되어 용접건들을 연결하는 링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용접건들이 원위치에 오게 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용접횟수의 증가로 인해 용접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원활하게 용접건이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폿 용접기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베이스프레임 2 : 제1실린더
3 : 용접건 4 : 지지브라켓트
5 : 링크 6 : 건 브라켓트
7 : 제2실린더 8 : 지지블록
9 : L/M레일 10 : L/M가이드
11 : 숏트 실린더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폿 용접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베이스프레임(1)의 상부에 제1실린더(2)가 용접건(3)에 대해 소정각도 만큼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제1실린더(2)의 선단에는 용접건(3)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브라켓트(4)가 연결설치되며, 상기 지지브라켓트(4)의 일측에는 각각의 용접건(3)을 연결하는 링크(5)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링크(5)에 의해 각이 조절되는 용접건(3)의 하부에 건 브라켓트(6)가 상기 지지브라켓트(4)에 대해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의 일측에는 제2실린더(7)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용접건(3)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블록(8)을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록(8)의 하부에는 제2실린더(7)의 작동에 의해 지지블록(8)이 이동될 수 있도록 L/M레일(9)과 L/M가이드(1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한편, 상기 제2실린더(7)의 선단과 지지블록(8)의 사이에 숏트 실린더(11)가 연결설치되어 상기 용접건(3)이 수평방향으로 한 번더 이동되어 용접할 수 있도록 된 구조이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용접기를 사용하여 자동차의 조립라인에서 연속적으로 용접하는 과정은, 우선 제1실린더(2)가 작동되면서 용접건(3)을 통해 1차용접을 하게 되고, 1차용접이 끝나면 숏트 실린더(11)가 작동하여 상기 L/M가이드(10)를 이동시켜 용접건(3)을 다음 위치로 이동시켜 2차용접을 하게 되며, 또한 2차용접이 끝나게 되면 상기 제2실린더(7)가 작동하여 L/M가이드(10)를 다시 작동시킴으로써 용접건(3)을 다음 위치로 이동시켜 3차용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1,2,3차용접이 순서대로 진행된 다음에 상기 제1실린더(2)와 링크(5)의 작동으로 두 개의 용접건(3)을 초기의 위치로 동시에 이동시켜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의 작동구조를 다시 상세히 설명하자며, 제1실린더(2)가 작동되어 각각의 용접건(3)이 1차용접을 하게 되고, 그 다음으로 상기 숏트 실린더(11)가 작동되어 L/M가이드(10)를 작동시킴으로써 상부의 지지블록(8)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2차용접이 이루어지며, 또한 2차용접 후 상기 제2실린더(7)가 역시 L/M가이드(10)를 작동시켜 상기 용접건(3)을 위치이동시킴으로써 3차용접을 하게 되고, 이렇게 3차용접이 끝나면 상기 제1실린더(2)가 작동되어 용접건(3)들을 연결하는 링크(5)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용접건(3)들이 원위치에 오게 되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의 용접기는 숏트 실린더(11)의 작동으로 좁은 공간내에서 3단의 용접이 가능하게 되고,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제1실린더(2)와 링크(5)의 작동으로 용접건(3)의 회동각을 제어하여 용접건(3) 사이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하나의 용접건(3)이 좁은 공간내에서 3단용접이 가능하게 되어, 용접시간을 단축시킬 뿐만아니라 작업자의 작업성을 향상시켜 결국은 생산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에 의하면, 용접횟수의 증가로 인해 용접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됨으로써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고, 링크 구조를 이용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원활하게 용접건이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베이스프레임(1)의 상부에 제1실린더(2)가 용접건(3)에 대해 소정각도 만큼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제1실린더(2)의 선단에는 용접건(3)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브라켓트(4)가 연결설치되며, 상기 지지브라켓트(4)의 일측에는 각각의 용접건(3)을 연결하는 링크(5)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링크(5)에 의해 각이 조절되는 용접건(3)의 하부에 건 브라켓트(6)가 상기 지지브라켓트(4)에 대해 회동될 수 있도록 연결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의 일측에는 제2실린더(7)가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각각의 용접건(3)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블록(8)을 전후진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지지블록(8)의 하부에는 제2실린더(7)의 작동에 의해 지지블록(8)이 이동될 수 있도록 L/M레일(9)과 L/M가이드(10)가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실린더(7)의 선단과 지지블록(8)의 사이에 숏트 실린더(11)가 연결설치되어 상기 용접건(3)이 수평방향으로 한 번더 이동되어 용접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
KR1019970046926A 1997-09-12 1997-09-12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 Abandoned KR199900253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926A KR19990025345A (ko) 1997-09-12 1997-09-12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46926A KR19990025345A (ko) 1997-09-12 1997-09-12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345A true KR19990025345A (ko) 1999-04-06

Family

ID=6604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6926A Abandoned KR19990025345A (ko) 1997-09-12 1997-09-12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3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769B1 (ko) * 2014-07-14 2014-08-28 천혜자 스폿 용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5769B1 (ko) * 2014-07-14 2014-08-28 천혜자 스폿 용접장치
WO2016010298A1 (ko) * 2014-07-14 2016-01-21 천혜자 스폿 용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42308B (zh) 用于焊接的激光装置
CN100358664C (zh) 散热器全自动钎焊机
CN103862155B (zh) 双点焊接设备
KR102115181B1 (ko) 레이저 용접용 클램핑 장치
KR20150043159A (ko) 스폿 용접장치
CN202291759U (zh) 微车后桥壳双枪双环焊焊接专机
KR102335329B1 (ko) 레이저 용접장치
CN110076428B (zh) 一种自适应焊接方法及装置、焊接成品、车体
CN112719733A (zh) 一种箱型梁肋板自动焊接设备及焊接方法
CN210281030U (zh) 一种非回转轴环缝焊接设备
US4719328A (en) Touch-up welding apparatus for motorcar body
CN106425250A (zh) 一种汽车板件间接柔性焊接平台
CN214185857U (zh) 一种箱型梁肋板焊接用焊枪机构
KR19990025345A (ko) 차량 조립용 스폿 용접기
US4963712A (en) Spot welder
CN202356770U (zh) 全数字t型管自动焊接机
KR101448762B1 (ko) 스폿 용접장치
KR20240070857A (ko) 투웨이즈 용접건
CN216802038U (zh) 一种快速焊接设备
JP2006334628A (ja) 溶接装置
KR200248913Y1 (ko) 아크용접장치가 부설된 점용접 로봇용접기
CN221582306U (zh) 一种钣金产品直缝焊机
CN222243179U (zh) 一种熔池视觉+激光跟踪的tig-等离子复合式焊接装置
CN214518419U (zh) 一种用于驱动焊枪偏摆转向的偏摆机构
JP2692435B2 (ja) 簡易マルチスポット溶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9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9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2

PC1901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622

Patent event code: PC19011S01I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